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white '''{{{+3 QBZ-95}}}'''[br]''95式自动步枪''[br]''95식 자동보총''}}}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2.bp.blogspot.com/type95rifle1a.jpg|width=100%]]}}}|| ||<-2><:> {{{#000,#ddd {{{-1 기본형 / QBZ-95}}}}}}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www.nazarian.no/719_qbz-97.jpg|width=100%]]}}}|| ||<-2><:> {{{#000,#ddd {{{-1 수출형 / QBZ-97}}}}}}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img2.wikia.nocookie.net/Qbz-95b.jpg|width=100%]]}}}|| ||<-2><:> {{{#000,#ddd {{{-1 카빈형 / QBZ-95B}}}}}}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img4.wikia.nocookie.net/QBB-95.jpg|width=100%]]}}}|| ||<-2><:> {{{#000,#ddd {{{-1 분대지원화기형 / QJB-95}}}}}}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world.guns.ru/1378309397.jpg|width=100%]]}}}|| ||<-2><:> {{{#000,#ddd {{{-1 개량형 / QBZ-95-1}}}}}} || || '''종류''' ||[[돌격소총]][br][[카빈]](QBZ-95B)[br][[기관총|분대지원화기]](QJB-95) || || '''원산지''' ||[include(틀:국기, 국명=중국)] || ||<-2> {{{#!folding 【펼치기 · 접기】 ||<-2>
{{{#White '''이력'''}}} || || '''역사''' ||[[1997년]]~현재 || || '''생산''' ||[[중국북방공업]] || || '''생산년도''' ||[[1995년]]~현재 || || '''사용국''' ||[include(틀:국기, 국명=중국)][br][include(틀:국기, 국명=캄보디아)][br][include(틀:국기, 국명=미얀마)][br][include(틀:국기, 국명=파키스탄)][br][include(틀:국기, 국명=스리랑카)] 등 || ||<-2> {{{#white '''기종'''}}} || || '''파생형''' ||QBZ-95B[br]QJB-95[br]QBZ-97[br]QBZ-97A[br]QJB-97[br]QBZ-97B[br]QBZ-95-1[br]QBZ-95B-1[br]QJB-95-1 || ||<-2> {{{#white '''제원'''}}} || || '''탄약''' ||5.8×42mm DBP87[br][[5.56×45mm NATO]](QBZ-97) || || '''급탄''' ||30발들이 박스탄창[br]75, 80발들이 드럼탄창 || || '''작동방식''' ||가스 작동식[br]회전 노리쇠 방식[br]쇼트 스트로크 가스 피스톤 방식 || || '''총열길이''' ||463mm[br]369mm(QBZ-95B)[br]490mm(QBZ-97, QBZ-97A)[br]600mm(QJB-95) || || '''전장''' ||745mm[br]609mm(QBZ-95B)[br]758mm(QBZ-97, QBZ-97A)[br]840mm(QJB-95) || || '''중량''' ||3.25kg[br]2.9kg(QBZ-95B)[br]3.35kg(QBZ-97)[br]3.9kg(QJB-95) || || '''발사속도''' ||650RPM[br]800RPM(QBZ-95B) || || '''탄속''' ||930m/s[br]970m/s(QJB-95)[br]990m/s(QBZ-95B) || || '''유효사거리''' ||400~600m[br]600~800m(기관총)[br]300~500m(카빈) ||}}} || [목차] [clearfix] == 개요 == [[중국 인민해방군]]의 [[돌격소총]]. == 상세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k1xbgjyzyUQ)]}}} || || 해당 총의 사격과 제작 공정을 보여주는 [[중국 중앙 텔레비전|CCTV]]의 영상 || 형번 QBZ-95, 혹은 95식 자동소총(95式自动步枪, 95 Shì Zìdòng Bùqiāng)은 중국의 [[중국북방공업]](Norinco)에서 생산하는 불펍 돌격소총이다. 중국은 지난 80년대 중반, AK-47을 그대로 불펍으로 만든 [[86S식 자동소총]]을 개발했다. 이 때 완전히 실패한 경험을 갖고 있음에도 다시금 불펍에 도전했고, 그 결과물이 95식이다. QBZ라는 이름은 '''輕(Q)'''武器, '''步(B)'''槍, '''自(Z)'''動( Qīngwǔqì, Bùqiāng, Zìdòng, 경무기, 보창[* 보총을 잘못 쓴게 아니다. 중국에서는 역사적으로 소총류의 화기를 가리킬 때 [[창(무기)]]을 뜻하는 한자 槍으로 총을 갈음하게 되어 자동소총은 자동보창이라 부른다.], 자동)의 앞글자를 따서 붙인 것으로, 지정 사수 소총인 [[QBU-88]]이나 분대지원화기인 [[QJY-88]] 역시 비슷한 식으로 명명되었다. 현재 중국 인민해방군의 [[제식 소총]]이며, 1997년 [[중국 인민해방군 주홍콩부대]]가 홍콩으로 들어오며 97식을 장비하여 처음 외부로 알려졌다. [[https://rusknife.com/uploads/monthly_06_2012/post-167-0-37593400-1338917146_thumb.jpg|QBZ-95의 프로토타입으로 추정되는 사진 1]] [[https://www.reddit.com/r/ForgottenWeapons/comments/tg6745/early_prototypes_of_the_qbz95_with_even_an/|2]] 특이하게도 중국에서 자체 개발한 5.8×42 mm DBP87 탄약을 사용한다. 이 탄종은 [[81식 자동소총|87식 소총]]에서 먼저 사용되었으나, 실질적으로 95식부터 본격적으로 도입되었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57336-a145291a417b8024678e305d923ddedd.jpg|width=100%]]}}} || || 미군의 5.56×45mm와 러시아군의 5.45×39mm를 본 [[중국 인민해방군]]이 소구경 고속탄의 장점과 기존 [[7.62×39mm|M43]]탄의 대인저지력 모두를 염두에 두고 만들었다고 한다. || 미군이나 러시아군의 제식 탄종을 따르지 않은 것은 중국이 독자규격으로 나갈 생각이었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다만 [[돌격소총]]과 기관총, 저격소총까지 하나의 탄을 사용한다는 것은 그만큼 위력에 있어서 임무에 맞는 효율성이 떨어진다는 것과 같다. 일단 중국군의 주장으로는 5.8mm 탄이 300m까지 안정된 살상력과 명중률을 지니며, 1000m 거리에 있는 3mm 두께의 철판을 관통 가능하다고 하고, 5.56mm와의 비교에서도 압도적인 성능을 가진다고 한다. 그러나 실전에서 직접 검증하지 않는 한 사실인지 아닌지는 알 길은 없다. 특히 5.56mm탄보다 압도적인 성능을 가진다고 하는 부분은 더욱 그렇다. 5.56mm도 탄종에 따라 성능이 다를뿐더러, 서구권에서는 7×43mm, 6.5×39mm, 6.8×45mm 같은 5.56mm급의 탄보다 한 체적 큰 탄환들을 대체탄으로 내놓았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5.8mm탄은 저지력은 좀 더 좋은 대신 고속성능은 떨어질 거라는 기존의 진단이 근거 없는 소리는 아니라는 것. 막상 위키백과 등지에 나온 5.8mm탄의 스펙을 보면 총구초속이나 운동에너지가 5.56mm와 별반 차이가 없다. 말 그대로 치수만 변형한 5.56mm 수준. 탄자가 조금 더 굵어서 대인저지력에서는 약간 더 좋을 수도 있겠으나, 이 역시 의미가 있을 정도로 큰 차이는 없을 것으로 보인다. 혹여나 중국군의 주장이 사실이라고 해도 최소한 서방권에서 비슷한 개념으로 주목받는 6.5mm탄 수준으로 위력적인 탄종은 아니며, 5.8mm탄을 저격소총에까지 사용하겠다면 저격소총에 5.56mm탄을 장전하겠다는 거나 마찬가지라서 기껏해봐야 [[지정사수소총|DMR]] 수준을 벗어나기 힘들고, 기관총에 사용하겠다면 [[분대지원화기]] 정도가 한계일 것이라고 유추할 수 있다. 구경과 탄피 길이에서 오는 화력의 한계는 명확하나, 일단 중국군으로서는 일반 5.8mm에 장약을 더 채워넣은 고화력탄을 자국의 신형 기관총인 [[QJY-88]]에 쓰는 등 화력부족을 극복하기 위한 노력을 하고 있는 듯하다. 설계상으로도 지금까지 공산권에서 사용되던 AK 시리즈의 투박함을 벗어나 플라스틱 부품의 대량으로 사용하였으며, 작동 구조는 신뢰성이 입증된 [[슈타이어 AUG]]의 것을 모방하는 등 당시 서방군의 최신 트렌드에 맞추어 제작되었다. 성능도 괜찮다는 평가가 많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www.thefirearmblog.com/qbz95_action.gif|width=100%]]}}} || 특이하게도 (회전하는 코킹 해머로 격발하는 다른 불펍소총들과는 달리) 이 소총은 [[AN-94]], [[Vz.58]], [[루거 P08]]과 더불어 스트라이커 액션과 유사한 방식으로 격발한다. 다만 가격 또한 종래의 중국제 소총에 비해 훨씬 비싼 데다가 신뢰성 등을 선호하는 보수성향의 군대가 멀리하는 불펍식이라 수출은 여의치 않다고 한다. 그 외에 조정간의 위치가 별로 배려되지 않은 점이나, 플랫탑 리시버와 RIS로 확장성을 넓히는 현대 소총의 추세에는 맞지 않게 캐링 핸들이 고정식이고, RIS의 부착 가능 면적도 매우 적은 점이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일단은 중국 외에는 [[캄보디아]]군과 라오스군이 채택하고 있는 게 전부이다. 중국군에서는 주로 특종부대, [[중국 인민해방군 공강병군|공강병군]], [[중국 인민해방군 해군 육전대|해군 육전대]], 기계화 보병 등 정예부대 중심으로 보급되어 있다. 이러한 부대들은 휴대가 간편하지만 명중률이 좋은 총기를 요구하는데, [[이스라엘군]] 또한 기계화 보병위주로 불펍식 [[TAR-21]]을 배치하는 것으로 보아 나름대로 이스라엘과의 군사기술 교류와도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애초에 설계 시기가 80년대 말부터 90년대 초인데 이 당시엔 기계화 부대의 발달과 명중률의 요구가 함께 부합 할 수 있는 가장 좋은 방법이 불펍식 총이라 불펍식 총이 대두되던 시기였다.] 다만 야심찬 계획이었던 만큼 저항도 많아[* 특히 [[불펍]] 방식 자체의 극복할 수 없는 단점.] 현재 제식 소총으로 계속 보급하면서도 일반적인 소총 형태를 한 [[QBZ-03]]도 개발하여 일부 부대에게 보급했고, 그 결과 QBZ-95보다 더 낫다는 결론이 나와 일반적인 소총 형태인 [[QBZ-191]] 소총이 새롭게 제식 소총으로 개발되고 채택되어 일선부대를 중심으로 보급되면서 QBZ-95는 점차 퇴역하고 있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Marines_of_the_People%27s_Liberation_Army_%28Navy%29.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Peter_Pace_shakes_hands_with_a_Chinese_soldier_%28Shenyang_Base%2C_China%2C_March_24_2007%29.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www.globaltimes.cn/ae81c992-0b95-4aba-977c-836f4453b9f1.jpg|width=100%]]}}} || || 해군육전대(해병대) || 95식을 든 기갑부대원[* 오른쪽의 악수하는 사람은 2007년 당시 피터 페이스 미국합참의장.] || 95식으로 사격 훈련 중인 중국 여군 신병들. || == 개량형 (95-1식)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Ch5-1qbzrf.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37b3j9dn2.jpg|width=100%]]}}} || 95식은 [[PP-2000]] 스타일의 트리거 가드가 앞에 있어 맥웰 그립으로 잡을 수 있었으나, 2010년 이후에 나온 QBZ-95-1(95-1식) 에서는 사라졌는데 그 이유는 해군육전대가 요청한 것으로 유탄 발사기를 사용하기 쉽게 하기 위한 것으로 밝혀졌다. [[https://ishare.ifeng.com/c/s/7oqarB6tvMZ|#]]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F2878DEB7289652974.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1599148753.jpg|width=100%]]}}} || QBZ-95-1은 디자인이 인체공학적으로 개선되고 캐링핸들 상부에 레일(중국 독자 규격)이 추가되었다. 이에 따라 카빈형과 분대지원화기 모델도 함께 개량되었다. 또한 조정간이 총 후방에 위치하고 있어 조작이 심각하게 불편하다는 단점이 있었으나[* 그나마 같은 문제점이 있는 [[SA80]]은 안전장치와 방아쇠가 별도로 있어 이런 문제가 조금은 덜하지만, 이 총은 조정간이 안전장치 역할도 하기 때문에 더 문제가 된다.] 95-1식에서는 방아쇠 근처로 위치가 옮겨져 이 문제는 해결되었다. [[SA80]]과 마찬가지로 탄피 배출부 변경 기능이 없으나, 탄피가 앞쪽으로 튀기 때문에 주의해서 사격하면 왼손 사격도 가능하다.[* [[Forgotten Weapons]] 채널의 운영자인 이안 맥컬럼에 의하면, 수출형인 QBZ-97의 민수용 모델을 왼손으로 사격해보니 탄피배출구가 코와 가까워서 화약 냄새가 심하게 느껴지고 오른손 사격에 비해 신경을 좀 써야 하기는 했지만 왼손 사격이 충분히 가능했다고 한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1616377622biCwSOgT.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QBZ-95-1_Picatinny_Rail.jpg|width=100%]]}}} || || QMK171 스코프가 장착된 95-1식 [[https://club.6parkbbs.com/military/index.php?app=forum&act=threadview&tid=16108974|#]] || [[https://kknews.cc/military/z53bze3.amp|長弓 레일을 장착한 QBZ-95(상) QBZ-95-1(하)]] || 바이두 백과사전이나 중국어 위키피디아에 전/현직 인민해방군의 경험담에 따르면 총기 정밀도가 낮아서 2000발 이상 사격하고 나면 피스톤에 탄매가 껴서 총기에 문제가 발생한다. [[기계식 조준기]]가 신뢰할 수 없는데 조정하기도 힘들고, 캐링핸들이 분리가 안 돼서 [[조준경]]을 올리면 엄폐 조준시 [[http://bemil.chosun.com/nbrd/bbs/view.html?b_bbs_id=10044&num=159319|머리가 더 노출된다.]] 이런 심각한 결함이 10군데가 넘어 최근에는 신형 총기인 [[QBZ-191]]로 대체하고 있는 추세이다. == [anchor(JS 9)]파생형 (97식, 05식)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attachment/784bc2f7jw1dfzsurqyw3j.jpg|width=100%]]}}} || ||위에서 아래로 * 95식 * [[중국 보병용 중화기#QLL/QLG-91|QLG-91]]이 장착된 95식 * 95식 카빈 (QBZ-95B) * 97식(수출용) * 05식, 05-1식 ([[QCW-05]] 및 [[QCQ-05]]) * 맨 밑의 [[CF05|장풍(長風) 기관단총]]은 95식의 파생형이 아니다. 개발 당시에는 CF-05로 알려져 있었으나 최근에는 [[CS/LS06]]으로 변경되었다. || 수출용으로 개발된 QBZ-97은 5.56×45 mm NATO 탄환을 사용하도록 개량되어 있고, [[AR-15]]/[[M16 소총]] 계열과 호환되는 [[STANAG 탄창]]을 사용한다. 97식을 살펴본 서양의 리뷰어들은 대부분 호평하고 있다. [[http://www.huntinggearguy.com/rifle-reviews/norinco-type-97-review/|기사]] 5.8x21mm를 사용하는 [[QCW-05|05식 기관단총]]은 캐스켓 탄창으로 50발이 장전되고 소음기와 전용 아음속탄(DCV05)을 사용하면 좋은 소음 효과를 가질 수 있다. 구조는 비슷하나 사용 탄이 다른 JS 9mm가 있으며, 이쪽은 [[H&K MP5]]의 탄창을 사용한다. 그런데 웬만하면 총에 나쁜 말을 잘 안하는 [[Forgotten Weapons]]에서 대놓고 깔 정도로 문제가 많은 듯하다. [[https://www.youtube.com/watch?v=ZgJ7_XoaRto|#]] 여기서는 CS/LS2로 표기되는데 가늠자가 너무 시야가 좁아서 지향사격하는 게 낫고 그나마도 사격 시에 반동으로 고정 나사가 풀리는 데다[* 슬로모션 부분을 보면 실제로 풀리는 게 보인다.] 연사 속도도 너무 빨라서 반동도 강하고 아무튼 좋은 구석이 없다고 깐다. 총열을 더 짧게 해 기존의 기관단총을 대신하기 위한 95B식, 드럼탄창을 장착하고 총열을 강화한 경기관총 QJB-95, 서구권 5.56mm 구격의 97식 등의 바리에이션이 있다. 이러한 점 또한 [[슈타이어 AUG]]와 유사하다. QJB-95는 총열이 길어지고 양각대가 추가되었으며, 기존의 30발 탄창 외에도 75발 혹은 80발 드럼 탄창을 사용할 수 있다. == 사용국 == 2009년경 스리랑카군이 수출형인 97식 소총을 사용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스리랑카군은 이외에도 81식 소총 등 다양한 중국제 개인화기를 사용하고 있다. * [include(틀:국기, 국명=중국)] [[중국 인민해방군|인민해방군]] 제식소총. * [include(틀:국기, 국명=캄보디아)] [[캄보디아군|육군]] 및 경호실에서 다양한 바리에이션을 사용하며, 사용하는 모델은 QBZ-97, QBZ-97A, QBZ-97B, QJB-97 LSW 등등이 있다. * [include(틀:국기, 국명=미얀마)] [[미얀마군]]에서 QBZ-97를 사용한다. * [include(틀:국기, 국명=파키스탄)] [[파키스탄군|국경수비대 소속 SOG]] * [include(틀:국기, 국명=스리랑카)] [[스리랑카군|특수 전차 부대, 공군]] * [include(틀:국기, 국명=수단 공화국)] [[수단군|육군]]에서 "Kombo"라고 불리는 [[미래보병체계]]에 QBZ-97이 선택되었다. * [include(틀:국기, 국명=방글라데시)] PGR 코만도에서 QBZ-95를 소수 채용 중이다. * [include(틀:국기, 국명=라오스)] [[라오스군|육군]], 관광객들 중 수도 비엔티안에서 봤다고 말하는 걸로 봐선 일부에서 운용 중인 듯하다. * [include(틀:국기, 국명=우크라이나)] 어째서인지 [[우크라이나군]] 병사가 QBZ-97을 사용하는 것이 [[https://arca.live/b/airsoft2077/70767921?target=all&keyword=%EC%9A%B0%ED%81%AC%EB%9D%BC&p=2|나왔다!]] == [[/대중매체|미디어]]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QBZ-95/대중매체)] == 에어소프트건 == === 전동건 === [[http://www.realsword.com.hk/image/produ_97/97_c1.jpg]] 전동건이 존재한다. 수출용 5.56버전으로 나왔으며 기존 마루이 M4탄창과 호환성이 있다. 하지만 독자규격 기어박스를 사용하기 때문에 한국에서 유지 보수하기에는 힘들다. 동사에서 카빈버전이 나왔으며, 실총에 없던 5.56버전 카빈이다.[* 수출용 97식은 카빈이 존재하지 않으며, 95식만 카빈이 존재한다. 호환성 때문에 전용탄창을 따로 만드는 것보다는 마루이제 ar15 탄창과 호환성을 고려해서 존재하지 않는 97식 카빈으로 만든걸로 추정된다.] 그리고 YIKA라는 회사에서 에어코킹건으로 나왔다. === [[젤리탄]] 전동건 === [[배틀그라운드]]의 인기 덕분에 국내 오픈마켓에서도 해외 직구로 젤리탄 전동건을 손쉽게 구할 수 있다. 젤리탄 답게 내부 구조는 조잡한 편이지만, 외형은 그럭저럭 괜찮다. 일반적인 TYPE 95는 비교적 저렴하지만, 레일이 적용된 버전은 가격이 좀 더 나간다. 그런데 BingFing사에서 실총 분해조립이 가능한 물건이 나왔다! == 둘러보기 == [include(틀:현대전/중국 보병장비)] [include(틀:현대전/스리랑카 보병장비)] [include(틀:현대전/미얀마 보병장비)] [include(틀:현대전/라오스 보병장비)] [include(틀:현대전/캄보디아 보병장비)] [include(틀:현대전/베네수엘라 보병장비)] [include(틀:현대전/우크라이나 보병장비)] [include(틀:보병장비 둘러보기)] [[분류:돌격소총]][[분류:불펍]][[분류:보병 무기/현대전]][[분류:중국군/장비]][[분류:중국북방공업]][[분류:1995년 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