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RAZR 시리즈, rd1=모토로라 RAZR 시리즈)] ||<-5> [br] {{{#000,#fff {{{+5 [[모토로라|[[파일:모토로라 로고.svg|width=35%]]]][br]'''RAZR''' }}}}}} [br] MS500 / V3 [br][br] || ||<-5> [[파일:external/shopping.phinf.naver.net/1000145580.20120211183514.jpg|width=50%]] || || {{{#000000 '''실버'''}}} || {{{#c0c0c0 '''블랙'''}}} || {{{#c0c0c0 '''핫 핑크'''}}} || {{{#000000 '''라임'''}}} || ||<-5> [[https://review.cetizen.com/review.php?pid=1018&q=view&vcat=1&pno=1018|{{{#FFFFFF MS500 세티즌 공식 사이트}}}]] || [목차] == 개요 == [[SK텔레콤|SKT]] 모델 : '''MS500''' (2005년 5월) 해외 모델 : '''V3''' (2003년 12월) [[모토로라]]에서 출시한 휴대폰이다. == 사양 == === 한국 === ||<-2>[[통신사]]||[[SKT]] || ||<-2>통신방식||[[2G]] || ||<-2>[[프로세서]]||[[퀄컴 MSM 시리즈|퀄컴 MSM]] 6100 || ||<-2>[[메모리]]||48MB 내장 메모리 || ||<|2>[[디스플레이]]||메인||2.2인치 [[해상도/목록|qCIF+]](176 x 220) 262K Color TFT-LCD || ||서브||(96 x 80) 4096 Color CSTN LCD || ||<-2>[[네트워크]]||[[CDMA2000#s-2.1|CDMA2000 1xRTT]] || ||<-2>근접통신||X || ||<-2>[[카메라]]||130만 화소 CMOS 이미지 센서 || ||<-2>[[배터리]]||표준형 배터리(720mAh)|| ||<-2>색상||실버, 블랙, 핫 핑크, 라임 || ||<-2>규격||98 x 53 x 14.5 mm, 98 g || ||<-2>단자정보||TTA 24-pin x 1, 2.5mm x 1 || ||<-2>기타|| || === 해외 === ||<-2>통신방식||[[2G]] || ||<-2>[[메모리]]||5.5MB 내장 메모리 || ||<|2>[[디스플레이]]||메인||2.2인치 [[해상도/목록|qCIF+]](176 x 220) 262K Color TFT-LCD || ||서브||(96 x 80) 4096 Color CSTN LCD || ||<-2>[[네트워크]]||[[GSM]] || ||<-2>근접통신||[[블루투스]] 1.2 || ||<-2>[[카메라]]||30만 화소 VGA 이미지 센서 || ||<-2>[[배터리]]||표준형 배터리(680mAh)|| ||<-2>색상||실버, 블랙 || ||<-2>규격||98 x 53 x 13.9 mm, 95 g || ||<-2>단자정보||mini 5-pin x 1 || ||<-2>기타|| || == 상세 == 한국 기업 삼영[* 대표 서태식 씨는 삼성시계에서 10년간 시계 디자이너로 일하다가 나와서 삼영 테크놀로지를 설립했다. 2006년에는 은탑산업훈장도 수상했지만 결국 2013년 폐업했다.]이 얇은 금속판에 글자와 숫자를 새겨넣어 기존 키패드보다 1/3에 정도로 얇은 키패드를 개발했다. 국내 휴대폰 제조사에 자사의 제품을 사용할 것을 요청했으나 모두 거부당했는데, 이것이 [[모토롤라]]에 채택되어 모토롤라가 세계 1위 브랜드 신화의 주역이 되었다.[* 거부당한 이유는 내구성 문제로 보인다. 실제로 레이저의 얇은 키패드는 약한 충격에도 고장나거나 심지어는 열에 녹는 등 여러모로 내구성에 문제가 있었다.] 한 때 유행했던 슬림형 폰의 시초격인 제품이다. 레이저의 인기에 삼성은 2005년에 [[애니콜 블루투스 초슬림|블루투스 초슬림]](권상우폰2)을 발매했으며 당연히 광고 모델은 [[권상우]]였다. 해외에서는 2003년 12월에 30만화소 카메라가 탑재된 RAZR V3가 먼저 발매되었고, 2005년 7월에 130만화소 카메라로 업그레이드된 V3M이 처음으로 출시되었다.[* 모토로라가 레이저 판매를 늦춘 이유는 [[StarTAC#s-2.1.3|스타택 2004]]의 반응이 매우 좋았기 때문] 하지만 덕분에 [[카툭튀|정수리 부분이 툭 튀어나온 디자인]]이 되어버렸다. 튀어나온 곳 하나 없이 멀끔한 디자인을 보여주는 북미판과 비교하면 스펙은 올라갔지만 아쉬운 부분이다. 그래도 디자인은 잘 다듬어진 편이지만 만질 때 툭 튀어나온 것이 좀 불편하다. 또한 국내에서 선호도가 낮다는 이유로 [[블루투스]] 기능이 제외되기도 했다. 실상은 [[스펙다운|통신사들의 압박 때문이지만.]] 오리지널 레이저의 결함으로 메모리 용량 버그가 있다. 총 내장 메모리 용량은 48MB 정도였는데 여기서 음성 녹음을 했다가 한번 지우면 신기하게도 51MB가 되었다. 그 당시엔 무려 음악을 한 곡 더 넣을 수 있는 3MB 정도가 확보되었다. 이 외에도 3GP로 인코딩하면 애니같은 동영상을 넣는 것도 가능했는데, 일단 아무 동영상이나 찍어서 헤더만 추출 후 해당 동영상과 헤더 부분을 똑같이 해주고 폰으로 전송하면 재생이 가능하다. 내장 메모리 용량을 봐서 알 수 있듯이 딱 2편 들어간다. ~~그냥 동영상을 넣어서 재생할 수 있다는 거만 생각하자. 2편에 신경쓰면 지는 거다.~~ 특정 번호를 입력하면 들어갈 수 있는 '히든 메뉴'도 있는데, 레이저폰 구매 첫날부터 폴더를 몇 번 열고 닫았나 하는 플립 카운터 모드 같은 ~~쓸데없이 잡다한~~ 메뉴가 들어 있다. 최악의 단점이라면 단연코 배터리인데 2G 기종인지라 2005년 당시 기준으로도 시대에 성능이 심각하게 뒤떨어졌고 슬림한 디자인을 고집한 탓에 배터리 크기도 작다는 것, 당시 삼성이나 엘지폰 배터리의 절반만한 크기다[* 당시 모토로라가 CELL형 배터리를 고집했던 탓도 크다. 크기가 작은만큼 베터리용량도 고작 710mAh밖에 안된다. 당시 삼성이나 LG의 3G 기종들은 1000~1500mAh정도였다.] 크기가 작은만큼 오래 통화할수록 배터리가 미친듯이 닮는다 거기에 리튬이온 방식이라 방전/충전을 거듭할수록 수명도 미친듯이 깍인다 실사용 6~8개월째에 접어들면 실제 체감용량이 60~50%로 100% 완충후 1시간정도 통화하면 20~10% 남는수준.... 레이저 사용자들은 웬만하면 BR54 배터리를 2~3개정도를 가지고 다녔고[* BR54 배터리 당시가격이 31,500원정도다 그 쬐끄만한게(...).] 국내에선 비공식적이지만[* 이베이나 아마존에서 해외직구를 하거나 수입대행사를 통해 구매할수있었다 원래는 해외판 V3 용이지만 국내판 MS500(V3m)과 하드웨어 설계가 같아서 호환된다.] BA700 대용량 확장 배터리가 있다. 하지만 일반 표준형 BR54 배터리 두께의 '''2배''' 수준인지라[* 용량도 1400mAh로 두배다.] 대용량 배터리를 사용하려면 본체 뒷면에 배터리 커버를 같이 구매해야했다[* 대다수는 배터리와 커버 2가지를 세트로 판매했다.] 즉... 배터리 두께만큼 본체 뒷면이 ~~카툭튀마냥~~ 튀어나오게된다. 2020년 7월 27일, [[SK텔레콤]]이 [[CDMA]] 서비스를 종료하면서 개통이 불가능해졌다. == CF == ||<:>[youtube(N4ezpMXjUjo)]|| ||<:>{{{#FFFFFF TV-CF}}}|| == 메뉴 == 1. SKT 서비스 1. 소리설정 1. 화면설정 1. 컨텐츠보관함 1. 전자수첩 1. 휴대폰설정 1. 편리한기능 1. 전화번호부 1. 카메라 == 벨소리선택 == ||<:>[youtube(SZbx6mc3JII)]|| ||<:>{{{#FFFFFF MS500 벨/멜로디}}}|| === 벨소리 === 1. 벨 1 1. 벨 2 1. 벨 3 1. 벨 4 1. 벨 5 1. 벨 6 1. 벨 7 1. 벨 8 1. 벨 9 === 멜로디 === 1. 모토로라 1. Straightway → 야간비행 1. 초원 1. Sunshine → 선샤인 1. 환상세계 → 판타스틱 월드 1. 회전목마 1. 오르골 1. 심포니 1. 호두까기 인형 1. 오리엔탈리즘 1. 행복한 하루 1. 상쾌한 아침 1. Wake up → 웨이크 업 1. Country House → 컨트리 하우스 1. BossaBossa → 보사 노바 1. 재즈바 1. 비트세대 1. 뉴욕스토리 1. In The Clouds → 구름 이야기 1. 클럽밴드 1. 리듬을 타고 1. Ring De Euro → 유로테크노 1. 쇼타임 === 개성있는벨 === 1. 따르릉 전화왔어요 1. 전화가 왔습니다 1. 중요한 전화가 왔어요 1. 리듬매니아 1. 텔레파시 1. Minim → 프레스토 1. 뻐꾸기 1. 귀뚜라미 1. 기차 1. 냇물과매미 == 기능음 == == 그래픽 == === 대기화면 === * SKT 레인보우 * 체스 * 스핀 * 바람 * 미디어 * 데이지 * 아이스진 * 잎새 * 백합 * 스노우캣 1 * 스노우캣 2 * 스노우캣 3 * 구름 === 테마 === * 화이트테마 * 블루테마 * 블랙테마 === 글꼴 === * 수필체 * 메인체 * 민체 * 스노우캣체 * 가람체 === 메뉴타입 === * 아이콘 메뉴 * 트리메뉴(스핀) * 트리메뉴(체스) === 다이얼 숫자 === * 일반 * 레이저 * 손글씨 == 기타 == * 모토로라 한국 공장에서 생산된 마지막 기종으로 도중에 중국 공장 생산품으로 대체되었다. [[무선호출기|삐삐]] 등을 만들던 어필텔레콤이 그 전신이며 모토로라가 인수하였다. 공장은 폐쇄하였지만 R&D 부문은 모토로라가 한국에서 철수할 때까지 유지하였다. 사실 KT로도 V3xx 기반으로 내려고 했었지만 드랍되었다.[[http://kangrk.tistory.com/m/157?category=256369|#]] SHOW 로고가 박힌 걸로 보면 WCDMA 모델인데 카메라 모양, 내부 스피커 등은 레이저룩과 유사하고 전면 액정은 MS500과 유사하다. 만약 이 버전이 출시되었다면 [[통합메세지함]]이 없는 모토로라만의 순수한 UI를 볼 수 있었을 것으로 보인다. * [[EZ2DJ 7th TRAX Ver 1.5]] 버전에서 신곡의 [[범용 BGA]]에 나온 휴대폰이 바로 이 기종이다. * T브랜드 이후 출고 제품의 박스에는 T 로고가 나와 있다.[* 그러나 부팅화면, 기본 배경화면은 여전히 SK Telecom 구 로고가 나온다. ~~이후 스마트폰 시대에 접어들면서는 다시 SK telecom으로 바뀌었다~~] * [[바이오하자드 RE:4]]에서 [[애슐리 그레이엄(바이오하자드 시리즈)|애슐리 그레이엄]]의 휴대폰이 이 기종으로 나온다.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모토로라 RAZR 시리즈, version=171, paragraph=2.1)] [[분류:모토로라 모빌리티]][[분류:피처폰/2005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