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white '''{{{+3 RPL-20}}}'''[br]''Ручной Пулемет с Лентой 2020''[br]''탄띠형 경기관총 2020년식''}}}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russiarp20mge.jpg|width=100%]]}}}|| || '''종류''' ||[[경기관총]] || || '''원산지''' ||[[파일:러시아 국기.svg|width=23]] [[러시아]] || ||<-2> {{{#!folding 【펼치기 · 접기】 ||<-2>
{{{#White '''이력'''}}} || || '''역사''' ||[[2020년]]~현재 || || '''개발''' ||<|2>[[칼라시니코프]] || || '''생산''' || || '''사용국''' ||[[파일:러시아 국기.svg|width=23]] [[러시아]] || ||<-2> {{{#white '''제원'''}}} || || '''탄약''' ||[[5.45×39 mm]] || || '''급탄''' ||100발, 탄띠급탄 || || '''작동방식''' ||롱 스트로크 가스 피스톤[br][[오픈 볼트]] || || '''총열길이''' ||590mm || || '''전장''' ||1,085~1,145mm || || '''중량''' ||5.2kg(빈 총) || || '''발사속도''' ||600RPM || || '''유효사거리''' ||600m ||}}} || [목차] [clearfix] == 개요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lQSSTYT6sI)]}}} || 러시아 군사 2020 박람회에서 [[칼라시니코프]] 사가 공개한 러시아산 [[경기관총]]이다. == 특징 == 가장 주목할 점은 러시아에서 공개한 소구경 벨트급탄식 경기관총이라는 점이다. 러시아는 소련 시절 벨트급탄식 [[데그탸료프 경기관총|RPD]]를 채용한 전적이 있었으나 운영상 발생하는 여러 문제 때문에 이를 포기하고 [[칼라시니코프 경기관총|RPK]]로 대체하였다. 이 영향은 현재까지 이어져 중기관총을 제외하면 벨트급탄식은 다목적 기관총인 [[칼라시니코프 기관총|PK]]이며 경기관총은 여전히 소총 기반 [[RPK-16]]으로 계보를 잇게된다. 이렇게 자리를 꿰찬 [[RPK]]는 [[AK-47|AK]]를 기반으로 하여 재훈련의 필요가 없다는 점, AK의 탄종과 탄창 호환, 부품의 70% 이상 호환 등의 장점으로 RPD에서 부각되던 단점인 생산, 운용, 군수지원 등의 문제를 단숨에 해결해버렸다. 하지만 총열 교환이 불가하고 탄띠를 쓰지 못하는 등 지속사격능력은 본격적인 기관총에 비해 현저히 떨어질 수 밖에 없었다. 이러한 단점으로 인하여 소총탄을 사용하는 탄띠 기관총 개발 시도는 1970년대 소련 시절부터 있었으며 RPK를 기반으로 탄띠를 사용하는 PU 기관총을 개발해보기도 했으나 [[칼라시니코프 기관총]]과 [[칼라시니코프 경기관총]] 사이에 껴있는 어중간한 포지션 때문에 번번히 물을 먹었고, 비교적 최근인 2010년 대에 [[덱탸료프|덱탸료프 공장]]에서 [[내무군|MVD]]의 요청을 받아 Kord-5.45 기관총을 개발하여 발표하기도 했다. 칼라시니코프사는 RPK-16을 현장 테스트하면서 발생한 새로운 요구사항을 바탕으로 벨트급탄식 기관총을 개발하게 되는데 이것이 RPL-20이다. * 무게가 가볍다. 총열의 길이에 따라 다르지만 중량이 5.2kg~5.5kg 다. 이는 비슷한 체급에 가볍다는 평가를 받는 5.56mm [[FN 미니미]]와 비교해봐도 2kg정도 가벼운 것이다. * 오른쪽에서 급탄하고 왼쪽으로 탄피배출이 이루어진다. 이는 맥심 기관총부터 PK 기관총 까지 내려온 러시아제 기관총 특유의 급탄 방식을 그대로 사용한 것이다. * RPK-16처럼 2가지 길이의 총열이 지원된다. 하지만 돌격소총으로 사용을 고려하여 설계한 RPK-16과 달리 RPL-20은 전통적인 기관총 운용을 고려하여 빠른 총열 교환이 가능하다. * 인체공학적인 설계도 적용되었다. 조정간은 양손으로 사용할 수 있다. 조절가능한 개머리판은 같이 공개된 AK-12 개량형과 AK-19를 기반으로 하며 방아쇠울과 통합된 권총 손잡이도 AK-12 개량형과 동일하다. * 부착물 장착을 고려하여 상하부에 [[피카티니 레일]]이 달려있고 핸드가드 좌우측엔 [[M-LOK]] 규격이 적용되어 있다. 운반손잡이 또한 피카티니 레일이 적용되어 쉽게 장탈착이 가능하다. 위 특징을 보면 알겠지만 PK로 대표되는 기존의 기관총의 설계와 지속사격능력을 확보함과 동시에 RPK-16으로 대표되는 소총탄 기반과 가벼운 무게, 레일과 같은 확장성이 적용된 것을 알 수 있다. 다만 경쟁상대일 RPK-16이 드럼탄창 기술을 극한까지 밀어붙어 95발들이 드럼탄창까지 만든걸 생각하면 RPL-20도 미래는 그다지 밝진 않다. 당연히 더 가벼운 드럼탄창이 지속사격능력까지 기존 탄띠들과 유사한 수준까지 끌어올렸으니 추가적인 교육이 필요한 RPL-20의 장점도 빛이 바랠 수 밖에 없는 상황 == 참고 자료 == * [[https://modernfirearms.net/en/machineguns/russia-machineguns/rpl-20-2/|모던퍼이어암즈.net]] * [[https://arca.live/b/realfirearms/31948815?p=1|실총전문 채널]] * [[http://pewpewpew.work/russain/mg/rpl20/rpl20.htm|pewpewpew.work]] [[분류:보병 무기/현대전]][[분류:러시아군/장비]][[분류:기관총]][[분류:칼라시니코프]][[분류:2020년 공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