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Project Hospital/부서)] [include(틀:Project Hospital 부서)] [목차] == 개요 == [[파일:Project Hospital 감염내과 격리구역.jpg]] [[파일:Project Hospital/감염내과.png]] {{{+1 [[감염내과]](Department of Infectious Disease)}}} 감염내과 DLC 에서 추가된 부서. 감염병에 대한 전문과이다. [[COVID-19]] 환자 대량 발생등 최근의 판데믹 상황이 재현되어 있다. 기존 감염병들이 감염내과로 통합되며, COVID-19 외에도 [[메르스]]나 [[사스]], [[말라리아]], [[에볼라]] 등의 심각한 감염병 역시 다루고 있다. == 상세 == 기존의 자유 구역, 직원 전용 구역, 환자 제한 구역에 생물재해 구역이 새로 생겼다. 이곳에서 직원은 마스크와 장갑을 쓰고 다녀야 한다. 생물재해 구역은 환자가 이용할 수 없으므로 주의할 것. 고위험 병동 대신 격리 병동이 생기며[* 격리 병동은 일반적인 고위험 병동과 다르게 차지하는 공간이 많으므로 설계 단계에서 이를 특별히 고려해야 한다. 또한 평소 부하가 적기 때문에 감염병 이벤트를 쓰지 않을 생각이라면 6개 정도만 준비해놔도 된다.], 새로운 구급차 종류도 하나 추가한다.[* 기존 구급차와 기능적으로 다른 것은 없다.] 감염된 환자를 제대로 격리하지 못할 경우[* 감염성이 높은 질병을 가진 환자가 일반 병실에 입원될 경우에 병원내 감염 이벤트가 발생한다.] 직원들이 감염될 수도(!) 있다.[* 직원이 감염될 경우 해당 직원의 만족도가 매우 낮아지게 되고, 모든 직원이 마스크와 장갑을 쓰고 다니며 전체적인 효율이 떨어진다.] 직원을 감염 시킬 수 있는 환자는 질병명 밑에 '''전염성이 매우 강합니다!''' 라는 경고가 뜨게 된다. 격리되는 환자는 이송시에도 들것에 보호 장비를 두르고 이송한다. 감염 내과를 열게 되면, 가끔씩 격리 구역에 격리되어야 할 환자를 일반 병동으로 보내서 원내 감염 이벤트를 일으킨다.[* 격리 병동 입원을 그냥 누르는 것은 효과가 없다. 격리가 필요한 질병의 진단을 내려놔야 격리 병동으로 입원하게 된다. 반대로 격리가 필요하지 않은 환자를 격리 시키는 경우도 있다.] 병원내 감염 이벤트가 3일동안 지속되므로, 직원들은 전염병을 달고 살게 된다. 감염된 직원은 역병 의사 마스크를 사진 옆에 띄운다.[* 병원 위신 감소가 별 1개 정도로 크기 때문에 이를 이벤트로 만회하는 방법등을 염두에 둘 필요가 있다.] 또한 코로나-19 대량 발생 이벤트의 경우 코로나-19와 경증 환자가 10~20명씩 몰려온다. 충분한 수의 격리 병실과 의료진이 없으면 의료 붕괴라는 것이 무엇인지 직접적으로 체험할 수 있다.[* 격리 병동만 확충한다고 되는 것이 아니라, 쓰러져서 집중치료실로 들어가는 환자도 확 늘어나기 때문에 집중 치료실 여유를 봐야 한다.] 과 특성상[* 기본 진단 확실성이 높음으로 되어 있고, 확진에 혈액 검사를 필수적으로 해야만 한다. COVID-19을 포함한 심각한 전염성 질병의 경우 RT-PCR나 [[ELISA]]를 하게 되는데 이것도 혈액학 검사실 담당이다.], 혈액학 검사를 엄청나게 많이 돌린다. 큰 병원의 경우 대형 혈액학 연구실에 10명의 직원이 상주해도 14개의 검사가 밀리는 무시무시한 부하를 자랑한다. 그래서 업데이트로 감염내과 전용 혈액학 검사실을 열 수 있게 변경되었다. 또한 이런 특성 때문에 감별진단이 매우 유용하다.[* 검사는 기본적으로 시간이 오래 걸리며, 엄연히 진단검사의학과에 부하가 걸린다. 이렇게 부하가 쌓이기 시작하면 정작 급할때 검사가 빠르게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으므로, 빠르게 진단을 확정할 수 있는 감별진단을 적시에 사용해야 한다.] 전체적인 난이도는 ~~코로나 이벤트를 제외하면~~ 높진 않은 편이며, 구급차로 들어오는 환자는 주로 [[광견병]], 니파 바이러스, 페스트 환자다. Happy Life 라는 감염내과 전용 보험회사가 존재한다. 감염내과 번역 개선 모드를 설치하고 플레이 하는것을 권장한다. [[https://steamcommunity.com/sharedfiles/filedetails/?id=2293883454|#]] === 중환자 관리 === * {{{#!wiki style="display: inline; background: crimson;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5px;" {{{#fff '''중위험 질환'''}}}}}} 심한 발열 등을 가지고 있으며, 주 질환은 고위험이 아닌 경우으로 보일 경우 탈진등의 증상만 처리해주면 된다. 단, '''장티푸스'''가 의심될 경우 전염병 이벤트를 보고 싶지 않다면 무턱대고 일반 병동으로 입원시키지 말 것. * {{{#!wiki style="display: inline; background: crimson;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5px;" {{{#fff '''출혈열 질환'''}}}}}} 에볼라, 마르부르크, 황열, 라싸열등 출혈열이 발생하는 질환의 경우 격리 여부와 각 치료법이 다르므로 확진을 제대로 내리는 것이 제일 중요하다. 기본 검사를 모두 진행하고 감별진단을 최대한 활용하자. * {{{#!wiki style="display: inline; background: crimson;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5px;" {{{#fff '''호흡기 질환'''}}}}}} 사스, 메르스, 코로나등 주로 호흡기로 발생하는 질환의 경우 내과 질환을 배제할 필요가 있다. 이런 질환도 진단이 중요하므로 감별진단을 잘 활용해야 한다. * {{{#!wiki style="display: inline; background: crimson;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5px;" {{{#fff '''기타 고위험 질환'''}}}}}} 격리가 필요하지 않은 질병의 경우 처치팀이 잘 돌아가고 있다면 신경을 쓰지 않아도 된다. === 질병 === * 타과 통합 질병 || [[인플루엔자 A|인플루엔자 A형]] || || [[A형 간염]] || || [[B형 간염]] || || [[콜레라]] || || [[장티푸스]] || || [[결핵]] || || [[인수공통전염병#s-2.3|야생토끼병]] || || [[탄저병|폐 탄저병]] || || 쥐물음열 || || [[인수공통전염병#s-2.5|고양이 찰상병]] || || [[백일해]] || || [[레지오넬라|리지오넬라]] || || [[발진티푸스]] || || [[샤가스병|미국 트리파노소마증]] || || [[톡소포자충|톡소플라즈마병]] || || 바베시아 || || [[라임병]] || || [[볼거리]] || || [[광견병]] || * 감염내과 DLC 고유 질병 ||
아나플라즈마증 || 아나플라즈마감염증은 진드기에 의해 전파되는 아나플라스마 파고사이토필룸에 의해 발생합니다. || || [[인수공통전염병#s-2.2|엘리히증]] || 엘리히증은 아나플라즈마증과 매우 연관이 높은 감기 같은 질병입니다. 이 또한 진드기에 의해 전파됩니다. || || 부토뇌즈열 || 부토뇌즈열은 [[리케차]] 코노리로 인해 발생된 리케차 감염병에 의한 열로, 개의 진드기로 전염됩니다. 이 질병은 주로 지중해 유역, 중동, 인도 아대륙 및 아프리카에서 발생합니다. || || [[록키산 홍반열|로키산 홍반열]] || 다양한 진드기(개참진드기, 로키산 숲진드기, 갈색개 참진드기)에 의해 전파되는 리케차 리케치에 의한 박테리아성 질병입니다. || || 콜로라도 진드기 열 || 로키산 숲진드기에 의해 전파되는 바이러스 감염으로, 증상은 로키산 홍반열과 비슷합니다. || || 태평양 연안 진드기 열 || 리케차 필리피에 의해 발생하는 박테리아성 질병으로, 태평양 연안 진드기에 의해 전파됩니다. || || 아프리카 진드기열 || 아프리카 진드기열 - ATBF는 리케차아프리카에 의한 발생되는 박테리아성 감염으로 진드기에 의해 전파됩니다. 이 질병은 사하라 사막 이남의 아프리카, 캐리비안 및 오세아니아에서 발병합니다. || || 퀸스랜드 진드기 티푸스 || 퀸스랜드 진드기 티푸스의 원인처는 리케차 오스트레일리아 바이러스입니다. 이 질병은 태즈메이니아를 포함한 호주 동부에서만 발병합니다. || || 플린더스 섬 홍반열 || 플린더스 섬 홍반열은 리케차 호네이에 의해 발생하며, 이 질병은 주로 동남아시아와 남아시아 및 호주에서 발병합니다. || || 일본 홍반열 || 일본 홍반열은 주로 일본 남서부와 중부 태평양을 따라 따뜻한 지역에서 발병합니다. 이 질병은 리케차 자포니카에 의해 발생하며, 진드기에 물려 전염됩니다. || || TIBOLA || 진드기 매개 림프샘 장애(TIBOLA)는 진드기를 매개로 한 리케차병으로 중앙 유럽에서는 비교적 흔한 질병으로 리케차 슬로바카에 의해 발생합니다. || || 리케차폭스 || 리케차폭스는 진드기를 매개로 한 전염병으로 리케차 아카리에 의해 발생되며 생쥐의 진드기에 의해 주로 전파됩니다. || || [[인수공통전염병#s-2.6|브루셀라증]] || 브루셀라증은 브루셀라과의 박테리아에 의해 발생하는 전염성이 매우 강한 질병이며 살균되지 않은 우유나 설익은 육류의 섭취로 인해 전파됩니다. || || [[치쿤구니야]] || [[치쿤구니야 바이러스]] 감염병은 감염된 모기에 물려 확진됩니다. 또한 아직 백신이 개발되지 않았습니다. || || [[큐열]] || 큐열은 코시엘라 버네티에 인한 질병으로 소, 양, 염소, 고양이, 개 등 다양한 동물에 의해 전파됩니다. 박테리아는 세포 내 기생충으로 숙주 세포 안에서 성장과 번식이 가능합니다. || || [[뎅기열]] || 뎅기열은 열대성 질환으로 감염된 모기에 물려 전염됩니다. || || [[지카 바이러스|지카열]] || 지카열은 열대성 질환으로 지카 바이러스에 의해 발생되며 에데스모기에 의해 전파됩니다. || || [[에볼라]] || 에볼라 바이러스는 치명적인 바이러스 출혈열입니다. 에볼라 바이러스에 의해 발생하며, 감염된 체액과 직접 접촉하여 전파됩니다. || || [[말라리아]] || 말라리아는 말라리아 원충 무리의 기생충에 의해 발생하는 열대 전염병입니다. 이 질병은 감염된 모기에게 물려 전파됩니다. || || [[황열]] || 황열은 감염된 암컷 모기에게 물려 전파되는 열대 바이러스성질환입니다. 이 질병은 황열 바이러스에 의해 발생하며 플라비비리대과의 RNA 바이러스로 뒤덮여있습니다. || || 웨스트나일열 || 웨스트나일열은 [[웨스트나일 바이러스]]에 의해 발생하는 감염으로 이 질병은 감염된 모기에 의해 전파됩니다. 대부분의 환자들이 증상을 보이지 않습니다. 이 바이러스는 1937년 우간다에서 발견되었습니다. || || [[라싸열|라사열]] || 라사 출혈열로도 알려진 이 질병은 라사 바이러스에 의해 발생하여 아프리카 쥐에 의해서만 전파됩니다. || || [[마버그열|마르부르크]] || 마르부르크 바이러스병은 인간과 비인간 영장류에게서 발병할 수 있는 치명적인 질병입니다. 마르부르크 바이러스 또는 레이븐 바이러스에 의해 발생합니다. || || [[렙토스피라증]] || 렙토스피라증은 렙토스피라 박테리아에 의해 발생되는 혈액 감염으로 특히 설치류에 의해 전파됩니다. || || [[클로스트리듐 디피실리]] 감염 || 클로스트리듐 디피실리 감염은 독소 생성 박테리아에 의해 발생됩니다. 치명적일 수 있습니다. || || 밸리열 || 콕시디오이데스 진균증으로도 불리는 밸리열은 미국 서남부, 멕시코, 그리고 중앙 및 남아메리카의 토양에 사는 콕시디오이데스 곰팡이로 인한 감염입니다. || ||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 코로나바이러스-2에 의해 발생하는 질병으로, 호흡기 감염에 의해 전파됩니다. 2019년 12월, 중국 우한에서 처음 발견된 이 질병은 전 세계로 확산되어 1918년 스페인 독감 유행 이후 가장 큰 전염병을 일으켰습니다. || || [[메르스]] || 낙타 감기로도 알려져 있는 메르스 - 중동호흡기 증후군은 메르스 코로나바이러스에 의해 발생하는 전염성이 강한 바이러스성 호흡기 감염증입니다. || || [[사스]] || 사스 - 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는 사스 코로나바이러스로 인해 발생하는 바이러스성 호흡 질환입니다. 첫 번째 발병은 2002년 11월과 2003년 7월 사이에 중국 남부에서 발생했습니다. || || 호흡기 크립토스포리디오시스증 || 크립토스포리디오시스증은 크립토스포리듐이라는 원생동물 기생충에 의해 발생하는 기생충 질병입니다. 호흡기와 소화관에 영향을 미칩니다. || || 창자 크립토스포리디오시스증 || 크립토스포리디오시스증은 크립토스포리듐이라는 원생동물 기생충에 의해 발생하는 기생충 질병입니다. 호흡기와 소화관에 영향을 미칩니다. || || [[한타바이러스]] || 한타바이러스 폐증후군(HPS)는 심각한 바이러스성 호흡기 질환으로 설치류에 의해 전파된 한타바이러스에 의해 발생합니다. || || [[노로바이러스]] || 겨울철 구토 질병으로도 불리는 노로바이러스는 설사와 구토를 유발하며 전염성이 매우 강한 바이러스입니다. 감염된 사람은 수십억 개의 노로바이러스 간접 전이 입자를 퍼트릴 수 있습니다. || || [[로타바이러스 A형]] || 로타바이러스 A형은 전염성이 매우 강하며 물설사를 일으킵니다. 최고의 예방은 백신입니다. || || 멜리오이도시스 || 휘트모어병으로도 불리는 멜리오이도시스는 부르콜데리아 슈도말라이로 발생하는 전염병으로 동물과 오염된 토양 및 물에 의해 전염됩니다. || || 호흡기세포융합바이러스 || 호흡기세포융합바이러스로 알려진 이 세포융합바이러스는 호흡기 감염을 일으킵니다. || || 림프구성 맥락수막염 || 림프구성 맥락수막염은 설치류에 의한 바이러스 감염병으로 림프구성 맥락수막염바이러스에 의해 발생하며 흔히 생쥐에 의해 전파됩니다. || || [[페스트|서혜 임파선종 페스트]] || 서혜 임파선종 페스트는 예르시니아 페스티스에 의해 발생되는 3가지 페스티스 중 하나로, 소형 동물에 사는 감염된 벼룩에 의해 전파됩니다. || || [[페스트|패혈성 페스트]] || 패혈성 페스트는 예르시니아 페스티스에 의해 발생되는 3가지 페스티스 중 하나로, 소형 동물에 사는 감염된 벼룩에 의해 전파됩니다. 3가지 페스티스 중 가장 희귀하며 감염 시 특히 혈액에 영향을 미칩니다. || || [[페스트|폐렴성 페스트]] || 폐렴성 페스트는 예르시니아 페스티스에 의해 발생되는 3가지 페스티스 중 하나로, 소형 동물에 사는 감염된 벼룩에 의해 전파됩니다. 폐렴성 페스트는 폐 감염을 일킵니다. || || 니파 바이러스 || 니파 바이러스 감염은 헤니파바이러스 속 RNA 바이러스에 의해 발생되는 심각하고 잠재적으로 치명적인 질병입니다. 사람들 사이에 전파되며 동물에서 인간으로 전염될 수도 있습니다. || || 리프트밸리열 || 리프트밸리열(RVF)은 바이러스 질병으로 동물의 체액을 통해 전염되는 리프트밸리열 바이러스로 발생합니다. || || 재귀열 || 재귀열은 보렐리아 속 박테리아 무리에 의해 발생하는 전염성 매개 질환으로, 이 또는 물렁진드기를 통해 전염됩니다. || || [[바이러스성 간염#s-6|급성 E형 간염]] || E형 간염은 E형 간염 바이러스에 의해 발생하는 간염입니다. A형 간염과 비슷하게 전염되지만, 바이러스는 A형 간염과 관련이 없습니다. 1955년에 처음 기록되었지만 바이러스는 1983년에 처음으로 격리되었습니다. || || [[인플루엔자 A#s-3.1|조류독감(H5N1)]] || 인플루엔자 A형 바이러스 - 서브타입 H5N1은 고병원성 조류독감입니다. 인간에게 전염되는 경로는 오직 조류에 의해서입니다. 세계 최초의 확산은 2004년에 기록되었습니다. ||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Project Hospital, version=386)][[분류:Project Hospit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