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Production I.G]] [include(틀:토론 합의, 토론주소1=GiganticDistinctHumorousTooth, 합의사항1=우익 주장 문단을 삭제하고 우익 관련 서술은 하이큐 3기의 욱일기 사건만 서술하기)] ||<-2> {{{#000000,#e5e5e5 {{{+3 '''주식회사 프로덕션 아이지'''}}}}}}[br]{{{#000000,#e5e5e5 株式会社プロダクション・アイジー}}}[br]{{{#000000,#e5e5e5 Production I.G, inc.}}} || ||<-2> [[파일:Production I.G 로고.svg|width=100%]] || || '''정식 명칭''' ||'''株式会社プロダクション・アイジー''' || || '''사업 내용''' ||극장 · 텔레비전 · 비디오 등 애니메이션 작품의 기획 제작 CG, 게임 소프트의 기획 제작 크리에이터 경영 저작권 등의 취득, 관리 및 판매 등 || || '''국가''' ||[[일본]] [[일본|[[파일:일본 국기.svg|width=22]]]] || || '''설립일''' ||[[1987년]] [[12월 15일]] || || '''대표자''' ||이시카와 미츠히사(石川光久)^^(대표이사)^^ || || '''직원수''' ||219명^^(2022.8)^^ || ||<|2> '''주소''' ||본사: [[도쿄도]] [[무사시노시]] 나카쵸 2-1-9[br]스튜디오: [[도쿄도]] [[무사시노시]] 나카쵸 2-1-9 || ||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プロダクション・アイジー, 너비=100%, 높이=100%)]}}} || ||<-2> {{{#!wiki style="margin: 0 -10px; color: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color: #ddd" || '''{{{#010101 법인형태}}}''' ||[[주식회사]] || || '''{{{#010101 자본금}}}''' ||1,000만 [[일본 엔|엔]] || || '''{{{#010101 매출}}}''' ||54억 1369만 7000 [[일본 엔|엔]]^^(2020.05)^^ || || '''{{{#010101 순이익}}}''' ||1억 8701만 6000 [[일본 엔|엔]]^^(2020.05)^^ || || '''{{{#010101 순자산}}}''' ||36억 8683만 3000 [[일본 엔|엔]]^^(2020.06)^^ || || '''{{{#010101 총자산}}}''' ||77억 0597만 4000 [[일본 엔|엔]]^^(2020.06)^^ || || '''{{{#010101 순자산}}}''' ||36억 8683만 3000 [[일본 엔|엔]]^^(2020.06)^^ || || '''{{{#010101 총자산}}}''' ||77억 0597만 4000 [[일본 엔|엔]]^^(2020.06)^^ || || '''{{{#010101 모기업}}}''' ||[[IG Port]] || || '''{{{#010101 그룹 회사}}}''' ||주식회사 [[맥 가든]] 주식회사 [[WIT STUDIO]] 주식회사 [[SIGNAL.MD]] 주식회사 링가 프랑카 Production I.G., LLC(미국법인) || || '''{{{#010101 홈페이지}}}''' ||[[https://www.production-ig.co.jp/|[[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5]]]][* 일본어][[http://www.production-ig.com/|[[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5]]]][* 영문] || }}}}}}}}} || [목차] [clearfix] == 개요 == [[파일:프로덕션 ig.jpg|width=400]] '''Production I.G 본사.''' '''회사 이메일: info@production-ig.co.jp''' [[일본]]의 [[애니메이션 제작사]]. [[회사]] 이름의 I.G는 사장인 이시카와 미츠히사(石川光久)와 부사장인 [[고토 타카유키]](後藤隆幸)의 성에서 따온 것이다. 작품을 직접 기획해서 주도해 만드는 원청 제작사로도 알려져 있으나 하청도 많이 하는 제작사이다. [[작화]], [[미술]], [[CG]] 하청을 많이 한다. == 역사 == === 설립 초기 === 1987년, [[타츠노코 프로덕션]]에서 자회사 형식으로 갈라져 나와 설립된 회사다. 타츠노코 프로덕션이 쇠락해 가면서 이시카와 미츠히사는 [[애니메이션]] 제작을 포기하는 상황이 되고 그 마지막 작품으로 만든 것이 [[붉은 광탄 질리온]]이다. 이 작품은 성공하고, 작품의 프로듀서를 맡았던 이시카와 미츠히사는 이때의 애니메이터를 놓치기가 아까워서 타츠노코 프로덕션과 [[교토 애니메이션]]으로부터 투자금을 받고 자회사 형식으로 'I.G 타츠노코'를 설립한다. 이후 1993년에 원만한 관계로 Production I.G로 사명을 바꾸고 완전 독립한다. 이시카와 미츠히사 본인은 타츠노코라는 이름을 포기하는 것을 서운해했다고 한다.[* 참고로 이시카와 미츠히사는 타츠노코 프로덕션의 창립자 요시다 타츠오의 셋째 딸과 [[결혼]]했다. 현재는 [[이혼]]했다.] 이렇게 인력을 빼돌려서 독립한 [[아시 프로덕션]], [[스튜디오 피에로]]와 달리 원만한 형태로 분사한 것이라 I.G는 타츠노코와 관계가 나쁘지 않다.[* 이시카와는 타츠노코 측에 "다른 회사에서 애니메이터 다 빼돌리는데 뭐하는 겁니까!"라고 화를 낸 적도 있다고 한다.] 설립 초기에는 주로 하청사로 활동했다. 특히 [[신에이 동화]] 하청이 많은데 회사 설립 초기 [[에스퍼 마미]]의 하청 에피소드의 평이 좋아 신에이 동화에서 좋아했고 이후로도 계속 일을 맡겨준다고 한다. [[도라에몽 극장판]]의 하청도 담당했으며 [[짱구는 못말려]]도 I.G 하청이 많았다. I.G에는 [[사다미츠 신야]], 히구치 요시노리(樋口善法) 같은 짱구 전담 연출가, 애니메이터 팀이 있었다. 다만 2014년부터 두 회사의 계약이 끊어지면서 중단되었다. 그 외에는 [[스튜디오 딘]], [[마루야마 마사오(1941)|마루야마 마사오]] 작품을 많이 했으며 [[기동경찰 패트레이버]] 시리즈의 OVA, 극장판 1의 하청으로 이름을 알렸다. [[기동경찰 패트레이버 극장판 2]]부터 스튜디오 딘을 제치고 원청 제작사로 선정되었다. 그리고 [[공각기동대]]가 극장 흥행에서는 실패했지만 작품성이 화제가 되면서 세계적으로 유명한 회사가 되었다. 의외로 처음으로 TVA의 제작원청을 맡은 것은 2001년으로 꽤 늦다. 회사에 작화 애니메이터는 많았지만 [[연출|연출가]]가 부족했기 때문이었다. 1990년대와 2000년대엔 주로 극장판을 중심으로 원청 제작을 했다. === 2010년대 이후 === [[도서관 전쟁]], [[너에게 닿기를(애니메이션 1기)|너에게 닿기를]], [[너에게 닿기를(애니메이션 2기)|너에게 닿기를 2ND SEASON]], [[동쪽의 에덴]] 등이 성공적으로 방영된 이후 어느 정도 회사가 커진 2011년부터는 여느 제작사들처럼 다작을 하기 시작한다. 그래도 1년 중 전력을 다하는 야심작 1편은 꼭 존재한다.[* 2011년은 [[길티 크라운]], 2012년은 [[PSYCHO-PASS]], 2013년은 [[취성의 가르간티아]], 2014년은 [[공각기동대 ARISE]] 시리즈, 2015년은 [[공각기동대 신극장판]], 2016년은 [[조커 게임]]이 해당된다.] 2011년 4분기 신작 [[길티 크라운]]의 경우 역시 Production I.G라고 할 수 있는 미칠 듯한 고퀄 작화와, 액션씬, 연출을 보여줬으나 스토리 부분에서 그 좋은 스토리 플롯과 소재를 분량조절 실패와 [[노이타미나|방송사]]의 1쿨 11화 스케줄 고집, 개연성 파괴 등으로 호불호가 극심히 갈리게 되었으나[* 까는 사람만큼 호평하는 사람도 많이 있다는 것이 그나마 다행이다.] 흥행은 성공했다. 2012년 2분기 큰 기대를 받지 못한 상태에서 애니화에 나섰던 [[쿠로코의 농구]]는 [[Blu-ray Disc|BD]]/[[DVD]] 판매량은 물론 원작 만화까지 '중간 정도의 판매량의 점프 연재작→간판작 중 하나'로 올라설 정도의 [[대박]]을 쳤고, [[PSYCHO-PASS]] 역시 여러 가지 아쉬운 점은 있었으나 [[수작#s-2]]이라는 평가를 받았다. 2012년 6월에 Production I.G 6과가 분사한, IG Port의 자회사인 [[WIT STUDIO]]가 설립된다. 2013년도의 신작인 [[취성의 가르간티아]] 또한 상당히 좋은 평가를 받고 있다. 2014년에는 [[하이큐!!/애니메이션|하이큐!!]]로 연속 홈런을 날린다. 2016년엔 [[일본]]에서 두번째[* 첫번째는 [[혈관고]].]로 [[한국]]산 [[웹툰]]인 [[노블레스(웹툰)|NOBLESSE]]의 [[노블레스: Awakening|애니화를 진행하고 있다.]] 좋은 작화로 호평을 받았다. 그리고 2016년 2분기 신작으로 [[조커 게임]]을 내놓았다.[* 배경 때문에 우익 논란이 있었지만 이 작품은 오히려 우익을 비판하는 좌익 작품이다.] 계열사인 [[WIT STUDIO]]도 포함해 [[넷플릭스]]와 작품들의 포괄적 업무 제휴를 체결했다. 그리고 B: The Beginning을 제작했다. 2010년대 말부터는 중요 기점일 PSYCHO-PASS 시리즈 신작들과 [[하이큐!! TO THE TOP]]의 흥행과 평가가 시원치 않아 이전의 위상을 찾지 못하고 있다. 다만 [[천국대마경/애니메이션|천국대마경]]과 [[괴수 8호/애니메이션|괴수 8호]] 등 화제의 만화들을 애니메이션화하고 [[달빠|골수팬이 많은]] Fate 시리즈의 [[Fate/Grand Order -신성원탁영역 카멜롯-]]을 제작하고 새로운 감독들의 발굴에도 나서면서 조금씩 부진을 극복하려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2022년부터 이전 Production I.G 6과 프로듀서이자 [[WIT STUDIO]]의 대표이사인 [[와다 죠지]]가 사장으로 초빙되면서 사실상 이전 I.G 6과가 제작체계의 메인이 되었다. 그래서인지 [[너에게 닿기를(애니메이션 3기)|너에게 닿기를 3기]]를 필두로 이전 I.G 6과에서 제작되었던 애니메이션 시리즈의 후속작 제작에 시동이 걸리고 있다. == 스튜디오 == 스튜디오가 따로 있다고 한다. 스튜디오 마다 작품별 색채가 크기 갈린다. == 특징 == === 작품 특징 === 가장 자신 있는 장르는 [[사이버펑크]]나 [[포스트 아포칼립스]]같은 [[디스토피아]] 장르. 특히 사이버펑크의 상징과도 같은 작품인 [[공각기동대]]가 이 제작사 작품이다. 2012년에 나온 [[PSYCHO-PASS]]도 좋은 평가를 받고있다. 아포칼립스 장르로 넘어가면 [[BLOOD-C]], [[길티 크라운]], [[취성의 가르간티아]] 같이 특유의 분위기를 매우 잘 살린 작품들을 제작하고 있다.[* 다만 취성의 가르간티아는 디자인적인 분위기는 살렸지만 스토리나 전체적인 분위기는 희망적이다.] [[스포츠]] 장르 만화도 활발히 제작하고 있다. [[부르잖아요, 아자젤 씨]], [[쿠로코의 농구]], [[토끼 드롭스/애니메이션|토끼 드롭스]], [[하이큐!!]] 등과 같이 만화를 원작으로 하는 작품과 상성이 좋다. 원작 코믹스 및 소설을 애니화할 경우에는 주로 [[코단샤]]나 [[슈에이샤]]에서 나온 작품을 애니화하는 경우가 많다. TV판에선 완결을 제대로 안 내고 극장판에서 완결을 내는 경우가 많다. TV판을 방영하고 극장판으로 추가 수익을 내는 회사는 많지만 다른 회사는 극장판 하나를 독립된 내용으로 내서 극장판만 봐도 이해할 수 있게 만드는 경우가 많은데 I.G는 TV판을 안 보면 이해할 수 없는 완결편을 극장판으로 내는 경우가 많다. 그래서 극장판 개봉 이전과 이후의 작품 평이 크게 바뀌는 경우가 많다. === 작화와 연출 === 소속 애니메이터의 실력이 뛰어난 것으로 유명하다. 특히 1990년대에는 올스타급 애니메이터가 모여있었다. 회사 대표이자 프로듀서 이시카와 미츠히사는 타츠노코 프로덕션에서 일하면서 [[황금전사 골드라이탄]]의 [[나카무라 타카시]]가 담당한 에피소드가 유독 뛰어난 것을 보고 "애니메이션은 애니메이터가 90%다."라는 생각을 했고 애니메이터를 대할 때도 정중한 태도로 대한다고 한다. 한 번 좋은 애니메이터가 모이니 그 다음부터는 알아서 실력있는 애니메이터가 배우러 모여들었다고 한다.[[https://animeanime.jp/article/2019/07/22/47064.html|#]] [[오시이 마모루]] 말로는 [[스튜디오 지브리]] 애니메이터하고도 같이 작업해 봤지만 I.G의 애니메이터가 더 실력이 뛰어나다고 한다. 프리랜서지만 I.G를 중심으로 활동하는 애니메이터도 많다. 다만 이시카와가 원하는 애니메이션의 수준이 너무 높아서 소속 애니메이터들은 많은 고생을 했다고 하며 떠나는 사람도 적지 않았다고 한다. 반대로 애니메이터 지상론을 주장하는 이시카와의 사상 때문에 회사에 연출가는 별로 없고 대부분 프리랜서로 기용했다. 설립 초기 작품이 대부분 극장판인 것도 연출가가 부족해서 그런 것이었다. 2010년대부터는 나이가 든 회사 소속 애니메이터가 연출을 하는 경우가 늘어나고 있으며 그에 따라 TV 애니메이션도 제작할 여력이 생겼다. 다만 실력있는 애니메이터라고 해서 반드시 연출을 잘 하는 건 아니기 때문에 이에 따른 부작용도 나타나고 있다.[* 예로는 애니메이터로는 최고라는 평을 받지만 연출을 하면 평범하다는 평을 받는 [[키세 카즈치카]], 연출 데뷔 초기에는 좋은 평을 받았지만 이후로는 좀 안 좋은 평을 받는 [[시오타니 나오요시]]가 있다.] 그래도 90년대 중후반 부터는 프리랜서로 섭외되는 연출가들의 수준이 매우 높으며, 이러한 연출가들을 프리랜서로 주로 기용하는 면모는 자회사 [[WIT STUDIO]]도 비슷하다. 전체적으로 사실적인 묘사가 특징이며, 움직임이나 인물 작화, 배경 미술까지 전부 실사에 가깝게 매우 섬세하게 그리고 있다. 실사 영화에서 볼 법한 기법이나 연출을 자주 사용하는 덕분에 연출 성향이 [[샤프트(기업)|샤프트]]와는 정반대다.[* 샤프트는 현실적이지 않고 과장되고 정적인 연출로 유명하다.] 이는 또 다른 [[IG Port]] 자회사인 [[WIT STUDIO]]에서 역시 잘 드러난다. 1990년대부터 2000년대 초반까지는 업계 원탑이라 불렸을 정도로 작화 면에서 뛰어난 평가를 받기도 했다. 그러나 점차 한 작품에 올인하여 퀄리티를 높이는 것보다는 여러 작품들을 동시에 수주하고 제작해 이익을 얻는 방식으로의 방향 전환이나 애니메이션 업계 전체의 퀄리티 상향 평준화 등과 맞물려 현 시점에서는 전성기보다 좋은 평가를 얻지 못하고 있다. [[고토 타카유키]]나 [[키세 카즈치카]] 등 중심 애니메이터가 고령화된 점이나 신예들 대부분이 WIT로 옮겨진 점 역시 크게 작용해 예전보다는 작화 수준이 좋지 못하다. 그러나 업계에서는 수준급이라는 평가는 무시하지 못한다. [[애니플렉스]] 계열 제작사 [[A-1 Pictures]]가 2013년 즈음부터 커지기 전까진 [[J.C.STAFF]]와 함께 [[노이타미나]] 작품을 가장 활발히 제작했다.[* [[노이타미나]]가 [[애니플렉스]] 주도하에 있다.] PSYCHO-PASS 3 제작과정에서 상당한 잡음이 일어나며 회사 재정에 여유가 없다는 점이 알려졌다. 여기에 코로나가 겹친 탓인지 하이큐 4기, 특히 15화에서 눈에 띄게 불안정했다. 작화 외에도 배경을 그리는 미술 역시 정평이 있고 다른 회사들보다 일찍 3D 배경을 도입하기도 했다. 예전부터 자체 미술 팀을 키웠기에 실력이 좋다. 때문에 다른 회사들 역시 배경은 I.G에 하청을 주는 경우가 많다. 이는 [[WIT STUDIO]]나 [[매드하우스]]가 대표적이다. 게다가 Studio Bamboo와도 연줄이 있어서 자체 미술팀이 포화상태면 Bamboo쪽에 하청을 넣는다. 특히 [[타케다 유스케]]가 I.G나 WIT 등의 I.G Port 계열사 작품을 많이 참여한다. 스포츠 장르를 많이 만드는 편이다. 스포츠는 작화로 표현하기 어려운 장르인데 I.G는 이쪽 전문 애니메이터가 많이 소속되어 있다. 스포츠 애니메이션이 워낙 만들기 힘들어서 큰 기대를 하면 눈에 차지 않을 수도 있으나 다른 회사의 스포츠 애니메이션과 비교하면 움직임도 많이 넣고 괜찮게 만드는 걸 알 수 있다. === 게임 [[징크스]] === 애니메이션 팬들에게 명성 자체는 높은 제작사이지만, 이상할 정도로 게임의 애니메이션화만 맡으면 혹평을 받는 징크스가 있다. 이는 2020년대에도 진행형이다. 인기 RPG [[테일즈 오브 시리즈]]에서는 초창기부터 쭉 오프닝 영상과 애니메이션 파트를 맡아오다가 [[테일즈 오브 그레이세스]]의 애니 파트를 대충 만드는 바람에 [[ufotable]]한테 일감을 뺏기는 굴욕(?)을 겪었다. 덕분에 게임 팬들 사이에서 예전의 명성은 어디로 가고 몰락했냐는 얘기도 들었다는 모양.[* 그래서인지 최근까지 [[Robotics;Notes/애니메이션|Robotics;Notes]]를 제외하면 게임이 원작인 애니메이션 제작을 안 하는 상황이다.] 게다가 [[헤일로 레전즈]] 제작에 참여하기도 했었는데, 듀얼 편에서는 [[사무라이]]물 풍의 작화를, 홈커밍 편에서는 일본식 [[모에]] 그림체로 로컬라이징하여 개성을 부여했다. 다만 홈커밍 편에서 Production I.G라고는 도무지 납득할 수 없는 저 퀄리티의 동화와 작붕으로 충격을 선사하기도 했다. [[전국 바사라/애니메이션|전국 바사라]]에서는 수준 높은 작화 퀄리티와 액션신 등으로 호평받았지만, 캐릭터 분배 실패와 소소한 부분에서의 개연성 부족으로 나름 비판받았었다. 그래도 BD 판매량은 1기 8500장, 2기 1만장 대로 성공하였으며, [[텔레콤 애니메이션 필름]]에서 제작하게 된 후속작 [[전국 바사라 Judge End]]가 폐기물급 평가를 받으면서 나름의 훌륭함을 재평가받게 되었으며 [[전국 바사라 4]]에서는 애니메이션 컷신을 IG에서 다시 맡게 되었다. 그러나 2012년에 다시 게임 원작 작품인 [[Robotics;Notes/애니메이션|Robotics;Notes]]를 제작했는데, 애니플렉스의 지원을 받고도 노이타미나 특유의 분량문제와 겹쳐서 급전개가 이루어졌고, 동분기 경쟁작들이 워낙 강력해서 조용히 묻혀 버렸다. BD 판매량도 1000장대로 폭망. 이후로는 한동안 게임 관련 작품에는 손도 대지 않는 중이였다. 이후 JRPG의 신흥강호라 불리는 페르소나 시리즈의 신작 [[페르소나 5]]의 애니 파트의 일부분을 맡게 되었는데 이번엔 다행으로 게임의 높은 완성도 덕에 대호평을 받으며 흥행에 성공했으나, 본격적인 [[페르소나 5 the Animation|페르소나 5 TVA판]]은 [[A-1 Pictures]]의 자회사인 [[CloverWorks]]에서 담당했다. 이후 [[Fate/Grand Order/애니메이션|Fate/Grand Order -신성원탁영역 카멜롯-]]의 제작 회사로 낙점되면서 다시 게임 원작 애니메이션 제작을 재개할 움직임을 보이고 있었지만, 이번에도 작화나 연출면에서 애매한 평가를 받으면서 아직은 징크스가 깨지지 않았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그나마 자회사가 제작하고 대부분 혹평을 내린 전편과 다르게 I.G가 직접 제작한 후편은 그나마 평이 좋아졌다는게 위안거리. === 정치적 성향 === 결론부터 말하자면 작품마다 편차는 있으나 '''공통적으로 좌우 막론하고 제국주의, 전체주의, 우경화에 비판적이다.''' [[공각기동대 SAC]]의 경우 내용을 까보면 일본 사회 비판과 풍자가 넘쳐나는 사회극 스타일인 데다가 작중 한국 묘사는 일본 제국주의를 극대화 시켜서 강점기 시절 모습을 미래적으로 재현해 놨으면서 제국주의를 옹호하기는 커녕 작품에서 '''제국주의 관련 요소를 작중 마지막에 끝장낸다.''' 그리고 감독인 [[카미야마 켄지]]는 공각기동대 전후로 꾸준히 일본 사회를 비판하는 작품을 만들어 온 것으로 유명하다. 게다가 작품에 따라서는 10대들을 주연으로 삼고 저항정신을 보여주는 작품들도 있다. 카미야마 켄지 감독의 다른 작품인 [[동쪽의 에덴]] 역시 [[니트족]]을 소재로 일본 사회를 강하게 비판하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길티 크라운]]의 경우는 세계관 소개에서 GHQ를 인용해서 오해의 소지가 있었으나, 작품이 진행되면서 GHQ 인용이 정치적인 의도는 없었다는 것으로 결론이 났으며, 작품의 감독인 [[아라키 테츠로]]가 인터뷰에서 GHQ의 일본 지배를 정당화하며 옹호하는 발언을 해서 극우들에게는 미운털이 박혔다. 제작사 역사적으로도 [[공각기동대 SAC]], [[PSYCHO-PASS]], [[동쪽의 에덴]], [[취성의 가르간티아]], [[조커 게임]], 고어물인 [[블러드 더 라스트 뱀파이어]] 시리즈 등이 일본이나 [[제국주의]], [[군국주의]] 등을 비판하는 모습을 보였다. 특히 이 제작사 소속 감독인 [[카미야마 켄지]]([[공각기동대 SAC]], [[동쪽의 에덴]] 감독)는 이런 요소에 비판적으로 유명하고 프로덕션 탄생에 관여했던 [[오시이 마모루]]의 사상에 경도된 애니메이터 들이 꽤나 많다. [[하이큐!! 세컨드 시즌]]에서는 오리지널 장면으로 [[윤동주]]의 [[서시(윤동주)|서시]]가 나왔다. 또한 [[은하영웅전설 Die Neue These|은하영웅전설 리메이크판]]을 제작한다고 발표하였을 때 이러한 회사 성향 덕분에 원작파괴가 안 일어날 것이고 오히려 좋은 방향으로 재해석 될 것이라는 기대를 한 사람들이 많았다. 그리고 --작화는 일단 둘째치고--[* [[지크프리트 키르히아이스]]의 작화가 [[아카시 세이주로]]가 떠오르게 하는 등등 작화 때문에 걱정하는 사람도 있었다. --보면 알겠지만 닮았다--] 내용면에서 문제시될 내용은 안나왔다. 구판 애니메이션과 비교하자면 동맹의 비중이 눈에 띄게 늘어났고 제국의 비중은 줄어들었다, [[제시카 에드워즈]]를 준주인공 급으로 격상시키고 원작에 없는 설정 및 대사까지 넣어서[* 우경화된 일본 사회에서는 불편하게 들릴 수 있는 대사들을 제시카 에드워즈는 거리낌없이 말했다.] 밀어줬다. 즉 제작사 역사적으로나 전체적으로는 오래전부터 꾸준히 반우익적 성향이 더욱 짙었던, 일본 애니메이션 업계에서도 특히 노골적인 반(反) 우익 성향의 제작사다. 이 회사는 '''일본에서 반일 제작사라 불리며 평점 테러를 당하는 작품이 한 둘이 아닐 정도로 우익에게 공격받는 제작사이다.''' 오히려 계속해서 작품에 정치적인 메세지를 넣으려고 하기 때문에 지속적으로 논란이 생기고, 우익이라는 억지 떡밥이 생기는 거라고 할 수 있다. 우익을 비판하려면 당연히 작중에 우익과 그 주장이 악역으로 나와서 어리석은 짓을 하고 그에 상응하는 심판을 받아야 한다. I.G 작품은 대부분 이런 식이다. 예외로 [[하이큐!! 카라스노 고교 VS 시라토리자와 학원 고교]]에서 욱일기를 연상시키는 문양이 등장해 논란이 된 적이 있다.[[https://theqoo.net/square/431213035|#]] 다만 하이큐는 I.G가 프로젝트를 주도하는 입장이 아니기 때문에 원작자나 제작위원회가 시키는 대로 만드는 입장이므로 I.G의 의도였는지는 불명이다. 오히려 2기에서는 반대로 [[윤동주]] 시를 가져오고, 원작의 욱광을 삭제하기도 했었다. [[하이큐!!/비판 및 논란]] 문서에서도 나와있지만, 이 건에 대해서도 어떤 의도인가에 대해서는 갑론을박이 오간다. 아무리 욱일기가 맥락없이 자주 나오는 게 일본의 현실이나, 한국 관련 내용을 넣을 정도로 한국을 잘 알면서 의심살 일을 한 건 아쉬운 부분. 그러나 회사의 작풍은 일본 '''[[자민당]]이 주도하는 우경화를 반대하고 있는 것은 분명하나''' 우익/좌익 등의 정치적인 입장은 감독에 따라서 변하는 경향이 있다. 우파적인 사례의 대표적인 예시로 [[쿠사나기 모토코]]나 [[츠네모리 아카네]] 같은 인물들은 사회적 변혁을 주도하는 인물로 그려진 적이 없고 치밀한 게획 없이 분출되는 대중의 혁명에 대해서는 위험성에 먼저 주목하며 대체로 국가와 기업의 지배에 대해서 필요성을 인정하며 내부의 모순을 고쳐나가는 것에 주력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젼형적인 보수주의자의 모습을 보여준다.[* 모토코의 경우 SAC 1화에서 이 세상에 정의 따위 없다는 범죄자에게 '''"세상에 불만이 있다면 자신을 바꿔라. 그게 싫다면 눈과 귀를 막고 입 다물고 고독하게 살던지.그것도 싫으면..."'''이라고 일갈한다.아카네는 최후에 시빌라 시스템의 진실을 맞닥뜨리면서도 결국 시빌라 시스템을 파괴하지 않는다.] 다만 보수적이되 수구적이지는 않아서 변화의 필요성에 대해서는 항상 느끼지만 대안이 없다는 현실의 벽이 [[사이버펑크]]라는 장르적 특징과 맞물려 만리장성 만큼 높게 그려지게 되고 주인공의 목숨을 건 여정 끝에 간신히 얻어지는 건 대체로 대부분의 사람들은 알아차리지도 못하는 수준의 작은 것들이다. 상당한 수준의 불의와 부정 위에 존재하는 현존하는 권위를 공리주의적 목적을 위해 부정하지 않으며 오히려 민중이나 대중, 혹은 개인들의 섣부른 전복 시도에 대해 단호한 모습을 보여주는 스토리들이 많다는 점에서 [[엘리트주의]]적 관점을 갖고 있다고도 할 수 있을 것이다. 사이버펑크 장르라는 공통점을 가지면서도 이 세계의 완전 밑바닥 인생들의 시선에서 세상을 바라보는 [[사이버펑크: 엣지러너]],[* 주인공인 데이비드가 속해'있는 사이버펑크와 같은 용병들은 아라사카, 밀리테크와 같은 대기업들의 개처럼 굴려진다.] 기업들의 야합과 견제 그리고 이에 파생되는 반인륜범죄를 노골적으로 보여주는 [[기동전사 건담 수성의 마녀]][* 프롤로그에서 GUND 기술과 이에 파생되는 GUND-ARM의 위험성을 부정한다는 이유로 연구진들이 몰살당했으며, 본편에서는 기업 총수 암살 모의, 인간개조, 용병을 이용한 테러 등의 반인륜범죄가 활발히 일어난다.]와 저 두 작품들을 비교해 본다면 해당 작품들의 보수적 관점을 더욱 잘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즉 공각기동대 SAC나 PSYCHO-PASS[* 1~2기 한정.] 시리즈 같은 작품들의 철학은 제국주의나 파시즘에 대한 가치판단이라는 기준으로 보았을 때에는 매우 진보적이라고 할 수 있지만 자본주의/사회주의를 나누는 기준에 있어서의 좌우익의 구분은 상당히 애매한 영역이 놓여있다고도 볼 수 있다. 그러나 이건 일부 작품에 불과하며, 모든 I.G작품이 그런 것은 아니다. [[길티 크라운]][* 길티 크라운은 위에서 좌익의 예시로 언급된 [[기동전사 건담 수성의 마녀]]의 각본가인 [[오코우치 이치로]]가 참여한 작품이다.]은 오히려 [[레지스탕스|권력과 체제에 대해 저항하는 세력]]과 [[전공투|민중]]을 주역으로 삼았으며, [[취성의 가르간티아]]는 기존의 파시즘에 대한 비판과 함께 자본주의와 엘리트주의에 기반한 체제에 대해서도 비판적이다. 심지어 그간 보수적인 접근을 했던 PSYCHO-PASS 시리즈도 [[츠네모리 아카네]]가 주인공이 아닌 [[PSYCHO-PASS 3|3기]]에서는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에 대한 비판, 이민 문제와 인종 차별을 다루는 등 좀 더 좌파적인 문제로 가고 있다.[* PSYCHO-PASS 3기는 완성도 자체에서 큰 혹평을 받았기 때문에 작품이 추구한 메세지나 방향성은 묻힌 편이다.] 때문에 모든 I.G 작품이 엘리트주의와 보수주의에 근거하지는 않고 이 경우는 감독에 따라 편차가 존재한다. 기본적으로 제작사 자체는 제국주의와 파시즘에 대해서 비판적이라는 틀 내에서 '''감독에 따라서 방향이 바뀐다고 볼 수 있다.''' 상술된 '''보수적인 관점의 이야기는 [[카미야마 켄지]], 모토히로 카츠유키 작품들에만 해당되는 내용이다.''' 위에서 언급한 [[쿠사나기 모토코]]도 [[공각기동대 ARISE]] 시리즈나 [[오시이 마모루]] 작품에서는 이런 면모가 크게 드러나지 않는다.[* 애초에 카미야마 켄지의 SAC는 '만약 모토코가 인형사를 만나지 않았다면?'이라는 가정을 토대로 만들어진 작품이다.] == 관련 인물 == * 감독 * [[오시이 마모루]] - [[공각기동대(극장판)|공각기동대 극장판]], [[기동경찰 패트레이버 극장판 2]]의 감독. I.G의 전성기라고 불리는 1990년대 후반 ~ 2000년대 초반을 이끈 감독 중 하나다. * [[카미야마 켄지]] - [[공각기동대 SAC]], [[정령의 수호자]], [[동쪽의 에덴]], [[낮잠 공주: 모르는 나의 이야기]]의 감독. * [[시오타니 나오요시]] * [[오키우라 히로유키]] - [[스튜디오 카라]] 소속이지만 작품 활동의 대부분이 이 회사 애니메이션이다. * [[니시쿠보 미즈호]] * [[노무라 카즈야]] * [[타다 슌스케]] * [[이타즈 요시미]] * [[카와사키 이츠로]] - I.G 타츠노코 출신이며 [[전국 바사라/애니메이션|전국 바사라]], [[샤이닝 하츠|샤이닝 하츠 ~행복의 빵~]] 등의 감독을 담당했다. 그 외에도 I.G 애니에 객원 연출가로 참가하는 경우가 많다. * [[카메이 칸타]] - [[토끼 드롭스/애니메이션|토끼 드롭스]], [[테일즈 오브 베스페리아 ~The First Strike~]]의 감독. [[모모와 다락방의 수상한 요괴들]]의 시각효과 담당. 프리랜서이지만 I.G 작품들에 콘티, 연출 그리고 시각효과로 다수의 작품들에서 활약한다. 시각효과 디렉터. * [[나카자와 카즈토]] - [[MAPPA]]와 I.G를 오가면서 작업하는 애니메이터. 감독. * [[후지사쿠 준이치]] * [[사다미츠 신야]] * [[미츠나카 스스무]] - 프리랜서이지만 이 회사 작품에 자주 참가한다. * [[와타나베 테츠아키]] * [[키쿠치 카츠야]] * 애니메이터 * [[고토 타카유키]] - 前 부사장. 현재는 이사. * [[니시오 테츠야]] - 이사. I.G 소속이지만 [[나루토]] 작가인 [[키시모토 마사시]]의 의향 때문에 다른 회사 애니메이션인 [[나루토]]와 [[보루토]]를 그리는 경우가 많다. * [[키세 카즈치카]] * [[치바 타카히로]] * [[타케우치 아츠시]] - 메카닉 디자이너 겸. * [[이마이 아리후미]] - 독립하고 프리랜서가 되어서 주로 WIT 작품들에 참여할 때가 많다. * [[아사노 쿄지]] - I.G 6과에 소속되었던 적이 있다. 2000년대~2012년까지의 IG 작품에서 작화감독으로 활약하였다. 2012년에는 [[WIT STUDIO]]로 독립했다. * 이시이 아키하루(石井明治) - [[테니스의 왕자]] 캐릭터 디자인으로 유명하다. 카나메 프로덕션을 거쳐 1990년대 중반부터 I.G에 소속되었다. 2010년대 중반이나 후반에 퇴사한 후 프리랜서가 되었다. 프리랜서이지만 I.G 작품에 자주 참여한다. * [[카이야 토시히사]] * [[아라키 료]] * [[시노다 토모히로]] * [[아오키 야스히로]] * [[사토 마사히로]] * [[마츠모토 켄고]] * [[미야자와 야스노리]] * [[스에토미 신지]] * [[오오타 카즈히로]] * [[타케우치 시호]] * [[오구라 노부토시]] * [[모리카와 사토코]] * [[사이토 타쿠야]] * [[호소고에 유지]] - 퇴사 후 프리랜서로 독립. * [[스기타 마루미]] * 프로듀서 * 이시카와 미츠히사(石川光久) - 대표이사. * [[나카타케 테츠야]] - 6과의 프로듀서를 담당한 적이 있다. 2012년부터 퇴사 후 [[WIT STUDIO]]를 설립했다. * 오오히라 마사시(大平将史) - [[우국의 모리아티/애니메이션|우국의 모리아티]], [[천국대마경/애니메이션|천국대마경]] 프로듀서. * [[와다 죠지]] - 6과 프로듀서 출신 및 [[WIT STUDIO]]의 대표이사. 2022년부터 I.G의 사장역도 맡고 있다. * 제작진행 * [[호리카와 켄지]] - 퇴사. == 작품 목록 == 디스토피아 장르는 ◆, [[노이타미나]] 작품은 ★, 스포츠 장르는 ◎, 그리고 좌익 성향 작품은 ※로 표시한다. ||<-5> [[파일:Production I.G 로고.svg|width=200]] || ||<-5> {{{#ffffff Production I.G 제작 작품}}} || || 년도 || 분기 || 제목 || 종류 || 감독 || ||<-5> {{{#ffffff 1980년대}}} || ||<|2><#000000> {{{#ffffff 1988년}}} || || || [[붉은 광탄 질리온]][* I.G 타츠노코라는 명의로 첫작품.] || OVA || [[니시쿠보 미즈호]] || ||<-5> {{{#ffffff 1990년대}}} || ||<|2><#000000> {{{#ffffff 1990년}}} || || || [[야가미군의 가정사정]] || OVA || [[사다미츠 신야]] || ||<|2><#000000> {{{#ffffff 1992년}}} || || || [[바람의 대륙]] || 극장판 || [[마시모 코이치]] || ||<-5> || ||<|3><#000000> {{{#ffffff 1993년}}} || || || [[유성기 가쿠세이버]] || OVA || [[사다미츠 신야]] || || || [[기동경찰 패트레이버 극장판 2]] || 극장판 || [[오시이 마모루]] || ||<-5> || ||<|2><#000000> {{{#ffffff 1994년}}} || || || [[BLUE SEED]]※ ||TVA || [[카미야 준]] || ||<-5> || ||<|2><#000000> {{{#ffffff 1995년}}} || || || [[공각기동대(극장판)|공각기동대 극장판]]◆ || 극장판 || [[오시이 마모루]] || ||<-5> || ||<|2><#000000> {{{#ffffff 1997년}}} || || || [[엔드 오브 에반게리온]]◆[* [[가이낙스]]와 합작.] || 극장판 || [[안노 히데아키]] || ||<-5> || ||<|2><#000000> {{{#ffffff 1998년}}} || || || [[원피스 - 쓰러뜨려라! 해적 갠자크]] || OVA || [[타니구치 고로]] || ||<-5> || ||<|2><#000000> {{{#ffffff 1999년}}} || || || [[아키하바라 전뇌조]] 극장판 2011년의 여름방학 || 극장판 || [[사쿠라이 히로아키]] || ||<-5> {{{#ffffff 2000년대}}} || ||<|6><#000000> {{{#ffffff 2000년}}} || || 2분기 || [[프리크리]][* [[가이낙스]]와 공동 제작. 이후 [[가이낙스]]의 상태가 안 좋아졌을 때 I.G에서 저작권을 인수했다.] || OVA || [[츠루마키 카즈야]] || || 4분기 || [[뱀파이얀 키즈]] || TVA || 아라카와 마사츠구 || || 4분기(14쿨) || [[테니스의 왕자]]◎ || TVA || [[하마나 타카유키]] || || || [[인랑]]◆※ || 극장판 || [[오키우라 히로유키]] || || || [[블러드 더 라스트 뱀파이어(극장 애니메이션)|블러드 더 라스트 뱀파이어]]◆※ || 극장판 || [[키타쿠보 히로유키]] || ||<-5> || ||<|2><#000000> {{{#ffffff 2001년}}} || || || [[사쿠라 대전/애니메이션|사쿠라 대전 활동 사진]] || 극장판 || [[혼고 미츠루]] || ||<-5> || ||<|2><#000000> {{{#ffffff 2002년}}} || || 4분기(2쿨) || [[공각기동대 STAND ALONE COMPLEX]]◆※ || TVA || [[카미야마 켄지]] || ||<-5> || ||<|3><#000000> {{{#ffffff 2003년}}} || || || [[데드 리브즈]] || 극장판 || [[이마이시 히로유키]] || || 4분기 || [[돌격 크로마티 고교]] || TVA || [[사쿠라이 히로아키]] || ||<-5> || ||<|5><#000000> {{{#ffffff 2004년}}} || || 1분기(2쿨) || [[공각기동대 STAND ALONE COMPLEX]] 2nd GIG◆※[* 작품에서 보여지는 테러 단체 사건의 요소 중 [[6.25 전쟁|한국전쟁]]이나 분단 같은 시대를 그대로 오마주 해버려서 우익이다 아니다 하는 [[갑론을박]]이 벌어졌다. 성향 참조.] || TVA || [[카미야마 켄지]] || || 3분기(3쿨) || 오토기조시 || TVA || || || || [[이노센스]] || 극장판 || [[오시이 마모루]] || || || [[풍인 이야기]] || TVA || [[니시무라 준지]] || ||<-5> || ||<|7><#000000> {{{#ffffff 2005년}}} || || 4분기(2쿨) || [[IGPX -Immortal Grand Prix-]] || TVA || [[혼고 미츠루]] || || 4분기(4쿨) || [[BLOOD+]]◆※ || TVA || [[후지사쿠 준이치]] || || || [[테니스의 왕자]] 극장판: [[극장판 테니스의 왕자 두 사람의 사무라이|두 사람의 사무라이]]◎ || 극장판 || [[하마나 타카유키]] || || || [[츠바사 크로니클]] 극장판: 새장나라의 공주 || 극장판 || [[카와사키 이츠로]] || || || [[XXX HOLiC/애니메이션#s-2|XXX HOLiC 극장판: 한여름 밤의 꿈]] || 극장판 || [[미즈시마 츠토무]] || || || [[더 킹 오브 파이터즈 어나더 데이]] || OVA || [[타치바나 마사키]] || ||<-5> || ||<|4><#000000> {{{#ffffff 2006년}}} || || 2분기(2쿨) || [[XXX HOLiC/애니메이션#s-3|XXX HOLiC]] || TVA || [[미즈시마 츠토무]] || || 3분기(8월) || [[슈발리에(만화)|슈발리에]] || TVA || [[후루하시 카즈히로]] || || || [[공각기동대 STAND ALONE COMPLEX]] SOLID STATE SOCIETY◆※[* OVA로 나왔지만 극장개봉을 목적으로 제작되었던 작품이고 실제로 후에 재개봉 하였다.] || 극장판 || [[카미야마 켄지]] || ||<-5> || ||<|6><#000000> {{{#ffffff 2007년}}} || || || [[REIDEEN]][* 특이하게 3월부터 방영을 시작해 9월에 종영했다.] || TVA || [[혼고 미츠루]] || || 2분기(2쿨) || [[정령의 수호자]] || TVA || [[카미야마 켄지]] || || 4분기(2쿨) || [[신령사냥~GHOST HOUND~]] || TVA || [[나카무라 류타로]] || || || [[도쿄 마블 초콜릿]] || 극장판 || [[시오타니 나오요시]] || || || [[츠바사 크로니클]] TOKYO REVELATIONS || OVA || || ||<-5> || ||<|7><#000000> {{{#ffffff 2008년}}} || || 2분기 || [[XXX HOLiC/애니메이션#s-4|XXX HOLiC◆계]] || TVA || [[미즈시마 츠토무]] || || 2분기(2쿨) || [[RD 잠뇌조사실]] || TVA || [[후루하시 카즈히로]] || || 2분기 || [[도서관 전쟁]]★◆※ || TVA || [[하마나 타카유키]] || || 3분기 || [[월드 디스트럭션]]◆ || TVA || [[타다 슌스케]] || || || [[스카이 크롤러]] || 극장판 || [[오시이 마모루]] || || || [[도쿄 마블 초콜릿]] || 극장판 || [[시오타니 나오요시]] || ||<-5> || ||<|8><#000000> {{{#ffffff 2009년}}} || || 1분기(4쿨) || [[짐승의 연주자 에린]] || TVA || [[하마나 타카유키]] || || 2분기 || [[동쪽의 에덴]]★◆※ || TVA || [[카미야마 켄지]] || || 2분기 || [[전국 바사라/애니메이션|전국 바사라]] || TVA || [[카와사키 이츠로]] || || 4분기(2쿨) || [[너에게 닿기를(애니메이션 1기)|너에게 닿기를]] || TVA || [[카부라기 히로]] || || || [[동쪽의 에덴]] 극장판 Ⅰ - The King of Eden★◆※ || 극장판 || [[카미야마 켄지]] || || || [[테일즈 오브 베스페리아 ~The First Strike~]] || 극장판 || [[카메이 칸타]] || || || [[츠바사 크로니클]] 춘뢰기 || OVA || || ||<-5> {{{#ffffff 2010년대}}} || ||<|5><#000000> {{{#ffffff 2010년}}} || || 3분기 || [[전국 바사라/애니메이션|전국 바사라 弐]] || TVA || [[노무라 카즈야]] || || || [[동쪽의 에덴]] 극장판 Ⅱ - Paradise Lost★◆※ || 극장판 || [[카미야마 켄지]] || || || [[문학소녀 시리즈]] 극장판 || 극장판 || [[타다 슌스케]] || || || [[브레이크 블레이드]]◆[* [[XEBEC]]와 합작.] || 극장판 || [[하바라 노부요시]] || ||<-5> || ||<|9><#000000> {{{#ffffff 2011년}}} || || 1분기 || [[너에게 닿기를(애니메이션 2기)|너에게 닿기를 2ND SEASON]] || TVA || [[카부라기 히로]] || || 2분기 || [[부르잖아요, 아자젤씨]] || TVA || [[미즈시마 츠토무]] || || 2분기 || [[만약 고교야구 여자 매니저가 피터 드러커를 읽는다면]]◎ || TVA || [[하마나 타카유키]] || || 3분기 || [[토끼 드롭스/애니메이션|토끼 드롭스]]★ || TVA || [[카메이 칸타]] || || 3분기 || [[BLOOD-C]]◆※ || TVA || [[미즈시마 츠토무]] || || 4분기(2쿨) || [[길티 크라운]]★◆ || TVA || [[아라키 테츠로]] || || || [[테니스의 왕자]] 극장판 - 영국식 테니스성 결전◎ || 극장판 || [[타다 슌스케]] || || || [[공각기동대 STAND ALONE COMPLEX]] SOLID STATE SOCIETY 3D◆※[* 2006년판 공각기동대의 3D 재개봉.] || 극장판 || [[카미야마 켄지]] || ||<-5> || ||<|10><#000000> {{{#ffffff 2012년}}} || || 1분기 || [[테니스의 왕자#s-7|신 테니스의 왕자]]◎ || TVA || [[야마모토 히데요]] || || 2분기(2쿨) || [[쿠로코의 농구]]◎ || TVA || [[타다 슌스케]] || || 2분기 || [[샤이닝 하츠|샤이닝 하츠 ~행복의 빵~]] || TVA || [[카와사키 이츠로]] || || 4분기(2쿨) || [[Robotics;Notes/애니메이션|Robotics;Notes]]★ || TVA || [[노무라 카즈야]] || || 4분기(2쿨) || [[PSYCHO-PASS]]★◆※ || TVA || 모토히로 카츠유키[*총 총감독][br][[시오타니 나오요시]] || || || [[BLOOD-C The Last Dark]]◆※ || 극장판 || [[시오타니 나오요시]] || || || [[사이보그 009]] 극장판 009: RE CYBORG || 극장판 || [[카미야마 켄지]] || || || [[모모와 다락방의 수상한 요괴들]] || 극장판 || [[오키우라 히로유키]] || || || [[도서관 전쟁]] 극장판 혁명의 날개★◆※ || 극장판 || [[하마나 타카유키]] || ||<-5> || ||<|7><#000000> {{{#ffffff 2013년}}} || || 2분기 || [[취성의 가르간티아]]◆※ || TVA || [[무라타 카즈야]] || || 3분기 || [[현시연/애니메이션#s-3|현시연 2대째]] || TVA || [[미즈시마 츠토무]] || || 4분기(6쿨) || [[다이아몬드 에이스/애니메이션|다이아몬드 에이스]]◎[* [[매드하우스]]와 공동제작.] || TVA || [[마스하라 미츠유키]] || || 4분기(2쿨) || [[쿠로코의 농구/애니메이션|쿠로코의 농구 2]]◎ || TVA || [[타다 슌스케]] || || || [[킥하트]]◎ || OVA || [[유아사 마사아키]] || || || [[공각기동대 ARISE]] 보더 1, 보더 2◆ || 극장판 || [[키세 카즈치카]][*총][br][[무라타 마사히코]][* 보더 1][br][[타케우치 아츠시]][* 보더 2] || ||<-5> || ||<|6><#000000> {{{#ffffff 2014년}}} || || 2분기(2쿨) || [[하이큐!!(애니메이션 1기)|하이큐!!]]◎ || TVA || [[미츠나카 스스무]] || || 3분기 || [[아오하라이드#s-4.1]] || TVA || [[요시무라 아이]] || || 4분기 || [[PSYCHO-PASS 2]]★◆※[* 제작은 [[타츠노코 프로덕션]]이지만 제작위원회에는 I.G가 대신 올라와 있고, 스태프롤에도 계속 올라가는 걸 보면 사실상 합작이다.] || TVA || [[시오타니 나오요시]] || || || [[공각기동대 ARISE]] 보더 3, 보더 4◆ || 극장판 || [[키세 카즈치카]][*총][br][[쿠도 스스무]][* 보더 4] || || || [[은하철도의 꿈]] || 극장판 || [[니시쿠보 미즈호]] || ||<-5> || ||<|11><#000000> {{{#ffffff 2015년}}} || || 1분기(2쿨) || [[쿠로코의 농구/애니메이션|쿠로코의 농구 3]]◎ || TVA || [[타다 슌스케]] || || 1분기 || [[순결의 마리아]] || TVA || [[타니구치 고로]] || || 2분기 || [[공각기동대 ARISE|공각기동대 ARISE ALTERNATIVE ARCHITECTURE]]◆ || TVA || [[키세 카즈치카]][*총][br][[타치바나 마사키]] || || 2분기(4쿨) || [[다이아몬드 에이스/애니메이션|다이아몬드 에이스]] 세컨드 시즌◎[* 1기와 마찬가지로 [[매드하우스]]와 공동제작.] || TVA || [[마스하라 미츠유키]] || || 4분기 || [[진격! 거인중학교]] || TVA || [[이바타 요시히데]] || || 4분기(2쿨) || [[하이큐!! 세컨드 시즌]]◎ || TVA || [[미츠나카 스스무]] || || || [[극장판 PSYCHO-PASS]]★◆※ || 극장판 || 모토히로 카츠유키[*총][br][[시오타니 나오요시]] || || || [[백일홍: 미스 호쿠사이]] || 극장판 || [[하라 케이이치]] || || || [[공각기동대 신극장판]]◆ || 극장판 || [[키세 카즈치카]][*총][br][[노무라 카즈야]] || || || [[취성의 가르간티아]]: 순환하는 항로, 저 멀리 || OVA || [[무라타 카즈야]] || ||<-5> || ||<|4><#000000> {{{#ffffff 2016년}}} || || 2분기 || [[조커 게임#s-5.1]]※ || TVA || [[노무라 카즈야]] || || 4분기 || [[하이큐!! 카라스노 고교 VS 시라토리자와 학원 고교]]◎ || TVA || [[미츠나카 스스무]] || || || [[사이보그 009]]: CALL OF JUSTICE || 극장판 || [[카미야마 켄지]] || ||<-5> || ||<|6><#000000> {{{#ffffff 2017년}}} || || 2분기 || [[아톰: 더 비기닝]][* [[OLM]]과 합작.] || TVA || 모토히로 카츠유키[*총][br][[사토 타츠오]] || || 3분기(2쿨) || [[볼룸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 TVA || [[이타즈 요시미]] || || 3분기(2쿨) || [[마법진 구루구루#s-3.4]] || TVA || [[히로시 이케하타]] || || || [[낮잠 공주: 모르는 나의 이야기]] || 극장판 || [[카미야마 켄지]] || || || [[극장판 쿠로코의 농구 라스트 게임]]◎ || 극장판 || [[타다 슌스케]] || ||<-5> || ||<|6><#000000> {{{#ffffff 2018년}}} || || 1분기 || [[B: 더 비기닝]][* [[넷플릭스]] 독점.] || TVA || [[나카자와 카즈토]][br][[야마카와 요시노부]] || || 2분기 || [[은하영웅전설 Die Neue These]]※[* 정확하게 말하자면 작품 자체가 좌익 성향 작품이라기보다는 [[민주주의]]에 대한 고찰을 담은 작품이기에 일본의 우경화가 극성인 이 시기에 도저히 만들 수 없거나 왜곡되어서 난도질 될 것으로 추측되었던 작품이다. [[아베 신조|현 우익 성향인 일본 정권]]을 비판할 수 있는 내용이 다분하기 때문.][* [[쇼치쿠]]와 공동제작이다.] || TVA || [[타다 슌스케]] || ||<|2> 3분기 || [[극장판 프리크리: 프로그레시브]][* GoodBook, [[SIGNAL.MD]]와 공동 제작.] || 극장판 || [[아라이 카즈토]][br][[카이야 토시히사]][br][[오가와 유키]][br][[이바타 요시히데]][br]스에자와 케이(末澤 慧)[br][[히로시 이케하타]] || || [[극장판 프리크리: 얼터너티브]][* [[NUT]], [[REVOROOT]]와 공동 제작.] || 극장판 || [[우에무라 유타카]] || || 4분기(2쿨) || [[바람이 강하게 불고 있다]] || TVA || [[노무라 카즈야]] || ||<-5> || ||<|6><#000000> {{{#ffffff 2019년}}} || ||<|2> 2분기 || [[ULTRAMAN(만화)|ULTRAMAN]][* SOLA DIGITAL ARTS와 합작.] || TVA || [[카미야마 켄지]][br][[아라마키 신지]] || || [[창궁의 파프너 THE BEYOND]] || OVA || [[노토 타카시]] || || 4분기 || [[PSYCHO-PASS 3]]★◆※ || TVA || [[시오타니 나오요시]] || || 4분기(2쿨) || [[가부키초 셜록]] || TVA || [[요시무라 아이]] || || || [[PSYCHO-PASS Sinners of the System]]★◆※[* 3부작 연속 개봉.] || 극장판 || [[시오타니 나오요시]] || ||<-5> {{{#ffffff 2020년대}}} || ||<|5><#000000> {{{#ffffff 2020년}}} || || 1분기[br]4분기 || [[하이큐!! TO THE TOP]] || TVA || [[사토 마사코]] || || 4월 개봉 || [[PSYCHO-PASS 3 FIRST INSPECTOR]]★◆※ || 극장판 || [[시오타니 나오요시]] || || 4분기 || [[우국의 모리아티/애니메이션|우국의 모리아티]] 파트 1 || TVA || [[노무라 카즈야]] || || 4분기 || [[노블레스(TVA)|노블레스]] || TVA || [[타다 슌스케]][*총][br][[야마모토 야스타카]] || ||<-5> || ||<|5><#000000> {{{#ffffff 2021년}}} || || 2분기 || [[우국의 모리아티/애니메이션|우국의 모리아티]] 파트 2 || TVA || [[노무라 카즈야]] || || 5월 개봉 || [[극장판 Fate/Grand Order -신성원탁영역 카멜롯-#s-2|Fate/Grand Order -신성원탁영역 카멜롯- Paladin; Agateram]][* Production I.G가 최초로 맡게 되는 [[Fate 시리즈]] 애니메이션. 전편은 같은 [[I.G Port]]의 자회사인 [[SIGNAL.MD]]에서 제작] || 극장판 || [[아라이 카즈토]] || || 3분기 || [[스타워즈: 비전스]] 9화: 아홉 번째 제다이 || WEB || [[카미야마 켄지]] || || 4분기 || [[해적왕녀]] || TVA || ToyGerPROJECT[br][[나카자와 카즈토]][br]타카하시 테츠야[br][[후지사쿠 준이치|후지이 사키]] || ||<-5> || ||<|5> {{{#ffffff 2022년}}} || || 1분기 || [[디모: 벚꽃의 소리]][* [[SIGNAL.MD]]와 공동 제작.] || 극장판 || [[후지사쿠 준이치]][*총][br]마츠시타 슈헤이 || || 2분기(2쿨) || [[아오아시/애니메이션|아오아시]] || TVA || [[사토 아키라(애니메이션 감독)|사토 아키라]] || || 2월 개봉 || [[사슴의 왕]][* 원래는 2020년 9월 개봉 예정이었으나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으로 인한 제작 스케줄 문제로 두 차례나 연기.] || 극장용 || [[안도 마사시]][br][[미야지 마사유키]] || || 4분기 || [[C단지]] || TVA || 나라 유우지 || ||<-5> || ||<|7> {{{#ffffff 2023년}}} || || 1분기 || 창궁의 파프너 BEHIND THE LINE || OVA || [[노토 타카시]] || || 3월 개봉 || [[낙제마녀 후우카와 어둠의 마녀]] || 극장판 || [[하마나 타카유키]] || || 2분기 || [[천국대마경/애니메이션|천국대마경]] || TVA || [[모리 히로타카]] || || 5월 개봉 || [[극장판 PSYCHO-PASS PROVIDENCE]]★◆※ || 극장판 || [[시오타니 나오요시]] || || 4분기 || FLCL: Shoegaze [* 기획과 원청만 I.G. 실 제작은 [[NUT]].] || WEB || [[우에무라 유타카]] || || 10월 개봉 || 북극 백화점의 컨시어지 || 극장판 || [[이타즈 요시미]] || ||<-5> || ||<|5> {{{#ffffff 2024년}}} || || 1분기 || [[극장판 하이큐!! FINAL]] || 극장판 || [[미츠나카 스스무]] || || 2분기 || [[괴수 8호/애니메이션|괴수 8호]] || TVA || 미정 || || 미정 || [[너에게 닿기를(애니메이션 3기)|너에게 닿기를 3RD SEASON]] || WEB || 미정 || || 미정 || [[근육맨/애니메이션|근육맨 완벽초인시조 편]] || TVA || [[사토 아키라(애니메이션 감독)|사토 아키라]] || ||<-5> || ||<|3><#000000> {{{#ffffff 미정}}} || || || 터미네이터 || WEB || 미정 || === 제작 협력 === * [[신세기 에반게리온]](1995) * [[에이스 컴뱃 3]](1999) - 애니메이션 컷신 제작 * [[킬 빌]](2003) - [[오렌 이시이]]의 과거 회상 애니메이션 파트 제작 * [[팝픈뮤직]] 12 이로하(2004년) - 일부 캐릭터들의 애니메이션 외주 제작 * [[Portable Airport]](2004) * [[Space Station No.9]](2005) * [[비행 도시 계획]](2005) * [[무한의 주인]](2008년) * [[진격의 거인]](2013년) * [[갑철성의 카바네리]](2016년) - 배경, 인력 보충, 예산지원 등의 하청 * [[요리왕 비룡 더 마스터]](2019년) * [[임금님 랭킹(애니메이션)|임금님 랭킹]](2021~2022년) - 8화, 14화, 20화 제작 협력 * [[발로란트]](2023년) - 마스터스 도쿄 오프닝 영상 제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