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RIAA]] ||<-2> {{{+1 '''RIAA'''}}}[br]''미국 음반 산업 협회'' || || '''국가''' ||[[파일:미국 국기.svg|width=25]] [[미국]]|| || '''링크''' ||[[https://www.riaa.com/|[[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3]]]] | [[https://twitter.com/RIAA|[[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width=23&theme=light]][[파일:X Corp 아이콘(화이트).svg|width=23&theme=dark]]]] | [[https://www.facebook.com/RIAA|[[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width=23]]]] | [[https://www.instagram.com/riaa_awards/|[[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3]]]]|| [목차] [clearfix] == 개요 == [[https://www.riaa.com/gold-platinum/|RIAA 인증 확인]] '''미국 음반 산업 협회''' ('''R'''ecording '''I'''ndustry '''A'''ssociation of '''A'''merica, '''RIAA'''). [[미국]]의 음반산업을 대표하는 단체다. 음반의 저작권을 보호하고, 음반 산업의 표준을 정하는 역할을 한다. == 사용법 == [[https://www.riaa.com/gold-platinum/|RIAA 인증 확인]] "pt" 항목에 알맞은 값을 기입하시면 됩니다. 예를 들어, 작성하고자 하는 곡이 '3x 플래티넘'을 인증받은 경우 pt 항목에 "3"를 입력하십시오. |||| '''RIAA 인증 틀''' || || 골드 ||{{{#!html [include(틀:RIAA 골드)]}}}|| || 플래티넘 ||{{{#!html [include(틀:RIAA 플래티넘,pt=?)]}}}|| || 다이아몬드 ||{{{#!html [include(틀:RIAA 다이아몬드,pt=?)]}}}|| == 인증 == 많은 이들에게 RIAA가 알려진 가장 큰 이유는 이들이 앨범과 싱글을 대상으로 'RIAA 인증'을 부여하기 때문이다. '미국' 레코드 산업 협회이니만큼 미국에서의 판매량만을 기준으로 한다.[* 다른 국가에서도 RIAA 인증과 거의 동일한 기준으로 인증을 진행하고 있다. 그러나 그 경우 인증의 주체는 RIAA가 아니라 각 국의 음반 협회이다.] 인증 기준은 다음과 같다. || '''Gold''' || 500,000 단위 || || '''Platinum''' || 1,000,000 단위 || || '''Multi-Platinum''' || 2,000,000 단위 부터 1,000,000 단위씩 누적 || || '''Diamond''' || 10,000,000 단위 || Multi-Platinum은 'nx Platinum'의 형식으로 표시된다. 예를 들어, 4,000,000 ~ 4,999,999 단위를 판매한 싱글은 '4x Platinum'으로 인증되는 식이다. 그리고 10x Platinum은 1x Diamond와 같다. '''인증은 성적과 바로 연동되어 주어지지 않는다.''' 가수나 레이블 측에서 인증의 갱신을 요청해야만 이루어진다. 때문에 추이상 더 높은 인증을 받았을 것으로 추정되지만, 실제로는 인증을 받지 않은 곡이나 앨범이 있을 수 있다. === 피지컬 싱글 === 피지컬 싱글(Physical singles)은 CD와 같은 실물 형태로 판매된 곡을 뜻한다. 과거 피지컬 싱글이 메인이던 시절도 존재했지만, 오늘날에는 피지컬 싱글은 디지털 싱글에 밀려 거의 사장된 상태다. RIAA는 피지컬 싱글과 디지털 싱글을 분리해 인증하는 만큼, 한 곡도 두 개의 인증을 각각 받는다. === 디지털 싱글 === 디지털 싱글은 물리적 매체가 필요하지 않은 음원의 판매량을 뜻했다. 그러나 음원 판매량이 줄어들고, 스트리밍의 비중이 늘어난 요즘 시장에 맞추어 2013년부터 스트리밍도 판매량에 반영하기 시작했다.[* [[스포티파이]] 등의 오디오 스트리밍은 물론, [[유튜브]] 등의 비디오 스트리밍도 포함한다.] 음원은 한 개당 싱글 한 단위로 인정되지만, 스트리밍은 150건당 싱글 한 단위로 환산된다. 이러한 산정 방식 덕에 오늘날 미국 음악 시장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스트리밍을 성공적으로 반영할 수 있게 됐지만, 한편으론 음원 시대의 곡들이 인증에서 다소 손해를 본다는 지적도 있다. '디지털' 싱글이므로, 피지컬 싱글 시대의 곡들은 목록에 오르기 힘들다. 그럼에도 [[Bohemian Rhapsody]], [[All I Want for Christmas Is You]], [[I Will Always Love You]]와 같은 몇몇 피지컬 싱글 시대의 곡들은 디지털 싱글로 다이아몬드 인증을 획득하는 실로 대단한 기록을 달성했다.[* 특히 Bohemian Rhapsody는 머라이어 캐리와 휘트니 휴스턴의 곡보다 훨씬 이전에 나왔다.] ||<-4> '''11x Platinum 이상의 다이아몬드 인증을 받은 디지털 싱글 목록'''[*A 같은 인증 등급 내에서의 순서는 가수의 알파벳 순이다. 판매량과는 관계 없다.] || || '''노래''' || '''가수''' || '''발매일''' || '''인증''' || || [[Sunflower(포스트 말론)|Sunflower]] || [[Post Malone]] & [[Swae Lee]] || 2018 || 18x Platinum || || [[Old Town Road]] || [[Lil Nas X]] feat. [[Billy Ray Cyrus]] || 2019 || 16x Platinum || || [[God's Plan]] || [[Drake]] || 2018 || 15x Platinum || || [[Somebody That I Used To Know]] || [[고티에|Gotye]] feat. [[Kimbra]] || 2011 ||<|3> 14x Platinum || || Radioactive || [[Imagine Dragons]] || 2012 || || [[Closer(The Chainsmokers)|Closer]] || [[The Chainsmokers]] feat. [[Halsey]] || 2016 || || [[Just the Way You Are]] || [[Bruno Mars]] || 2010 ||<|5> 13x Platinum || || [[Lose Yourself]] || [[Eminem]] || 2002 || || [[Love The Way You Lie]] || [[Eminem]] feat [[Rihanna]] || 2010 || || All of Me || [[존 레전드|John Legend]] || 2014 || || [[Despacito]] || [[Luis Fonsi]] & [[Daddy Yankee]] feat. [[저스틴 비버|Justin Bieber]] || 2017 || || [[Thinking Out Loud]] || [[Ed Sheeran]] || 2014 ||<|3> 12x Platinum || || [[Baby(저스틴 비버)|Baby]] || [[Justin Bieber]] feat. [[Ludacris]] || 2010 || || [[Firework]] || [[Katy Perry]] || 2010 || || Wake Me Up || [[Avicii]] || 2013 ||<|17> 11x Platinum || || Meant to Be || [[Bebe Rexha]] feat. [[Florida Georgia Line]] || 2018 || || [[When I Was Your Man]] || [[Bruno Mars]] || 2013 || || [[Not Afraid]] || [[Eminem]] || 2010 || || Cruise || [[Florida Georgia Line]] || 2012 || || [[Dark Horse(케이티 페리)|Dark Horse]] || [[Katy Perry]] feat. [[Juicy J]] || 2013 || || [[Bad Romance]] || [[Lady Gaga]] || 2009 || || [[Uptown Funk]] || [[Mark Ronson]] feat. [[Bruno Mars]] || 2014 || || [[Sugar]] || [[Maroon 5]] || 2015 || || Happy || [[Pharrell Williams]] || 2014 || || [[상어 가족|Baby Shark]] || [[핑크퐁|Pinkfong]] || 2016 || || Congratulations || [[Post Malone]] || 2016 || || [[The Hills]] || [[The Weeknd]] || 2015 || || [[Starboy(싱글)|Starboy]] || [[The Weeknd]] feat. [[Daft Punk]] || 2016 || || [[See You Again]] || [[Wiz Khalifa]] feat. [[Charlie Puth]] || 2015 || || [[Bodak Yellow]] || [[Cardi B]] || 2017 || || [[I Like It]] || [[Cardi B]] || 2018 || ||<-3> '''10x Platinum 다이아몬드 인증을 받은 디지털 싱글 목록'''[*A 같은 인증 등급 내에서의 순서는 가수의 알파벳 순이다. 판매량과는 관계 없다.] || || '''노래''' || '''가수''' || '''발매일''' || || Sail || Awolnation || 2010 || || [[That's What I Like]] || [[Bruno Mars]] || 2017 || || [[Grenade]] || [[Bruno Mars]] || 2010 || || [[Havana]] || [[Camila Cabello]] feat. [[Young Thug]] || 2017 || || [[Bodak Yellow]] || [[Cardi B]] || 2017 || || [[I Like It]] || [[Cardi B]] feat. [[J Balvin]] & [[Bad Bunny]] || 2018 || || [[Call Me Maybe]] || [[Carly Rae Jepsen]] || 2011 || || [[bad guy]] || [[Billie Eilish]] || 2019 || || Tennessee Whiskey || Chris Stapleton || 2015 || || [[Perfect(에드 시런)|Perfect]] || [[Ed Sheeran]] || 2017 || || [[Shape of You]] || [[Ed Sheeran]] || 2017 || || Trap Queen || [[Fetty Wap]] || 2015 || || Low || [[Flo Rida]] feat. T-Pain || 2015 || || [[Pumped Up Kicks]] || [[Foster The People]] || 2010 || || Life Is Good || [[Future]] feat. [[Drake]] || 2020 || || [[Believer]] || [[Imagine Dragons]] || 2017 || || Demons || [[Imagine Dragons]] || 2012 || || I'm Yours || [[Jason Mraz]] || 2008 || || Lucid Dreams || [[Juice WRLD]] || 2018 || || [[Sorry]] || [[Justin Bieber]] || 2016 || || [[Stronger(카니예 웨스트)|Stronger]] || [[Kanye West]] || 2007 || || [[Roar]] || [[Katy Perry]] || 2013 || || [[Poker Face(레이디 가가)|Poker Face]] || [[Lady Gaga]] || 2008 || || [[Party Rock Anthem]] || [[LMFAO]] feat. Lauren Bennett & GoonRock || 2011 || || Royals || [[Lorde]] || 2013 || || Thrift Shop || [[Macklemore & Ryan Lewis]] feat. Wanz || 2013 || || [[Lean On]] || [[Major Lazer]] feat. [[DJ Snake]] & [[MØ]] || 2015 || || [[All I Want for Christmas Is You]] || [[Mariah Carey]] || 1994 || || [[Moves Like Jagger]] || [[Maroon 5]] feat. [[Christina Aguilera]] || 2011 || || [[Girls Like You]] || [[Maroon 5]] feat. [[Cardi B]] || 2018 || || All About That Bass || [[Meghan Trainor]] || 2014 || || [[Party in the U.S.A.]] || [[Miley Cyrus]] || 2009 || || Super Bass || [[Nicki Minaj]] || 2011 || || [[Counting Stars]] || [[OneRepublic]] || 2013 || || [[rockstar(포스트 말론)|rockstar]] || [[Post Malone]] feat. [[21 Savage]] || 2017 || || [[Bohemian Rhapsody]] || [[퀸(밴드)|Queen]] || 1975[* 이 시기에 발매된 곡이 '디지털' 싱글로 인증을 받았다는 점에서 정말 대단한 기록이다.] || || [[Blurred Lines]] || [[Robin Thicke]] feat. [[T.I.]] & [[Pharrell Williams]] || 2013 || || [[The Box]] || [[Roddy Ricch]] || 2019 || || Stay with Me || [[Sam Smith]] || 2014 || || [[Shake It Off]] || [[Taylor Swift]] || 2014 || || [[I Gotta Feeling]] || [[The Black Eyed Peas]] || 2009 || || Hey, Soul Sister || [[트레인|Train]] || 2009 || || [[SICKO MODE]] || [[Travis Scott]] || 2018 || || [[Stressed Out]] || [[Twenty One Pilots]] || 2015 || || [[Blinding Lights]] || [[The Weeknd]] || 2019 || || [[I Will Always Love You]] || [[Whitney Houston]] || 1992 || || [[SAD!]] || [[XXXTENTACION]] || 2018 || || [[Can't Feel My Face]] || [[The Weeknd]] || 2015 || === 앨범 === 싱글과 비슷하게 앨범 역시 피지컬(실물) 앨범에서 디지털 앨범으로 시장이 옮겨감에 따라, 디지털 앨범도 판매량에 합산된다. 또한 '수록곡의 음원 다운로드 10건'과, '수록곡의 스트리밍 1,500건'이 각각 앨범 한 장 판매로 환산된다.[* 이 때문에 RIAA 인증은 실제 앨범 판매량과 달라질 수 있다. 스트리밍에서 강세를 보이는 가수들은 RIAA 인증과 실제 앨범 판매량이 수 배 가까이 차이나기도 한다.] 2000년대 중반 이후 앨범 시장이 축소되면서 앨범 판매량 역시 급감했다. 2010년 이후 나온 앨범 중 다이아몬드 인증을 받은 앨범은 ~~혼자서 90년대 수준의 판매량을 뽑아내는~~ [[Adele|아델]]의 [[21(음반)|21]]과 [[25(음반)|25]]가 유일할 정도. ||<-4> '''11x Platinum 이상의 다이아몬드 인증을 받은 앨범 목록'''[*A 같은 인증 등급 내에서의 순서는 가수의 알파벳 순이다. 판매량과는 관계 없다.] || || '''앨범''' || '''가수''' || '''발매일''' || '''인증''' || || Their Greatest Hits (1971–1975) || [[이글스(밴드)|Eagles]] || 1976 || 38x Platinum || || [[Thriller]] || [[Michael Jackson]] || 1982 || 33x Platinum || || [[Hotel California]] || [[이글스(밴드)|Eagles]] || 1976 || 26x Platinum || || [[Back in Black]] || [[AC/DC(밴드)|AC/DC]] || 1980 || 25x Platinum || || [[The Beatles]] || [[비틀즈|The Beatles]] || 1968 || 24x Platinum || || Greatest Hits – Volume I & Volume II || [[Billy Joel]] || 1985 ||<|3> 23x Platinum || || [[Led Zeppelin IV]] || [[Led Zeppelin]] || 1971 || || [[The Wall]] || [[Pink Floyd]] || 1979 || || Double Live || [[가스 브룩스|Garth Brooks]] || 1998 ||<|2> 21x Platinum || || [[Cracked Rear View]] || [[Hootie & the Blowfish]] || 1994 || || [[Rumours]] || [[플리트우드 맥|Fleetwood Mac]] || 1977 ||<|2> 20x Platinum || || [[Come On Over]] || [[Shania Twain]] || 1997 || || No Fences || [[가스 브룩스|Garth Brooks]] || 1990 ||<|3> 18x Platinum || || [[Appetite for Destruction]] || [[Guns N' Roses]] || 1987 || || [[The Bodyguard: Original Soundtrack Album]] || [[Whitney Houston]] || 1992 || || [[Boston(음반)|Boston]] || [[Boston]] || 1976 ||<|3> 17x Platinum || || [[Greatest Hits(엘튼 존 음반)|Greatest Hits]] || [[Elton John]] || 1974 || || The Beatles [[1967-1970]] || [[비틀즈|The Beatles]] || 1973 || || [[Jagged Little Pill]] || [[Alanis Morissette]] || 1995 ||<|4> 16x Platinum || || [[Saturday Night Fever Soundtrack]] || [[Bee Gees]] || 1977 || || [[Physical Graffiti]] || [[Led Zeppelin]] || 1975 || || [[Metallica(음반)|Metallica]] || [[Metallica]] || 1991 || || [[Legend(밥 말리)|Legend]] || [[밥 말리|Bob Marley & The Wailers]] || 1984 ||<|6> 15x Platinum || || [[Born in the U.S.A.]] || [[Bruce Springsteen]] || 1984 || || Greatest Hits || [[저니(밴드)|Journey]] || 1988 || || [[The Dark Side of the Moon]] || [[Pink Floyd]] || 1973 || || [[Supernatural]] || [[산타나(밴드)|Santana]] || 1999 || || The Beatles [[1962-1966]] || [[비틀즈|The Beatles]] || 1973 || || [[21(음반)|21]] || [[Adele]] || 2011[* [[Adele|아델]]의 [[25(음반)|25]]와 함께 유이한 2010년대 다이아몬드 인증 앨범이다.] ||<|8> 14x Platinum || || [[Backstreet Boys]] || [[백스트리트 보이즈|Backstreet Boys]] || 1997 || || [[...Baby One More Time(앨범)|...Baby One More Time]] || [[Britney Spears]] || 1999 || || [[Ropin' the Wind]] || [[가스 브룩스|Garth Brooks]] || 1991 || || [[Bat Out of Hell]] || [[Meat Loaf]] || 1977 || || Simon and Garfunkel's Greatest Hits || [[Simon & Garfunkel]] || 1972 || || Greatest Hits 1974–78 || Steve Miller Band || 1978 || || [[Whitney Houston(음반)|Whitney Houston]] || [[Whitney Houston]] || 1985 || || [[Millennium]] || [[백스트리트 보이즈|Backstreet Boys]] || 1999 ||<|6> 13x Platinum || || Live 1975–85 || [[Bruce Springsteen]] || 1986 || || [[Tapestry]] || [[캐롤 킹|Carole King]] || 1971 || || [[Ten]] || [[Pearl Jam]] || 1991 || || [[Purple Rain]] || [[프린스(음악가)|Prince and the Revolution]] || 1984 || || Wide Open Spaces || [[Dixie Chicks]] || 1998 || || [[II(음반)|II]] || [[Boyz II Men]] || 1994 ||<|17> 12x Platinum || || [[Falling into You]] || [[Céline Dion]] || 1996 || || [[Hysteria]] || [[Def Leppard]] || 1987 || || [[The Eminem Show]] || [[Eminem]] || 2002 || || Pieces of You || [[Jewel]] || 1995 || || [[Breathless]] || [[Kenny G]] || 1992 || || Greatest Hits || [[Kenny Rogers]] || 1980 || || [[Led Zeppelin II]] || [[Led Zeppelin]] || 1969 || || [[Hybrid Theory]] || [[Linkin Park]] || 2000 || || Yourself or Someone Like You || [[Matchbox Twenty]] || 1996 || || [[No Jacket Required]] || [[Phil Collins]] || 1985 || || The Woman in Me || [[Shania Twain]] || 1995 || || [[포레스트 검프|Forrest Gump]] || Soundtrack || 1994 || || [[Abbey Road]] || [[비틀즈|The Beatles]] || 1969 || || [[Hot Rocks 1964-1971]] || [[The Rolling Stones]] || 1971 || || [[CrazySexyCool]] || [[TLC]] || 1994 || || Greatest Hits || [[톰 페티|Tom Petty and the Heartbreakers]] || 1993 || || [[25(음반)|25]] || [[Adele]] || 2015[* [[Adele|아델]]의 [[21(음반)|21]]과 함께 유이한 2010년대 다이아몬드 인증 앨범이다.] ||<|17> 11x Platinum || || Aerosmith's Greatest Hits || [[Aerosmith]] || 1980 || || Human Clay || [[Creed]] || 1999 || || Eagles Greatest Hits, Volume 2 || [[이글스(밴드)|Eagles]] || 1982 || || [[The Marshall Mathers LP]] || [[Eminem]] || 2000 || || Greatest Hits || James Taylor || 1976 || || [[Devil without a Cause]] || [[Kid Rock]] || 1998 || || [[Houses of the Holy]] || [[Led Zeppelin]] || 1973 || || No Strings Attached || [[NSYNC]] || 2000 || || [[Life After Death]] || [[Notorious B.I.G.]] || 1997 || || [[Speakerboxxx/The Love Below]] || [[OutKast]] || 2003 || || Up! || [[Shania Twain]] || 2002 || || [[타이타닉(영화)|Titanic: Music from the Motion Picture]] || Soundtrack || 1997 || || [[더티 댄싱|Dirty Dancing]] || Soundtrack || 1987 || || [[1(음반)|1]] ||<|2> [[비틀즈|The Beatles]] || 2000 || || [[Sgt. Pepper's Lonely Hearts Club Band]] || 1967 || || Fly || [[더 칙스|The Chicks]] || 1999 || ||<-3> '''10x Platinum 다이아몬드 인증을 받은 앨범 목록'''[*A 같은 인증 등급 내에서의 순서는 가수의 알파벳 순이다. 판매량과는 관계 없다.] || || '''앨범''' || '''가수''' || '''발매일''' || || [[All Eyez on Me]] ||<|2> [[2Pac]] || 1996 || || Greatest Hits || 1998 || || [[Licensed to Ill]] || [[Beastie Boys]] || 1986 || || [[The Stranger]] || [[Billy Joel]] || 1977 || || Greatest Hits || Bob Seger & The Silver Bullet Band || 1994 || || [[Oops!... I Did It Again(앨범)|Oops!... I Did It Again]] || [[Britney Spears]] || 2000 || || Let's Talk About Love || [[Céline Dion]] || 1997 || || Chronicle: The 20 Greatest Hits || [[Creedence Clearwater Revival]] || 1985 || || Pyromania || [[Def Leppard]] || 1983 || || Best of The Doobies || Doobie Brothers || 1976 || || [[Elvis' Christmas Album]] || [[Elvis Presley]] || 1970 || || [[Curtain Call: The Hits]] || [[Eminem]] || 2005 || || [[Unplugged(에릭 클랩튼)|Unplugged]] || [[Eric Clapton]] || 1992 || || In Pieces ||<|6> [[가스 브룩스|Garth Brooks]] || 1993 || || The Ultimate Hits || 2007 || || The Chase || 1992 || || The Hits || 1994 || || Garth Brooks || 1989 || || Sevens || 1997 || || [[Faith]] || [[George Michael]] || 1987 || || [[Dookie]] || [[Green Day]] || 1994 || || [[Please Hammer Don't Hurt 'Em]] || [[MC Hammer]] || 1990 || || [[The Miseducation of Lauryn Hill]] || [[Lauryn Hill]] || 1998 || || [[Led Zeppelin(앨범)|Led Zeppelin]] || [[Led Zeppelin]] || 1990 || || Can't Slow Down || [[Lionel Richie]] || 1983 || || [[Like a Virgin]] ||<|2> [[Madonna]] || 1984 || || The Immaculate Collection || 1990 || || [[Music Box]] ||<|2> [[Mariah Carey]] || 1993 || || [[Daydream(머라이어 캐리)|Daydream]] || 1995 || || [[Bad]] || [[Michael Jackson]] || 1987 || || NSYNC || [[NSYNC]] || 1998 || || [[Country Grammar]] || [[넬리|Nelly]] || 2000 || || All the Right Reasons || [[Nickelback]] || 2005 || || [[Nevermind]] || [[Nirvana]] || 1991 || || Tragic Kingdom || [[No Doubt(밴드)|No doubt]] || 1995 || || [[Come Away With Me]] || [[Norah Jones]] || 2002 || || Patsy Cline's Greatest Hits || Patsy Cline || 1967 || || [[Hi Infidelity]] || [[REO Speedwagon]] || 1980 || || [[Mellon Collie and the Infinite Sadness]] || [[Smashing Pumpkins]] || 1995 || || [[라이온 킹/사운드트랙|The Lion King: Original Motion Picture Soundtrack]] || Soundtrack || 1994 || || [[Songs in the Key of Life]] || [[Stevie Wonder]] || 1976 || || [[Fearless(테일러 스위프트)|Fearless]] || [[Taylor Swift]] || 2008 || || The Best of The Doors || [[The Doors]] || 1985 || || [[The Joshua Tree]] || [[U2]] || 1987 || || Confessions || [[Usher]] || 2004 || || [[Van Halen(앨범)|Van Halen]] ||<|2> [[Van Halen]] || 1978 || || [[1984(음반)|1984 (MCMLXXXIV)]] || 1984 || || [[Whitney(음반)|Whitney]] || [[Whitney Houston]] || 1987 || || Eliminator || [[ZZ TOP]] || 1983 || == 틀 목록 == * [[틀:RIAA 골드]] * [[틀:RIAA 플래티넘]] * [[틀:RIAA 다이아몬드]] [include(틀:RIAA 골드)] [include(틀:RIAA 플래티넘,pt=)] [include(틀:RIAA 다이아몬드, p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