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머라이어 캐리/음반 목록)] [include(틀:머라이어 캐리/음반)] ||<-3><#F2F2F0> {{{#!wiki style="margin:5px" [[머라이어 캐리|[[파일:mcsign3.png|width=120]]]][br][[머라이어 캐리/음반 목록|{{{#000 {{{-2 '''ᴀʟʙᴜᴍ ᴄʜʀᴏɴᴏʟᴏɢʏ'''}}}}}}]]}}} || || {{{#fff,#fff ←}}} ||<|2><#F2F2F0> {{{#fff {{{-1 '''{{{#AA749D 7}}}{{{#E185A0 집}}}'''}}}[br]{{{+1 ''' ''{{{#AA749D R}}}{{{#E185A0 a}}}{{{#E65651 i}}}{{{#F3C672 n}}}{{{#87B37B b}}}{{{#76C0D6 o}}}{{{#4BAED1 w}}}'' '''}}}[br]{{{-1 {{{#E65651 (}}}{{{#F3C672 1}}}{{{#87B37B 9}}}{{{#76C0D6 9}}}{{{#4BAED1 9)}}}}}}}}} || {{{#000,#fff →}}} || || {{{#404040 {{{-2 컴필레이션}}}}}} [br][[\#1's|{{{#404040 {{{-1 ''' ''#1's'' '''}}}}}}]][br]{{{#404040 {{{-2 (1998)}}}}}} || {{{-2 {{{#!html 8집}}}}}}[br][[Glitter(음반)|{{{-2 {{{#!html Glitter}}}}}}]][br] {{{-2 {{{#!html (2001)}}}}}} || ||<-2> '''{{{+1 '' {{{#AA749D R}}}{{{#E185A0 a}}}{{{#E65651 i}}}{{{#F3C672 n}}}{{{#87B37B b}}}{{{#76C0D6 o}}}{{{#4BAED1 w}}} ''}}}''' || ||<-2> {{{#!wiki style="margin:-6px -10px" [[파일:mcr1.jpg|width=100%]]}}} || ||{{{#AA749D '''발매''' }}}|| 1999년 11월 2일 || ||{{{#E185A0 '''프로듀서''' }}}|| [[머라이어 캐리]], [[지미 잼 & 테리 루이스]], 제임스 라이트, [[데이비드 포스터]], 브라이언-마이클 콕스, DJ 클루, 스티브 맥 || ||{{{#E65651 '''장르''' }}}|| [[팝 음악|팝]], [[힙합 음악|힙합]], [[컨템퍼러리 R&B|R&B]] || ||{{{#F3C672 '''레이블''' }}}|| [[컬럼비아 레코드|[[파일:컬럼비아 레코드 로고.svg|width=120]]]] || ||{{{#87B37B '''녹음 기간''' }}}|| 1999년 4월 ~ 9월 || ||{{{#4BAED1 '''길이''' }}}|| 55:49 || [목차] [clearfix] == 개요 == |||| ||{{{#!wiki style="margin:-6px -10px" [[파일:MARIAH8.gif|width=100%]]}}}|| ||<#fff,#191919> {{{#AA749D,#fff '''{{{#!html“some of her most compelling work.”}}}[br]{{{-3 {{{#E185A0 “그녀의}}} {{{#E65651 가장}}} {{{#F3C672 매력적인}}} {{{#87B37B 작품들}}} {{{#76C0D6 중}}} {{{#4BAED1 일부.”}}}}}}'''}}} {{{-4 ''- [[USA 투데이|USA Today]] -'' }}} || 1999년 11월 2일에 발매된 [[머라이어 캐리]]의 일곱 번째 정규 앨범이다. == 평가 == [[Daydream(머라이어 캐리)|Daydream]]과 [[Butterfly(음반)|Butterfly]]때 시도했던 힙합과 R&B의 융합이 더욱 심화되면서 만들어진 앨범이다.[* 그 유명한 '''[[어셔]], [[스눕독]], [[제이지]]'''가 참여했고, 여성 래퍼들도 참여하며 흑인음악의 농도가 더욱 깊어졌다.] 당시 소속사였던 소니 뮤직과 토미 모톨라, 월터 아파나시에프와 갈등이 심화되면서, 그녀의 개인적인 얘기들이 많이 늘어났다. 전작 [[Butterfly(음반)|Butterfly]] 앨범에서는 본인의 아픈 과거 얘기를 가사로 활용해 따뜻한 느낌을 주었다면, 이 앨범에선 날카로운 느낌의 가사를 사용하며 힙합 색채가 더욱 깊어졌다. 머라이어 캐리의 음반중 1990년대에 나온 마지막 앨범이었으며, 이 앨범에서도 2개의 빌보드 1위곡을 만들어내며 화려했던 10년간의 전성기를 마무리지었다.[* 이때 --뜬금없이--리메이크 곡이었던 Against All Odds가 영국 오피셜 차트에서도 1위를 거두며 성공했다.] == 성적 == [include(틀:RIAA 플래티넘, pt=3)] ||<#F2F2F0> {{{#!wiki style="word-break: keep-all; text-align:center; margin: -5px -10px; padding: 7px 0;" {{{#fff '''{{{#AA749D 차}}}{{{#E185A0 트}}} {{{#E65651 및}}} {{{#F3C672 판}}}{{{#87B37B 매}}}{{{#4BAED1 량}}}'''}}}}}}|| ||<#fff,#191919> {{{#!folding [ 펼치기 · 접기 ] ||<#ededed,#4a4a4a> '''국가''' ||<#ededed,#4a4a4a> '''순위''' ||<#ededed,#4a4a4a> '''판매량''' ||<#ededed,#4a4a4a> '''인증''' || || '''[[프랑스]]''' || '''1''' || 485,000 || 플래티넘 || || '''[[그리스]]''' || '''1''' || N/A || - || || '''[[미국]]''' || 2 || 3,500,000 || 3x 플래티넘 || || '''[[일본]]''' || 2 || 875,000 || 4x 플래티넘 || || '''[[캐나다]]''' || 2 || 300,000 || 2x 플래티넘 || || '''[[스위스]]''' || 2 || 30,000 || 골드 || || '''[[오스트레일리아]]''' || 4 || 45,000 || 골드 || || '''[[영국]]''' || 8 || 230,000 || 골드 || || '''[[독일]]''' || 3 || 300,000 || 플래티넘 || || '''[[벨기에]]''' || 5 || 25,000 || 골드 || || '''[[오스트리아]]''' || 4 || 20,000 || - || || '''[[스웨덴]]''' || 15 || 10,000 || - || || '''[[네덜란드]]''' || 4 || 50,000 || 골드 || || '''[[이탈리아]]''' || 10 || 75,000 || 플래티넘 || || '''[[스페인]]''' || 7 || 110,000 || 플래티넘 || || '''[[브라질]]''' || - || 300,000 || 플래티넘 || || '''[[멕시코]]''' || - || 70,000 || - || || '''[[아르헨티나]]''' || - || 30,000 || 골드 || || '''[[뉴질랜드]]''' || 11 || 15,000 || 골드 || || '''[[인도네시아]]''' || - || 100,000 || - || || '''[[말레이시아]]''' || 3 || 60,000 || - || || '''[[싱가포르]]''' || - || 40,000 || 2x 플래티넘 || || '''[[홍콩]]''' || - || 25,000 || 플래티넘 || || '''[[대만]]''' || - || 75,000 || 2x 플래티넘 || || '''[[한국]]''' || - || 120,000[br] ^^비공식 150,000^^ || 플래티넘 || ||<-1><#ededed,#4a4a4a> '''월드''' ||<-3> '''7,250,000'''[* 아시아: 1,400,000 유럽:1,700,000] ||}}} || 전작에 이어 심화된--노출과--블랙뮤직의 영향으로 판매량이 1000만 이하로 내려가면서 [[1990년대]] 머라이어 캐리의 앨범 중 가장 저조한 판매량을 기록했다.[* 720만 장] 물론 리드 싱글 ''"[[Heartbreaker(머라이어 캐리)|Heartbreaker]]"''가 200만 장 이상의 판매량을 기록하는 등 성공을 거두었지만, 전체 싱글 판매량은 소폭 감소하였다. 특히 소니 뮤직과 프로모션 문제로(싱글컷) 심하게 대립하며 불협화음을 냈고, 이 음반을 마지막으로 소니뮤직과 계약을 완전히 종료하게 이른다. == 싱글 == ||<#F2F2F0><:>{{{#E185A0 리드 싱글[br]'''Heartbreaker'''}}}||<#F2F2F0><:>{{{#4BAED1 두 번째 싱글[br]'''Thank God I Found You'''}}}||<#F2F2F0><:>{{{#E65651 한정 발매 싱글[br]'''Against All Odds (Take a Look at Me Now)'''}}}||<#F2F2F0><:>{{{#87B37B 한정 발매 싱글[br]'''Can't Take That Away (Mariah's Theme)'''}}}||<#F2F2F0><:>{{{#AA749D 한정 발매 싱글[br]'''Crybaby'''}}}|| ||<#F2F2F0><:>{{{#E185A0 1999.09.21}}} ||<#F2F2F0><:>{{{#4BAED1 2000.01.25}}} ||<#F2F2F0><:>{{{#E65651 2000.05.29}}} ||<#F2F2F0><:>{{{#87B37B 2000.06.06}}} ||<#F2F2F0><:>{{{#AA749D 2000.07.18}}} || ||<#fff><:> [[Heartbreaker(머라이어 캐리)|[[파일:he_mc.jpg|width=250]]]] ||<#fff><:> [[Thank God I Found You|[[파일:tgify_mc.jpg|width=250]]]] ||<#fff><:> [[Against All Odds (Take a Look at Me Now)#s-2|[[파일:aaotalamn_mc.jpg|width=250]]]] ||<#fff><:> [[Can't Take That Away (Mariah's Theme)|[[파일:ctta_mc.jpg|width=250]]]] ||<#fff><:> [[Crybaby|[[파일:c_mc.jpg|width=250]]]]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머라이어 캐리/싱글 목록)] == 트랙리스트[* [[파일:single_sign.png|width=15]] = 정식 싱글 [[파일:singlepromo_sign.png|width=15]] = 프로모, 홍보, 한정 발매 싱글] == ||<-2><#F2F2F0> {{{#fff '''{{{#AA749D R}}}{{{#E185A0 a}}}{{{#E65651 i}}}{{{#F3C672 n}}}{{{#87B37B b}}}{{{#76C0D6 o}}}{{{#4BAED1 w}}}'''}}} || || {{{-1 {{{#000 '''트랙'''}}}}}} || {{{-1 {{{#000 '''제목'''}}}}}} || || {{{-1 1}}} || [[파일:single_sign.png|width=10]] {{{-1 [[Heartbreaker(머라이어 캐리)|Heartbreaker]]}}} || || {{{-1 2}}} || [[파일:singlepromo_sign.png|width=10]] {{{-1 [[Can't Take That Away (Mariah's Theme)]]}}} || || {{{-1 3}}} || {{{-1 Bliss}}} || || {{{-1 4}}} || {{{-1 How Much (feat. [[Usher]])}}} || || {{{-1 5}}} || {{{-1 After Tonight}}} || || {{{-1 6}}} || {{{-1 X-Girlfriend}}} || || {{{-1 7}}} || {{{-1 [[Heartbreaker(머라이어 캐리)|Heartbreaker]] (remix) (feat. [[다 브랫|Da Brat]], [[Missy Elliott]] and DJ Clue)}}} || || {{{-1 8}}} || {{{-1 Vulnerability (interlude)}}} || || {{{-1 9}}} || [[파일:singlepromo_sign.png|width=10]] {{{-1 [[Against All Odds (Take a Look at Me Now)#s-2|Against All Odds (Take a Look at Me Now)]]}}} || || {{{-1 10}}} || [[파일:singlepromo_sign.png|width=10]] {{{-1 [[Crybaby]] (feat. [[Snoop Dogg]])}}} || || {{{-1 11}}} || {{{-1 Did I Do That?}}} || || {{{-1 12}}} || {{{-1 Petals}}} || || {{{-1 13}}} || {{{-1 Rainbow (interlude)}}} || || {{{-1 14}}} || {{{-1 [[Thank God I Found You]]}}} || ||<-2><#F2F2F0> {{{#fff '''{{{#AA749D b}}}{{{#E185A0 o}}}{{{#E65651 n}}}{{{#F3C672 u}}}{{{#87B37B s}}} {{{#76C0D6 t}}}{{{#4BAED1 r}}}{{{#AA749D a}}}{{{#E185A0 c}}}{{{#E65651 k}}}'''[* 2000년 재발매판]}}} || || {{{-1 15}}} || {{{-1 [[Against All Odds (Take a Look at Me Now)#s-3|Against All Odds (Take a Look at Me Now)]] (featuring [[Westlife]])}}} || == 주요 공연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GhfD-pojQ0w)]}}} || || {{{#000 ''' Homecoming '99 〈Heartbreaker〉 라이브 ''' }}}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h-CO8ozZ8E8)]}}} || || {{{#000 ''' Billboard Music Awards 1999 〈Can't Take That Away〉 라이브 ''' }}} || == 여담 == 음반의 가장 큰 특징 하나가 2집 emotions부터 콤비로 활약했던 월터 아파나시에프 (Walter Afanasieff) 가 아예 참여를 안했다.[* 머라이어 캐리의 초대박 히트곡들은 거의 이 사람과 같이 만들었다고 보면 된다.주로 머라이어 캐리가 멜로디를 만들고 작사한 뒤 월터한데 넘겨주면 나중에 월터가 추가로 작곡,편곡,프로듀싱하는 방식이었다. 대표곡들만 봐도 '''One sweet day,hero,all i want for chrismas is you,my all 등...''' 라인업이 굉장히 화려하다.--저작권료가 얼마야--][* 비록 전부 공동작곡이지만 엄연히 송라이팅에 큰 기여를 했으며, 다른 대다수의 노래들도 프로듀싱(편곡)해주는 둥(Fantasy,dreamlover 등 말고도 많다) 토미 머톨라와 같이 그녀의 90년대 전성기를 만들어준 히트 메이커다.] 전작 Butterfly 음반을 제작할 때 대판 싸운데다가 머라이어 캐리가 토미랑 이혼한 뒤 소속사의 방해,견제로 월터의 참여를 막아버렸기 때문이다.[* Petals의 가사를 보면 은은하게? 섭섭함을 드러낸 가사가 있다. 이 노래는--인생의 원수들인--친언니와 전남편 토미 머톨라에 대한 심정도 들어가 있다.]후에 화해 했다곤 하지만 glitter의 수록곡 Lead the way 한곡만 만들어 준 뒤 아예 결별했다.[* 후에도 딱히 관계가 개선되지는 않았는지, 서로가 인터뷰에서 디스를 날렸다.... 특히, 노래 제작과정에서 둘다 제일 기여도 높은 사람은 바로 자신이라며 자주 다퉜다. 과거--사이가 좋았을때--영상이나 소니뮤직 직원들의 증언에 따르면 머라이어 캐리의 비중이 좀더 높긴 했으나, 월터 아파나지에프의 공은 절대 무시할 수가 없다는게 중론이다.] [[분류:머라이어 캐리]][[분류:빌보드 2위 앨범]][[분류:1999년 음반]][[분류:미국의 R&B 음반]][[분류:미국 힙합]][[분류:컨템퍼러리 R&B]][[분류:Jimmy Jam and Terry Lewi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