[include(틀:다른 뜻1, from=레드벨벳, other1=동명의 인디 밴드, rd1=레드벨벳(밴드), other2=케이크, rd2=레드 벨벳 케이크)] [include(틀:한시적 넘겨주기, other1=6월 24일에 발매 예정인 미니 앨범, rd1=Cosmic)] [include(틀:Red Velvet)] || {{{#fff '''Red Velvet 관련 둘러보기 틀'''}}}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SM엔터테인먼트)] ---- [include(틀:에이벡스 그룹)] ---- [include(틀:레드벨벳-아이린&슬기)] }}} || || [[Chill Kill|[[파일:ChillKill_로고_레드_HQ.png|height=60]]]] || || [[파일:Chill Kill Red Velvet 프로필.jpg|width=100%]] || || '''{{{-1 [[아이린(Red Velvet)|{{{#A52A2A 아이린}}}]] · [[웬디(Red Velvet)|{{{#A52A2A 웬디}}}]][br][[슬기(Red Velvet)|{{{#A52A2A 슬기}}}]] · [[조이(Red Velvet)|{{{#A52A2A 조이}}}]] · [[예리|{{{#A52A2A 예리}}}]]}}}''' || ||<-3><#fff,#1f2023> {{{#!wiki style="margin: -10px -10px" || [[파일:Red Velvet 로고.svg|height=50]]||{{{#FEA38B '''{{{+3 Red Velvet}}}'''[br]'''레드벨벳'''}}} ||}}} || ||<|2> '''데뷔'''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2014년]] [[8월 1일]][* 데뷔 곡 발매는 8월 4일이다.][br]{{{-2 (데뷔일로부터 '''[dday(2014-08-01)]일''', '''[age(2014-08-01)]주년''')}}}[* 4인 데뷔일 기준. [[2015년]] [[3월 11일]] [[예리]] 합류일로부터 '''[dday(2015-03-11)]일''', '''[age(2015-03-11)]주년'''] ||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2018년]] [[7월 4일]][br]{{{-2 (데뷔일로부터 '''[dday(2018-07-04)]일''', '''[age(2018-07-04)]주년''')}}} || ||<|2> '''데뷔 음반'''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include(틀:음반 표시, 배경색=#a91923, 글자색=#fff, 음반종류=싱글 1집, n집=, 문서명=행복 (Happiness), 음반명=행복 (Happiness))] ||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include(틀:음반 표시, 배경색=#afd4e6, 글자색=#f086a2, 음반종류=미니, n집=1집, 문서명=\#Cookie Jar, 음반명=\#Cookie Jar)] || || '''유닛''' ||<-2>[[레드벨벳-아이린&슬기]] || || '''장르''' ||<-2>[[댄스]], [[R&B]], [[발라드]] || || '''리더''' ||<-2>[[아이린(Red Velvet)|아이린]] || || '''소속사''' ||<-2>[[SM엔터테인먼트]]|| || '''유통사''' ||<-2>[[카카오엔터테인먼트/뮤직부문|카카오엔터테인먼트]] || || '''에이전시'''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에이벡스 그룹|에이벡스엔터테인먼트]] || ||<|2> '''팬덤'''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include(틀:팬덤, 문서=ReVeluv, 팬덤명=ReVeluv (레베럽), 배경색=#FEA38B, 글자색=#fff)] ||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include(틀:팬덤, 문서=ReVeluv, 팬덤명=ReVeluv Baby (레베럽 베이비), 배경색=#FEA38B, 글자색=#fff)] || || '''공식 색''' ||<-2>{{{#!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4px 5px; border-radius: 5px; background: #FEA38B; font-size: .8em" {{{#fff '''Pastel Coral (#FEA38B)'''}}}}}} || || '''응원봉''' ||<-2>[[김만봉]] || ||<|2> '''공식[br]사이트'''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https://www.smentertainment.com/artist/|{{{#!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1px; padding: 2px 2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color: #ffe1e8" [[파일:SM엔터테인먼트 심볼.svg|width=20]]}}}]][* Red Velvet을 누르면 된다.] ||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https://redvelvet-jp.net|[[파일:Red Velvet Bloom 로고.svg|height=20&theme=light]][[파일:Red Velvet Bloom 로고 화이트.svg|height=20&theme=dark]]]] || || '''링크''' ||<-2><^|1>{{{#!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RVsmtown, 크기=20)] [[http://instagram.com/redvelvet.smtown|[[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0]]]] [[http://facebook.com/RedVelvet|[[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width=20]]]] [[https://youtube.com/@redvelvet|[[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https://www.tiktok.com/@redvelvet_smtown|[[파일:틱톡 아이콘.svg|width=20]]]] [[https://open.spotify.com/artist/1z4g3DjTBBZKhvAroFlhOM?si=nNPI4S-BQASYdD-TrbaGwQ|[[파일:스포티파이 아이콘.svg|width=20]]]] ||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Red_VelvetJP, 크기=20)] [[http://instagram.com/redvelvet_jp|[[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0]]]] || || [include(틀:국기, 국명=중국, 출력= )] ||[[https://www.weibo.com/RedVelvetofficial|[[파일:시나 웨이보 아이콘.svg|width=20]]]] ||}}}}}}}}} || [목차] [clearfix] == 개요 == || [[파일:레드벨벳 비주얼.gif|width=100%]]|| ||||{{{#!wiki style="margin: 10px" "(둘~ 셋!)[* 리더인 아이린이 선창한다.] [[행복 (Happiness)|Happiness!]][* 구호와 동시에 양손으로 웃는 입 모양을 그린다. 여담으로 이 입 모양을 끝맺는 손모양이 각각 다르다. 아이린과 조이는 손하트를 그리고, 웬디와 예리는 입 모양을 그린 손가락을 올린다. 그리고 슬기는 손가락을 가만히 놔둔다. 이에 대해 아이린과 조이는 입꼬리를 집어주고, 웬디와 예리는 입꼬리를 올려주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안녕하세요, 레드벨벳입니다!" }}}|| [[2014년]] [[8월 1일]]에 데뷔한 [[SM엔터테인먼트]] 소속의 5인조[* 2014년 8월, 4인조로 최초 데뷔하여, 2015년 3월 11일에 [[예리]]가 합류하면서 5인조로 활동 중이다.] [[걸그룹]]. == 멤버 == ||<-5> {{{#!wiki style="margin: 10px 0px 10px;" [[파일:Red Velvet 로고.svg|width=75]]}}} || || [[아이린(Red Velvet)|[[파일:Chill Kill 아이린.jpg|width=100%]]]] || [[슬기(Red Velvet)|[[파일:Chill Kill 슬기.jpg|width=100%]]]] || [[웬디(Red Velvet)|[[파일:Chill Kill 웬디.jpg|width=100%]]]] || [[조이(Red Velvet)|[[파일:Chill Kill 조이.jpg|width=100%]]]] || [[예리|[[파일:Chill Kill 예리.jpg|width=100%]]]] || || '''[[아이린(Red Velvet)|{{{#fe3e5f 아이린}}}]]''' || '''[[슬기(Red Velvet)|{{{#ffba00 슬기}}}]]''' || '''[[웬디(Red Velvet)|{{{#0074cb 웬디}}}]]''' || '''[[조이(Red Velvet)|{{{#00a250 조이}}}]]''' || '''[[예리|{{{#9f00c5 예리}}}]]''' || ||<^|1> {{{#!wiki style="word-break: keep-all" 1991. 03. 29. ([age(1991-03-29)]세)}}}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 '''리더'''[br]'''센터'''[br]'''메인래퍼'''[br]리드댄서[br]서브보컬 ||<^|1> {{{#!wiki style="word-break: keep-all" 1994. 02. 10. ([age(1994-02-10)]세)}}}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 '''메인댄서'''[br]리드보컬 ||<^|1> {{{#!wiki style="word-break: keep-all" 1994. 02. 21. ([age(1994-02-21)]세)}}}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 '''메인보컬''' ||<^|1> {{{#!wiki style="word-break: keep-all" 1996. 09. 03. ([age(1996-09-03)]세)}}}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 리드래퍼[br]서브보컬 ||<^|1> {{{#!wiki style="word-break: keep-all" 1999. 03. 05. ([age(1999-03-05)]세)}}}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 서브래퍼[br]서브보컬 || === [[/멤버 간 케미|멤버 간 케미]]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Red Velvet/멤버 간 케미)] == 특징 == [[SM엔터테인먼트]]에서는 Red Velvet이 [[소녀시대]]와 [[f(x)]]의 중간, 즉 두 선배 그룹의 아이덴티티를 융화한 컨셉을 추구한다고 밝혔다. 즉, [[f(x)]]의 독특함과 엉뚱한 [[소녀]]의 [[이미지]]를 이어받으면서 [[소녀시대]]의 친근함, 발랄하고 사랑스러운 이미지도 계승하며 다양한 [[매력]]을 만든다는 뜻이다. 요약하면 청순하고 친근한 [[소녀시대]]의 ‘정(正)’ 개성 강하고 독특한 [[f(x)]]의 ‘반(反)’ 장점을 섞은 '합(合)'이 바로 Red Velvet이다.[* 다만 [[소녀시대]] 역시 2011년 활동 이후로 , 등 꽤나 실험적인 곡도 많이 냈다는 점을 감안할 때, Red Velvet이 계승한 [[소녀시대]]의 이미지는 주로 2011년 이전의 이미지를 생각하는 게 더 적절할 듯 하다.] 실제 Red Velvet 데뷔 발표 기사를 보면 [[소녀시대]]와 [[f(x)]]의 중간이라고 소개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다만 실질적인 음악 스타일은 [[f(x)]]와 조금 더 비슷한 듯 하다. 타이틀곡은 주로 [[f(x)]], 수록곡은 [[소녀시대]] 같다는 의견이 많다. 또한 R&B나 발라드가 중심이 되는 벨벳 콘셉트의 곡들은 [[천상지희 더 그레이스]] 느낌도 난다고 평가한다.[* [[Be Natural]], [[Ice Cream Cake|Automatic]], [[The Velvet|7월 7일 (One Of These Nights)]], [[The Perfect Red Velvet|Bad Boy]] 등] 게다가 일부 리스너들은 [[S.E.S.]]와 유사한 컬러의 음악을 선보인다고 말하는 것을 보아, Red Velvet은 어느 한 그룹만의 이미지를 계승한다기보다 SM 걸그룹들의 음악적 기조를 다양한 방면에서 이어간다고 보면 될 듯하다. 시간이 흘러 멤버들의 약점이 보완되며 전반적인 실력이 향상되고 개성과 강점이 특화된 시점에서 Red Velvet의 특징을 정리하자면, [[f(x)]]의 '''다양한 캐릭터성, 뛰어난 퍼포먼스, 도전적인 음악 기조'''에 [[소녀시대]]의 '''대중성'''을 시기와 상황에 맞게 선택적으로 조절하며, 이를 위해 [[천상지희 더 그레이스]]의 '''상향평준화된 멤버들의 음악적 능력'''과 [[S.E.S.]]의 양과 질에 모두 '''차별화된 프로듀싱'''을 보여준다. 과거 kpop의 다양성이 충분치 않았던 시대에 [[SHINee]]와 [[f(x)]]가 처음 시도하여 호불호가 크게 갈렸던 새로운 음악과 컨셉을 Red Velvet이 이어가면서도 [[천상지희 더 그레이스]], [[M.I.L.K.]] 등 과거 매니지먼트를 하며 배운 시행착오로부터 SM이 얻은 지식들을 바탕으로 대중들이 겪는 거부감을 줄이는데 각별히 신경을 쓴다고 할 수 있다. 또한 Red Velvet은''' 3세대 중에 음악성으로 언급되는 첫번째 그룹'''으로 Red Velvet이 발매한 수많은 타이틀곡 뿐만 아니라 매 앨범마다 수록되는 수록곡들의 독보적인 퀄리티로 [[Ice Cream Cake]], [[The Red]], [[The Red Summer]], [[Perfect Velvet]], [['The ReVe Festival' Finale]], [['The ReVe Festival 2022 - Feel My Rhythm']] 등이 많은 케이팝 팬들 사이에서 명반이라고 언급된다. 2024년을 기준으로 현재 국내 정식 활동 앨범 개수만 19장 이상이 됨으로 선배 그룹인 [[소녀시대]]를 넘어 SM 역대 사상 가장 많은 음반을 발매한 걸그룹이 되었다. === 한 그룹 두 콘셉트 === ||<-2> '''{{{#fff,#000 앨범 콘셉트}}}''' || || '''{{{#fff Red}}}''' || '''{{{#fff Velvet}}}''' || || '''행복 (Happiness)''' || '''Be Natural''' || ||<-2> '''Ice Cream Cake'''[* Red Velvet 최초의 더블 타이틀 앨범으로, [[Ice Cream Cake]]이 레드, [[Ice Cream Cake|Automatic]]이 벨벳이다.] || || '''The Red''' || '''The Velvet''' || ||<-2> '''Russian Roulette'''[* 레드 + 벨벳 컨셉의 시초. 조이의 말에 따르면 레드와 벨벳을 합쳤다고 한다.] || ||<-2> '''Rookie'''[* 타이틀곡 Rookie는 정통 레드 컨셉의 곡이지만, Body Talk이나 마지막 사랑(Last Love)과 같은 일부 수록곡들이 정통 벨벳 컨셉을 따라간다.] || || '''The Red Summer''' || '''Perfect Velvet''' || || '''#Cookie Jar''' || '''The Perfect Red Velvet''' || || '''Summer Magic''' || '''RBB''' || || '''SAPPY''' || '''Bloom''' || ||<-2> '''The ReVe Festival'''[* The ReVe Festival은 총 5개의 음반으로 구성된 앨범 시리즈이다.] || ||<-2> '''Queendom''' || ||<-2> '''Chill Kill'''[* 앨범 발매 전부터 멤버들이 이번 타이틀곡은 "레드와 벨벳이 동시에 담겨져 있다"고 강조하였다.] || 레드벨벳('''{{{#df1616,#e91f1f Red}}} {{{#a562a2 Velvet}}}''')은 '''그룹명 자체가 팀의 컨셉을 담고 있다.''' "강렬하고 매혹적인 컬러 '''{{{#df1616,#e91f1f 레드}}}'''와 클래식하고 부드러운 느낌의 '''{{{#a562a2 벨벳}}}'''에서 연상되는 감각적인 이미지", "색깔 있고 세련된 음악과 퍼포먼스로 전세계를 매료시키겠다"라는 뜻이다. 지금까지의 활동은 크게 '''세 가지 컨셉을 번갈아가며''' 선보였는데, 타이틀곡 기준으로 열거하면 다음과 같다. '''{{{#df1616,#e91f1f 레드}}}'''는 [[행복 (Happiness)]] - [[Ice Cream Cake]] - [[Dumb Dumb]] - [[Rookie(Red Velvet)|Rookie]] - [[빨간 맛|빨간 맛 (Red Flavor)]] - [[#Cookie Jar]] - [[Power Up]] - [[SAPPY]] - [[음파음파|음파음파 (Umpah Umpah)]] - [['The ReVe Festival 2022 - Birthday'|Birthday]] '''{{{#a562a2 벨벳}}}'''은 [[Be Natural]] - [[Automatic]] - [[7월 7일(노래)|7월 7일 (One Of These Nights)]] - [[피카부(노래)|피카부 (Peek A Boo)]] - [[Bad Boy(Red Velvet)|Bad Boy]] - [[RBB|RBB (Really Bad Boy)]] - [[Psycho(Red Velvet)|Psycho]] - [[Bloom(Red Velvet)|WILDSIDE]] '''{{{#df1616,#e91f1f 레드}}} + {{{#a562a2 벨벳}}}'''[* 다른 곡들에 비해 두 컨셉의 조화가 두드러지는 것이 포인트. 어느 한쪽으로 쏠릴 수는 있어도, 두 컨셉이 섞여 있다는 것만은 분명하다.]은 [[Russian Roulette|러시안 룰렛 (Russian Roulette)]] - [[짐살라빔|짐살라빔 (Zimzalabim)]] - [[Queendom]] - [['The ReVe Festival 2022 - Feel My Rhythm'|Feel My Rhythm]] - [[Chill Kill]] [[7월 7일(노래)|7월 7일 (One Of These Nights)]] 활동까지는 레드와 벨벳이 확실히 양분된 모습을 보였으나, [[Russian Roulette]] 앨범 발매 이후부터 타이틀곡을 극단적인 레드나 극단적인 벨벳으로 치우치는 것이 아니라 '''두 컬러를 적절히 융합한 멜로디와 가사'''의 곡을 주로 선보이고 있다. 그 이전에도 [[Ice Cream Cake]]와 [[Automatic]]은 더블 타이틀로 발매하여 음악방송 활동 첫 주에 두 곡을 모두 선보이며 레드와 벨벳 컨셉을 각각 동시에 보여주기도 하였다. 여태까지는 댄스를 같이 선보이기 용이한 레드 컨셉의 곡들을 타이틀로 선정하는 경우가 더 많았다.[* [[Ice Cream Cake]]와 [[Automatic]] 더블 타이틀 활동 당시에도 [[Automatic]]은 첫 주에만 보여주었고 심지어 완곡 무대는 아예 나오지도 않았다.] 하지만 SM 측에서도 그럴 만한 것이, 레드 딱지를 붙이고 나온 곡들의 음원 성적과 벨벳 딱지를 붙이고 나온 곡들의 음원 성적 편차가 매우 크다. 2015년 9월에 발매된 정통 레드 컨셉의 타이틀곡 [[Dumb Dumb]]과 2016년 3월 발매된 정통 벨벳 컨셉의 타이틀곡 [[7월 7일(노래)|7월 7일 (One Of These Nights)]]의 각종 음원차트에서의 차트아웃 시기가 그리 차이나지 않았다는 점을 감안하면 벨벳 컨셉의 곡들은 다소 성적이 부진한 감이 없지 않다. Red Velvet이라는 그룹이 대중음악계에서 어느 정도 기틀을 마련하면, 선배 그룹인 [[SHINee]]가 정규 3집을 [[Dream Girl - The Misconceptions of You|밝고 청량한 느낌의 part 1]]과 [[Why So Serious? - The Misconceptions of Me|매니악하고 어두운 느낌의 part 2]]로 나누어 발매한 것을 보면 SM에서도 본격적으로 Red Velvet이 벨벳 컨셉을 밀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종전 세 번을 모두 레드 계열의 타이틀곡[* [[Russian Roulette]], [[Rookie(Red Velvet)|Rookie]], [[The Red Summer|빨간 맛 (Red Flavor)]]]으로 활동한 뒤 수많은 우여곡절 끝에 2017년 11월에 정규 2집 [[Perfect Velvet]]이 나왔다. 앨범 이름에 '벨벳'이 들어가지만, 앨범 쇼케이스에서 앨범명의 뜻은 "레드와 벨벳을 합쳐 '퍼펙트 벨벳'을 찾은 것" 이라고 밝혔다. 미니 3집 [[Russian Roulette]]까지 발매된 시점에서 확인된 레드 컨셉의 특징은 강한 비트 중심의 댄스곡, 다른 곡들과 비교했을 때 비해 긴 [[아이린(Red Velvet)|아이린]], [[조이(Red Velvet)|조이]], [[예리]]의 랩 파트 등이 있다. 반면 벨벳 컨셉의 경우에는 감각적이고 그루비한 비트 중심의 R&B, 발라드곡과 매혹적이고 부드러운 분위기등을 꼽을 수 있다. 마지막으로 레드 + 벨벳 컨셉의 곡들은 90년대 유행한 R&B풍, [[뉴 잭 스윙]], 클래식 샘플링 등 레드와 벨벳 컨셉을 한꺼번에 아우르는 다양한 느낌에 초점을 맞추고 있는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레드 + 벨벳 컨셉은 레드와 벨벳이라는 다소 이분법적인 틀에서 벗어나 두 컨셉을 조화롭게 조합하여 Red Velvet의 음악적인 스펙트럼을 한 층 더 넓혀주는 역할을 한다. 2016년 [[Russian Roulette]]을 시작으로 점점 더 자주 Red Velvet의 디스코그래피에 등장하기 시작한 레드 + 벨벳 컨셉의 대표적인 예시로는 [[The ReVe Festival 2022 - Feel My Rhythm|Feel My Rhythm]]이 있다. 부드럽고 우아한 느낌을 주는 전반적인 컨셉과 클래식 음악을 샘플링했다는 점은 벨벳 컨셉의 일부로 볼 수 있으나, 자유로운 상상 여행과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와 같은 동화가 모티브인 앨범의 테마, 그리고 강렬한 트랩 비트를 기반으로 한 곡의 분위기는 레드 컨셉의 영향이라고 볼 수 있다. 이렇듯 데뷔 10년차가 된 이후 Red Velvet의 완전한 컨셉이 맞춰졌으며, 처음부터 레드와 벨벳으로 컨셉을 영리하게 나눈 덕분에 Red Velvet은 3세대 걸그룹 중 앨범별 곡의 컨셉 및 스펙트럼이 가장 넓다. === 세계관 === Red Velvet이 매 활동마다 들고 나오는 컨셉은 팬으로 하여금 '''수수께끼를 던져주는''' 느낌이 강하다.[* 사실 이러한 아트 디렉팅은 Red Velvet뿐만 아니라 SM 아이돌들에게 공통적으로 나타난다.] 데뷔곡인 [[행복 (Happiness)|행복]]의 뮤직비디오부터 상당한 판타지스러움이 곁들여져 있는데, 멤버별 상징 동물[* 이때 정해졌던 상징물들은 [[행복 (Happiness)]] 티저 이미지에도 등장한다.], 고유 색, 그리고 숫자를 가지고 나왔는데, 멤버들의 생김새와 팬들의 의견을 수용하여 [[Summer Magic|Power Up]] 활동을 기점으로 멤버들 모두 상징 동물이 교체되었다.[* 티저 이미지와 그 해 시즌그리팅에 멤버들과 같이 인형으로 등장하였다.] [[아이린(Red Velvet)|아이린]]은 '''분홍, 43'''[* 'I Love You' 를 뜻하는 숫자 143에서 1을 뺀 것.] 고양이 → 토끼 [[슬기(Red Velvet)|슬기]]는 '''주황, 20'''[* [[슬기(Red Velvet)|슬기]]가 데뷔했을 때의 나이이다. 스무살이라는 풋풋함이 마음에 들어서라고.] 유니콘 → 곰 [[웬디(Red Velvet)|웬디]]는 '''파랑, 77'''[* [[웬디(Red Velvet)|웬디]]의 가족들이 골라준 숫자라고 한다.] 사슴 → 다람쥐 [[조이(Red Velvet)|조이]]는 '''초록, 31'''[* --상징 숫자에 각자만의 의미를 담은 언니들과는 달리 단지 아이스크림이 먹고 싶어서 선택한 것이었다고.--] 카나리아 → 병아리 [[예리]]는 '''보라, 17'''[* [[슬기(Red Velvet)|슬기]]와 마찬가지로 [[예리]]가 데뷔했을 때의 나이이다.] 거북이[* 유일하게 변화가 없고, 여담이지만 레드메어 콘서트 당시 유니콘이 좋아서 유니콘 복장을 한 적이 있다. --거북이 등딱지 의상이 부담스러웠다고.-- ] [[https://mobile.newsis.com/view.html?ar_id=NISX20140903_0013148592#_PA|멤버별 상징 숫자의 의미가 기록된 인터뷰 기사]]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8px 8px; margin: 20px 10px 0px 0px; border-radius: 5px; background: #faf4e3; color: #655646;" {{{+1 Ice Cream Cake}}}}}}'''{{{-2 미니 1집}}} * 발매 당시 낮과 밤에 티저가 각각 공개되자 '''뱀파이어 컨셉'''이라는 팬들의 추측이 정말 많았다. 멤버 전원이 금발로 탈색한 헤어 스타일과 푸르스름한 렌즈의 색상 등을 근거로 기존 멤버들을 뱀파이어, 새 멤버인 [[예리]]를 인간으로 설정하고 [[예리]]가 점점 기존 멤버들처럼 뱀파이어로 변한다는 내용이라는 해석이 주를 이뤘다.[* 직접적인 연관이 있는 것은 아니나, [[The Red Summer|빨간 맛 (Red Flavor)]] 활동 당시 [[아는 형님]]에 출연해 '''장래희망이 뱀파이어'''라고 밝힌 바 있다. 뱀파이어에 관련된 영화나 드라마, 소설 등을 많이 읽었다는 것을 보아 [[트와일라잇 시리즈]] 등을 좋아하여 평소에도 많이 보는 듯.] 별개로 더블 타이틀곡인 [[Automatic]]의 작사 담당인 최소영 작사가의 언급에 의하면, [[Automatic]]의 가사는 '사랑에 빠진 인어의 이야기' 라고 한다. [[https://youtu.be/FgWTeuNWyzs|Ice Cream Cake 뮤직비디오 해석]]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8px 8px; margin: 20px 10px 0px 0px; border-radius: 5px; background: #eb1936; color: #FFFFFF;" {{{+1 The Red}}}}}}'''{{{-2 정규 1집}}} * 티저 이미지와 트랙리스트가 공개되었을 때는 '''동화를 모티브로 한 것이냐'''는 추측이 많았는데, 이는 이후 레드벨벳 세계관의 핵심적인 요소로 자리잡았다. 실제로 수록곡 는 [[잠자는 숲속의 공주]]를 모티브로 한 가사를 담고 있고, 마찬가지로 수록곡인 의 가사에서도 빨간 구두, [[오즈의 마법사]]의 [[도로시]]가 등장하며, 타이틀곡 [[The Red|Dumb Dumb]]의 뮤직비디오는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의 후속편인 [[거울 나라의 앨리스]]의 이야기인 것으로 해석되기도 하였다. 비하인드로, 뮤직비디오의 촬영 소품이었던 '시계' 가 계속 '''같은 시간'''(12시 35분)을 가리키고 있어 [[예리]]가 [[민희진]] 실장에게 물어봤더니 '''"너희와 관련된 시간"''' 이라고 대답했다고 한다. 실제로 [[민희진]] 실장은 기자와의 인터뷰 중 티저나 뮤직비디오에 대한 팬들의 해석이 다양한데 어떻게 생각하냐는 질문에 '''"그런 반응을 볼 때면 짜릿하다. 팬들이 숨어있는 은유나 상징을 맞추는 경우도 많아서 재밌었고. 티저도 어필하고자 하는 소수 대상자들로 하여금 기대감을 내려놓게 하는 일 없이, 쉼 없이 앨범의 메타포를 던져 주고 싶었다. 그러면 자연스럽게 몰입도는 높아지고 이해도도 비례하니까."''' 라고 답한 바 있다. 이에 다른 멤버들은 몰랐다고 하며 "그런 사소한 것도 신경을 쓰시는구나" 라고 하는 것을 보아, 당사자인 멤버들에게도 컨셉의 하나부터 열까지를 전부 설명해 주진 않는 것으로 보인다.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8px 8px; margin: 20px 10px 0px 0px; border-radius: 5px; background: #fad2c3; color: #b48d58;" {{{+1 The Velvet}}}}}}'''{{{-2 미니 2집}}} * 미니 2집의 티저 콘셉트 또한 [[인어공주]], [[백설공주]], [[미녀와 야수]]의 [[벨(디즈니 캐릭터)|벨]] 등 여러 가지 동화의 주인공들을 모티브로 사용하였다. 특히 [[7월 7일(노래)|7월 7일 (One Of These Nights)]]의 뮤직비디오는 [[세월호 사건|사회적으로 큰 이슈]]였던 내용을 다룬 것이 아니냐는 추측이 굉장히 많았는데, SM에서 별다른 공식 입장이 발표되지는 않았었기에 그저 팬들의 추측에 그쳤었다. 하지만 유튜브와 각종 SNS, 인터넷 커뮤니티 등에서 이 뮤직비디오의 설득력 있는 해석본들이 많은 사람들의 큰 공감을 불러일으켰고, 뮤직비디오 속 배경이나 여러 떡밥이 [[세월호|그 곳]]을 암시하게 하는 느낌이 든다는 것은 팬덤 내에서도 대부분이 인정하고 있는 바이다. [[https://blog.naver.com/freyr25/220658576154|7월 7일 뮤직비디오 해석]]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8px 8px; margin: 20px 10px 0px 0px; border-radius: 5px; background: #ddf0ff; color: #fda9c1;" {{{+1 Russian Roulette}}}}}}'''{{{-2 미니 3집}}} * 타이틀곡 [[Russian Roulette]]은 사랑에 빠진 소녀의 마음을 표현한 발랄한 곡이지만, 그러한 표면적인 컨셉 아래 뮤직비디오를 통해 경쟁하는 환경 속에서 아무렇지 않게 서로에게 피해를 주는 '''청소년들의 학교폭력 실태를 비판'''하는 내용이라는 해석이 지배적이었다. 추가로 티저의 여러 떡밥을 조합하여 이전 활동인 [[7월 7일(노래)|7월 7일 (One Of These Nights)]]의 뮤직비디오 내용과 연결되는 '''해적 컨셉'''이라는 추측도 있었다. [[https://blog.naver.com/shereqwe12/220802536958|러시안 룰렛 티저 해석]] [[https://blog.naver.com/apfel12/220807522357|러시안 룰렛 뮤직비디오 해석]]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8px 8px; margin: 20px 10px 0px 0px; border-radius: 5px; background: #78c9dc; color: #324ec4;" {{{+1 Rookie}}}}}}'''{{{-2 미니 4집}}} * 타이틀곡 [[Rookie(Red Velvet)|Rookie]]의 뮤직비디오가 공개되자 [[The Red|Dumb Dumb]]과 마찬가지로 Red Velvet 세계관의 전체적인 모티브인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를 컨셉으로 데뷔곡 [[행복 (Happiness)]] 뮤직비디오의 연장 선상에서 [[예리]]의 합류와 더불어, 제목이 [[Rookie]]인 만큼 멤버들의 '''초심'''에 대한 내용이라는 해석이 대부분이었다. 별개로 [[Rookie(Red Velvet)|Rookie]]의 뮤직비디오를 보고 [[박근혜-최순실 게이트|국민들을 혼돈의 카오스에 빠뜨린 그 사건]]을 다룬 것이라는 의견과, '아무리 그래도 그렇지, 걸그룹 뮤직비디오에 쓰기에는 너무 부담스러운 내용을 끼워 맞추었다.' 는 의견이 대립하기도 하였는데, SM은 이전부터 사회적으로 큰 논란이나 사고가 일어났을 때마다 노래 가사 등을 통해 간접적으로 사회를 비판하는 모습을 보였던 만큼, [[Rookie(Red Velvet)|Rookie]]의 뮤직비디오도 우연이 아닐 것이라는 의견이 종종 보이기도 한다. [[http://blog.naver.com/dndhkdkdkddk/220933097238|루키 뮤직비디오 해석]]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8px 8px; margin: 20px 10px 0px 0px; border-radius: 5px; background: #f60403; color: #71b6df;" {{{+1 The Red Summer}}}}}}'''{{{-2 여름 미니}}} * 뮤직비디오 해석의 우여곡절을 지나 여름 미니 1집으로 발매된 [[The Red Summer|빨간 맛(Red Flavor)]]의 뮤직비디오는 팬들 사이에서 '역대급으로 평화롭고 행복한 분위기의 뮤직비디오' 라는 평가를 받았다. 멤버들을 과일로 비유하여 스스로에게 인터뷰를 진행하는 식으로 진행되는데, 이를 통해 자신을 되돌아보고 '''자아를 찾아가는 과정'''을 나타낸 것으로 보인다. 여담으로 이 때 뮤직비디오의 대표 소재로 사용된 과일들[* 수박([[아이린(Red Velvet)|아이린]]), 파인애플([[슬기(Red Velvet)|슬기]]), 속이 파란 오렌지([[웬디(Red Velvet)|웬디]]), 키위([[조이(Red Velvet)|조이]]), 포도([[예리]])]은 동물, 색, 숫자와 더불어 Red Velvet 멤버들의 또 다른 상징물로 자리잡게 되었다.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8px 8px; margin: 20px 10px 0px 0px; border-radius: 5px; background: #b4b4b4; color: #a41a12;" {{{+1 Perfect Velvet}}}}}}'''{{{-2 정규 2집}}} * 타이틀곡 [[Perfect Velvet|피카부 (Peek-A-Boo)]]의 뮤직비디오가 공개되며 '''아이돌 뮤직비디오에서 손꼽을 만큼의 섬뜩한 분위기'''로 다시 한번 크게 화제가 되었다.[* [[TWICE]]의 [[OOH-AHH하게]]와 [[TT(노래)|TT]], [[YES or YES(노래)|YES or YES]]의 뮤직비디오도 비슷하게 어둡고 긴장감을 조성하는 장면이 있지만 끝내 밝은 분위기로 전환되는 반면, [[Perfect Velvet|피카부 (Peek-A-Boo)]]의 뮤직비디오는 처음부터 끝까지 오싹한 호러 컨셉을 유지한다.] 더불어 보름달이 뜨는 밤 피자배달부를 사냥하는 소녀들의 이야기를 담은 뮤직비디오의 스토리, 타임테이블과 티저 이미지, 트랙리스트 등을 보아 [[Five Nights at Freddy's|프레디의 피자가게]]에서 모티브를 얻었다고 보는 관점도 있다.[* [[Perfect Velvet]] 앨범의 CD가 뮤직비디오에 등장한 보석으로 꾸며진 피자 모양인 것에서 힌트를 얻은 듯.] [[https://blog.naver.com/love104033/221148540491|피카부 뮤직비디오 해석]]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8px 8px; margin: 20px 10px 0px 0px; border-radius: 5px; background: #f0000b; color: #000000;" {{{+1 The Perfect Red Velvet}}}}}}'''{{{-2 정규 2집 리패키지}}} * 이어지는 정규 2집 리패키지 앨범의 타이틀곡인 [[Bad Boy(Red Velvet)|Bad Boy]]의 뮤직비디오는 '''"이것은 파이프가 아니다"를 패러디한 "이것은 입술이 아니다"'''란 책을 중심으로 전개가 이루어진다. 첫 부분에서 [[예리]]가 책에 입술 모양을 찍고 난 후 다른 멤버들 손을 거쳐가면서 진행되는 스토리가 뮤비 해석의 가장 중요한 포인트로 꼽히기도 했다. 여담으로, 뮤직비디오의 분위기를 미루어 보아 [[Ice Cream Cake]]와 연결되는, '리뉴얼된 벨벳 컨셉'이 선보이는 '''뱀파이어 컨셉'''이라는 해석도 존재했다.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8px 8px; margin: 20px 10px 0px 0px; border-radius: 5px; background: #a1d9f9; color: #fce86e;" {{{+1 Summer Magic}}}}}}'''{{{-2 여름 미니}}} * 타이틀곡 [[Summer Magic|Power Up]] 뮤직비디오는 [[Summer Magic]] 앨범이 여름 미니 1집이었던 [[The Red Summer]]의 후속작 격인 여름 미니 2집인 만큼, [[The Red Summer|빨간 맛 (Red Flavor)]] 뮤직비디오의 소재인 과일을 다시 한 번 사용함으로써 [[The Red Summer|빨간 맛 (Red Flavor)]] 뮤직비디오의 연장선을 보여주었다. 또한 '초심' 을 상징하는 [[Rookie(Red Velvet)|Rookie]] 뮤직비디오의 연장선이라는 해석 또한 많은 지지를 받았으며 이를 통해 [[Summer Magic|Power Up]]의 뮤직비디오는 이전 레드 컨셉 뮤직비디오들의 특징을 모티브로 사용함으로써 Red Velvet만의 색깔이 한 층 더 확고해졌다는 것을 나타낸 것으로 보인다. 여담으로 [[Summer Magic|Power Up]]은 선배 그룹 [[f(x)]]의 [[Hot Summer]], 후배 그룹 [[aespa]]의 [[MY WORLD(aespa)|Spicy]]와 함께 SM 걸그룹의 '이열치열 폭염 컨셉' 타이틀곡 조합으로 묶이기도 한다.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8px 8px; margin: 20px 10px 0px 0px; border-radius: 5px; background: #ebc438; color: #c12624;" {{{+1 RBB}}}}}}'''{{{-2 미니 5집}}} * 타이틀곡 [[RBB|RBB (Really Bad Boy)]]의 뮤직비디오는 '''악플러'''를 비판한 내용이라는 추측이 전반적이었다. 이는 뮤직비디오의 초반에 등장하는 '''액자 속 동물들은 대중들''', 가장 핵심적인 소재인 '''늑대인간은 악플러'''라는 해석을 바탕으로 한다. 전작인 [[Summer Magic|Power Up]] 활동 당시 가장 악플을 많이 받았던 멤버인 [[예리]]에게 손전등이 많이 비춰지는 점, [[아이린(Red Velvet)|아이린]]이 손으로 늑대 모양을 만들었을 때 [[슬기(Red Velvet)|슬기]]에게는 그 손 모양이 거대해져서 공포스럽게 다가오는 장면, 그리고 무엇보다 늑대의 입 속에 위태롭게 걸쳐앉아있는 멤버들의 구도 등으로 보았을 때 '대중들에게 잡아먹힐지도 모르는 연예인으로서의 활동' 을 표현한 것으로 보인다.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8px 8px; margin: 20px 10px 0px 0px; border-radius: 5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ad201, #c7a0f0, #1d937d); color: #ffffff;" {{{+1 The ReVe Festival}}}}}}'''{{{-2 시리즈}}} * 2019년 세 번에 걸쳐 발매된 [[The ReVe Festival]] 시리즈의 [['The ReVe Festival' Day 1|Day 1]], [['The ReVe Festival' Day 2|Day 2]], 그리고 [['The ReVe Festival' Finale|Finale]]의 뮤직비디오는 꿈과 환상으로 이루어진 상상 속의 리브 테마파크 입장 ([['The ReVe Festival' Day 1|짐살라빔 (Zimzalabim)]]), 예상치 못한 시련에도 [[행복 (Happiness)|행복]]을 찾아나가는 Red Velvet 멤버들의 이야기와 이상기후에 대한 경고의 메시지([['The ReVe Festival' Day 2|음파음파 (Umpah Umpah)]]), 영화 [[블랙 스완(영화)|블랙 스완]]을 오마주한 스토리를 웨딩 드레스가 만들어지는 과정에 비유한 [['The ReVe Festival' Finale|Psycho]]의 뮤직비디오와 같이 각각의 이야기를 담고 있음과 동시에, [['The ReVe Festival' Finale]]의 트랙 순서, 앨범 발매 전에 티저로 공개된 오디오북의 챕터 순서를 적용시켰을 때 앨범 발매 역순으로 진행되는 '''레드와 벨벳의 대립'''에 관한 의미심장한 스토리를 담고 있다고 해석되기도 하였다. [[https://youtu.be/5YDXAFsQOvk|레드벨벳 "The Reve Festival" 3부작 뮤비 해석]]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8px 8px; margin: 20px 10px 0px 0px; border-radius: 5px; background: #6689a7; color: #1f120f;" {{{+1 Queendom}}}}}}'''{{{-2 미니 6집}}} * 뮤직비디오는 분실물을 되찾아주는 마녀 배달부를 컨셉으로 견습 마녀인 [[예리]]가 정식 마녀가 되는 과정을 그린 내용이다. 이전 앨범의 수록곡들을 다시 한 번 소개함과 동시에 멤버들을 [[Ice Cream Cake]] 뮤직비디오에 등장했던 오드아이 [[고양이]]에 빗댄 Queens Archive 프로모션 비디오들, 그리고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와 [[걸리버 여행기]]를 연상시키는 거대해진 Red Velvet 멤버들을 담은 티저 이미지와 무드 샘플러는 '다시 한 번 시작해볼까?' 라는 가사와 함께 1년 8개월이라는 긴 공백을 깨고 가요계로 귀환하는 Red Velvet을 기념하는 스토리를 담고 있다.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8px 8px; margin: 20px 10px 0px 0px; border-radius: 5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69bbe1, #fd41b2); color: #ffffff;" {{{+1 The ReVe Festival 2022}}}}}}'''{{{-2 시리즈}}} * 2022년에는 2019년 12월 [['The ReVe Festival' Finale]]로 막을 내린 줄 알았던 [[The ReVe Festival]]을 화려하게 다시 시작했다. 특히 [[Feel My Rhythm]]은 [['The ReVe Festival' Finale|Psycho]]를 직접적으로 오마주한 티저 이미지들, 상상 여행을 '떠나는' Red Velvet의 이야기를 담았다는 타이틀곡의 의미, 본래 스페셜 라이브 [[2022 The ReVe Festival : Prologue]]를 통해 해당 곡을 선공개하려고 했던 것을 미루어 보아 [['The ReVe Festival 2022 - Feel My Rhythm']]은 [[The ReVe Festival]] 시리즈의 [[프롤로그]], [[The ReVe Festival]] 시리즈의 마지막 순서로 발매된 [['The ReVe Festival 2022 - Birthday']]는 라스트 트랙 의 가사를 통해 [[The ReVe Festival]] 시리즈의 [[에필로그]]를 담당한다고 추측할 수 있다. * 2022년 11월 8일에는 [[The ReVe Festival 2022 - Birthday|Birthday]] 컴백을 앞두고 Red Velvet 공식 인스타그램에 SMCU : Red Velvet - The Story of ReVe라는 제목으로 Red Velvet의 세계관 웹툰이 공개되어 화제가 되었다. 꿈과 환상, 상상과 같은 초현실주의적인 요소들을 기반으로 한 Red Velvet의 세계관을 압축 요약하여 동화의 형식으로 풀어낸 스토리를 선보여 앞으로 펼쳐질 [[SMCU]] 안에서 Red Velvet이 맡은 역할[* 신과의 교감을 이루어낸 초월적 존재들]에 대한 기대감을 한층 더 증폭시켰다.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8px 8px; margin: 20px 10px 0px 0px; border-radius: 5px; background: #9B1A1F; color: #000;" {{{+1 Chill Kill}}}}}}'''{{{-2 정규 3집}}} * 정규 3집 [[Chill Kill]]은 '''다섯 자매'''가 된 멤버들이 시련을 이겨내고 두려움을 극복하는 경험을 통해 성장하는 과정을 담은 뮤직비디오를 시네마틱 드라마 형식으로 선보였다. 뮤직비디오의 전반적인 스토리는 자매들이 아버지로 추정되는 남성을 제거하고 그들을 가둬놓았던 집을 불태우고 자유를 향해 나아가는 모습을 몰입도 높은 미장센으로 그려냈다. 일부 팬들은 해당 뮤직비디오가 가정폭력을 강력하게 비판한 내용이라고 해석하기도 하였다. 여담으로 멤버들의 말에 따르면 티저 이미지는 각각 자유를 억압당한 멤버들을 상징하고, 멤버들이 들고 있는 '''무기'''[* 창([[아이린(Red Velvet)|아이린]]), 활과 화살([[슬기(Red Velvet)|슬기]]), 방패 ([[웬디(Red Velvet)|웬디]]), 장총([[조이(Red Velvet)|조이]]), 검([[예리]])]는 '''자신의 위기를 이겨낼 내면의 수호자'''를 뜻한다고 하며, [[https://youtu.be/59qHkplM484|트레일러]]는 뮤직비디오 이후의 스토리를 담은 영상으로, 죄를 저지른 멤버들의 '''죄책감'''을 표현했다고 한다. 이렇듯 전체적으로 Red Velvet의 가사, 컨셉과 뮤직비디오에는 '''동화, 몽환적인 부분'''이 많다. 특히나 [[행복 (Happiness)]], [[Ice Cream Cake]], [[The Velvet]], [[Perfect Velvet]]의 앨범 티저, [[Feel My Rhythm]]의 뮤직비디오에서는 '''초현실주의의 정점을 찍었다'''고 평가받는다. 아무튼 Red Velvet의 뮤직비디오에는 여러 가지 스토리나 해석할 만한 떡밥이 굉장히 많기 때문에, 추리를 좋아하는 사람이라면 한번쯤 뮤직비디오를 자세히 감상하는 것을 추천한다. 유튜브의 여러 채널에서 Red Velvet의 뮤직비디오를 해석하는 컨텐츠를 제공하고 있다.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8px 8px; margin: 10px 10px; border-radius: 0px; background: #00a250; color: #ffffff;" {{{+1 [include(틀:글무리, 둘레=4, 그림자=000, 글자=fff, 내용=조이)]}}}}}}''' * 앨범 컨셉 이미지나 뮤직비디오의 내용을 보면 Red Velvet의 세계관에서 '''[[조이(Red Velvet)|조이]]는 홀로 다른 멤버들과는 조금 다른 역할을 맡았다'''고 해석된다. 예를 들면 [[행복(Happiness)|행복]]의 티저 이미지에서는 다른 멤버들 모두 입을 벌리고 깜짝 놀란 표정을 짓고 있지만, [[조이(Red Velvet)|조이]]는 전혀 놀라지 않은 표정으로 입을 다물고 카메라를 응시하는 모습을 보인다. [[Ice Cream Cake]]에서도 다른 멤버들은 모두 금발로 탈색을 했으나 [[조이(Red Velvet)|조이]]는 혼자서만 핑크 오렌지 톤의 컬러로 염색을 했으며, 앨범 커버 일러스트에는 혼자 초록색 눈으로 표현되었다. [[Dumb Dumb]] 때도 다른 멤버들이 갈색으로 염색했을 때 조이만 흑발인데다 [[The Red|Dumb Dumb]] 뮤직비디오에서도 다른 멤버들이 모두 인형의 모습으로 출연했지만, [[조이(Red Velvet)|조이]]는 유일하게 인형으로 변하지 않고 오롯이 '''관찰자'''의 모습으로 등장한다. [[7월 7일(노래)|7월 7일 (One Of These Nights)]] 뮤직비디오에서는 배에서 사고를 당하는 다른 멤버들과 달리 [[조이(Red Velvet)|조이]]만 홀로 생존하고, 숲 속 신에서 다른 멤버들은 흰 옷 차림이나 [[조이(Red Velvet)|조이]]는 검은 옷차림이다. * [[Rookie(Red Velvet)|Rookie]] 뮤직비디오에서도 무대의 등장인물인 나머지 4명의 멤버들과 달리 조이는 무대 밖의 연출가로 등장했다. [[Bad Boy(Red Velvet)|Bad Boy]] 뮤직비디오에서도 설원 속에 있는 침대에 누워 있지 않았던 유일한 멤버가 [[조이(Red Velvet)|조이]]이다. 이외에도 [[The Velvet]] 앨범 이미지에서는 다른 멤버들이 모두 뒷모습이나 옆모습으로 찍혔지만 역시나 [[조이(Red Velvet)|조이]]는 정면을 바라보고 있고,[[Perfect Velvet]]의 티저가 나오는 순서를 알리는 타임테이블에선 [[조이(Red Velvet)|조이]] 혼자 앞을 가리는 커튼을 확 여는 모습의 움짤이 나왔다. 앞서 [[민희진]]이 Red Velvet과 관련있는 숫자라고 말했던 12:35에서도 Red Velvet을 나이순으로 나열하면 1부터 5까지 [[아이린(Red Velvet)|아이린]], [[슬기(Red Velvet)|슬기]], [[웬디(Red Velvet)|웬디]], [[조이(Red Velvet)|조이]], [[예리]]인데 여기서 [[조이(Red Velvet)|조이]]의 숫자 4만을 제외하고 지정한 숫자가 된다. [['The ReVe Festival' Finale]] 티저 이미지에서도 조이 혼자만 얼굴을 완전히 드러내고 화면밖 사람을 응시하거나, 앨범 커버 일러스트에서도 다른 멤버들과는 달리 혼자만 얼굴을 드러내지 않고 몸이 커져서 집에 끼어버린 앨리스 역할을 한다. 이는 [['The ReVe Festival 2022 - Feel My Rhythm']]의 티저 이미지로 연결되며 [[조이(Red Velvet)|조이]] 홀로 '상상의 세계로 입장하게 된, 붉은 책을 들고 있는 [[앨리스]]' 를 담당한다. [[Chill Kill]]에서는 자매들의 모습을 사진과 영상으로 기록한 사람이 [[조이(Red Velvet)|조이]]였으며, 2023년 11월 7일에 진행된 프로모션에서는 다섯 자매들의 해피 엔딩을 바라는 [[조이(Red Velvet)|조이]]의 시점으로 Red Velvet 공식 인스타그램 계정의 프로필과 피드가 꾸며졌다.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8px 8px; margin: 10px 10px; border-radius: 0px; background: #fe3e5f; color: #ffffff;" {{{+1 [include(틀:글무리, 둘레=4, 그림자=000, 글자=fff, 내용=아이린)]}}}}}}''' * '''Red Velvet 멤버 전체를 이끌고 통솔하는 역할'''이라는 평이 많다. [[Ice Cream Cake|Automatic]], [[Ice Cream Cake]], [[The Red|Dumb Dumb]], [['The ReVe Festival' Day 2|음파음파(Umpah Umpah)]]의 뮤직비디오 등에서 Red Velvet 멤버들이 차를 타고 갈때 운전대를 잡고 있는 사람은 항상 [[아이린(Red Velvet)|아이린]]인 것을 볼 수 있다.[* 조수석에는 각 뮤직비디오에서 가장 중심 캐릭터가 되는 멤버들이 앉는다. [[Ice Cream Cake]] - [[조이(Red Velvet)|조이]], [[Ice Cream Cake|Automatic]] - [[웬디(Red Velvet)|웬디]], [[The Red|Dumb Dumb]] - [[예리]], [['The ReVe Festival' Day 2|음파음파 (Umpah Umpah)]] - [[웬디(Red Velvet)|웬디]].] 또한 유독 [[아이린(Red Velvet)|아이린]]이 가운데에 있는 구도가 많이 포착되며 [[Russian Roulette]] 뮤직비디오에서 하트 모양 총알을 맞는 멤버 또한 [[아이린(Red Velvet)|아이린]]이다. [[Rookie(Red Velvet)|Rookie]] 뮤직비디오 속에서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가 테마인 무대 위의 꽃 괴물을 조종하는 사람이 [[아이린(Red Velvet)|아이린]]인 것, Red Velvet의 두 번째 콘서트 [[REDMARE]]에서 등장한 '멤버들을 꿈과 환상의 세계로 초대한 ReVe의 정체' 가 아이린이었다는 사실과 [['The ReVe Festival' Day 1|짐살라빔 (Zimzalabim)]] 뮤직비디오에서 놀이공원 짐살라빔 파크의 관리자 역할을 맡은 멤버가 [[아이린(Red Velvet)|아이린]]이라는 점, 그리고 [['The ReVe Festival 2022 - Feel My Rhythm']]의 티저 이미지에서 왕관을 쓴 [[하트 여왕]]을 담당하는 멤버가 [[아이린(Red Velvet)|아이린]]인 것까지, [[아이린(Red Velvet)|아이린]]은 상상의 세계의 주인을 담당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8px 8px; margin: 10px 10px; border-radius: 0px; background: #0074cb; color: #ffffff;" {{{+1 [include(틀:글무리, 둘레=4, 그림자=000, 글자=fff, 내용=웬디)]}}}}}}''' * 역시 상당히 특이한데, '''[[조이(Red Velvet)|조이]]와 유난히 관련이 많다'''.[* 웬디도 조이처럼 다른 멤버들에 비해 연습생 기간이 짧은 편이어서([[슬기(Red Velvet)|슬기]]-7년, [[아이린(Red Velvet)|아이린]],[[예리]]-5년, 웬디,조이-2년) 조이랑 관련이 깊은 것으로 추측된다.] [[Automatic]] 뮤직비디오에서 멤버들의 흑백 영상 중 자유롭게 춤을 추는 멤버는 [[웬디(Red Velvet)|웬디]]와 [[조이(Red Velvet)|조이]] 둘 뿐이다. [[The Velvet]] 앨범 티저에서 웬디와 조이의 관계는 동화 [[피터팬]]의 [[웬디(Red Velvet)|웬디]]와 [[팅커벨]]의 관계를 연상시키며[* 이 앨범에서 [[웬디(Red Velvet)|웬디]]는 [[인어공주]]와도 관련이 있다고 한다.], [[피카부(노래)|피카부]] 뮤직비디오에서는 초반에 둘이 피자를 보석으로 꾸미며 노는 것을 볼 수 있다. 또한 [['The ReVe Festival 2022 - Feel My Rhythm']] 티저 이미지에서 [[조이(Red Velvet)|조이]]가 담당한 [[앨리스]]를 액자를 통해 상상의 세계로 이끄는 [[화이트 래빗|시계 토끼]]의 역할을 맡기도 했다.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8px 8px; margin: 10px 10px; border-radius: 0px; background: #9f00c5; color: #ffffff;" {{{+1 [include(틀:글무리, 둘레=4, 그림자=000, 글자=fff, 내용=예리)]}}}}}}''' * 막내이자 중간 합류 멤버인 만큼, 여러 티저와 뮤직비디오에서 '''막내, 그리고 Red Velvet의 세계관에 등장한 새로운 등장인물''' 라는 역할을 맡는다. [[Ice Cream Cake]]에서는 혼자 푸른 렌즈를 끼지 않아 뱀파이어인 다른 멤버들 사이에서 인간이라는 설정을 내세운 해석에 상당한 힘을 실어주기도 하였고, [[Rookie(Red Velvet)|Rookie]]에서는 창문 밖에서 멤버들이 춤추는 모습을 지켜보는 멤버로 Red Velvet의 세계에 초대되는 중요한 역할을 맡기도 했으며, [[Summer Magic|Power Up]]의 뮤직비디오 후반부에서는 원래 4명이었던 Red Velvet이 [[예리]]의 합류로 5명이 되는 과정을 함축적으로 묘사한 장면이 등장하기도 했다. 또한 [[https://youtu.be/0m-GVqHWLpU|Queens Archive 비디오]]에서는 홀로 셀프캠 형식으로 비디오에 목소리와 대사가 들어갔으며 [[Queendom]] 뮤직비디오에서는 멤버들의 도움을 받아 견습 마녀에서 정식 마녀로 성장하는 스토리의 주인공이 되기도 하였고, [[Chill Kill]]에서는 생일을 맞이한 다섯 자매 중 막내의 역할을 맡았다.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8px 8px; margin: 10px 10px; border-radius: 0px; background: #ffba00; color: #ffffff;" {{{+1 [include(틀:글무리, 둘레=4, 그림자=000, 글자=fff, 내용=슬기)]}}}}}}''' * Red Velvet의 세계관 내에서 [[슬기(Red Velvet)|슬기]]의 역할이 무엇인지는 아직까지 자세하게 밝혀진 바가 없다. Red Velvet의 거의 모든 티저 이미지에서 '늘 누워 있는 멤버라는 것' 이외에는 별다르게 두드러지는 특징이 없다가, [['The ReVe Festival 2022 - Feel My Rhythm']]의 티저 이미지에서 [[매드 해터|모자 장수]]를 맡게 되었으며, [[Feel My Rhythm]] 뮤직비디오에서는 낮과 밤, 봄과 겨울 둘 중 아무것도 담당하지 않고 경계에서 중립을 지키며 모든 것을 지켜보는 부엉이를 담당했고, 뮤직비디오의 끝에 정면을 응시하며 웃고 있는 다른 멤버들과는 달리 무표정한 얼굴로 [[조이(Red Velvet)|조이]]([[앨리스]])를 바라보며 뮤직비디오가 끝이 난다. 또한 [[Chill Kill]]의 뮤직비디오에서는 살인 사건의 주요 열쇠인 돌을 들고 자수를 하러 가려는 [[조이(Red Velvet)|조이]]를 발견하고 가로막는 멤버 또한 [[슬기(Red Velvet)|슬기]]이다. 이를 통해 팬들은 Red Velvet의 앨범이 계속해서 발매되며 Red Velvet만의 고유한 세계관이 더욱 확장됨에 따라 [[슬기(Red Velvet)|슬기]]의 역할이 점점 확실하게 드러나게 될 것이라고 전망한다. [[http://omyo77.tistory.com/m/46|레드벨벳 세계관과 컨셉에 대한 고찰]] [[https://blog.naver.com/dis1co/221148024018|레드벨벳 세계관 분석]] === 음악 === 레드와 벨벳 컨셉을 가릴 것 없이 Red Velvet의 음악이 갖고 있는 기조는 '''흑인 음악'''을 기반으로 한다. 곡 다수가 90년대를 현대적으로 재해석한 느낌을 따라가는데 [[Ice Cream Cake]] 앨범과 [[The Red]] 앨범은 대체적으로 신스 사운드, 90년대 팝 [[R&B]] 느낌이 많이 들어갔고, [[The Velvet]] 역시 90년대 [[R&B]], 네오소울을 기반으로 하였다. [* 이에 [[DJ DOC]]의 [[김창열]]은 90년대 SWV라는 그룹을 연상케 한다는 평을 남기기도 했다.] 또한 벨벳 컨셉 곡들은 대선배인 [[S.E.S.]] 느낌이 난다는 반응이 많다. 디지털 싱글 2집부터가 [[S.E.S.]]의 노래인 '[[Be Natural]]'이었고 '[[Automatic]]' 역시 90년대 [[R&B]] 소울을 기반으로 한 곡으로 [[S.E.S.]]나 [[자넷 잭슨]] 등을 떠올리게 한다는 반응이 많았다. [[미국]] [[빌보드]]에서도 [[Automatic]]이 [[자넷 잭슨]] 류의 [[R&B]] 잼을 연상케 한다며 극찬한 바 있다. 그리고 정통 R&B에 가까운 '[[Bad Boy(Red Velvet)|Bad Boy]]'는 현시점에서 비주류인 장르를 현대적으로 잘 재해석해 많은 호평을 받았다. 보컬 측면에서는 곡들이 모두 듣기에 편하지만 직접 부르기엔 상당히 음이 높은가 하면, 고난도의 테크닉을 요구하는 곡들로, 이는 여러 장르를 다양하게 소화할 수 있는 [[웬디(Red Velvet)|웬디]]를 비롯한 보컬이 탄탄한 멤버들이 다수라는 장점을 갖고 있는 Red Velvet이기에 가능한 것으로 보인다. [[웬디(Red Velvet)|웬디]], [[슬기(Red Velvet)|슬기]], [[조이(Red Velvet)|조이]]의 눈에 띄는 역할 때문에 모르는 이가 많지만 [[아이린(Red Velvet)|아이린]]의 보컬도 뛰어나다고 평가된다. [[아이린(Red Velvet)|아이린]]의 보컬은 상당히 섬세한데, 타고난 성량이 부족하다는 단점을 제외하면 음색이 좋고 특히 벨벳에서 듣기 좋은 보컬이다. [[아이린(Red Velvet)|아이린]]도 [[웬디(Red Velvet)|웬디]]처럼 곡에 맞춰 가장 눈에 띄게 톤 조절을 적절히 잘 하는 멤버다.[* 이는 [[Dumb Dumb]], [[7월 7일(노래)|7월 7일]] 등 타이틀곡뿐만 아니라 [[The Red]]의 수록곡인 Oh Boy나 Campfire, Cool World에서 유독 잘 드러난다.] [[예리]] 역시 연차가 찰 수록 실력이 올라가고 있으며, 통통 튀는 음색으로 레드벨벳의 노래에 재기발랄함을 더해주고 있다. 또한 Red Velvet은 화음을 굉장히 조밀하고 다양하게 쌓는 편으로 시간이 남는다면 [[http://theqoo.net/kdol/200047820|아이스크림 케이크]] [[http://theqoo.net/kdol/201515485|더 레드]] [[http://theqoo.net/kdol/232357838|더 벨벳]] 백보컬들을 차례로 들어보기를 권장한다. 레드 컨셉은 상큼한 여성 보컬로 모던하고 경쾌, 비비드하고 비트있는 팝 느낌을 내지만 사실 레드 컨셉의 곡들 역시 [[EDM]] 기반(Huff n Puff, Red Dress)의 최신 트렌드 힙합이나 [[R&B]] 팝(Oh Boy, Campfire, Lady's Room) 등 변칙적인 흑인 음악 장르의 곡들을 다수 쓰고 있고 벨벳은 조곤조곤한 [[R&B]], [[재즈]], [[소울 음악]] 등 조금 더 정통적이고 고전적인 흑인 음악의 느낌을 내고 있다. SM 그룹들은 그룹이 추구하는 음악과 가창의 중심이 되는 메인보컬의 특화 장르가 일치하는 모습을 볼 수 있는데, 이를 보면 [[R&B]], [[소울 음악]], [[힙합]] 등 흑인 음악 내에서 장르를 가리지 않고 걸출한 실력을 가진 [[웬디(Red Velvet)|웬디]]가 왜 Red Velvet의 메인보컬이 되었는지 알 수 있다. 이는 백보컬(화음 추출)을 들어봐도 확연히 느낄 수 있다. 보컬 2인자인 [[슬기(Red Velvet)|슬기]] 역시 곧잘 소화해낸다. 굳이 목소리의 특징을 짚어보자면, [[웬디(Red Velvet)|웬디]]의 목소리는 조금 굵직하고 시원한 고음 위주이고 [[슬기(Red Velvet)|슬기]]는 [[웬디(Red Velvet)|웬디]]에 비해 가늘고 따뜻한 느낌의 목소리다. 보컬능력자 [[웬디(Red Velvet)|웬디]]의 라이브로 묻혀서 그렇지, [[슬기(Red Velvet)|슬기]]도 매우 훌륭한 수준이다. [[https://youtu.be/i4g_b5QQlFc|첫소절부터 성량과 음색으로 씹어드시는 슬기 레전드 라이브]] 음색이 가는 것에 비해서 라이브가 매우 안정적이며 연습생 때 성대결절이 온적이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목소리가 매우 매끄러우며 기복 없는 노래 실력을 갖추고 있다. 전형적인 메인보컬의 느낌을 가진 [[웬디(Red Velvet)|웬디]]와, 독특한 음색의 [[조이(Red Velvet)|조이]] 사이에서 그 중간 느낌 정도로 중심을 잡아주고 있는 멤버이기도 하다. [* 웬디와 조이의 경우, sm 여자아이돌 구성 시 꼭 넣는다는 메인 보컬-음색 보컬 기조를 따르는 조합으로 태연-제시카, 루나-크리스탈을 잇는 조합이다.] [[조이(Red Velvet)|조이]]의 경우 아이돌판에서 음색이 예쁘기로 유명한 보컬로, 음색 담당 아이돌을 얘기하면 늘 언급되는 멤버이다. Red Velvet 의 노래를 [[조이(Red Velvet)|조이]]의 목소리로 구분 가능하다는 우스갯소리가 있을 정도로,독특하고 귀에 확 들어오는 음색을 가졌으며 이로 인해 타이틀곡의 킬링파트들을 주로 담당한다. Red Velvet의 곡들을 자주 맡아 작곡했던 [[모노트리]]의 [[황현]]이 sm 아이돌 중 가장 예쁜 음색을 가진 아이돌로 꼽을 정도. 다만, 여태의 벨벳 컨셉은 대중적인 레드보다는 매니아층에게 찬양을 받는 편이다. [[Automatic]] 뮤직비디오가 공개됐을 때, [[한국대중음악상]] 심사위원 중 한명인 대중문화평론가 김윤하와 [[버벌진트]]가 작품성에 대해 언급한 트윗을 수차례 올렸으며 이후에도 여러 음악인에게 많이 언급되었다. 말했듯이 [[재즈]]나 [[R&B]], [[소울 음악]] 요소가 많이 들어가 보컬으로도 퍼포먼스로도 소화하기 어려운 장르인지라 이를 아는 동료 음악인들에게 더 어필이 되는 듯하다. 게다가 대중들에게 반응이 미지근했던 [[Be Natural]]과 [[7월 7일(노래)|7월 7일]] 활동 당시에는 오히려 코어 팬층을 쌓는 계기가 되며 팬덤이 자리를 잡았다. 이후 레드 컨셉에 벨벳 컨셉을 결합한 '[[Russian Roulette]]'을 내고, 대중적으로 큰 인기를 얻었다. 벨벳 컨셉인 '[[피카부|Peek-A-Boo]]'도 레드 컨셉을 더한 댄스곡으로 나왔는데, 매니악한 벨벳 컨셉이 나아갈 길을 찾았다는 평을 받고 있다. '''앨범 전체의 반응이 좋은 아이돌 그룹'''이다. SM에서 타이틀곡의 흥행에만 치중하지 않고 앨범 수록곡이 가지는 음악적 가치까지도 고려하고 있다는 이야기다. [[이수만]] 프로듀서가 가사 하나하나까지 세심하게 신경쓴다는 언급과, 작곡 풀 구성만 봐도 알 수 있다. 팬이 아닌 사람들이 아이돌 음반의 수록곡을 듣는 건 흔치 않은데 Red Velvet의 음반은 전체 재생한다는 사람들이 꽤 있다. 게다가 전문가들 사이에서도 평이 좋은 편이다. 위에 언급했다시피 [[버벌진트]]와 김윤하를 비롯해 [[The Red]]의 발매 후 래퍼 [[제리케이]], 비스메이저크루 VMC[* VMC는 2015 최고의 국내힙합 앨범으로 꼽히는 양화의 딥플로우가 설립한 레이블이다.], 아트디렉터 로디가[* 연예인 조형기의 아들이기도 하다.], 프로듀서 [[로보토미]], 프로듀서 싸이코반, 가수 베이비나인, 작곡가 [[브라더수]], 힙합에이전시 스톤쉽 대표 [[똘배]], IZE 기자 황효진 등 많은 예술계 인물들 사이에서 핫이슈였다. 이를 증명이라도 하듯, 2015년 발매한 [[Ice Cream Cake]]와 [[The Red]]가 모두 [[아이돌로지]] "'올해의 음반 TOP 10"'에 선정되었으며([[The Red]] 2위, [[Ice Cream Cake]] 10위) [[http://idology.kr/6016|링크]] "필자들이 꼽은 올해의 트랙"에도 여러 평론가들에게 다수의 곡이 총 다섯 번 선정되었다 ([[Automatic]], Cool World, [[Ice Cream Cake]]). [[http://www.weiv.co.kr/archives/21588|링크]] 또한, [[Ice Cream Cake]] EP는 [[미국]] [[빌보드]]에서 호평을 받았고, [[Dumb Dumb]]은 유일한 아시안 아티스트로써 미국 [[롤링 스톤]]지 '''2015 베스트 뮤직비디오 TOP 10'''에 들기도 했다(9위).[[http://www.rollingstone.com/music/lists/10-best-music-videos-of-2015-20151222/missy-elliott-wtf-where-they-from-20151218|링크]] 결국 음악 전문 웹진 [[weiv]]에서 2017년 '''올해의 앨범'''으로 정규 2집인 [[Perfect Velvet]]을 1위로 선정하였다. '''Feel My Rhythm 앨범으로 피치포크 74점'''을 받았다. 이는 3세대 남녀통합 제일 높은 점수이다. [[Crush(가수)|Crush]]도 가장 함께 작업해 보고 싶은 아이돌로 Red Velvet을 뽑았다. [[조이(Red Velvet)|조이]]가 그의 곡 '[[자나깨나]]'를 피처링하여 그 소원을 이루게 되었다. [[METEOR]]로 큰 인기를 얻은 래퍼 [[창모]]도 함께 작업해보고 싶은 아이돌과 가장 좋아하는 아이돌로 Red Velvet을 뽑았다. [[AOMG]]의 [[후디]] 또한 어느 날은 날 잡고 하루종일 Red Velvet의 음반만 돌려듣는다고 인터뷰에서 밝히기도 하였다. [[장재인]]은 라디오 프로그램에 출연해 'SM 곡은 뮤지션들이 들어도 좋다. Red Velvet의 [[피카부]]를 즐겨 듣는다."라는 말과 함께 [[예리]]에 대한 팬심을 드러내기도 했다. [[XXX]]의 [[FRNK]] 또한 Red Velvet의 음악성을 호평하였다. 2019년 이후로는 레게, 보사노바, 60년대 댄스, 펑크, 시티팝, 재즈 밴드등 다양한 장르를 시도하고 있다. Red Velvet의 음악을 좋아하는 분들을 위해 [[https://entertain.naver.com/read?oid=015&aid=0004163449|다양한 음악적 시도를 해야한다는 사명감을 느낀다]]는 인터뷰도 했으며, 그해 말 Psycho를 타이틀로 발매된 [['The ReVe Festival' Finale]] 앨범으로 음악적 퀄리티의 정점을 찍었다. 2020년에는 [[레드벨벳-아이린&슬기]] 유닛 활동으로 [[Monster(레드벨벳-아이린&슬기)|Monster]]로 정통 [[SMP]]를 소화해냈고, 케이팝 역사상 유일무이하게 보깅과 텃팅을 주로 활용한 고난이도 안무의 [[Monster(레드벨벳-아이린&슬기)|놀이(Naugthy)]]를 후속곡으로 [[아이린(Red Velvet)]]과 [[슬기(Red Velvet)]]의 실력을 대중들에게 확실하게 입증함과 동시에 레드벨벳 앨범의 뛰어난 작품성을 다시 한 번 각인시켰다. 그 후 2022년 [[The ReVe Festival 2022 - Feel My Rhythm|Feel My Rhythm]]으로 [[요한 제바스티안 바흐]]의 'G선상의 아리아'라는 클래식 곡을 샘플링하여 2022년 클래식 샘플링 유행을 이끌었으며, 이후 [[The ReVe Festival 2022 - Birthday|Birthday]]에서도 [[조지 거슈윈]]의 'Rhapsody In Blue'를 샘플링한 타이틀곡을 발매하였다. === 실력 === [[SM 엔터테인먼트]] 출신답게 모든 멤버들의 보컬, 춤, 랩의 실력이 준수하고, 3세대 아이돌은 물론이고 '''전체 세대 걸그룹들을 통틀어도 실력이 상당히 출중하고 뛰어난 그룹 중 한팀으로 평가받는다.''' 데뷔 활동인 [[행복 (Happiness)|행복]] 때, 첫 두 무대를 제외하고 후렴까지 라이브를 했다. [[행복(Happiness)|행복]]뿐만 아니라 현 앨범 활동까지의 라이브와 MR 제거를 들어봐도 실력이 수준급으로 뛰어남을 알 수 있다. [[https://youtu.be/Pg7nBHXQCCA|팬미팅에서 부른 Psycho 라이브]]. [[슬기(Red Velvet)|슬기]]가 7년, [[아이린(Red Velvet)|아이린]]과 [[예리]]가 5년씩, [[조이(Red Velvet)|조이]]가 2년, [[웬디(Red Velvet)|웬디]]가 1년 6개월간 연습생 생활을 했으므로 데뷔 이전까지 기본 실력을 탄탄히 할 준비 기간이 길었음을 알 수 있다. 실제로 [[Rookie(Red Velvet)|Rookie]] 활동 중 슬기의 마이크 송출 문제로 인한 방송사고로 의도치 않게 라이브 실력이 집중받기도 했으며, 방송사고급의 음향으로 강제 MR 제거 공연이 된 2015 경주 드림콘서트에서 살아남은 몇 안 되는 아이돌 중 하나다. 엇박을 쪼개 들어간 어려운 안무와 고음이 많은 곡, 안무를 하면서 애드립을 해야 하는 삼중고에도 불구하고 걸그룹 중에선 [[씨스타]]와 함께 AR과 흡사한 라이브로 칭찬받았다. 이 와중에 마이크가 빠졌음에도 의연하게 무대를 끝낸 예리 또한 호평을 받았다. 거기다가 예능감 역시 좋은 편이다. [[아는 형님]]의 [[아는 형님/방영 목록/2016년 상반기#s-2.17|레드벨벳 편]]을 통해 폐지 직전이던 아는 형님을 다시 살렸을 정도. 실제로 이수만은 소속 아이돌들의 예능감을 무척 중시한다고 하며 그 덕분에 확실히 3대 기획사 출신 아이돌 중에서는 SM 계열이 예능에서 가장 많은 활약을 한다는 평가가 많다. ==== 보컬 ==== || [youtube(KEFNlx4ZIOU)] || ||<-1> {{{#fff ▲ '''킬링보이스'''}}} || Red Velvet의 보컬은 화려하게 앞에 나서는 스타일이 아니다. 가창력을 자랑하기 위한 곡이 아니라 '''곡을 살리기 위한 보컬'''이라고 평할 수 있다. 악기처럼 스며드는 보컬은 Red Velvet의 노래를 세련되다고 느끼게 하는 주요 요소 중 하나. 노래는 메인보컬 [[웬디(Red Velvet)|웬디]]가 리드보컬 [[슬기(Red Velvet)|슬기]], 서브보컬 [[조이(Red Velvet)|조이]]와 함께 이끌어간다. [[웬디(Red Velvet)|웬디]]는 '''성량과 음역대'''에 강점을 둔 반면 [[https://youtu.be/H1C6S4HwRT4|연습생 손승완 시절 Taylor Swift - Speak now]], [[슬기(Red Velvet)|슬기]]는 '''특유의 안정성과 깔끔한 보컬''' [[https://youtu.be/i4g_b5QQlFc|사이다 원샷의 잘 부탁드립니다]], 그리고 [[조이(Red Velvet)|조이]]는 '''독특하면서도 깨끗한 음색'''에 강점을 둔다. [[https://youtu.be/8ahMIulf6BE|전설의 '이젠 그랬으면 좋겠네']] 멤버들의 보컬톤이 뚜렷하고 차이가 있어 개별파트와 단체 후렴에서 다른 느낌을 받을 수 있다. [[https://youtu.be/h3zLwp3NzYI| 레드벨벳 Time To Love 라이브]] [[웬디(Red Velvet)|웬디]], [[슬기(Red Velvet)|슬기]]가 보컬 면에서 안정적으로 팀을 이끈다. [[웬디(Red Velvet)|웬디]]가 곡의 메인을 깨끗한 목소리와 발음으로 탄탄하게 이끌어가면 [[슬기(Red Velvet)|슬기]]는 후렴 파트나 백 코러스를 안정감 있게, [[조이(Red Velvet)|조이]]는 [[슬기(Red Velvet)|슬기]]와 함께 백 코러스나 버스 부분을 부드럽게 소화해 Red Velvet의 보컬을 이끌어 간다. [[아이린(Red Velvet)|아이린]]과 [[예리]]가 가창력 측면에서 보컬라인의 주류가 아닌 것은 사실이나, 라이브 실력만큼은 안정적이기 때문에 이들은 각자 맡은 랩 파트[* 하지만 대부분의 아이돌에게 가는 평가가 그렇듯, 랩 파트는 호불호가 많이 갈리는 편이다. 대중들의 의견을 전체적으로 취합해도 [[아이린(Red Velvet)|아이린]]과 [[예리]]가 랩보다는 보컬에 더 잘 어울리는 것 같다는 평.]에 보컬 파트까지 꽤 안정적으로 소화한다. 예리의 음색은 호불호가 많이 갈리는 편인데 독특하면서도 맑고 마음이 편해지는 특성이 있다는 의견과 비음이 너무 많이 섞여 있어 듣기 불편하다는 평으로 갈린다.[* 조이 역시 비음이 꽤 섞인 편이다.] 그러나 호불호를 떠나서 예리는 후렴구 보컬합에서 두드러지는 역량을 보여준다. 국내 기획사 중 SM이 처음으로 A&R 전담 팀을 꾸렸다는 것을 보면, SM이 레드벨벳에게 요구하는 보컬의 가장 큰 특징은 '''목소리의 조화'''라고 볼 수 있다. 멤버들이 종종 무반주로 노래하는 것을 보면 습관적으로 화음을 쌓는 것을 볼 수 있는데, 이 역시 혹독한 트레이닝의 결과인 듯하다. 특히, Feel My Rhythm 영상실 영상을 팬이 따로 편집한 영상에서 레드벨벳의 보컬과 백보컬, 화음을 쌓는 과정을 생생하게 들을 수 있다. [[https://youtu.be/5WTR9emBOQs| Feel My Rhythm 레코딩 버전 (화음, 백보컬 강조) Recording Ver.]] 한 마디로 표현하자면, 레드벨벳의 곡들은 각자의 독특한 음색과 안정성을 바탕으로 조화로운 보컬을 쌓아올린다고 볼 수 있다. 이에 더불어, 폭넓은 음역대와 다양한 목소리, 풍부한 성량 등을 바탕으로 솔로 활동 뿐만 아니라 최근 뮤지컬에서 성공적으로 데뷔한 웬디, 데뷔 이후로 꾸준히 안정적으로 라이브를 소화하고 리드보컬이라는 포지션 이상의 능력치를 가진 슬기, 서브보컬임에도 불구하고 보컬이 나날이 발전하여 음색뿐만 아니라 안정성 또한 크게 향상된 조이, 데뷔 이후로 꾸준히 성장하며 안정적으로 보컬을 뒷받침해주는 아이린과 예리라는 멤버들의 실력을 통하여 보컬로서 그 어느 그룹에도 뒤지지 않고, 독특하면서 매력있는 보컬색을 가지게 되었다. 특히 2019년에 참여한 대학 축제에서 '''걸그룹 최초로 무반주로 안무를 포함하여 라이브 앵콜을''' 한 적이 있다. 앵콜 이전의 다수의 본무대가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앵콜에서 무반주로 안무를 포함하여 앵콜을 하여 레드벨벳의 라이브 실력을 입증하게 되었다. ==== 댄스 ==== || [youtube(pokccDdB3RE)] || ||<-1> {{{#fff ▲ ''''Feel My Rhythm' Dance Practice'''}}} || 댄스에서도 모든 멤버들이 대체로 안무를 잘 소화한다. 특히 레드 컨셉의 안무는 힘 있게 추는 것과 동시에 그루브를 잘 타지 않으면 동작이 그다지 예뻐 보이지 않는 정교한 안무들로 구성되어 있다. 잔동작이 많은 편이고 대부분이 온몸을 쓰는 위주의 동작들로 이루어져 있다 보니 체력이 상당히 많이 소모되기도 한다. 특히 다른 그룹과 비교했을 때 유난히 팔이나 손을 많이 쓰는 편인데, 이 역시 각도를 조금만 달리 해도 안무의 느낌이 완전히 바뀌는 경우가 많아서 신경써야 할 게 많은 편이다. 그리고 무대에 오를 때 입는 의상들이 많이 짧거나 파여 있어서 불편한 의상들을 많이 착용하는 편인데, 그런데도 불구하고 안무를 매우 잘 소화한다는 점을 보아, 현재 안무로 보여지는 실력보다 훨씬 더 수준급 실력을 보유하고 있는 듯. 곡이 두 가지 컨셉으로 나뉘는 것처럼 안무도 크게 두 가지 느낌으로 나뉘는데, 댄스 브레이크를 포함한 안무의 전체적인 흐름을 메인댄서 [[슬기(Red Velvet)|슬기]]와 리드댄서 [[아이린(Red Velvet)|아이린]]이 이끌어 간다. 단단한 안무는 [[슬기(Red Velvet)|슬기]], 부드럽고 유연한 안무는 [[아이린(Red Velvet)|아이린]]이 두각을 나타내는데, 두 사람 모두 춤선의 날카로움을 이용하여 파워풀한 안무를 잘 소화하나, 스타일이나 테크닉은 다르다. [[슬기(Red Velvet)|슬기]]는 춤선이 단단하며 하늘하늘하고 팔다리가 길어 군더더기 없이 간결하게 춘다면, [[아이린(Red Velvet)|아이린]]은 비교적 부드럽고 유연하고, 작은 신장을 커버하며 동작 하나하나가 꽉 찬 느낌이다.[* 격한 춤을 출 때 [[아이린(Red Velvet)|아이린]]의 날카로운 춤선이 상당히 부각된다.] 특히 퍼포먼스 부문에서는 [[슬기(Red Velvet)|슬기]]와 [[아이린(Red Velvet)|아이린]]의 정반대되는 춤 스타일이 베이스가 되는 듯하다. 레드의 파워풀하고 절도있는 안무는 [[슬기(Red Velvet)|슬기]]가 이끌고 벨벳의 그루비하고 섬세한 안무는 [[아이린(Red Velvet)|아이린]]이 이끈다. 왜 팀에 두 명의 눈에 띄게 다른 스타일의 댄서들을 영입시킨 건지 한눈에 알 수 있는 부분. 귀신같은 스엠. 다만 Red Velvet이 선보이는 안무들을 보면, 기존의 SM식 칼군무보다는 노래에 자연스럽게 어우러지는 타입의 댄스가 많다. 물론 같은 곡들은 박자에 딱딱 맞춰서 일사불란하게 움직이기 때문에 칼군무라고 볼 수도 있겠지만, 최근의 안무들은 현란하기보다 노래의 느낌에 더 치중하는 듯하다. ..그런듯 하였으나 2020년 7월 현재 [[레드벨벳-아이린&슬기]]가 데뷔한 이후 업로드되는 앨범 에피소드1 'Naughty(놀이)'의 [[https://youtu.be/wCWoUUWwdqg|안무 영상]]에서 K-POP에서 극악의 난이도로 인해 좀처럼 시도하지 않았던 [[보깅]]과 [[왁킹]], 터팅[* 손가락과 손목, 팔 관절을 이용해서 박자에 맞게 절도있게 떨어지는 각도를 이용한 [[팝핑]]계열의 댄스로 아이돌 댄스에서 사용한 기록이 아예 없는것은 아니고 아이돌 1세대부터 최고의 춤꾼으로 이름을 날린 [[장우혁]]이 그의 노래 시간이 멈춘 날에서 보여준 적이 있다. 최근에는 [[NCT]]의 [[태용]]이 [[https://youtu.be/ZHtyLsyE4sI|안무 영상]]을 통해 보여주기도 했다.]를 듀엣으로 소화하는것을 보여주며 충격을 안겨주었다. 동작이 복잡하고 정교하기에, 한 동작만 틀려도 티가 많이 나는 춤을 전문 댄서도 아닌 가수로서 완벽하게 춘다는 것은 탁월한 재능과 피나는 연습이 모두 필요하다.[* 이 춤을 카피하기 위해 수많은 댄스팀이 커버를 시도했으나 전부 팔다리의 각이 제대로 살지 않거나 절도있게 동작을 끊지 않고 대충 비슷하게 따라한채 동작을 스킵하는 경우가 많아 오리지널 안무에 준하는 수준의 커버가 아직도 나오지 않았다. 안무의 난이도가 너무 높기 때문에 유튜브 커버수준의 전문성으로선 앞으로도 나오지 못할것같다.] 실제로 아이린과 슬기는 7년의 연습생 시절과 6년의 데뷔 후 활동을 하고도 이 춤을 추기위해 기초부터 장장 5개월간의 연습을 했다고 한다. 그러나 5개월간 준비하는 기회비용을 따질때 활동의 수지가 매우 비효율적이기 때문에 앞으로 이 정도의 난이도와 완성도에 필적하는 안무를 향후 레드벨벳과 다른 아이돌의 무대에서 구경하기는 정말 쉽지 않을 것이다. ==== 랩 ==== 랩은 담당 멤버가 정해져 있다. 메인래퍼 [[아이린(Red Velvet)|아이린]], 서브래퍼는 [[예리]]. 리드래퍼인 [[조이(Red Velvet)|조이]]도 랩을 맡으나 [[The Velvet]]부터 [[조이(Red Velvet)|조이]]의 보컬 실력이 향상 되면서 보컬 비중이 부쩍 늘어났다. 이로인해 랩의 비중이 많이 줄었다. 다만 [[Rookie(Red Velvet)|Rookie]]에서는 오랜만에 그만의 찰진 랩을 보여주기도 했다. 사실 [[조이(Red Velvet)|조이]]가 래퍼 포지션으로 분량을 챙기던 [[Dumb Dumb]]과 [[Rookie(Red Velvet)|Rookie]] 사이에 나왔던 [[7월 7일(노래)|7월 7일]]과 [[Russian Roulette]]에는 랩이 없다. 또한 [[아이린(Red Velvet)|아이린]]이 빠진 4인 체제 무대에서는 메인보컬인 [[웬디(Red Velvet)|웬디]]가 랩을 맡기도 했기 때문에 [[웬디(Red Velvet)|웬디]]의 랩을 기대하는 사람들도 있다.[[https://youtu.be/GcPN5ikvl_0|사실 웬디는 랩핑도 꽤 잘한다.]] 여담으로 [[The Red Summer]]의 수록곡 여름빛에서는 멤버 전원이 랩 파트를 받기도 하였다. 피카부 예리 랩 파트가 이해하기 어려운 단어들 조합으로 되있어서 켄지 작사가가 무엇을 의도한건지는 이해하기 어렵다는 반응이 많다.[* I said 1 2 3 Play the game again 버튼을 눌러보자 쿵푸만큼 빨리 중간에 내 맘 변해도 놀라지 말기 혹시 끌리지 않니 그럼 Excuse me 자 전화해요 밤새 또 놀러 가요 함께 Restart a game 돌진해 롤링해 블랑카] 그러나 Bad Boy 로는 나름 괜찮은 랩으로 호평받은뒤 이후 RBB - 짐살라빔 - 음파음파 - Psycho - Queendom - Feel My Rhythm - Birthday로 이어지며 꾸준히 랩 또는 싱잉랩을 보여주고 있다. 보통 예리가 단독으로 부르거나, 아이린과 같이 부른다. 정규3집 타이틀 [[Chill Kill]]에서는 원래 랩을 주로 담당하던 예리 아이린이 보컬을 담당하고 조이 웬디가 랩을 하는등 레드벨벳이 올라운더로 구성된 그룹이라는걸 인증한다. === 비주얼 === || [[파일:레드벨벳 콘서트 2.png|width=100%]] || || '''{{{#fff,#000 ▲ 2017년 8월 첫 단독 콘서트 <[[Red Room|{{{#fff,#000 Red Room}}}]]> 무대 후 촬영한 사진.}}}''' || Red Velvet의 데뷔 이전에도 원래부터 대중들이 '[[SM엔터테인먼트|SM]] 소속 아이돌들' 하면 가장 먼저 떠올리는 점은 바로 '''비주얼'''이다. 그만큼 [[SM엔터테인먼트|SM]]은 노래나 댄스 이외에도 비주얼을 중요한 지표로 삼기에 레드벨벳 역시 비주얼 조합이 좋은 편에 속하여 리더인 [[아이린(Red Velvet)|아이린]]을 비롯한 모든 멤버들이 전부 대체로 예쁜 외모들로 평가받는다. == 평가 및 인기 == || {{{#!wiki style="margin:-5px -10px; padding: 7px 10px; color: #FEA38B" [[파일:Red Velvet 로고.svg|width=65]][br]'''주요 기록 및 수상 '''}}}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 {{{#!wiki style="margin:-5px -10px; padding: 7px 10px; color: #FEA38B" [[파일:Red Velvet 로고.svg|width=65]][br]'''레드벨벳의 주요 평론 기록'''}}}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2> {{{#fff,#000 '''{{{+1 주요 앨범 및 곡 평론}}}'''}}} || ||<-2> '''{{{#fff,#000 빨간 맛(2017)}}}''' || ||<-2> [include(틀:빌보드 선정, 선정=2010년대 최고의 K-Pop 100곡, 순위=2)] || ||<-2> '''{{{#fff,#000 Perfect Velvet(2017)}}}''' || ||<-2> [include(틀:빌보드 선정, 선정=2010년대 최고의 K-Pop 앨범 25선, 순위=5)] || || '''Perfect Velvet(2017)''' || '''The Perfect Red Velvet(2018)''' || || '''[[weiv]]&[[아이돌로지]]''' || '''[[weiv]]''' || || '''2017 올해의 앨범 1위''' || '''올해의 노래''' || ||<-2> '''{{{#fff,#000 Bad Boy(2018)}}}''' || ||<-2> '''빌보드 K-pop 평론 1위(비평가 평론)''' || ||<-2> '''{{{#fff,#000 The ReVe Festival : Feel My Rhythm(2022)}}}''' || ||<-2> '''피치포크 7.4점 3세대아이돌 중 가장 높은 점수 [[https://pitchfork.com/reviews/albums/red-velvet-feel-my-rhythm/| 링크]]''' || ---- [include(틀:멜론 선정 K-POP 명곡100)] ---- [include(틀:유튜브 뮤직 선정 역대 국내 댄스 베스트)] ---- }}} || ---- || {{{#!wiki style="margin:-5px -10px; padding: 7px 10px; color: #FEA38B" [[파일:Red Velvet 로고.svg|width=65]][br]'''레드벨벳의 주요 수상 기록'''}}}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7> {{{#fff,#000 '''{{{+1 대상}}}'''}}} || ||<-5> [[아시아 아티스트 어워즈|[[파일:AAA 200 200.png|width=10%]]]][br]'''{{{#ff0000 아시아 아티스트 어워즈 AAA 대상 - 올해의 노래상}}}''' || || {{{#000,#fff -}}} || {{{+1 →}}} || '''{{{#ff0000 '''{{{#!html Red Velvet}}}'''}}}[br]<[[음파음파]]>[br]{{{#000,#fff (2019년)}}}'''[* 최초 시상이다.] || {{{+1 →}}} || [[방탄소년단]][br]<[[Dynamite]]>[br]{{{#000,#fff (2020년)}}} || ---- ||<-7> {{{#fff,#000 '''{{{+1 대상}}}'''}}} || ||<-5> [[소리바다 베스트 케이뮤직 어워드|[[파일:SOBA 200200.png|width=10%]]]] || ||<-5> '''{{{#fff 소리바다 베스트 케이뮤직 어워드 올해의 스테이지상}}}''' || || {{{#000,#fff -}}} || {{{+1 →}}} || '''{{{#fff '''{{{#!html Red Velvet}}}'''}}}[br]{{{#000,#fff (2019년)}}}''' [* 최초 시상이다. 2019년도에 대상부문 4개중 1다. 심사 기준을 기준으로 수상 작품은 미니 5집 'RBB' 과 "'The ReVe Festival' Day 1"이다.] || {{{+1 →}}} || [[강다니엘]][br]{{{#000,#fff (2020년)}}}[* 2020년도에 대상 아님 대상 최종후보 위안상이다. 심사 기준을 기준으로 수상 작품은 미니 1집 'Cyan' 입니다.] || ---- ||<-2> {{{#fff,#000 '''{{{+1 주요 유일 수상}}}'''}}} || || '''[[한국대중음악상|{{{#fff,#000 한국대중음악상}}}]]''' || '''{{{#fff,#000 2018 대한민국 대중문화예술상}}}''' || || '''3세대 걸그룹 유일[br]2018 최우수 팝 노래상<[[빨간 맛]]>''' || '''3세대 걸그룹 유일[br]문체부장관표창''' || ||<-2> {{{#fff,#000 '''{{{+1 그 외 주요 수상}}}'''}}} || || '''제25회 대한민국 연예예술상 시상식''' || '''2020 브랜드 고객충성도 대상''' || || '''걸그룹 부문 대상''' || '''여자아이돌 부분 1위''' || ---- ||<-3> {{{#fff,#000 '''{{{+1 역대 가수 7위}}}'''}}}[* 역대 그룹 6위, 역대 여성 가수 4위, 역대 여성 그룹 3위] || ||<-3> '''{{{#fff,#000 음악방송 1위}}}''' || || '''합계''' || '''84회''' || '''트리풀 크라운 4회''' || '''통산 5번째로 지상파 3사의 음악방송에서 모두 트리플크라운을 달성'''했다. 참고로 이전까지 이 기록을 달성한 아티스트는 [[Apink]], [[EXO]], [[방탄소년단]].}}} || ---- }}} || || {{{#!wiki style="margin:-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fff [[파일:KMAlogoblack1.jpg|width=30]] {{{#fdb69f 한국대중음악상이 최우수 팝 노래에 빨간 맛을 선정하며 내린 평가中}}}}}} || || ''{{{#FEA38B 그룹의 이름이 내건 양면적 정체성을 차근차근 실험하며 성장해온 레드벨벳은 이 곡을 통해 그 개성을 적절히 유지하면서도 그간의 히트곡에서 보인 선율과 훅의 활용 전략을 더욱 치밀하게 업그레이드했다.}}}'' || 레드벨벳은 같은 해 데뷔한 마마무 등과 함께 '''걸그룹 3세대의 시발점'''[* Ice Cream Cake(2015년 3월)으로 음악방송 1위, 걸그룹 3세대 중 제일 먼저 연간차트에 이름을 올렸고 3세대 첫 멜론 실시간차트 1위곡도 Dumb Dumb이다] 이 된 그룹이다. 데뷔 후부터 다양한 컨셉[* 그룹 컨셉이 레드/벨벳/둘을 합한 레드벨벳으로 나누어져 있으며 세부 컨셉도 곡마다 바뀐다. 큰 갈래의 기본 컨셉을 제외하고는 아예 겹치는 컨셉이 없다고 봐도 된다.]과 뛰어난 실력을 바탕으로 활발하게 활동하고 있는 가운데 2017년 한국대중음악상 최우수 팝에 대중적으로도 히트한 '빨간 맛'이 선정됐고, [[Perfect Velvet]]으로 [[weiv]] 및 아이돌로지 '올해의 앨범'에 등극한 뒤 2018년 엔 Bad Boy, Power Up, 2019년 말엔 Psycho가 큰 대박을 치게 됨으로 특출난 음악성과 상당히 높은 대중적 인지도를 모두 잡아 국내는 물론 해외 여러나라 에서도 아주 큰 인기를 끌고 있는 걸그룹이 되었다. 원래부터 SM이 제시하는 아이돌 성공모델의 형태는 미래 아이돌의 프로토타입으로서 줄곧 작용해왔던 경향이 있다. 레드벨벳도 그중 하나가 되었는데, 2024년 이후 데뷔 10주년으로 접어든 레드벨벳은 현역으로 활동하는 여성 아이돌 그룹들 가운데 최고참 걸그룹 중 한팀으로 자리잡게 되었다. 또한 2018년에 낸 [[Bad Boy]]는 오늘날 케이팝그룹 해외성적의 근거로 작용되는 글로벌 스포티파이 183위 / 미국 스포티파이 167위로 '''처음으로 미국 스포티파이 순위권에 오른 케이팝걸그룹 노래'''로 레드벨벳이 해외시장에 큰 영향을 준 그룹이라고 볼 수 있다. 데뷔 9년차인 2022년에는 곡 [[Feel My Rhythm]]으로 당해 SM엔터테인먼트 소속 가수 중 가장 좋은 음원 성적을 기록했으며, 레드벨벳 내에서는 [[Psycho]](2019) 아래로 두 번째로 높은 음원 연간차트 순위를 보였다.[* 써클차트 기준으로 Psycho-연간 9위, Feel My Rhythm-연간 11위] 또한 음반 성적에서도 앨범 [[Birthday]]로 자체 커리어하이를 달성했을뿐만 아니라, 발매 다음 달인 12월달 기준으로 100만장 이상을 판 '''밀리언셀러'''가 되었다. 또한 코로나이후 4년만의 대학 축제로 [[고려대학교]]에 초청되었는데, 대학 축제에서 빼놓고 볼 수 없는 [[싸이]]를 제치고 축제의 하이라이트인 맨 마지막 순서를 배정받아 여전한 인기를 자랑했다. 레드벨벳은 2010년대 초반까지의 대중가요 시장의 흐름, 엄밀히 말해 별다른 변화없이 유지되던 걸그룹 생태계에서의 막바지 시점에 등장했다. 변별력이 없고 과열된 시장의 경쟁속에서 갈수록 섹시, 노출만 격화되고, 때마침 겹치는 서바이벌 오디션의 쇠퇴기, 강남스타일의 메가히트에 의한 KPOP에 대한 관심 급증과 블루오션이던 서구권 해외 시장의 개척, 때마침 고도화되어가는 아이돌 트레이닝과 멀티미디어 기술의 흐름에 의해 재래적인 방식이던 2세대 아이돌로부터의 유의미한 분화가 일어나기 직전이던 시점이었다.[* 직속선배인 F(x)의 경우 데뷔 시기에 비해 너무나 급진적인 프로듀싱의 진화를 시대가 쫓아가지 못하였기도 하고 F(x)와 SM도 2009년에 데뷔한 이후 구세대와 분절된 변화의 효과를 설득력있게 제시할수 있을만큼의 완성도를 갖추는게 2013년 PINK TAPE 이후에 이르러서야 가능했지만 레드벨벳의 경우 선배들의 도전으로 인해 대중들의 인식이 조금씩 변하는 상황속에서 SM의 거듭된 시행착오속의 배움으로 엄선된 재능과 오랜 연습생 기간으로 준비를 마치고 2014년 8월 데뷔하게 되었다. 무려 5년만의 SM 걸그룹의 데뷔였는데 그들 이후로는 또 6년이 넘는 긴 시간동안 신인 걸그룹이 나오지 않다가 2020년 11월 드디어 레드벨벳의 후배 걸그룹인 에스파가 데뷔하였다.] 같은 회사 소속 그룹인 [[엑소]]가 으르렁, 중독과 같은 히트곡으로 음악과 안무 프로듀싱의 질적 향상, 카메라연출, 아트워크 및 세계관과 같은 3세대 아이돌의 개념을 제시한것에 이어 레드벨벳은 초기 투트랙 노선을 포함해 다양한 파격을 통한 넓은 스펙트럼 확보를 통해 현역 걸그룹도 대중성을 잃지 않으면서도 음악적인 호평을 받을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레드벨벳이 한국의 아이돌 시장에 불러온 변화는 다음과 같다. * '''첫째, 좋은 음악이 [[K-POP]] 인기의 근원이라는 것을 다시 확인해주었다.''' 평단의 호평과 대중성을 두루 갖춘 대표적인 아이돌 그룹 중 하나로, SM 소속 [[소녀시대]]의 대중성과 [[f(x)]]의 예술성을 매우 성공적으로 혼합한 결과물로 평가받는다. 레드벨벳의 인기에는 다른 다양한 요인의 영향도 무시할수 없지만, 레드벨벳이 그간 선보인 컨텐츠적인 다양성은 거의 전적으로 음악적인 자신감과 도전에 기반하고 있으며 음악을 아이돌 활동의 수단만이 아닌 궁극적인 목적으로서 대한다. [[한국 아이돌/비판 및 문제점#s-4.3|'아이돌이 진정한 의미의 가수인가?'에 의문을 가지는 이들에게]] 레드벨벳은 아이돌도 대중성을 유지하면서도 그저 광대가 아닌 진지한 아티스트가 될수 있음을 보여준다.[* 다른 아티스트에게도 [[https://youtu.be/ZcK0xBEz0d8}|가치를 인정]]받고 있으며 대체로 [[https://www.fmkorea.com/best/1418558191|음악성이 매우 뛰어난 그룹]]으로 손꼽히고 있다.] 3세대 아이돌중 가장 먼저 데뷔하여 정상의 시간에 가장 오래 머무르고 있다. * '''둘째, 걸그룹 자체가 그룹의 음악의 중심이 되고, 걸그룹이기에 가능한 음악이 무엇인지를 보여주었다.''' [[한국 아이돌/비판 및 문제점|한국 아이돌의 문제점]] 문서에도 나와있지만, 2세대 아이돌까지의 성공모델 내에서 기존의 댄스음악의 틀을 벗어나 차별된 음악성을 아이돌으로부터 기대하는것은 불가능에 가까웠다. 기존의 kpop 시스템에서 한 음악을 위해 여럿이 모인 아이돌 그룹이 필요한 이유는 역할분담을 통해 주어진 시간 안에 완성도를 올리기 위함이었고[* 음악이 산업이 되어버린 현실속에서 각 멤버가 자신에게 주어진 한 파트를 갈고 닦아 빠른 활동주기 속에서도 많은 인원의 분업을 통해 퀄리티를 유지하는것이 중요했고, 트렌드를 쫓아가는 능력은 언제나 강조되는 반면 많은 변화는 주기대비 퀄리티에 최적화된 활동을 계획하는데에 걸림돌이기에 겉치장만 그럴싸하게 바꿀뿐 아이돌 음악은 장르적으로도 다양할수가 없었다.], 각자의 재능이 모여서 시너지를 낸다는것도 결국 완성되지 않은 각각의 능력을 모아 전방위적인 예술활동을 하는 기성가수들의 높은 음악적 능력을 따라가기 위함이었다.[* 다소 아이돌 음악을 비하하는것으로 들릴수도 있겠으나 '어떤것이 좋은 음악인가?'에 대한 관념이 느슨해진 최근까지도 철저히 소속사의 계획에 의해 만들어지는 아이돌 음악이 기성 가수의 예술성과 비교될만큼의 완성도를 가진다고 평가받는 경우는 매우 드물다. 고등학교를 갓 졸업하거나 심지어 중학교 졸업후 갓 데뷔한 어린 신인이 음악사적으로 의미있고 예술성높은 작품을 남기는것은 거의 기적에 가까울만큼 불가능하고 마이클 잭슨같은 세기의 천재조차도 학대에 가까운 연습이 뒤따라야 가능했던 일이다. 그런데 심지어 천재적인 음악적 능력이 있어도 이렇게 어려운 판에 아이돌로서의 성공은 춤실력, 예쁘고 잘생긴 얼굴과 몸매는 기본이고 요즘은 사교성과 예능감, 정신건강, 바른 인성과 깨끗한 과거, 튼튼한 체력, 외국어능력까지 전방위적으로 너무나 많은것을 요구하고 있기 때문에 그중 음악적 능력 하나만 빠지는게 아무리 프로듀싱 관점에서 아쉬워도 사업적으로는 이런 인적자원을 쉽게 포기하기 힘든게 현실이다.][* 특히 나이와 외모가 중요시되는 여자 아이돌 그룹은 그런 완성도를 올리는 작업이 힘들었기에 녹음에 더욱 많은 시간을 할애하고 프로듀서가 정한 규격에 맞게 곡을 소화하는데에 만족해야만 했다. 이를 경멸적으로 보는 이들, 특히 해외에서 kpop을 안좋게 보는 외국인들은 이런 활동이 행복추구권에 제한을 두면서까지 압박이 심한 연습환경과 더불어 음악적인 가치보다 당장 인기몰이를 통한 돈벌이나 하는 버블껌팝(Bubble Gum Pop)이라고 놀리며 kpop을 평가절하하는 경향이 있었다.] 레드벨벳도 초기에는 역할이 분절되어 있었으나 개개인의 역량이 높은 덕분에 메인보컬의 단독적인 음악적 역량에 이끌려가던 그룹은 아니었고, SM의 매스 프로덕션과 시너지를 내어 기존의 걸그룹 음악의 틀에서 벗어난 음악을 많이 시도했다. 특히나 병풍취급하던 수록곡의 가치를 대폭 끌어올려 타이틀곡뿐만 아니라 아이돌 앨범 전체를 듣는것을 가치있게 만든것은 굉장한 성과다. 물론 어린 세대가 이해하기에는 깊고 어려운 벨벳컨셉의 음악이 초창기 인기몰이에 별 도움이 되지 않은것은 사실이나 이러한 곡들이 밑거름이 되어 레드벨벳의 음악적 다양성과 파격적인 도전을 이어지게 만들었다. 시간이 흘러 경력이 쌓이면서 레드벨벳의 파트분배는 주 포지션이 아닌 멤버의 음악적 능력을 상황에 따라 선택해가며 활용할수 있을정도의 상황이 되었는데 이에 따라 레드벨벳은 시도할수 있는 조합의 가짓수가 늘어남에 따라 기성가수들과 단순히 비교할수 없는 '보컬 그룹'으로서의 음악적 가치가 증명되었다.[* 자이언티의 '멋지게 인사하는 법'[[https://youtu.be/nqMYG2Riq54|#]], 크러쉬의 '자나깨나'[[https://youtu.be/29ycT6fA-Rs|#]]와 같은 외부 콜라보, 동료 음악가들의 팬심 고백과 콜라보 희망, [[레드벨벳-아이린&슬기|아이린-슬기]] 유닛과 조이와 웬디의 단독앨범, 그리고 자체 앨범에서의 파트 스위칭등이 이를 뒷받침한다.] 따라서 음악 외의 많은 재능을 요구받는 현역 걸그룹도 회사의 매니지먼트 능력에 따라 음악적으로 충분히 유의미한 결과물을 낼수 있음을 직접 보여준 사례가 되었다. * '''셋째, 차세대 아이돌의 미래를 제시하는 파격적인 행보를 항상 보여주었다.''' 레드벨벳의 뛰어난 외모, 적절한 예능감과 높은 무대 능력덕에 기존의 아이돌 성공 문법만 따라간다면 그다지 어렵지 않게 그들이 많은 인기를 얻을 수 있을것이라 모두가 예상했지만 레드벨벳과 SM이 택한 길은 역시나 평범하지 않았다. 하지만 역설적이게도 레드벨벳이 대중들을 만족시키기 위해 안전한 선택만 했다면 단순히 좋은 걸그룹을 넘어 최고중 하나로 평가 받을 수는 없었을것이다. 데뷔곡인 행복조차도 당시의 사운드 디자인이나 프로듀싱 스타일과는 궤를 달리했고 이어진 레드 컨셉과 벨벳 컨셉의 분리도 평범한 음악을 한다는 인식을 깨버리기에 충분했다. 뒤이어 [[Russian Roulette#s-2.1.1|사랑을 차지하기 위해 기상천외한 방식으로 서로를 죽이거나]] [[Perfect Velvet#s-2.1.1|피자배달부를 납치하는 뮤직비디오]]같은것은 예사고 [['The ReVe Festival' Day 1#s-2.1|팬이고 나발이고 전부 멘탈을 터트리는 이상한 노래를]] [[RBB|가장 최고의 영광을 누릴때에 낸다던지]], [[Monster(레드벨벳-아이린&슬기)#s-6.1|엄청난 난이도의 댄스를 5개월간 준비해서 라이브로 보여주는등]], 까딱 잘못하면 잃을게 너무 많은 그룹이 시도한적도 없고 해서도 안될 리스크를 수도 없이 받아들였다. 그 결과 SM의 대표 걸그룹으로서 모두가 좋은 흥행성적을 낼거라는 예상을 박살낼만큼 큰 호불호를 컴백때마다 돌파하는 모험을 하게 되었다. [* 이것은 앞서 같은 회사의 선배들이 마찬가지로 겪은바 있기에 SM의 고집에 의한 선택일 가능성이 높고 NCT와 에스파에도 이것이 이어지고 있으나 그 충격의 크기는 단언컨대 레드벨벳을 따라올수 없다.] 뛰어난 실력과 인기를 가진 레드벨벳이 그런 가시밭길 노선을 연이어 택함으로서 평단에서는 호평을 받았지만 보장된 흥행공식을 따라간 경쟁자들에 비해 대중들의 평가는 박했다.[* 더군다나 레드벨벳이 최고의 영광을 누리던 시기는 날이 갈수록 심해지는 경쟁속 음원차트의 영향력이 절정을 맞이해 소수 아이돌의 대형 팬덤의 집중현상 및 팬덤의 음원 [[총공]]으로 대표되는 팬덤간의 기록경쟁이 가장 심각했던 때였다. 이는 [[음원 사재기]]의혹과 [[2018-2019년 연쇄 음원 사재기 파동]]으로 대표된다.][* 2020년 이후로는 실시간 음원 차트의 폐지, 코로나19의 영향으로 물리적인 접근이 제한되면서도 kpop이 해외에 더욱 보급되어서 이전보다는 상황이 많이 나아졌다. 당시 끊임없는 인기비교와 성적의 압박이 있는 상황에서 'SM이 감을 잃었다'와 같은 혹평을 들으며 경쟁자들과 비교당하고 있으니 레드벨벳의 팬덤으로서는 이런 회사의 결정들에 복장이 터질수밖에 없었다.] 하지만 역설적으로 그런 레드벨벳의 도전은 최고의 자리에서도 같은것을 반복하지 않는다는 일관성을 바탕으로 '레드벨벳다움'을 정립하여 평론과 동료 음악가들의 찬사를 받고 그룹이 가진 레퍼토리의 장르적 다양성과 적응력을 기반으로 더 많은 작업 기회를 얻으며 괴짜 이미지를 아이덴티티 삼아 독자적인 영역을 구축하는데 성공했다. 그 결과 업계 동료 걸그룹과 기획사들도 진취적인 음악적 변화의 필요성을 깨달았고 케이팝 이 다음 세대로 넘어간 2022년 이후에도 롤모델로 레드벨벳을 꼽는 후배들이 많아졌다. 2017년에 한국갤럽조사연구소 2017년 아이돌 선호도 걸그룹 1위[* 전체 4위]를 달성한데 이어, 2018년 [[https://www.chosun.com/site/data/html_dir/2018/10/24/2018102402697.html|문체부장관상]]을 수상 하였고, 지상파 3사 트리플크라운을 달성했으며 [['The ReVe Festival' Finale#s-2.1|Psycho]] 활동 당시에는 음방 출연 없이 9관왕과 지상파 트리플 크라운을 받았다. 총 음악방송 1위 횟수는 84회로, 이는 역대 걸그룹 5위에 해당하는 수치이다. 또한 2019년에도 한국갤럽 선정 [[https://www.gallup.co.kr/gallupdb/reportContent.asp?seqNo=1072|올해를 빛낸 가수 8위]]에 올라서며 투표 성과 역시 꾸준히 준수한 성적을 보여주었다. 또한 [[빨간맛]]은 한국갤럽조사연구소 설문조사에 따라 올해의노래 17년 전체5위, 18년 10대 3위, 19년 10대 5위로 랭크돼 무려 3년 연속 올해의노래로 언급된 메가히트곡이다. 미국을 제외한 빌보드 마이너 차트인 [[https://www.chosun.com/site/data/html_dir/2017/11/30/2017113001236.html|빌보드 월드 앨범 차트 1위]]를 한적이 있으며, 2018년 2월 [[https://home.kocca.kr/mportal/bbs/view/B0000204/1930934.do;KCSESSIONID=Dd2Dd62Nz0dG6h2QDppSN40RGX1N6MgdHkfn9QLF1bl21nvx0dN6!54760298!-412201807?searchCnd=&searchWrd=&cateTp1=&cateTp2=&useAt=&menuNo=201364&categorys=4&subcate=64&cateCode=0&type=&instNo=0&questionTp=&uf_Setting=&recovery=&option1=&option2=&year=&categoryCOM062=&categoryCOM063=&categoryCOM208=&categoryInst=&morePage=&delCode=0&qtp=&searchGenre=&pageIndex=9|빌보드지]]에서 주목을 받은바 있었다. 음원 강자로서 역대 걸그룹 2위 기록에 해당하는 기록으로 멜론 20만 이상 하트 2곡을 보유중이다[* 1위 [[BLACKPINK]] 3곡] [[https://news.kbs.co.kr/news/view.do?ncd=3621688|남북 평화 협력 기원 공연에 참석]]하여 아이돌로서는 [[젝스키스|젝키]], [[핑클]], [[신화(아이돌)|신화]], [[베이비복스]]에 이어 5번째로 참가하였다. 2003년 이후 15년만에 아이돌공연으로 당시 레드벨벳을 모든 한국언론이 조명하고 북한에서 [[빨간맛]]무대를 하며 당시 대통령인 [[문재인]], [[김정은]]과 같이 사진을 찍는등 대한민국의 아주 큰 화제거리가 되었다. 또한 5명의 그룹 멤버들이 각자 다양한 영역에서도 크게 활약 중인데, 5명의 멤버중 웬디, 슬기, 조이, 아이린이 '''솔로데뷔'''를 해 각자 음반을 가지고 있으며 웬디[* 웬디의 영스트리트(SBS 파워FM)]와 슬기[* 슬기.zip(네이버 now)]가 ''라디오 DJ'', 조이와 예리, 아이린이 ''연기'', 웬디[* 뮤지컬 레베카 주연]가 ''뮤지컬 배우'', 조이[* 동물농장 외 다수]와 웬디[* SNL]가 ''예능''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약 중이다. 조이는 3세대 여자아이돌 중 처음으로 지상파 주연을 했다. 예리는 23년도에 청담국제고등학교라는 작품으로 연기 호평을 받았다. 2023년 엔 [[R to V]] 콘서트로 체조경기장 무대에 올랐다. [* 체조경기장에 입성한 3세대 걸그룹은 레드벨벳, 블랙핑크, 트와이스 뿐이다.] 2024년 데뷔 10주년을 맞이해 미니앨범 [[Cosmic]]을 발매하는 등 레전드걸그룹 반열에 오른다. == [[/음반|음반]]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Red Velvet/음반)] === 뮤직비디오 및 관련 영상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6> {{{#!wiki style="margin: 5px 0px 5px;" [[파일:Red Velvet 로고.svg|width=60]]}}}{{{#FEA38B '''뮤직비디오 YouTube 조회수'''}}}[br]{{{-3 {{{#aaaaaa 2024년 02월 02일 17시 31분 기준 (KST)}}}}}}[br] || ||<-6>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2 '''순위'''}}} || {{{-2 '''곡명'''}}} || {{{-2 '''조회수 / 게시일'''}}} || {{{-2 '''링크'''}}} || || {{{-2 '''1'''}}}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5px; border-radius: 3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f0000b; background: #f0000b; font-size: 0.865em; color: #181818; letter-spacing: -0.2px" '''Bad Boy'''}}} || '''4억 00,003,630회'''[br]{{{-2 2018. 01. 29.}}} || [[https://youtu.be/J_CFBjAyPWE |[[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 {{{-2 '''2'''}}}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5px; border-radius: 3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1d937d; background: #1d937d; font-size: 0.865em; color: #fcaad0; letter-spacing: -0.2px" '''Psycho'''}}} || '''3억 85,144,006회'''[br]{{{-2 2019.12.23.}}} || [[https://youtu.be/uR8Mrt1IpXg|[[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 {{{-2 '''3'''}}}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5px; border-radius: 3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ddf0ff; background: #ddf0ff; font-size: 0.865em; color: #fda9c1; letter-spacing: -0.2px" '''Russian Roulette'''}}} || '''2억 58,775,703회'''[br]{{{-2 2016.09.07.}}} || [[https://youtu.be/QslJYDX3o8s|[[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 {{{-2 '''4'''}}}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5px; border-radius: 3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b4b4b4; background: #b4b4b4; font-size: 0.865em; color: #a41a12; letter-spacing: -0.2px" '''Peek-A-Boo'''}}} || '''2억 42,876,580회'''[br]{{{-2 2017.11.17.}}} || [[https://youtu.be/6uJf2IT2Zh8 |[[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 {{{-2 '''5'''}}}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5px; border-radius: 3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f0000b; background: #f0000b; font-size: 0.865em; color: #71b6df; letter-spacing: -0.2px" '''빨간 맛 (Red Flavor)'''}}} || '''2억 03,398,832회'''[br]{{{-2 2017.07.09.}}} || [[https://youtu.be/WyiIGEHQP8o|[[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 {{{-2 '''6'''}}}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5px; border-radius: 3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eb1936; background: #eb1936; font-size: 0.865em; color: #fff; letter-spacing: -0.2px" '''Dumb Dumb'''}}} || '''1억 52,269,895회'''[br]{{{-2 2015.09.08.}}} || [[https://youtu.be/XGdbaEDVWp0|[[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 {{{-2 '''7'''}}}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5px; border-radius: 3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faf4e3; background: #faf4e3; font-size: 0.865em; color: #655646; letter-spacing: -0.2px" '''Ice Cream Cake'''}}} || '''1억 36,452,394회'''[br]{{{-2 2015.03.16.}}} || [[https://youtu.be/glXgSSOKlls |[[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 {{{-2 '''8'''}}}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5px; border-radius: 3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80a0b5; background: #80a0b5; font-size: 0.865em; color: #fff; letter-spacing: -0.2px" '''Queendom'''}}} || '''1억 24,401,829회'''[br]{{{-2 2021.08.16.}}} || [[https://youtu.be/c9RzZpV460k |[[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 {{{-2 '''9'''}}}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5px; border-radius: 3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a1d9f9; background: #a1d9f9; font-size: 0.865em; color: #fce86e; letter-spacing: -0.2px" '''Power Up'''}}} || '''1억 24,247,712회'''[br]{{{-2 2018.08.06.}}} || [[https://youtu.be/aiHSVQy9xN8 |[[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 {{{-2 '''10'''}}}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5px; border-radius: 3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a91923; background: #a91923; font-size: 0.865em; color: #fff; letter-spacing: -0.2px" '''행복 (Happiness)'''}}} || '''1억 13,335,071회'''[br]{{{-2 2014.08.03.}}} || [[https://youtu.be/JFgv8bKfxEs |[[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 {{{-2 '''11'''}}}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5px; border-radius: 3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fad201; background: #fad201; font-size: 0.865em; color: #fe0000; letter-spacing: -0.2px" '''짐살라빔 (Zimzalabim)'''}}} || '''1억 04,440,225회'''[br]{{{-2 2019.06.19.}}} || [[https://youtu.be/YBnGBb1wg98 |[[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 {{{-2 '''12'''}}}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5px; border-radius: 3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ebc438; background: #ebc438; font-size: 0.865em; color: #c12624; letter-spacing: -0.2px" '''RBB (Really Bad Boy)'''}}} || '''77,054,597회'''[br]{{{-2 2018.11.30.}}} || [[https://youtu.be/IWJUPY-2EIM|[[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 {{{-2 '''13'''}}}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5px; border-radius: 3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78c9dc; background: #78c9dc; font-size: 0.865em; color: #324ec4; letter-spacing: -0.2px" '''Rookie'''}}} || '''75,023,029회'''[br]{{{-2 2017.02.01.}}} || [[https://youtu.be/J0h8-OTC38I|[[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 {{{-2 '''14'''}}}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5px; border-radius: 3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69bbe1; background: #69bbe1; font-size: 0.865em; color: #FFFFFF; letter-spacing: -0.2px" '''Feel My Rhythm'''}}} || '''74,752,729회'''[br]{{{-2 2022.03.21.}}} || [[https://youtu.be/R9At2ICm4LQ|[[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 {{{-2 '''15'''}}}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5px; border-radius: 3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c7a0f0; background: #c7a0f0; font-size: 0.865em; color: #ffb7c5; letter-spacing: -0.2px" '''음파음파 (Umpah Umpah)'''}}} || '''50,487,750회'''[br]{{{-2 2019.08.20.}}} || [[https://youtu.be/vHS9E6JFja8|[[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 {{{-2 '''16'''}}}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5px; border-radius: 3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afd4e6; background: #afd4e6; font-size: 0.865em; color: #f086a2; letter-spacing: -0.2px" '''#Cookie Jar'''}}} || '''40,453,711회'''[br]{{{-2 2018.06.21.}}} || [[https://youtu.be/rRgTMs_bGuI|[[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 {{{-2 '''17'''}}}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5px; border-radius: 3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fd41b2; background: #fd41b2; font-size: 0.865em; color: #000000; letter-spacing: -0.2px" '''Birthday'''}}} || '''34,875,449회'''[br]{{{-2 2022.11.28.}}} || [[https://youtu.be/Ut1OzEVUiM4|[[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 {{{-2 '''18'''}}}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5px; border-radius: 3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000000; background: #000000; font-size: 0.865em; color: #fff; letter-spacing: -0.2px" '''Be Natural'''}}} || '''32,685,301회'''[br]{{{-2 2014.10.09.}}} || [[https://youtu.be/QpAn9ryoB4Y |[[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 {{{-2 '''19'''}}}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5px; border-radius: 3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fad2c3; background: #fad2c3; font-size: 0.865em; color: #b48d58; letter-spacing: -0.2px" '''7월 7일 (One of These Nights)'''}}} || '''29,403,112회'''[br]{{{-2 2016.03.17.}}} || [[https://youtu.be/9xWiro_tS1k|[[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 {{{-2 '''20'''}}}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5px; border-radius: 3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faf4e3; background: #faf4e3; font-size: 0.865em; color: #655646; letter-spacing: -0.2px" '''Automatic'''}}} || '''27,828,909회'''[br]{{{-2 2015.03.14.}}} || [[https://youtu.be/px2Q47O0_eE|[[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 {{{-2 '''21'''}}}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5px; border-radius: 3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a2cce2; background: #a2cce2; font-size: 0.865em; color: #ea463a; letter-spacing: -0.2px" '''SAPPY'''}}} || '''21,429,240회'''[br]{{{-2 2019.01.06.}}} || [[https://youtu.be/JUJ3Pq74H4c|[[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 {{{-2 '''22'''}}}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5px; border-radius: 3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f6e6d7; background: #f6e6d7; font-size: 0.865em; color: #ed7c80; letter-spacing: -0.2px" '''Chill Kill'''}}} || '''20,012,090회'''[br]{{{-2 2023.11.13.}}} || [[https://youtu.be/xlyrt5eAtKI|[[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 {{{-2 '''23'''}}}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5px; border-radius: 3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ea463a; background: #ea463a; font-size: 0.865em; color: #fff; letter-spacing: -0.2px" '''WILDSIDE'''}}} || '''17,203,628회'''[br]{{{-2 2022.03.28.}}} || [[https://youtu.be/xGr53sCo62c|[[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 {{{-2 '''24'''}}}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5px; border-radius: 3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faf4e3; background: #faf4e3; font-size: 0.865em; color: #655646; letter-spacing: -0.2px" '''Would U'''}}} || '''14,547,644회'''[br]{{{-2 2017.03.31.}}} || [[https://youtu.be/Nu7OmSqHVng|[[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 {{{-2 '''25'''}}}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5px; border-radius: 3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ffb5ba; background: #ffb5ba; font-size: 0.865em; color: #ac6abf; letter-spacing: -0.2px" '''환생 ((Rebirth)'''}}} || '''8,922,558회'''[br]{{{-2 2017.08.18.}}} || [[https://youtu.be/bLtRsfnTnlU|[[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 {{{-2 '''26'''}}}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5px; border-radius: 3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b4b4b4; background: #b4b4b4; font-size: 0.865em; color: #a41a12; letter-spacing: -0.2px" '''I Just'''}}} || '''7,210,195회'''[br]{{{-2 2018.02.28.}}} || [[https://youtu.be/oCvw4ot1-k8|[[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6>{{{#fff }}}{{{-3 ※정식 음반이 아닌 곡 및 기존 곡의 리믹스 뮤직비디오 조회수는 순위에 기재하지 않음.}}}|| }}}}}}}}}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6> {{{#!wiki style="margin: 5px 0px 5px;" [[파일:Red Velvet 로고.svg|width=60]]}}}{{{#FEA38B '''RED VELVET[br]UNIT·SOLO MUSIC VIDEO'''}}}[br]{{{-3 {{{#aaaaaa 2024년 01월 31일 21시 25분 기준 (KST)}}}}}}[br] || ||<-6>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2 '''순위'''}}} || {{{-2 '''곡명'''}}} || {{{-2 '''가수'''}}} || {{{-2 '''조회수 / 게시일'''}}} || {{{-2 '''링크'''}}} || || {{{-2 '''1'''}}}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5px; border-radius: 3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000000; background: #000000; font-size: 0.865em; color: #fff; letter-spacing: -0.2px" '''Monster'''}}} || '''아이린&슬기''' || '''1억 37,440,425회'''[br]{{{-2 2020.07.07. [* 6일 오후 6시에 공개된 앨범과 달리 뮤직비디오는 7일 정오에 공개되었다.]}}} || [[https://youtu.be/Ujb-gvqsoi0|[[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 {{{-2 '''2'''}}}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5px; border-radius: 3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56bc88; background: #56bc88; font-size: 0.865em; color: #fff; letter-spacing: -0.2px" '''안녕 (Hello)'''}}} || '''조이''' || '''31,513,548회'''[br]{{{-2 2021.05.31.}}} || [[https://youtu.be/lNvBbh5jDcA|[[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 {{{-2 '''3'''}}}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5px; border-radius: 3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fad201; background: #fad201; font-size: 0.865em; color: #fff; letter-spacing: -0.2px" '''28 Reasons'''}}} || '''슬기''' || '''27,252,760회'''[br]{{{-2 2022.10.04.}}} || [[https://youtu.be/G_BYjnopO6U|[[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 {{{-2 '''4'''}}}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5px; border-radius: 3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75a9e3; background: #75a9e3; font-size: 0.865em; color: #fff; letter-spacing: -0.2px" '''Like Water'''}}} || '''웬디''' || '''19,199,633회'''[br]{{{-2 2021.04.05.}}} || [[https://youtu.be/-Ih5UArd4zk|[[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 ||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6> {{{#!wiki style="margin: 5px 0px 5px;" [[파일:Red Velvet 로고.svg|width=60]]}}}{{{#FEA38B '''댄스 및 퍼포먼스 비디오'''}}}[br]{{{-3 {{{#aaaaaa 2024년 01월 31일 21시 25분 기준 (KST)}}}}}}[br] || ||<-6>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2 '''순위'''}}} || {{{-2 '''곡명'''}}} || {{{-2 '''가수'''}}} || {{{-2 '''조회수 / 게시일'''}}} || {{{-2 '''링크'''}}} || || {{{-2 '''1'''}}}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5px; border-radius: 3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1d937d; background: #1d937d; font-size: 0.865em; color: #fcaad0; letter-spacing: -0.2px" '''Psycho’ Performance Video'''}}} || [[파일:Red Velvet 로고.svg|width=30]] || '''1억 58,599,683회'''[br]{{{-2 2020.07.07.}}} || [[https://youtu.be/Ujb-gvqsoi0|[[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 {{{-2 '''2'''}}}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5px; border-radius: 3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69bbe1; background: #69bbe1; font-size: 0.865em; color: #FFFFFF; letter-spacing: -0.2px" '''Feel My Rhythm' Performance Video'''}}} || [[파일:Red Velvet 로고.svg|width=30]] || '''41,142,188회'''[br]{{{-2 2022. 03. 23.}}} || [[https://youtu.be/Bl0s-1c5L0M|[[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 {{{-2 '''3'''}}}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5px; border-radius: 3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78c9dc; background: #78c9dc; font-size: 0.865em; color: #324ec4; letter-spacing: -0.2px" '''Rookie’ Dance Practice'''}}} || [[파일:Red Velvet 로고.svg|width=30]] || '''20,513,119회'''[br]{{{-2 2017. 02. 10.}}} || [[https://youtu.be/o845InvtxKk|[[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 {{{-2 '''4'''}}}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5px; border-radius: 3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a1d9f9; background: #a1d9f9; font-size: 0.865em; color: #fce86e; letter-spacing: -0.2px" '''Power Up' Performance Ver.'''}}} || [[파일:Red Velvet 로고.svg|width=30]] || '''12,199,246회'''[br]{{{-2 2018. 08. 16.}}} || [[https://youtu.be/EyLf7XuwpFw |[[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 {{{-2 '''5'''}}}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5px; border-radius: 3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b4b4b4; background: #b4b4b4; font-size: 0.865em; color: #a41a12; letter-spacing: -0.2px" '''봐 (Look)' Dance Practice'''}}} || [[파일:Red Velvet 로고.svg|width=30]] || '''7,890,460회'''[br]{{{-2 2018. 02. 22.}}} || [[https://youtu.be/bqFjyo7I8fY|[[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 {{{-2 '''6'''}}}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5px; border-radius: 3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c7a0f0; background: #c7a0f0; font-size: 0.865em; color: #ffb7c5; letter-spacing: -0.2px" '''음파음파 (Umpah Umpah)'Dance Practice'''}}} || [[파일:Red Velvet 로고.svg|width=30]] || '''5,796,856회'''[br]{{{-2 2019. 08. 29. }}} || [[https://youtu.be/Z4BE86Z0kYE|[[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 {{{-2 '''7'''}}}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5px; border-radius: 3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69bbe1; background: #69bbe1; font-size: 0.865em; color: #FFFFFF; letter-spacing: -0.2px" '''Feel My Rhythm' Dance Practice'''}}} || [[파일:Red Velvet 로고.svg|width=30]] || '''5,421,329회'''[br]{{{-2 2022. 03. 31.}}} || [[https://youtu.be/pokccDdB3RE|[[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 {{{-2 '''8'''}}}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5px; border-radius: 3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fad201; background: #fad201; font-size: 0.865em; color: #fff; letter-spacing: -0.2px" '''28 Reasons' Performance Video'''}}} ||'''슬기'''|| '''3,836,776회'''[br]{{{-2 2022. 10. 10. }}} || [[https://youtu.be/pokccDdB3RE|[[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 {{{-2 '''9'''}}}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5px; border-radius: 3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fd41b2; background: #fd41b2; font-size: 0.865em; color: #000000; letter-spacing: -0.2px" '''Birthday' Performance Video'''}}} || [[파일:Red Velvet 로고.svg|width=30]] || '''2,127,242회'''[br]{{{-2 2022. 12. 06. }}} || [[https://youtu.be/b8n1VdA6iCY|[[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 {{{-2 '''10'''}}}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5px; border-radius: 3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fd41b2; background: #fd41b2; font-size: 0.865em; color: #000000; letter-spacing: -0.2px" '''Birthday' Dance Practice'''}}} || [[파일:Red Velvet 로고.svg|width=30]] || '''1,208,674회'''[br]{{{-2 2022. 12. 10. }}} || [[https://youtu.be/P2WVtvuyWlc|[[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 {{{-2 '''11'''}}}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5px; border-radius: 3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56bc88; background: #56bc88; font-size: 0.865em; color: #fff; letter-spacing: -0.2px" '''안녕 (Hello)' Dance Practice'''}}} || '''조이''' || '''1,061,409회'''[br]{{{-2 2021. 06. 15.}}} || [[https://youtu.be/aanAm3cuDac|[[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 || }}} == [[/활동|활동]]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Red Velvet/활동)] === [[/방송 목록|방송]]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Red Velvet/방송 목록)] === [[/공연 목록|공연 및 행사]] === [include(틀:Red Velvet/공연)]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Red Velvet/공연 목록)] === 광고[* 대중적으로 큰 명성을 얻은 동세대 걸그룹들과 비교했을때 단체로 찍은 CF 가 좀 적다고 할수 있다.] === || '''연도''' || '''브랜드명''' || '''멤버''' || '''비고''' || ||<|2> 2014년 || [[아이비클럽]] || [[아이린(Red Velvet)|아이린]] ||<|2> with [[EXO]] || || [[빼빼로]] ||<|3> [[아이린(Red Velvet)|아이린]], [[슬기(Red Velvet)|슬기]], [[웬디(Red Velvet)|웬디]], [[조이(Red Velvet)|조이]] || ||<|3> 2015년 ||<|2> [[배스킨라빈스]] || with [[류덕환]] || || with [[SHINee]], [[f(x)]], [[EXO]] || || 블랙마틴싯봉 ||<|3> [[아이린(Red Velvet)|아이린]], [[슬기(Red Velvet)|슬기]], [[웬디(Red Velvet)|웬디]], [[조이(Red Velvet)|조이]], [[예리]] || || ||<|3> 2016년 || [[또래오래]] || || || [[더샘]] || with [[SHINee]] || || [[맥스웰하우스]] 콜롬비아나 || [[아이린(Red Velvet)|아이린]] || with [[이현재(1988)|이현재]],[br]2017년 이후 단독 || ||<|6> 2017년 || [[스케쳐스]] 스윗트몬스터 || [[슬기(Red Velvet)|슬기]], [[웬디(Red Velvet)|웬디]], [[조이(Red Velvet)|조이]], [[예리]] || [[아이린(Red Velvet)|아이린]]은 누오보 모델이므로 제외 || || [[ABC마트]] 누오보 ||<|3> [[아이린(Red Velvet)|아이린]] || || || [[반지: 에이지 오브 링]] || || || [[현대자동차]] || with [[강기영]] || || [[프로야구 H2]] ||<|2> [[아이린(Red Velvet)|아이린]], [[슬기(Red Velvet)|슬기]], [[웬디(Red Velvet)|웬디]], [[조이(Red Velvet)|조이]], [[예리]] || || || [[신라면세점]] || || ||<|11> 2018년 || [[헤지스]] 액세서리 || [[아이린(Red Velvet)|아이린]] || || || [[에뛰드]] || [[아이린(Red Velvet)|아이린]], [[슬기(Red Velvet)|슬기]], [[웬디(Red Velvet)|웬디]], [[조이(Red Velvet)|조이]], [[예리]] || || || 쿠퍼비전 || [[아이린(Red Velvet)|아이린]] || || || [[이터널 라이트]] || [[아이린(Red Velvet)|아이린]], [[슬기(Red Velvet)|슬기]], [[웬디(Red Velvet)|웬디]], [[조이(Red Velvet)|조이]], [[예리]] || || || [[레모나]] || [[아이린(Red Velvet)|아이린]] || || || [[피츠 수퍼 클리어]] || [[조이(Red Velvet)|조이]] || with [[육성재]] || || [[아이더]] || [[아이린(Red Velvet)|아이린]] || with [[박보검]] || || [[컨버스]] || [[슬기(Red Velvet)|슬기]] || || || [[피구왕 통키/게임#s-2.8|피구왕 통키 : 불꽃슛의 전설]] || [[아이린(Red Velvet)|아이린]], [[슬기(Red Velvet)|슬기]], [[웬디(Red Velvet)|웬디]], [[조이(Red Velvet)|조이]], [[예리]] || || || [[동원F&B|동원]] [[양반죽]] || [[아이린(Red Velvet)|아이린]], [[웬디(Red Velvet)|웬디]] || || || [[하이트진로]] [[참이슬]] ||<|2> [[아이린(Red Velvet)|아이린]] || || ||<|5> 2019년 || [[다미아니]] (DAMIANI) || || || [[LG V50 ThinQ]] || [[아이린(Red Velvet)|아이린]], [[슬기(Red Velvet)|슬기]], [[웬디(Red Velvet)|웬디]], [[조이(Red Velvet)|조이]], [[예리]] || [* TV CF에는 [[슬기(Red Velvet)|슬기]]가 휴대전화 화면에서 [[Perfect Velvet#s-2.1|피카부]] 안무를 추는 모습이 잠깐 나오고, 유튜브에 올라온 활용법 영상 2개에는 모든 멤버가 나온다. 자세한 내용은 [[LG V50 ThinQ#s-7.1|해당 문서의 문단의 영상을 참조.]]] || || [[에스쁘아]] ||<|2> [[조이(Red Velvet)|조이]] || || || 어그 (UGG) || #UGGLIFE 캠페인,[br]with [[정혁(모델)|정혁]], [[김희정(1992)|김희정]] || || [[G마켓]] || [[아이린(Red Velvet)|아이린]], [[슬기(Red Velvet)|슬기]], [[웬디(Red Velvet)|웬디]], [[조이(Red Velvet)|조이]], [[예리]] || || ||<|6> 2020년 || [[코카콜라]] ||<|2> [[슬기(Red Velvet)|슬기]] || Little Big Moments 캠페인,[br]with [[박보검]] || || [[록시땅]] || with [[차인철]], 김세동 || || 아베다 || [[조이(Red Velvet)|조이]] || || || 콜레트 || [[예리]] || || || [[크리니크]] || [[아이린(Red Velvet)|아이린]] || || || 에이프릴스킨 || [[예리]] || || ||<|3> 2021년 || [[폭스바겐 티록]] || [[슬기(Red Velvet)|슬기]] || with [[비와이]] || || [[폰즈#s-1|폰즈]] || [[웬디(Red Velvet)|웬디]] || || || 어뮤즈 ||<|2> [[슬기(Red Velvet)|슬기]] || || ||<|4> 2022년 || 이스트쿤스트 || || || [[아라치 치킨]] ||<|5> [[조이(Red Velvet)|조이]] || || || [[종근당]] 락토핏 || || || 아떼 (비건 코스메틱) || || ||<|6> 2023년 || BARREL || || || Fresh || || || 그루브라임 || [[웬디(Red Velvet)|웬디]] || || || Azarine Cosmetic || [[아이린(Red Velvet)|아이린]], [[슬기(Red Velvet)|슬기]], [[웬디(Red Velvet)|웬디]], [[조이(Red Velvet)|조이]], [[예리]] || || || Adobe || [[슬기(Red Velvet)|슬기]] || || || 2aN || [[아이린(Red Velvet)|아이린]] || || || 2024년 || [[판도라(악세사리 브랜드)|판도라]] || [[아이린(Red Velvet)|아이린]], [[슬기(Red Velvet)|슬기]], [[웬디(Red Velvet)|웬디]], [[조이(Red Velvet)|조이]], [[예리]] || || === 화보 === || '''날짜''' || '''제목''' || '''출연''' || ||<-3> '''2014년''' || ||<|2> 2월 || THE CELEBRITY ||<|2> [[아이린(Red Velvet)|아이린]], [[슬기(Red Velvet)|슬기]] (sm루키즈) || || Oh Boy! || || 7월 || MAPS || [[아이린(Red Velvet)|아이린]], [[슬기(Red Velvet)|슬기]], [[웬디(Red Velvet)|웬디]] || || 9월 || THE CELEBRITY || [[아이린(Red Velvet)|아이린]], [[슬기(Red Velvet)|슬기]], [[웬디(Red Velvet)|웬디]], [[조이(Red Velvet)|조이]] || || 10월 || BAZAAR || [[아이린(Red Velvet)|아이린]], [[슬기(Red Velvet)|슬기]] || ||<|2> 12월 || THE CELEBRITY ||<|2> [[아이린(Red Velvet)|아이린]], [[슬기(Red Velvet)|슬기]], [[웬디(Red Velvet)|웬디]], [[조이(Red Velvet)|조이]] || || ize Vol.8 || ||<-3> '''2015년''' || ||<|5> 5월 || CeCi ||<|6> [[아이린(Red Velvet)|아이린]], [[슬기(Red Velvet)|슬기]], [[웬디(Red Velvet)|웬디]], [[조이(Red Velvet)|조이]], [[예리]] || || NYLON || || THE CELEBRITY || || BAZAAR || || K WAVE || ||<|2> 6월 || HIGH CUT Vol.150 || || HIGH CUT Vol.151 || [[아이린(Red Velvet)|아이린]], [[조이(Red Velvet)|조이]], [[예리]] || || 10월 || VOGUE ||<|3> [[아이린(Red Velvet)|아이린]], [[슬기(Red Velvet)|슬기]], [[웬디(Red Velvet)|웬디]], [[조이(Red Velvet)|조이]], [[예리]] || || 11월 || ELLE || || 12월 || NYLON || ||<-3> '''2016년''' || || 1월 || SURE || [[슬기(Red Velvet)|슬기]] || || 2월 || Ceci || [[아이린(Red Velvet)|아이린]] with 세훈 || ||<|4> 3월 || InStyle || [[아이린(Red Velvet)|아이린]], [[슬기(Red Velvet)|슬기]], [[웬디(Red Velvet)|웬디]], [[조이(Red Velvet)|조이]], [[예리]] || || THE CELEBRITY || [[아이린(Red Velvet)|아이린]], [[슬기(Red Velvet)|슬기]], [[예리]] || || Allure || [[슬기(Red Velvet)|슬기]] || || W ||<|2> [[아이린(Red Velvet)|아이린]], [[슬기(Red Velvet)|슬기]], [[웬디(Red Velvet)|웬디]], [[조이(Red Velvet)|조이]], [[예리]] || ||<|3> 4월 || Marie Claire || || GQ || [[아이린(Red Velvet)|아이린]] with 태민 || || HIGH CUT || [[아이린(Red Velvet)|아이린]], [[슬기(Red Velvet)|슬기]], [[웬디(Red Velvet)|웬디]], [[조이(Red Velvet)|조이]], [[예리]] || ||<|2> 5월 || CeCi || [[조이(Red Velvet)|조이]], [[예리]] || || 로피시엘 이탈리아 || [[아이린(Red Velvet)|아이린]], [[슬기(Red Velvet)|슬기]] || || 6월 || GQ || [[아이린(Red Velvet)|아이린]] || ||<|4> 10월 || THE CELEBRITY ||<|5> [[아이린(Red Velvet)|아이린]], [[슬기(Red Velvet)|슬기]], [[웬디(Red Velvet)|웬디]], [[조이(Red Velvet)|조이]], [[예리]] || || ELLE || || Oh Boy! || || The Star || ||<|2> 11월 || Ceci || || HIGH CUT Vol.184 || [[아이린(Red Velvet)|아이린]], [[조이(Red Velvet)|조이]] || || 12월 || VOGUE || [[슬기(Red Velvet)|슬기]], [[웬디(Red Velvet)|웬디]] || ||<-3> '''2017년''' || || 겨울호 || THE CELEBRITY || [[슬기(Red Velvet)|슬기]] || ||<|2> 2월 || Ceci || [[아이린(Red Velvet)|아이린]], [[조이(Red Velvet)|조이]] || || VOGUE || [[아이린(Red Velvet)|아이린]], [[슬기(Red Velvet)|슬기]], [[웬디(Red Velvet)|웬디]] || || 봄호 || THE CELEBRITY || [[아이린(Red Velvet)|아이린]], [[슬기(Red Velvet)|슬기]], [[웬디(Red Velvet)|웬디]], [[예리]] || || 5월 || Singles || [[슬기(Red Velvet)|슬기]] || || 6월 || HIGH CUT Vol.199 || [[아이린(Red Velvet)|아이린]], [[슬기(Red Velvet)|슬기]] || || 여름호 || THE CELEBRITY || [[슬기(Red Velvet)|슬기]], [[웬디(Red Velvet)|웬디]] || || 7월 || COSMOPOLITAN || [[슬기(Red Velvet)|슬기]] with 아드공 || || 가을호 || THE CELEBRITY || [[슬기(Red Velvet)|슬기]] with 루미 || ||<|2> 12월 || Singles || [[아이린(Red Velvet)|아이린]], [[슬기(Red Velvet)|슬기]], [[웬디(Red Velvet)|웬디]], [[조이(Red Velvet)|조이]], [[예리]] || || VOGUE || [[조이(Red Velvet)|조이]] || ||<-3> '''2018년''' || ||<|2> 2월 || HIGH CUT Vol.214 || [[아이린(Red Velvet)|아이린]], [[슬기(Red Velvet)|슬기]], [[웬디(Red Velvet)|웬디]], [[조이(Red Velvet)|조이]], [[예리]] || || Ceci || [[슬기(Red Velvet)|슬기]], [[웬디(Red Velvet)|웬디]], [[조이(Red Velvet)|조이]], [[예리]] || || 4월 || Ceci || [[예리]] || || 7월 || VOGUE GIRL JAPAN || [[아이린(Red Velvet)|아이린]], [[슬기(Red Velvet)|슬기]], [[웬디(Red Velvet)|웬디]], [[조이(Red Velvet)|조이]], [[예리]] || || 8월 || NYLON || [[조이(Red Velvet)|조이]] || ||<|2> 9월 || GRAZIA || [[아이린(Red Velvet)|아이린]] || || CHICTEEN Magazine || [[아이린(Red Velvet)|아이린]], [[슬기(Red Velvet)|슬기]], [[웬디(Red Velvet)|웬디]], [[조이(Red Velvet)|조이]], [[예리]] || || 10월 || GQ || [[슬기(Red Velvet)|슬기]] || || 12월 || VOGUE || [[슬기(Red Velvet)|슬기]], [[웬디(Red Velvet)|웬디]] || ||<-3> '''2019년''' || ||<|2> 4월 || VOGUE || [[아이린(Red Velvet)|아이린]] || || BEAUTY+ || [[슬기(Red Velvet)|슬기]] || ||<|3> 5월 || Ray(レイ) || [[아이린(Red Velvet)|아이린]], [[슬기(Red Velvet)|슬기]], [[웬디(Red Velvet)|웬디]], [[조이(Red Velvet)|조이]], [[예리]] || || GRAZIA || [[예리]] || || DAZED || [[조이(Red Velvet)|조이]] || ||<|2> 6월 || non-no(ノンノ) || [[아이린(Red Velvet)|아이린]], [[슬기(Red Velvet)|슬기]], [[웬디(Red Velvet)|웬디]], [[조이(Red Velvet)|조이]], [[예리]] || || NYLON || [[웬디(Red Velvet)|웬디]] || || 7월 || Allure || [[아이린(Red Velvet)|아이린]], [[슬기(Red Velvet)|슬기]], [[웬디(Red Velvet)|웬디]], [[조이(Red Velvet)|조이]], [[예리]] || || 8월 || Esquire || [[슬기(Red Velvet)|슬기]] || ||<|3> 9월 || Marie Claire || [[아이린(Red Velvet)|아이린]] || || COSMOPOLITAN || [[조이(Red Velvet)|조이]] || || BEAUTY+ || [[슬기(Red Velvet)|슬기]], [[예리]] || || 10월 || Marie Claire || [[슬기(Red Velvet)|슬기]], [[웬디(Red Velvet)|웬디]] || || 11월 || lonely planet KOREA || [[아이린(Red Velvet)|아이린]], [[슬기(Red Velvet)|슬기]], [[웬디(Red Velvet)|웬디]], [[조이(Red Velvet)|조이]], [[예리]] || || 12월 || HIGH CUT Vol.253 || [[예리]] || ||<-3> '''2020년''' || ||<|2> 3월 || Marie Claire || [[예리]] || || ELLE ||<|2> [[조이(Red Velvet)|조이]] || || 4월 || GQ || ||<|3> 5월 || NYLON || [[아이린(Red Velvet)|아이린]], [[슬기(Red Velvet)|슬기]] || || BEAUTY+ || [[조이(Red Velvet)|조이]] || || DAZED || [[예리]] || || 6월 || ELLE ||<|2> [[슬기(Red Velvet)|슬기]] || || 7월 || DAZED || || 8월 || Singles || [[조이(Red Velvet)|조이]] || ||<|2> 9월 || Allure || [[슬기(Red Velvet)|슬기]] || || COSMOPOLITAN ||<|3> [[조이(Red Velvet)|조이]] || ||<|5> 10월 || Arena Homme+ || || Marie Claire || || DAZED || [[예리]] || || BEAUTY+ || [[웬디(Red Velvet)|웬디]] || || ELLE ||<|2> [[슬기(Red Velvet)|슬기]] || ||<|5> 11월 || Esquire || || Arena Homme+ ||<|2> [[조이(Red Velvet)|조이]] || || FEMALE Singapore || || Allure ||<|2> [[예리]] || || Noblesse Men || ||<-3> '''2021년''' || ||<|2> 1월 || Harper's BAZAAR || [[웬디(Red Velvet)|웬디]] || || Allure ||<|2> [[조이(Red Velvet)|조이]] || ||<|4> 3월 || ELLE || || Harper's BAZAAR || [[슬기(Red Velvet)|슬기]] || || Marie Claire || [[웬디(Red Velvet)|웬디]] || || Arena Homme+ ||<|2> [[예리]] || ||<|2> 4월 || DAZED || || W || [[조이(Red Velvet)|조이]] || || 5월 || 앳스타일 || [[슬기(Red Velvet)|슬기]] with [[비와이]] || ||<|2> 6월 || W ||<|2> [[예리]] || || VOGUE || || 7월 || Singles || [[조이(Red Velvet)|조이]] || ||<|2> 9월 || ELLE || [[예리]] || || VOGUE || [[조이(Red Velvet)|조이]] || || 10월 || Marie Claire || [[슬기(Red Velvet)|슬기]] || || 12월 || BEAUTY+ || [[예리]] || ||<-3> '''2022년''' || || 1월 || Esquire || [[아이린(Red Velvet)|아이린]] || ||<|2> 2월 || Allure || [[웬디(Red Velvet)|웬디]] || || COSMOPOLITAN ||<|2> [[조이(Red Velvet)|조이]] || || 4월 || W || || 8월 || VOGUE ||<|2> [[슬기(Red Velvet)|슬기]] || ||<|2> 9월 || ELLE || || Allure || [[조이(Red Velvet)|조이]] with 추영우 || ||<|2> 11월 || DAZED || [[예리]] || || Marie Claire || [[조이(Red Velvet)|조이]] || ||<-3> '''2023년''' || || 1월 || Allure || [[예리]] || || 2월 || Singles || [[웬디(Red Velvet)|웬디]] || || 3월 || Marie Claire || [[조이(Red Velvet)|조이]], [[예리]] || || 3.5월 || DAZED ||<|2> [[웬디(Red Velvet)|웬디]] || || 5월 || BEAUTY+ || || 7월 || COSMOPOLITAN || [[예리]] || || 8월 || Theatre+ || [[웬디(Red Velvet)|웬디]] || ||<-3> '''2024년''' || || 1월 || WAVES || [[아이린(Red Velvet)|아이린]] || || 4월 || WWD || [[슬기(Red Velvet)|슬기]] || === 홍보대사 === || '''날짜''' || '''홍보대사명''' || '''참여''' || ||<-3> '''2016년''' || || 1월 || 대한적십자사 RCY 홍보대사 ||<|2> [[아이린(Red Velvet)|아이린]], [[슬기(Red Velvet)|슬기]], [[웬디(Red Velvet)|웬디]], [[조이(Red Velvet)|조이]], [[예리]] || || 4월 ||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코리아브랜드 & 한류상품박람회 (KBEE 2016) 홍보대사 || || 5월 || 한국공정무역단체협의회 2016 공정 무역 홍보대사 || [[웬디(Red Velvet)|웬디]] || || 9월 || 제18회 부천국제애니메이션페스티벌 홍보대사 || [[슬기(Red Velvet)|슬기]] || ||<-3> '''2017년''' || || 10월 || 세종학당 홍보대사 || [[아이린(Red Velvet)|아이린]], [[슬기(Red Velvet)|슬기]], [[웬디(Red Velvet)|웬디]], [[조이(Red Velvet)|조이]], [[예리]] || ||<-3> '''2018년''' || || 2월 || 경기도교육청 홍보대사 || [[아이린(Red Velvet)|아이린]], [[슬기(Red Velvet)|슬기]], [[웬디(Red Velvet)|웬디]], [[조이(Red Velvet)|조이]], [[예리]] || ||<-3> '''2019년''' || || 4월 || M클린 홍보대사 || [[슬기(Red Velvet)|슬기]], [[웬디(Red Velvet)|웬디]] || || 5월 || 스위스정부관광청 홍보대사 '스위스 프렌즈' || [[아이린(Red Velvet)|아이린]], [[슬기(Red Velvet)|슬기]], [[웬디(Red Velvet)|웬디]], [[조이(Red Velvet)|조이]], [[예리]] || ||<-3> '''2020년''' || || 8월 || 푸른 하늘을 위한 국제 맑은 공기의 날 홍보대사 ||<|2> [[아이린(Red Velvet)|아이린]], [[슬기(Red Velvet)|슬기]], [[웬디(Red Velvet)|웬디]], [[조이(Red Velvet)|조이]], [[예리]] || || 9월 || 2020 한국문화축제 글로벌 한류 홍보대사 || ||<-3> '''2023년''' || || 4월 || AZARINE brand ambassador || [[아이린(Red Velvet)|아이린]], [[슬기(Red Velvet)|슬기]], [[웬디(Red Velvet)|웬디]], [[조이(Red Velvet)|조이]], [[예리]] || === [[/V LIVE|V LIVE]]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Red Velvet/V LIVE)] == 유닛 == === [[레드벨벳-아이린&슬기]]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레드벨벳-아이린&슬기)] == [[/수상|수상]]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Red Velvet/수상)] == [[ReVeluv|팬덤]] == [include(틀:다른 뜻1, other1=팬덤, rd1=ReVeluv)] === [[/응원법|응원법]] === [include(틀:다른 뜻1, other1=응원법, rd1=Red Velvet/응원법)] === [[/음악 방송 직캠|음악 방송 직캠]]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Red Velvet/음악 방송 직캠)] == [[/논란 및 사건 사고#그룹|논란 및 사건 사고]]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Red Velvet/논란 및 사건 사고, 앵커=그룹)] == [[/노래방 수록 목록|노래방 수록 목록]]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Red Velvet/노래방 수록 목록)] == 여담 == * SM 걸그룹 중 [[천상지희 더 그레이스]], [[소녀시대]], [[f(x)]]나[* 현재는 f(x)의 멤버들이 SM을 모두 나가서 SM에 소속되어 있지 않다.] [[aespa]]와 달리[* [[천상지희 더 그레이스]]의 [[스테파니(가수)|스테파니]], [[소녀시대]]의 [[티파니 영|티파니]]와 [[제시카(가수)|제시카]](前 멤버)가 [[미국인]]이었고 [[써니(소녀시대)|써니]]는 [[한국]]/[[미국]] 복수국적, [[f(x)]]에서는 [[빅토리아 송|빅토리아]]가 [[중국인]], [[엠버 리우|엠버]]가 [[미국인]], [[정수정|크리스탈]]은 [[한국]]/[[미국]] 복수국적 소유자였다. 또한 [[aespa]]는 [[지젤(aespa)|지젤]]이 [[일본인]], [[닝닝]]이 [[중국인]]이다.], 2008년 데뷔한 [[SHINee]] 이후 6년만에 멤버 전원이 한국 국적을 가진 그룹이다.[* [[웬디(Red Velvet)|웬디]]가 학창 시절에 [[미국]]과 [[캐나다]]에서 유학 생활을 했으나, 가족 중 유일한 단독 대한민국 국적이다.][* 현재 활동중인 SM 소속 아이돌 중 한국인으로만 데뷔한 그룹은 동방신기, 샤이니, Red Velvet이 있다. 슈퍼주니어의 경우 한경이 중국인이었으나, 탈퇴 후 11인 체제에서는 멤버들은 전원 한국 국적이다. 과거 전원 한국인 멤버로 데뷔했으나 현재는 SM 소속이 아니거나 활동하지 않는 그룹으로는 [[S.E.S.]], [[신화(아이돌)|신화]] 정도.] * 멤버마다 각자의 이미지 컬러가 있다. 아이린은 {{{#fe3e5f,#c10022 분홍색}}}, 슬기는 {{{#ffba00 노란색}}}, 웬디는 {{{#0074cb,#34a7ff 파란색}}}, 조이는 {{{#00a250 초록색}}}, 예리는 {{{#9f00c5,#d93aff 보라색}}}.[* 선배 그룹인 [[H.O.T.]]도 멤버 별 이미지 컬러가 있다.] 예리 합류 전엔 크롬 로고[* 파란 웬디를 나머지 멤버들이 둘러싸고 있다는 드립이었다.]와 [[먼지떨이]][* 때문에 Red Velvet 응원봉을 먼지떨이로 하자는 드립도 있었다.], [[킬라킬]] 사천왕과 이미지 컬러가 같아 관련 드립이 있었다. * [[MBTI]]는 멤버 전원이 I(내향형)이다. 대부분의 그룹에 I(내향적)와 E(외향적) 성향이 섞여있지만 이 팀은 드물게 [[https://youtube.com/shorts/fIBDwVxC_Pc?feature=share|멤버 전원이 I성향]]이다.[* 아이린: ISFJ/ 슬기: ISFP/ 웬디: ISTP/ 조이: INFJ/ 예리: INTP.] 이 얘기가 멤버들 사이에서 화제가 되면 "우리 I들끼리 모여서 연예인은 어떻게 하고 있는 거야"라는 농담(?)이 나오기도 한다.[* [[레벨업 프로젝트#s-6|레벨업프로젝트5]] 2회에서 차로 이동 중 조이가 얘기를 꺼내자 슬기가 맞장구치는 장면이 나왔다. [[Red Velvet/방송 목록#9주년|데뷔 9주년 기념 방송]]에서도 MBTI [[밸런스 게임]] [[코너#s-1.1]]를 시작하려는데 조이가 별안간 웃기다면서 얘기했다. --항상 조이가 언급하네?--] * 외동, 남동생이 있는 멤버가 없다.[* 아이린: 여동생 1명/슬기: 오빠 1명/웬디: 언니 1명/조이: 여동생 2명/예리: 여동생 3명[br]즉, 슬기만 빼고 멤버 전원이 자매지간이다.] * 밤늦게 자기 전에 멤버들끼리 그간의 이야기를 서로 주고받으면서 수다를 떠는 "5분 토크"라는 것을 한다고 하는데, 정작 시작하면 5분이 아니라 몇 시간 동안 대화를 할때도 있다고 한다. 슬기 왈, 다음 날 지장이 없게 일주일에 1번만 한다고 한다. * [[혈액형]]이 [[A형]]과 [[O형]]밖에 없다.[* 아이린, 슬기, 조이는 A형이며 웬디, 예리는 O형이다.] * 아이린이나 웬디는 연습생이 되자마자 함께 합숙을 시작했고, 멤버들이 모두 모여 산 것은 데뷔 전부터 이미 총 1년 반이라고 한다. * 멤버들은 좋아하는 노래가 생기면 웬디한테 그 노래를 불러달라 한다고 한다. * 서로가 서로의 팬이라고 밝히고 다니는 그룹. 아이린, 슬기, 예리는 웬디의 팬인듯 싶으나 웬디는 당당히 조이의 팬이라고 외치고 다녔으나, 2016년 1월 현재 슬기로 갈아탄 듯. 조이는 Red Velvet 전체의 팬. 또한 슬기는 금사빠답게 자주 갈아타면서도 웬디에 대한 관심도는 꾸준하다. 사실상 누구 하나 빠짐없이 서로를 아끼고 좋아하는 게 보이는 그룹이다. * 육군에서 실시한 '육군 오빠들의 마음을 흔든 걸그룹은?' 설문 조사에서 3위를 기록했다. * 데뷔곡 [[행복 (Happiness)|행복]]의 공동 작곡가 중 한 명이 채드 휴고. [[Pharrell Williams]]의 절친으로 함께 [[The Neptunes]], [[The Neptunes|N*E*R*D]]로 활동하던 그 채드 휴고 맞는다. 이 때문에 미국 대중음악계에서 그들의 위상을 아는 사람들에게는 소소하게 화제거리가 되었다. 이걸로 충분히 [[언론플레이]]를 해볼 수 있을 텐데 SM이 언플을 안하다니 신기하다는 사람들도 있을 정도. 다만 과거 [[소녀시대]]가 [[The Boys]] 작곡가 테디 라일리의 명성을 빌려 언플을 시도했지만 실패했기에 유명 작곡가 마케팅을 포기한 것 같다는 의견이 있다. * '''Dumb Dumb'''의 포인트 안무 중 하나인 [[http://mblogthumb3.phinf.naver.net/20150909_114/hkylove7_1441787433476fT47v_GIF/47.gif?type=w420|팔찌 춤]]에서, 멤버들이 차고 나오는 '''슬랩팔찌'''의 인기가 상당했었다. Dumb Dumb이 신곡이었을 당시, SM 코엑스 아티움에서는 물량이 들어오는 즉시 팔려나갈 정도였다고. 아마도 이런 사태를 미리 예상한 [[SM 엔터테인먼트|SM]]에서 [[굿즈]] 판매를 목적으로 포인트 안무를 기획한 것으로 보인다. 멤버들의 슬랩팔찌는 위에서 서술한대로 각자의 {{{#fe3e5f,#c10022 이}}}{{{#ffba00 미}}}{{{#0074cb,#34a7ff 지}}} {{{#00a250 컬}}}{{{#9f00c5,#d93aff 러}}}를 본따 만들어졌다. 서울 코엑스 SM아티움에서의 팔찌 판매가는 무려 개 당 '''9800원!''' 참으로 [[어마무시하다|어마무시한]] 가격이다.-- 다른 SM 굿즈 가격을 생각해보면 이 정도는 나름 혜자급이다.-- 팔찌는 세 가지 버전이 존재하는데, [[http://cafefiles.naver.net/20151006_167/dltkr109_1444124664811kOOe7_JPEG/CP57g3lVAAEGVwp.jpg| 실제로 멤버들이 착용하는 슬랩팔찌]], [[http://mblogthumb1.phinf.naver.net/20150924_12/smtownstudio_14430985765382Rxr7_JPEG/IMG_9571.jpg?type=w420| SMTOWN 스튜디오 댄스 클래스에서 증정했었던 슬랩팔찌]], [[http://blogfiles2.naver.net/20151002_193/gayoung520_1443779745826IxJnw_JPEG/FB_IMG_1443779584600.jpg| SM 코엑스 아티움 판매용 굿즈 슬랩팔찌]]가 그것들이다. 세 제품 모두 조금씩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 인기를 증명하듯 구매를 위해 직접 SM 아티움을 찾아가도 품절 상태일때가 많다. * [[태양의 후예]] 마지막 회에서 군 위문공연을 온 VIP로 카메오 출연하였다.[[https://youtu.be/AgPeobJz5MQ|관련 영상]] 사전 예고가 없었던 갑작스러운 출연이라 시청자들도, 팬들도 많이 놀랐다. 아무래도 출연진 중에서 같은 SM 소속 선배인 [[온유(SHINee)|온유]]와의 인연으로 카메오 출연이 성사된 것으로 추측된다. 일각에서는 '드라마의 흐름을 깬 것 같다.'는 의견도 있었다. --환호하는 군 장병들의 모습이 [[태양의 후예|드라마]]에서 가장 리얼리티를 살린 장면이라는 의견이 있었다-- * 생일 서포트가 어려운 그룹 중 하나이다. 9월이 생일인 조이를 제외한 네 명의 생일이 다 조밀하게 붙어 있다. 게다가 조이도 데뷔 날짜와 생일이 가깝다. 컴백이 3월, 9월 정도로 잡히면 --개강벨벳-- 컴백 서포트, 생일 서포트, 데뷔일 서포트 등 팬들의 통장이 터져 나가는 광경을 볼 수 있다. * [[EXID]]의 멤버 [[하니(EXID)|하니]]가 레드벨벳의 멤버들과 모두 친분이 있는 편이다. 특히 아이린은 하니랑 같이 찜질방에 다녔을 정도였고 나이도 서로 한 살 차이라 더욱 가까운 사이다. * [[f(x)|같은 소속사의 선배 걸그룹]]처럼 멤버들 간에 나이 차가 꽤 많이 난다. 최연장자인 [[아이린(Red Velvet)|아이린]]과 막내인 [[예리]]의 나이 차는 무려 8살. 그래도 멤버들이 자주 서로를 디스하는 모습과 장난끼 넘치는 가족 같은 분위기를 보이는 것을 보면 서열 개념은 희박한 듯하다.[* 참고로 SM엔터테인먼트에서 최연장자와 막내의 나이차이가 가장 큰 그룹은 원래 f(x)로, 1987년생 빅토리아와 1994년생 크리스탈의 7년 차이였다. 그러다가 Red Velvet은 예리 영입 이후 1년 갱신한 8년 차이를 보였으며(예리 영입 이전에는 5년 차이가 났다.) 직속 후배인 NCT의 경우도 8년이다. 참고로 SM 내부에서 나이차이가 가장 적은 그룹은 소녀시대,동방신기,에스파이다. (셋 다 2년.)] * [[아이돌스타 육상 선수권대회|아육대]] 메달은 딱 두 개 있는데, [[아이돌스타 육상 선수권대회/2016년|2016 설날 아육대]] [[양궁]] 은메달과 [[아이돌스타 육상 선수권대회/2018년#s-2|2018 추석 아육대]]에서 얻은 은메달이 그것. [[아이린(Red Velvet)|아이린]], [[예리]], [[슬기(Red Velvet)|슬기]]가 나선 첫 [[양궁]] 출전에 [[여자친구(아이돌)|여자친구]]를 [[광속 탈락|광탈]]시키고 준결승에서 디펜딩 챔피언 [[마마무]]까지 학살하며 결승전에 진출했으나, [[EXID]]에게 7점 차로 패해 은메달을 획득했다. 그러나 1년 후 출전한 [[아이돌스타 육상 선수권대회/2017년|2017 설날 아육대]]에서는 좋은 모습을 보였던 [[예리]]가 초반부터 세트 직격을 저지른 데다가 [[슬기(Red Velvet)|슬기]] 대신 [[양궁]]에 나선 [[웬디(Red Velvet)|웬디]]마저 크게 부진하는 바람에, 이 날 컨디션이 좋은 편이 아니었던 [[러블리즈]]에게 7점 차로 패하며 예선 [[광속 탈락|광탈]]의 아쉬움을 겪었다. [[아이돌스타 육상 선수권대회/2018년|2018 설날 아육대]] 양궁에서도 부진하여 [[TWICE|트와이스]]에게 패해 예선에서 아쉽게 탈락했다. [[아이돌스타 육상 선수권대회/2018년#s-2|2018 추석 아육대]]에서 은메달 하나를 추가했다. 예선에서 [[TWICE|트와이스]]를 14점차로 이기며 설의 패배를 설욕했다. [[구구단(아이돌)|구구단]]과의 결승에서 [[웬디(Red Velvet)|웬디]]의 0점과 멤버들의 부진으로 다시 은메달에 그치고 말았다. * 2017년 4월 4일, [[광주-KIA 챔피언스 필드]]에서 열린 [[KBO 리그/2017년|2017 KBO 리그]] [[SK 와이번스|SK]] : [[KIA 타이거즈|KIA]] 개막전에서 축하무대를 선보였다. 홈 개막전 일주일 전 쯤부터 [[https://youtu.be/N998k5mn1c8|축하 영상]]도 찍어서 보내주었다. * 2017년 7월 5일, 공식 오피셜로 '''단독 콘서트 개최가 확정되었다!''' 8월 19일, 20일 양일간 서울올림픽공원 올림픽홀에서 개최했다. 2017년에 팬클럽명 확정과, 단콘 소식이 동시에 전해지며 전국의 러비들을 흥분의 도가니에 빠뜨리는 중. 자세한 내용은 [[Red Room]] 문서 참조. 그리고 2018년 8월에 두 번째 콘서트인 [[RED MARE]]가, 2019년 11월에는 세 번째 콘서트인 [[La Rouge]]가 개최되었다. 다만 La Rouge의 경우 좌석 수도 많지 않고 시야 면에서도 좋은 평가를 못 듣는 [[고려대학교]] [[화정체육관]]에서 진행하여 원성이 자자했다. * 2017년 7월 8일 Red Velvet 전용 [[https://www.vlive.tv/channel/DCF447|V LIVE]] 채널이 생겼다. * 자타공인 여덕이 많은 걸그룹 중 하나다. 모 언론에서도 여덕이 많은 걸그룹, 팬덤 내 여성 비율이 높은 걸그룹으로 소개한 적이 있었다. 대략 남 28:72 여 정도의 비율로 [[https://www.clien.net/service/board/park/11977747|보인다.]] 해당 기사는 Red Velvet의 팬 사인회를 취재하였는데, 당시에도 자리에 참석한 팬들 중 여성 비율이 압도적이었다. 다만 2017년을 기점으로 남성 팬들도 많이 늘어난 것으로 보인다. 현재는 남성 팬과 여성 팬의 비율이 4:6에 가까울 정도로 많이 늘어났다. * 2017년 8월 2일 23시 기준, 음원 사이트 [[멜론(음원 서비스)|멜론]]의 팬 수가 147,941명으로 147,915명의 [[마마무]]를 아주 근소한 차이로 앞서면서 여성 아이돌/그룹 분야 팬 수가 가장 많은 아티스트로 확인되었다. 3달이 지난 11월에는 16만 명을 넘긴 상태이다. '''그리고 2018년 3월 21일, 걸그룹 최초로 20만 명을 넘겼다.''' * [[아이튠즈 스토어]] 및 [[애플뮤직]] 한정이긴 하지만, 정규 2집 리패키지 앨범에서 Bad boy, Peek-A-Boo의 공식 [[Instrumental]]이 공개되었다. * [[JTBC 뉴스룸]] 2018년 3월 22일자 앵커브리핑에서 [[레드 컴플렉스]]에 대해 이야기하면서 '레드벨벳'과 '빨간 맛'을 언급하고 잠시나마 노래도 들려주었다.[[http://news.jtbc.joins.com/article/article.aspx?news_id=NB11607201&pDate=20180322|[앵커브리핑] '레드벨벳의 빨간 맛']] * 유독 타이틀곡 중 후크에 'La La La'가 들어가는 곡들이 많다. (행복, Ice Cream Cake, 러시안 룰렛) --수록곡 포함 바보 노래도 무려 네 곡이나 된다-- 또한 타이틀곡 제목 첫 글자에 R가 들어가는 노래도 많은데, 러시안 룰렛, 루키, 빨간 맛(Red Flavor), RBB까지 총 네 곡이다. --[[NCT|후배 그룹]]은 'Na Na Na'가 들어가는 곡들이 많다-- * 멤버들이 [[에이핑크]], [[TWICE|트와이스]]와 더불어 모두 성씨가 다르며 나이순으로 [[아이린(Red Velvet)|배]], [[슬기(Red Velvet)|강]], [[웬디(Red Velvet)|손]], [[조이(Red Velvet)|박]], [[예리|김]] 공통적으로 박씨와 손씨, 김씨인 멤버가 한 명씩 있다.[* 에이핑크에서는 [[박초롱]]/[[손나은]]/[[김남주(Apink)|김남주]], 트와이스에서는 [[지효|박지효]]/[[채영|손채영]]/[[다현|김다현]], 여기서는 [[조이(Red Velvet)|박수영]]/[[웬디(Red Velvet)|손승완]]/[[예리|김예림]]이 있다.] * 2019년 5월부터 조이를 시작으로 멤버들의 개인 [[인스타그램]]이 개설되고 있다. 5월 27일에는 조이, 5월 28일에는 예리의 인스타그램이 생긴 것이 확인되었다. 뒤이어 6월 19일 슬기도 개인 인스타그램을 개설했다. 그로부터 3달 뒤인 9월 19일에는 아이린까지 개인 인스타그램을 개설하고, 마지막으로 웬디까지 12월 6일 개인 인스타그램을 개설함으로써 이제 멤버 전원이 개인 인스타그램을 갖고 있다. * 2020년 2월 27일, 슬기, 조이, 예리가 [[https://entertain.naver.com/read?oid=382&aid=0000801817|사랑의열매 사회복지공동모금회에 3000만원]], 아이린은 [[https://entertain.naver.com/read?oid=477&aid=0000234222|대구사회복지공동모금회에 1억 원]], 마지막으로 웬디도 [[https://entertain.naver.com/read?oid=311&aid=0001117888|사랑의열매 사회복지공동모금회에 1억 원을 기부]]하며 멤버 전원이 [[코로나19]] 관련 기부 행렬의 동참했다. * 2020년 초부터 현재까지 [[SM엔터테인먼트]]와 [[서울교통공사]]의 협력을 통해 [[https://n.news.naver.com/entertain/article/477/0000238675|슬기, 조이가 재능기부 형식으로 지하철에서 승하차 예절과 일상 응원 메시지를 방송]]한다. 당초 [[서울 지하철 2호선|2호선]]에서 시험 방송을 시작으로 [[2020년]] [[4월 16일]]부터는 1~8호선[* 서울교통공사 소속 구간 한정]으로 확대되었다. 발성이나 발음, 음질도 전문 성우의 안내 방송 못지않게 '''선명해''' 호평을 받기도 했다. * 2022년 3월 아이린, 조이, 예리가 [[코로나 19]] 확진을 받기도 하였다. 슬기와 웬디는 처음에는 음성 판정을 받았지만 4월에 양성 판정을 받게 되면서 멤버 전원이 코로나 확진을 받았다. 이후 2023년 5월에 웬디가 [[코로나19]] 재확진을 받았다. * 평균 신장은 160.9cm[* [[조이(Red Velvet)|조이]] 167cm, [[슬기(Red Velvet)|슬기]] 161cm, [[웬디(Red Velvet)|웬디]] 160.3cm, [[아이린(Red Velvet)|아이린]] 158cm, [[예리]] 158cm]정도로, 한국 여성 평균과 비슷하거나 조금 작은 편이다. * 데뷔를 포함하여 주로 8월과 11월에 앨범을 많이 발매하며[* 8월과 11월에만 벌써 4번씩이다.], 4월과 5월에만 컴백을 한 적이 한 번도 없다.[* 다만 웬디와 조이는 솔로 데뷔를 각각 4월과 5월에 했다.][* 일본앨범까지 포함하면 5월에만 앨범을 낸 적이 없다.] * SM 어벤저스 그룹 [[갓더비트]] 활동으로 웬디 슬기가 참여했다. * 2022년 12월 후배 걸그룹 [[aespa]]와 콜라보레이션 캐롤싱글 [[Beautiful Christmas]]를 발매했다. * 2023년 정규3집 [[Chill Kill]] 발매로 3세대 걸그룹 중 여자친구 트와이스 다음으로 정규3집을 낸 그룹으로 이름을 올렸다. * 아이린 슬기와 후배 걸그룹 [[aespa]] 카리나 윈터와 같이 Bar를 하루 빌려서 술을 먹었다고 카리나가 영통팬싸에서 말한걸 보아 4명이 아주 친한사이라는걸 알 수 있다. * 현재 4세대 대표 걸그룹 [[NewJeans]]의 프로듀서인 [[민희진]]이 대한 관심도가 높아지자 민희진이 담당했던 레드벨벳 음반 또한 재조명을 받고있다. == 외부 링크 == * [[http://gall.dcinside.com/mgallery/board/lists/?id=redvelvetreveluv|디시인사이드 레드벨벳의 레벨업 마이너 갤러리]][* 2017년 7월 24일부터 기존 레드벨벳 갤러리가 분단되었다. 자세한 내용은 [[레드벨벳 갤러리#s-3.4|이곳을 참조.]]] == 관련 문서 == * [[레벨업 프로젝트]] * [[레드벨벳의레벨업 마이너 갤러리]] * --[[레드벨벳 갤러리]]--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레드벨벳(밴드), version=722)] [[분류:Red Velv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