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Project Hospital/부서)] [include(틀:Project Hospital 부서)][목차] == 개요 == [[파일:Project Hospital/외과.png]] {{{+1 [[외과]](General Surgery)}}} 응급의학과를 제외한 전문부서 중 가장 붐비는 과이며, 여러가지 수술이 필요한 환자들이 몰리는 과이다. 보통 중환자로는 폐, 췌장, 간 중상자들을 받는다.[* 장기가 두개 이상 손상된 경우는 중증외상이므로 외상외과가 맡는다.] 현실과 같이 수술환자의 비중이 높기 때문에 HDU를 필요로 하는 중증환자들이 많지만, 일반 입원도 꽤 있고 대부분의 중증환자의 경우 응급의학과의 외상 센터에서 고위험성 증상에 대한 응급처치를 하고 TC에서 증상까지 다 밝혀낸 뒤에 옮겨주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골든 타임을 신경써야 할 정도의 상황은 잘 발생하지 않는다. 환자가 의식 불명까지 가는 경우는 적기 때문에--어디까지나 수술팀이 제대로 돌아갈 때 얘기다.--, 집중치료실을 들여놓기 힘든 초반, 전원 없이 입원환자를 처리하기가 가장 수월한 부서이다. 그러면서도 수술환자의 비중이 높아[* HDU에서 며칠간 입원하며 수천달러의 입원비를 주게 된다.] 수입이 쏠쏠하게 들어오는 편이다. 이쪽 중환자는 대부분 FAST(긴급초음파검사)를 해주면 금방 증상을 밝힐 수 있다. TC에서 바로 시행이 가능하니 응급처치를 한 후 바로 시행해주면 추가 검사 없이 바로 수술로 들어갈 수 있으므로 참고하자. == 상세 == === 중환자 관리 === * {{{#!wiki style="display: inline; background: crimson;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5px;" {{{#fff '''감염, 복막염'''}}}}}} 복막염이나 헬리코박터등의 질환은 보통 진단까지 충분히 시간이 주어진다. 부가적인 고위험 증상을 주의하면 된다. * {{{#!wiki style="display: inline; background: crimson;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5px;" {{{#fff '''소화기 질환'''}}}}}} 위염, 십이지장염, 식도정맥류는 고위험 증상 발견에 위내시경 검사가 필요하다. 응급 의학과 검사로 발견되지 않기 때문에 이 종류의 질환으로 의심될 경우 빠르게 외과로 전과 해서 위내시경을 찍어보는게 필요하다. * {{{#!wiki style="display: inline; background: crimson;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5px;" {{{#fff '''복부 외상'''}}}}}} 구급차를 타고 들어온 외과 외상 환자의 경우 TC에서 고위험 증상을 모두 잡고 FAST를 찍으면 진단이 된다. 빈맥이 있는 경우가 가끔씩 있으니 '''신체 검사 > FAST 초음파 > 심장 모니터링''' 순서로 진행 후 올려보내면 된다. 대부분 응급 수술이므로 집중치료실에 바로 올릴 필요는 없지만 수술 대기를 미리 잡아둘 것. * {{{#!wiki style="display: inline; background: crimson;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5px;" {{{#fff '''외분비성 췌장기능부전증'''}}}}}} 이 카테고리가 따로 있는 이유는 이 질병은 고위험이며 최소 일반혈액 검사를 해야 실마리가 잡히는 질환이라 발견하기 어렵고, 쇼크 증상이 심계항진 -> 심부전이기 때문에 순환기 담당으로 오해하기 쉽기 때문이다. 심근염, 심내막염을 배제했다면 임시 진단을 내려서 치료법을 미리 적용해봐야 한다. === 질병 === || A형[[간염]][*DLC 감염내과 통합] || 간염은 간염 바이러스에 의한 감염입니다. A형간염 바이러스는 대변을 통해 퍼지고 보통 위생이 나쁜 지역에서 발생합니다. || || B형[[간염]][*DLC 감염내과 통합] || 간염은 간염 바이러스에 의한 감염입니다. B형간염 바이러스는 혈액, 성 접촉 또는 보균자 어머니로부터 전염됩니다. || || [[외분비성 췌장기능부전증]] || 췌장기능부전증은 췌장이 충분한 기능을 발휘할 수 없을 정도의 손상을 받았을 때 발생합니다. 소장에서 정상적인 영양분 흡수가 저하되어 영양결핍이 발생합니다. || || [[하시모토 갑상선염]] || 하시모토 갑상선염은 면역체계가 점차적으로 갑상선을 파괴하는 자가 면역질환입니다. || || [[갑상선 기능 저하증|갑상선저하증]] || 갑상선저하증은 갑상선이 제대로 기능하지 못하고 갑상선호르몬을 너무 적게 생성하는 질병입니다. || || [[갑상선 기능 항진증|그레이브스병]] || 그레이브스병은 갑상선이 갑상선 호르몬을 과도하게 생성하는 내분비질환입니다. || || [[식도염]] || 식도염은 흔히 산성 역류로 인해 발생하는 식도 점막의 염증입니다. || || 식도[[정맥류]] || 식도정맥류는 비정상적으로 커진 식도 내의 정맥입니다. 보통 기존의 간 질환으로 인한 문맥압 항진(문맥고혈압)이 원인이 됩니다. || || [[헬리코박터균]] 감염 || 헬리코박터균은 상부 위장관에 존재하는 세균이며 소화성 궤양의 주요 원인이 됩니다. || || [[궤양|소화성궤양]] || 소화성궤양은 위장, 십이지장 또는 식도 내벽에 있는 개방성 병변입니다. 일반적으로 헬리코박터균 또는 장기간의 과도한 비스테로이드항염증제(NSAIDs)의 사용으로 발생합니다. || || [[위염]] || 위염은 위장의 침식이나 염증입니다. 나쁜 영양 섭취, 과도한 알코올 사용, 일부 약물의 과다 복용에 의해 발생합니다. 치료는 양성자펌프억제제(proton pump inhibitors, PPI)와 증상을 유발하는 알코올 또는 약물 중단으로 가능합니다. || || [[십이지장염]] || 십이지장염은 십이지장의 내벽의 염증입니다. 소장의 첫 번째 부분으로 길이 12인치이고 C자 모양으로 구부러져 있습니다. || || [[충수염]] || 충수염은 충수가 막히고 부어오르게 되는 감염입니다. 충수 파열 시 치명적일 수 있으므로, 충수절제술은 가장 흔한 복부 수술 중 하나입니다. || || [[크론병]] || 크론병은 위장관 전체에 영향을 미치는 염증성 장 질환입니다. 정확한 원인은 알려지지 않았지만, 유전적, 환경적, 자가면역적 요소가 있다는 것은 분명합니다. || || [[궤양성 대장염|궤양성대장염]] || 궤양성대장염은 대장 내에 궤양을 생성하는 염증성 대장 질환입니다. 정확한 원인은 알려지지 않았지만, 유전적, 환경적, 자가면역적 요소가 있다는 것은 분명합니다. || || [[과민성대장증후군]] || 과민성대장증후군은 장기적 치료를 요구하는 만성 위장 장애입니다. 전염성이 없으며, 식이요법과 약으로 보통 증상을 완화시킬 수 있습니다. || || 세균성 [[장염]] || 세균성 장염은 대부분의 경우 며칠 동안 지속되는 위장병입니다. || || [[장누공]] || 장누공은 두 개의 빈 공간 사이의 비정상적인 해부학적 연결입니다. || || 원발[[복막염]] || 원발복막염은 복막(복벽 내측과 장기를 덮는 막)의 세균성 감염입니다. 상태를 방치하면 거의 항상 치명적입니다. || || [[간경화|간섬유증]] || 간섬유증은 간에서 생긴 흉터 조직의 축적을 나타냅니다. 흉터 조직은 바이러스, 세균, 영양실조 또는 알코올 중독 등으로 인해 만성적인 염증 혹은 다른 간 질환의 결과일 수 있습니다. 치료하지 않으면 간경화증을 유발합니다. || || [[간경화|간경화증]] || 간경화증은 장기적인 손상으로 인한 간기능부전 상태입니다. 정상적인 간 조직은 흉터 조직으로 대체됩니다. || || [[담석]]증 || 담석이라고도 불리는 담석증은 보통 담낭에서 형성된 빌리루빈, 담즙산, 칼슘으로 만들어진 혼합물입니다. 담석은 보통 증상을 일으키지 않지만, 담관을 막으면 여러가지 심각한 상태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 || [[담낭염|급성담낭염]] || 급성담낭염은 보통 담석으로 담관이 막힘으로 인해 담낭에 발생하는 염증과 감염입니다. || || [[담관염]] || 담관염은 보통 십이지장에서 올라오는 세균에 의해 발생하는 담관의 감염입니다. 일반적으로 담석에 의해 담관이 부분적으로 막혔을 때 발생합니다. || || [[췌장염#s-3.1|급성췌장염]] || 급성췌장염은 췌장의 염증으로 일반적으로 담석에 의한 막힘 또는 과도한 알코올 중독에 의해 발생합니다. || || [[셀리악병|복강질환]][*번역오류] || 복강질환은 면역체계가 밀, 호밀, 보리에 존재하는 식이성 글루텐에 반응하는 자기 면역 질환입니다. 반응은 소장에서 염증을 일으켜 영양소의 흡수를 방해합니다. || || [[사구체신염]] || 사구체신염 또는 토리콩팥염은 신장의 여과 부위인 사구체에 생기는 염증입니다. 감염이나 자가면역에 의해 발생합니다. || || [[급성 간질성 신염|간질성신염]] || 간질성신염 또는 사이질콩팥염은 신장 간질 조직에 발생한 염증입니다. 감염이나 약물에 대한 부작용으로 인해 발생합니다. || || [[신우신염]] || 신우신염은 신장의 염증으로, 일반적으로 요로를 통해 상행성으로 올라온 세균에 의해 발생합니다. || || [[신부전#s-2|급성신부전]] || 급성신부전은 효과적으로 혈액을 여과하고 소변을 생성하는 신장의 기능이 급작스럽게 상실된 것을 말합니다. 원인은 많을 수 있지만 보통 광범위한 조직 손상이나 신장 혈류량 감소로 발생합니다. || || [[만성신부전증|만성신장병]] || 만성신장병은 신장 기능이 점진적으로 감소하는 것을 말합니다. 가장 흔한 원인은 치료되지 않은 당뇨병입니다. || || [[신장결석|신장결석증]] || 요로결석 중 하나인 신장결석증은 보통 칼슘의 응고로 발생합니다. 결석은 보통 요로를 통해 스스로 통과하지만 극도로 고통스러울 수 있습니다. || || [[요관결석|요관결석증]] || 요로결석 중 하나인 요관결석증은 보통 칼슘의 응고로 발생합니다. 결석은 보통 요로를 통해 스스로 통과하지만, 때로는 요로관에 걸릴 수 있으며 극도로 고통스러울 수 있습니다. || || 방광[[결석]]증 || 방광 내에 농축된 소변의 석화작용으로 인해 방광결석이 형성될 수 있습니다. 소변의 흐름이 좋지 않은 경우에만 증상이 나타납니다. || || [[요로감염증|급성방광염]] || 방광염은 보통 대장균에 의한 방광 감염으로, 대장균은 위장관(GI)에서 흔히 발견되는 세균의 한 종류입니다. 요로가 짧은 여성들에서 100배 더 흔히 발생합니다. || || [[간질성방광염]] || 간질성방광염은 고통스러운 방광증후군으로도 불립니다. || || [[간]] [[외상(의학)#s-3.1.2|열상]] || 간 열상은 물체가 신체의 조직을 관통하고 간을 찢을 때 발생합니다. || || 간 [[외상(의학)#s-3.1.7|좌상]] || 간 좌상은 상복부의 신체적 외상으로 인해 발생합니다. || || 둔기성 비장파열 || 둔기성 비장파열은 충격, 부상 또는 물리적 공격에 의해 발생하지만 개방성 상처는 없습니다. || || 관통된 비장파열 || 관통된 비장파열은 물체가 상복부 피부를 관통하여 개방성 상처와 비장 손상을 입힐 때 발생합니다. || || [[비장]] 좌상 || 비장 좌상은 상복부에 직접적으로 충격을 가한 후 비장에 멍이 들었을 때 발생합니다. || || [[췌장]] 좌상 || 췌장 좌상은 상복부에 직접적으로 충격을 가한 후 췌장에 멍이 들었을 때 발생합니다. || || 둔기성 췌장열상 || 둔기성 췌장열상 충격, 부상 또는 물리적 공격에 의해 발생하지만 개방성 상처는 없습니다.. || || 관통된 췌장열상 || 관통된 췌장열상은 물체가 상복부 피부를 관통하여 개방성 상처와 췌장 손상을 입힐 때 발생합니다. || || [[콩팥|신장]] 열상 || 신장 열상은 충격, 부상 또는 물리적 공격에 의해 발생하지만 개방성 상처는 없습니다. || || 신장 좌상 || 신장 좌상은 상복부에 직접 충격을 가한후 신장에 멍이 들었을 때 발생합니다. || || 용혈성 요독증 증후군(HUS) || 용혈성 요독증 증후군(HUS)은 신장 내 작은 혈관이 손상되어 염증이 생기는 질환을 말합니다. 대부분의 경우 대장균의 감염이 원인입니다. || || [[캄필로박터|캄필로박터 감염증]] || 캄필로박터 감염증은 대부분 캄필로박터 제주니에 의해 발병되는 감염증으로 종종 음식을 통해 전파되는 질병입니다. ||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Project Hospital, version=386)][[분류:Project Hospit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