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관련 문서, top1=RR(유희왕), top2=RUM)] [[유희왕]]의 링크 몬스터 카드. [[파일:RR-ワイズ・ストリクス.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링크=, 한글판명칭=RR(레이드 랩터즈)-와이즈 스트릭스, 일어판명칭=RR(レイド・ラプターズ)-ワイズ・ストリクス, 영어판명칭=Raidraptor - Wise Strix, 속성=어둠, 레벨=2, link1=, link3=, 공격력=1400, 종족=비행야수족, 소재=비행야수족 / 어둠 속성 몬스터 2장, 효과외1=이 카드명의 ①②의 효과는 각각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이 카드가 링크 소환에 성공했을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덱에서 비행야수족 / 어둠 속성 / 레벨 4 몬스터 1장을 수비 표시로 특수 소환한다. 이 효과로 특수 소환한 몬스터는 링크 소재로 할 수 없으며\, 효과는 무효화된다., 효과2=②: 자신의 "RR(레이드 랩터즈)" 엑시즈 몬스터의 효과가 발동했을 경우에 발동한다. 덱에서 "RUM(랭크 업 매직)" 마법 카드 1장을 자신 필드에 세트한다. 속공 마법 카드를 세트했을 경우\, 그 카드는 세트한 턴에도 발동할 수 있다.)] [[링크 브레인즈 팩]] 2에 수록되는 [[RR(유희왕)|RR]]의 링크 몬스터로, 일단 RR 카드군이 아닌 어둠/비행야수족을 요구하긴 하지만 효과상 RR과 관련이 제일 높다. ①의 효과로 링크 소환 시 덱에서 어둠 속성 / 비행야수족 / 레벨 4 몬스터를 불러올 수 있어 4축 RR 전개를 가속해줄 수 있다. 이렇게 소환된 몬스터는 링크 소재로 사용할 수는 없지만 엑시즈 / 싱크로 소재로는 활용이 가능하니 별로 문제될 제약은 아니다. RR을 지정하는 것이 아니라 레벨 4의 어둠 속성/비행야수족 몬스터를 지정하기 때문에 [[BF-정예의 제피로스]]를 소환하여 추가적인 전개를 노리는 등 다양하게 응용 가능한다. ②의 효과는 드디어 나온 덱에서 [[RUM]]을 필드에 세트하는 효과. RR 엑시즈 몬스터의 효과를 발동하기만 하면 즉시 발동해서 RUM을 필드에 깔아준다. 그 동안 RUM이 잡히지 않아 고생했던 RR에겐 매우 고마운 효과. 거기에 속공 마법을 세트해도 그 턴에 발동이 가능하기에 배틀 페이즈에 기습 랭크 업을 하는등, 상황에 알맞는 RUM를 가져와 적절히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덱에서 '''세트'''하는 효과라서 [[하루 우라라(유희왕)|하루 우라라]]의 효과를 피할 수 있다는 점 또한 메리트. 물론 상대가 하루 우라라가 있었다면 이미 1번 효과에 던졌을 확률이 높지만, 상대 측에서 레벨 4 몬스터 특수 소환을 막을지 RUM 서치를 막을지 고를 수 없다는 점에서 전혀 메리트가 없는 것은 아니다. 단, 반대로 서치가 아니어서 단독으로는 [[SNo.0 호프 제알]]을 운용하기 어려우나 RUM-레이드 포스 등을 이용하는 것으로 우회가 가능하다. 어차피 SNo.0이 금지기도 하고. 단점을 꼽자면 역시 낮은 공격력 탓에 그냥 놔두면 좋은 샌드백 신세라는 정도. RR-레디네스같은 보조 카드를 활용해 잘 보호하던가 아예 추후 이 카드 이외의 RR 링크 몬스터가 추가될시 링크 3으로 이어버리면서 추가 전개를 하자. 이름의 와이즈는 현명하다는 뜻으로 일러스트로 RR 치고는 링크 몬스터답게 사이버적인 특징에 외견이 낡은 듯한 디자인이다. 첫등장 당시에는 끽해야 [[BF(유희왕)|BF]], [[해피(유희왕)|해피]] 정도가 잘 쓸 것이고 범용성은 적어 보인다는 반응이 많았으나, 갈수록 연구가 진행되면서 '''엑시즈판 하리파이버/엘렉트럼의 조정판''' 정도로 그 입지가 폭발적으로 올랐다. 이 카드의 범용성의 원천은 다음과 같다. * 포스 스트릭스가 소재 제한이 없는 범용 랭크 4 몬스터이고, 포스 스트릭스로 서치한 RR-싱잉 레이니어스를 즉시 특소할 수 있다. 또한 아스날 팔콘은 범용 랭크 7 몬스터이고, 덱에서 비행야수족을 특수 소환할 수 있다. 즉 '''범용 랭크 4, 7 엑시즈 소환 가능한 덱은 전부 이 카드의 소재 조건을 큰 부담 없이 만족할 수 있다.''' * 이 카드의 효과로 덱 특수 소환이 가능한 카드 중에는 높은 범용성을 지닌 [[BF-정예의 제피로스]]가 있으며, 아스날 팔콘은 묘지로 보내지면 즉시 RR 엑시즈 몬스터를 특수 소환하고 자신을 소재로 추가하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레벨 4 몬스터 3장을 모을 수 있는 덱이나 레벨 7 몬스터 2장을 모을 수 있는 덱은 대부분 이 카드-RR 엑시즈 몬스터-RUM 서치 콤보를 운용할 수 있고, 앞면 표시 마법 카드(지속, 펜듈럼, 필드)를 운용하는 덱의 경우 정예의 제피로스의 효과를 이용한 추가 전개 및 앞면 표시 마법 회수까지 가능하다. * 이 카드와 포스 스트릭스/정예의 제피로스 모두 어둠 속성이기 때문에 이들로 [[팬텀 나이츠|팬텀 나이츠 러스트 바디시]]로 연계 가능하다. 러스트 바디시의 효과로 서치 가능한 카드에는 이 카드에 동시 대응하는 [[RUM-팬텀 나이츠 라운치]]와 준수한 메타력의 팬텀 포그 블레이드가 있다. * 이 카드와 애용되는 두 RUM을 살펴보자면 1번째로 RR-소울 세이브 포스는 묘지의 RR 엑시즈 몬스터를 범용 파워 엑시즈 몬스터로 진화시킬 수 있다. 보통 포스 스트릭스를 경유했을 경우 랭크 6 [[풍기궁사 노리토]]나 [[사이버 드래곤 인피니티]], 아스날 팔콘을 사용했을 경우 랭크 9 [[진룡황]] VFD가 애용된다. 2번째로 팬텀 나이츠 라운지의 경우 상대 메인 페이즈에 발동 가능하다는 것을 이용해 [[벨즈 타나토스]]를 [[외신 아자토트]]로 진화시켜 소싯적 [[테라나이트 프톨레마이오스]]-아자토트를 재현는 것이 주요 활용도. 심지어는 패말림을 감수할 각오만 되어있다면(...) [[No.39 유토피아 더블]]을 [[No.93 유토피아 카이저]]로 진화시킨 후 [[No.11 빅 아이]]나 [[No.89 전뇌수 디아블로시스]]를 특수 소환, [[DD(유희왕/카드군)|DDD 쌍효왕 칼리 유가]]로 랭크 업해 프리 체인 광역 무효화를 노리는 등 정말 별의별 응용이 다 가능하다. 더불어 이 콤보는 조건이 상당히 널널하기에, 앞으로 나오는 엑시즈 몬스터, RUM 지원들이 나오면 나올수록 선택의 폭은 점차 늘어난다. 이렇게만 보면 가히 하리파이버에 맞먹는 초강력 범용 링크 몬스터로 보이지만 이 카드에게는 하리파이버/엘렉트럼과는 달리 꽤 큰 단점이 있는데, '''필요 파츠가 굉장히 많아 패말림의 위험이 크다'''는 것이다. 상술한 콤보를 비행야수족 이외의 덱에서 쓰려면 본래의 덱의 기믹과는 전혀 관계없는 RR-싱잉 레이니어스, BF-정예의 제피로스, RUM 2장, 팬텀 나이츠 최소 1장(보통 사일런트 부츠나 더스티 로브), 팬텀 마법 / 함정(보통 셰이드 브리간딘이나 포그 블레이드)까지 7~8장의 잡다한 파츠를 넣어야 하고, 여기에 유토피아 더블까지 쓰고 싶으면 잉여 파츠가 거의 10장에 육박한다. 실질적으로 잉여 파츠가 아예 잡히지 않는 경우는 거의 없고, 애초에 몇 장 쯤은 잡힐 것을 전제해야 쓸 수 있다는 것을 감안하면 파츠 수는 더 불어난다. RR을 제외하면 이러한 콤보를 무리없이 가장 잘 쓰는 덱은 바로 [[문라이트(유희왕)|문라이트]]. 어둠 속성 / 레벨 4 메인 덱 몬스터와 카드군 내 펜듈럼 몬스터의 존재 등 이 카드 사용에 필요한 여러 조건을 딱 만족한다. 그 외에는 [[BF(유희왕)|BF]] 역시도 [[검은 선풍]]에서 나오는 폭발적인 어드밴티지력, 어려울 것 없는 랭크 4 엑시즈 소환, 굳이 포스 스트릭스부터 꺼낼 필요도 없이 메인 몬스터로 와이즈 스트릭스를 소환 가능한 비행야수족 전개력, 싱크로 테마의 강력한 에이스인 [[바렐로드 새비지 드래곤]]의 존재까지 살릴 수 있는 장점이 다양하여 어떤 의미에서는 RR 못지않게 이 카드를 응용할 수 있다. 단 BF는 [[다크윙 블래스트]] 발매 이후 해당 파츠들을 버리고 싱크로 축으로 선회한 상태이다. 현재는 RR 본진과 문라이트만 이용하는 상태. '''수록 팩 일람'''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국가''' || '''기타사항''' || || [[링크 브레인즈 팩|링크 브레인즈 팩2]] || LVP2-JP071 || [[슈퍼 레어]]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 || || [[링크 브레인즈 팩|링크 브레인즈 팩2]] || LVP2-KR071 || [[슈퍼 레어]] || 한국 || 한국 최초 수록 || [[분류:유희왕/OCG/비행야수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