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Pokémon GO)] [include(틀:Pokémon GO/관련 문서)] [목차] === [[Pokémon GO/진영|진영]]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Pokémon GO/진영)] === 포켓스탑 === 몬스터볼, 회복약 등 게임을 즐기는데 필요한 아이템들을 얻을 수 있는 장소. 맵에는 파란 점처럼 보이며, 포켓스탑에 가까이 접근하면[* 2023년 1월 현재 80미터 이내로 접근해야 함] 동그란 디스크 모양으로 바뀐다. 이 디스크를 터치 후 밀어서 돌리면 아이템을 획득하는 방식. 포켓스탑이 없으면 원활한 아이템 수급이 불가능하기에[* 선물 주고받기로 아이템을 얻을 수 있지만, 기본적으로 하루에 주고 받을 수 있는 선물의 갯수가 20개로 제한되어 있다. 그 외에도 데일리 박스, 리서치 등으로 얻을 수 있지만 포켓스탑에 비해서는 한정적이다.] 주변에 많을수록 좋다. 스탑이 많이 있는 지역은 포세권이라 불리기도 한다. 포켓몬고 레벨 38부터 포켓스탑을 만들어달라고 인게임에서 신청할 수 있다. 이 신청은 다수의 유저로부터 심사를 거치게 되며, 다수가 포켓스탑 조건을 충족하여 등록될만 하다 판정하면 심사에 합격되어 포켓스톱이 생긴다. 2023년 업데이트를 통해 포켓스탑을 돌릴 때 낮은 확률로 [[켈리몬]]을 얻을 수 있다. 스탑에 붙어있는 켈리몬을 밀어 떨어뜨리는 행동을 3회 하면 떨어지는 애니메이션과 함께 주변에 캘리몬이 생성된다. 포켓스탑을 한 번 돌리면 분홍색으로 변하며, 5분 뒤에 다시 파란색으로 변한다.[* 파란색으로 변하기 전에 잠시 보라색으로 변한다.] === [[Pokémon GO/아이템|아이템]]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Pokémon GO/아이템)] === [[Pokémon GO/포켓몬|포켓몬]]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Pokémon GO/포켓몬)] === 파트너 포켓몬 === [[파일:EVyee.png|width=200]] [[파일:PIKAPIKAPICHU.png|width=168]] 기본 화면에서 파트너 포켓몬을 등록해 특정 거리(1km, 3km, 5km, 20km[* 전설의 포켓몬, 환상의 포켓몬])를 이동하면 해당 포켓몬의 사탕을 얻을 수 있다. 사탕은 해당 포켓몬의 '진화' 혹은 '강화'(레벨 상승 및 CP 상승)에 필요한 아이템으로 게임 내에서 중요한 역할을 맡고 있다. 그 외에 [[이브이]], [[빈티나]], [[꼬지지]], [[판짱]] 등 특정 포켓몬의 진화를 돕기도 한다. [[메가진화]]를 한 기록이 있는 포켓몬의 경우, 메가 에너지도 함께 얻는다. 위 사진처럼 덩치가 작은 포켓몬들(도감 설정 기준 키가 0.3m 이하인 포켓몬)을 파트너로 등록하면 트레이너의 어깨 위에 올라가있거나 트레이너의 품에 안겨있는 모습을 볼 수 있다. 안기지 못하는 포켓몬들은 플레이어의 옆에 서 있는 모습으로 나온다.[* [[푸푸린]]은 도감 설정이 반영되어 있다. [[리오르]]는 작은 포켓몬들 중에서 큰 편이라 옆에 서있다. 피카츄는 처음에는 옆에 서있다가 누적 10km 동행 시 어깨 위로 올라간다.] 2019년 12월 19일 업데이트로 파트너 포켓몬의 매커니즘이 변경되었다. 나무열매를 먹여 배부르게 하면 파트너 포켓몬이 트레이너를 따라오게 되며 쓰다듬기, 스냅샷 찍기, 새로운 장소에 가기, 많이 걷기를 통해 친해질 수 있다. 전체적으로 본가의 [[포켓파를레]]와 유사하다. 포켓몬의 배고픔 게이지 6칸을 꽉 채우면 포켓몬이 볼에서 나와 함께 걷는다. 라즈, 나나, 파인열매는 한번 먹일때마다 2칸 채워지며, 황금 라즈, 은 파인열매와 포핀은 하나만 먹여도 게이지가 꽉 찬다. 포핀을 먹이면 얻을수 있는 하트가 2배가 된다.[* 여담으로, 메가진화 상태인 포켓몬에게 음식을 줄 경우 무언가를 먹는 모델링이 없어서인지, 입 부근에서 한번 씹는 소리가 나고 열매가 흡수된다(...)] 파트너 포켓몬을 정한 후에는 하루 최대 20번까지[* 2019년 12월 0.162.0 업데이트 이후 바뀌었다.] 다른 포켓몬으로 바꿀 수 있으며, 교체하게 되면 이동 거리가 사라지게 된다. 파트너 포켓몬이 진화한 경우에도 이동 거리가 사라지며, 특히 원 상태인 [[초기화|트레이너 캐릭터만 존재하는 경우]]로는 절대 되물릴 수 없으니 주의. '굿 파트너가 되었다!' 화면에서 굿 파트너가 '[[우왕굳|굳]] 파트너'로 오타가 나 있다. === 메달 === ||<-3>
'''{{{#000000 포켓몬 GO의 메달}}}''' || ||[[파일:조깅.png|width=50&height=50]]|| [[포켓몬스터/등장인물/신오지방#조깅|조깅]] || 10 / 100 / 1,000 / 10,000 km 걸었다! || ||[[파일:도감.png|width=50&height=50]]|| [[관동지방|관동]] || 포켓몬 도감에 5 / 50 / 100 / 151 마리 등록했다! || ||[[파일:콜렉터.png|width=50&height=50]]|| [[포켓몬 컬렉터|콜렉터]] || 포켓몬을 30 / 500 / 2,000 / 50,000 마리 잡았다! || ||[[파일:연구원.png|width=50&height=50]]|| [[연구원(포켓몬스터)|연구원]] || 포켓몬을 3 / 20 / 200 / 2,000 마리 진화했다! || ||[[파일:브리더.png|width=50&height=50]]|| [[포켓몬 브리더|브리더]] || 알을 10 / 100 / 500 / 2,500 개 부화시켰다! || ||[[파일:백팩커.png|width=50&height=50]]|| [[백팩커]] || 포켓스톱을 100 / 1,000 / 2,000 / 50,000 번 방문했다! || ||[[파일:배틀걸.png|width=50&height=50]]|| [[배틀걸]] || 체육관에서 10 / 100 / 1,000 / 4,000 회 배틀에 이겼다! || ||[[파일:엘리트트레이너.png|width=50&height=50]]|| [[엘리트 트레이너]][* 체육관 시스템 개편으로 2017년 6월 23일 이후 해당 시스템 사용 불가 상태였으나, 2018년 12월 트레이너 배틀 모드에서 팀 리더와 훈련하여 획득 가능] || 포켓몬을 10 / 100 / 1,000 / 2,000 마리 트레이닝했다! || ||[[파일:성도도감.png|width=50&height=50]]|| [[성도지방|성도]] || 성도지방에서 발견된 포켓몬 5 / 30 / 70 /100 마리를 포켓몬 도감에 등록했다! || ||[[파일:나무열매마스터.png|width=50&height=50]]|| 나무열매 마스터 || 포켓몬에게 10 / 100 / 1,000 / 15,000개 나무열매를 줬다! || ||[[파일:포켓몬고챔피언.png|width=50&height=50]]|| [[챔피언(포켓몬스터)|챔피언]] || 레이드 배틀에 10 / 100 / 1,000 / 2,000번 승리했다! || ||[[파일:시터리더.png|width=50&height=50]]|| 체육관 리더[* 오역. 원문은 Gym Leader로 공식 번역은 [[체육관 관장]]이다.] || 체육관을 10 / 100 / 1,000 / 15,000시간 방어했다! || ||[[파일:반바지꼬마.png|width=50&height=50]]|| [[반바지 꼬마]] || 작은 사이즈의 꼬렛을 3 / 50 / 300 / 1,000 마리 잡았다! || ||[[파일:낚시꾼.png|width=50&height=50]]|| [[낚시꾼(포켓몬스터)|낚시꾼]] || 거대한 잉어킹을 3 / 50 / 300 / 1,000 마리 잡았다! || ||[[파일:애호가클럽.png|width=50&height=50]]|| [[피카츄]] [[포켓몬 애호가클럽|애호가클럽]] || 피카츄를 3 / 50 / 300 / 1,000 마리 잡았다! || ||[[파일:안농.png|width=50&height=50]]|| [[안농]] || 안농을 3 / 10 / 26 / 28 마리[* 한 종류만 아무리 몇 마리를 잡아도 1로 카운트되는 것으로 보아 여기서는 마리가 아니라 종류라고 봐야 옳다. [[오역]].] 잡았다! || ||[[파일:배틀레전드.png|width=50&height=50]]|| 배틀 레전드 || 체육관에서 10 / 100 / 1,000 / 2,000 번 전설레이드배틀에 이겼다! || ||[[파일:호연도감.png|width=50&height=50]]|| [[호연지방|호연]] || 호연지방에서 발견된 포켓몬을 5 / 40 / 90 / 135 마리 포켓몬도감에 등록했다! || ||[[파일:포켓몬레인저.png|width=50&height=50]]|| [[포켓몬 레인저]] || 필드리서치를 10 / 100 / 1,000 / 2,500 건 완료했다! || ||[[파일:아이돌.png|width=50&height=50]]|| [[포켓몬스터/등장인물/신오지방#아이돌|아이돌]] || 트레이너 1 / 2 / 3 / 20 명과 베스트 프렌드가 되었다! || ||[[파일:신사.png|width=50&height=50]]|| [[신사(포켓몬스터)|신사]] || 10 / 100 / 1,000 / 2,500 마리 교환했다! || ||[[파일:파일럿.png|width=50&height=50]]|| [[포켓몬스터/등장인물/하나지방#파일럿|파일럿]] || 교환한 포켓몬끼리의 거리가 1,000 / 100,000 / 1,000,000 / 10,000,000 km가 되었다! || ||[[파일:GO_Sinnoh_Gold_Medal.png|width=50&height=50]]|| [[신오지방|신오]] || 신오지방에서 발견된 포켓몬 5 / 30 / 80 / 107 마리를 포켓몬 도감에 등록했다! || ||[[파일:GO_Great_League_Veteran_Gold_Medal.png|width=50&height=50]]|| [[포켓몬 GO/배틀 리그|슈퍼리그 베테랑]] || 슈퍼리그에서 5 / 50 / 200 / 1,000회 승리했다! || ||[[파일:GO_Ultra_League_Veteran_Gold_Medal.png|width=50&height=50]]|| [[포켓몬 GO/배틀 리그|하이퍼리그 베테랑]] || 하이퍼리그에서 5 / 50 / 200 / 1,000 회 승리했다! || ||[[파일:GO_Master_League_Veteran_Gold_Medal.png|width=50&height=50]]|| [[포켓몬 GO/배틀 리그|마스터리그 베테랑]] || 마스터리그에서 5 / 50 / 200 / 1,000 회 승리했다! || ||[[파일:GO_Cameraman_Gold_Medal.png|width=50&height=50]]|| [[포켓몬스터/등장인물/호연지방#카메라맨|카메라맨]] || 스냅샷중 갑작스러운 조우를 10 / 50 / 200 / 400 회 했다. || ||[[파일:GO_Unova_Gold_Medal.png|width=50&height=50]]|| [[하나지방|하나]] || 하나지방에서 발견된 포켓몬 5 / 50 / 100 / 156 마리를 포켓몬 도감에 등록했다! || ||[[파일:GO_Purifier_Gold_Medal.png|width=50&height=50]]|| 정화자 || [[포켓몬 GO/그림자 포켓몬|그림자 포켓몬]] 5 / 50 / 500 / 1,000 마리를 정화했다! || ||[[파일:GO_Hero_Gold_Medal.png|width=50&height=50]]|| 히어로 || [[GO로켓단]] 멤버를 10 / 100 / 1,000 / 2,000 명 쓰러뜨렸다! || ||[[파일:GO_Ultra_Hero_Gold_Medal.png|width=50&height=50]]|| 울트라 히어로 || [[GO로켓단]] 보스 [[비주기]]를 1 / 5 / 20 / 50 번 쓰러뜨렸다! || ||[[파일:베스트버디.png|width=50&height=50]]|| 베스트 파트너 || 1 / 10 / 100 / 200마리 포켓몬과 베스트 파트너가 되었다. || ||[[파일:Successor_Gold.png|width=50&height=50]]|| [[코르니|계승자]] || 메가진화를 1 / 50 / 500 / 1,000 번 실행했다! || ||[[파일:메가진화구루2.png|width=50&height=50]]|| [[메가진화]] 아저씨 || 서로 다른 [[포켓몬 GO/메가진화|메가진화]]를 1 / 24 / 36 / 46 번 실행했다! || || || [[포켓몬스터/등장인물/칼로스지방#호프 트레이너|호프 트레이너]] || 2 / 10 / 50 / 150종류의 포켓몬을 레이드에서 쓰러뜨렸다! || || || 호프콤비 || 프렌드와 레이드배틀에 10 / 100 / 1,000 / 2,000 번 이겼다! || || || [[포켓몬스터/등장인물/호연지방#트라이애슬리트|트라이애슬리트]] || 7일연속 포켓몬 잡기 또는 포켓스톱 스핀 보너스를 1 / 10 / 50 / 100번 달성했다! || || || [[피크닉걸|피크닉 걸]] || 루어모듈로 불러낸 포켓몬 5 / 25 / 500 / 2,500마리를 잡았다! || || || [[포켓몬스터/등장인물/칼로스지방#투어객|관광객]] || 10 / 100 / 1,000 / 2,000군데 다른 포켓스톱을 방문했다! || || || 레이드 익스퍼트 || 트레이너 실적 화면에 1 / 50 / 200 / 500번 등장했다! || || || 프렌드 파인더 || 트레이너 1 / 10 / 20 / 50 명에게 모험을 권유했다 || || || [[칼로스지방|칼로스]] || 칼로스지방에서 발견된 포켓몬 5 / 25 / 50 / 72마리를 포켓몬 도감에 등록했다! || || || [[알로라지방|알로라]] || 알로라지방에서 발견된 포켓몬 5 / 25 / 50 / 86마리를 포켓몬 도갑에 등록했다! || || || [[가라르지방|가라르]] || 가라르지방에서 발견된 포켓몬 5 / 25 / 40 / 89마리를 포켓몬 도감에 등록했다! || || || [[히스이지방|히스이]] || 히스이지방에서 발견된 포켓몬 1 / 3 / 5 / 7마리를 포켓몬 도감에 등록했다! || || || Wayfarer || Wayfarer로 50 / 500 / 1,000 / 1,500 Agreement를 받았다! || ||<-3> '''{{{#000000 포켓몬 GO의 오프라인 이벤트 메달}}}''' || ||[[파일:시카고.png|width=50&height=50]]|| Pokémon GO Fest 시카고 || 2017년 7월 22일[br]미국 시카고 오프라인 이벤트에 참가 || ||[[파일:대량발생츄.png|width=50&height=50]]|| 피카츄만이 아니야[br]피카츄 대량발생츄! || 2017년 8월 9~15일[br]일본 요코하마 오프라인 이벤트에 참가 || ||[[파일:사파리존.png|width=50&height=50]]|| Pokémon GO 사파리존 || 2017년 9월 16일, 10월 7일, 10월 14일[br]각 유럽 쇼핑센터 오프라인 이벤트에 참가[* 독일 오버 하우젠, 프랑스 파리, 스페인 바르셀로나 Unibail-Rodamco 쇼핑센터(9월 16일), 덴마크 코펜하겐 Fisketorvet 쇼핑센터, 체코 프라하 Centrum Černý Most 쇼핑센터(10월 7일), 스웨덴 스톡홀름 Mall of Scandinavia 쇼핑센터, 네덜란드 암스텔베인 Stadshart Amstelveen 쇼핑센터(10월 14일)] || ||<-3> '''{{{#000000 포켓몬 GO의 타입별 메달}}}'''[* 각 단계별로 해당 타입의 포켓몬의 포획하기 쉬운 정도가 +1/+2/+3/+4가 된다.] || ||[[파일:학원끝난아이.png|width=50&height=50]]|| [[학원 끝난 아이]] || 노멀 타입 포켓몬 10/50/200/2,500 마리 포획 || ||[[파일:태권왕.png|width=50&height=50]]|| [[태권왕]] || 격투 타입 포켓몬 10/50/200/2,500 마리 포획 || ||[[파일:새조련사.png|width=50&height=50]]|| [[새 조련사]] || 비행 타입 포켓몬 10/50/200/2,500 마리 포획 || ||[[파일:배드걸.png|width=50&height=50]]|| [[포켓몬스터/등장인물/칼로스지방#배드걸|배드걸]] || 독 타입 포켓몬 10/50/200/2,500 마리 포획 || ||[[파일:유적마니아.png|width=50&height=50]]|| [[포켓몬스터/등장인물/호연지방#유적마니아|유적마니아]] || 땅 타입 포켓몬 10/50/200/2,500 마리 포획 || ||[[파일:등산가.png|width=50&height=50]]|| [[등산가(포켓몬스터)|등산가]] || 바위 타입 포켓몬 10/50/200/2,500 마리 포획 || ||[[파일:곤충채집소년.png|width=50&height=50]]|| [[곤충채집 소년|곤충채집소년]] || 벌레 타입 포켓몬 10/50/200/2,500 마리 포획 || ||[[파일:오컬트마니아.png|width=50&height=50]]|| [[오컬트마니아]] || 고스트 타입 포켓몬 10/50/200/2,500마리 포획 || ||[[파일:역무원.png|width=50&height=50]]|| [[포켓몬스터/등장인물/하나지방#역무원|역무원]] || 강철 타입 포켓몬 10/50/200/2,500마리 포획 || ||[[파일:캠프파이어.png|width=50&height=50]]|| [[포켓몬스터/등장인물/호연지방#캠프파이어|캠프파이어]] || 불 타입 포켓몬 10/50/200/2,500 마리 포획 || ||[[파일:수영팬티소년.png|width=50&height=50]]|| [[수영팬티 소년|수영팬티소년]] || 물 타입 포켓몬 10/50/200/2,500 마리 포획 || ||[[파일:정원사.png|width=50&height=50]]|| [[정원사(포켓몬스터)|정원사]] || 풀 타입 포켓몬 10/50/200/2,500 마리 포획 || ||[[파일:전기그룹.png|width=50&height=50]]|| [[포켓몬스터/등장인물/관동지방#전기그룹|전기그룹]] || 전기 타입 포켓몬 10/50/200/2,500 마리 포획 || ||[[파일:초능력자.png|width=50&height=50]]|| [[초능력자(포켓몬스터)|초능력자]] || 에스퍼 타입 포켓몬 10/50/200/2,500 마리 포획 || ||[[파일:스키선수.png|width=50&height=50]]|| [[포켓몬스터/등장인물/성도지방#스키선수|스키선수]] || 얼음 타입 포켓몬 10/50/200/2,500마리 포획 || ||[[파일:드래곤조련사.png|width=50&height=50]]|| [[포켓몬스터/등장인물/호연지방#드래곤 조련사|드래곤조련사]] || 드래곤 타입 포켓몬 10/50/200/2,500마리 포획 || ||[[파일:무서운아가씨.png|width=50&height=50]]|| [[포켓몬스터/등장인물/호연지방#무서운 아가씨|무서운 아가씨]] || 악 타입 포켓몬 10/50/200/2,500 마리 포획 || ||[[파일:메르헨소녀.png|width=50&height=50]]|| [[메르헨 소녀|메르헨소녀]] || 페어리 타입 포켓몬 10/50/200/2,500 마리 포획 || 타입 별 메달은 포켓몬의 종이 아니라 조건에 부합하는 개체의 수를 카운트한다.[* 처음 출시될 당시에는 1세대 포켓몬에 악 타입이 존재하지 않았기 때문에 악 타입 메달이 없었으며, 2017년 2월 17일 2세대 포켓몬 업데이트로 악 타입 메달이 추가되었다.] 브론즈/실버/골드 달성 여부에 따라 해당 속성의 포켓몬의 포획 확률이 올라간다. 메달을 보유하지 않을 때 포획률에 비해, x1.1/x1.2/x1.3의 포획률이 보정된다. 복수 타입 포켓몬일 경우 두 개의 메달 모두에 영향을 받게 되며, 두 메달의 평균값으로 포획률이 보정된다. === 친구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SOgQTwLK7NM)]}}} || || {{{#ffd700 '''공식 가이드 영상'''}}} || 2018년 6월 22일부터 추가된 기능으로, 레벨 10 이상이면 트레이너 코드를 입력해 다른 트레이너를 친구로 추가할 수 있다. 친구로 등록할 수 있는 최대 숫자는 500명이며, 함께 플레이[* 선물 주고받기, 포켓몬 교환하기, 체육관 배틀 / 레이드 배틀 함께 하기 등으로 카운트된다.]하는 기간에 따라 등급 및 혜택이 달라진다. [[https://www.fcswap.com/game/pokemon-go/|해당 사이트]]에 가면 코드를 공유하고 친구 신청을 보낼 수 있다. 2019년 4월 10일에 '''반짝반짝 프렌드'''라는 기능이 추가되었다. 베스트 프렌드인 트레이너와 상호 작용[* 교환, 선물, 체육관/레이드 배틀, 트레이너 배틀 등]을 하면 낮은 확률로 발생하여 적용된다. 이 상태가 되면 EX 레이드 패스를 받을 때처럼 별도의 안내창이 나타나며, 친구 목록에서 해당 프렌드의 이름 색이 변경되고 이름 좌우에 특별한 문양이 추가된다. 베스트 프렌드당 하루에 1번까지 발생할 수 있으며, 포켓몬을 교환하기 전까지는 해당 상태가 유지된다. 반짝반짝 프렌드 상태에서 포켓몬을 교환하면 반드시 [[포켓몬 GO/포켓몬#s-3.4|반짝반짝 포켓몬]]이 되므로, [[전설의 포켓몬|전설]]이나 [[색이 다른 포켓몬]] 등 특별한 포켓몬의 고개체를 노릴 때에 매우 유용하다. ||<-4>
'''{{{#000000 프렌드 등급 및 혜택 설명}}}''' || || 등급 || 혜택 || 획득 XP || 습득 방법 || || 프렌드 ||선물 보내기가 가능하다. || 없음 || 처음 친구 추가를 한다. || || 굿 프렌드 ||'''교환''' 모든 포켓몬([[환상의 포켓몬]] 제외)의 교환이 가능하다. 교환받은 포켓몬의 각 능력치 개체값은 0~15[* 0~100%] 중 무작위가 된다. '''체육관 배틀 / 레이드배틀''' 어택 보너스 3% : || 3,000 || 1일을 함께 플레이한다. || || 그레이트 프렌드 ||'''교환''' 교환에 필요한 별의모래가 20% 줄어든다: [[파일:별의모래.png|width=20&height=20]] 교환받은 포켓몬의 각 능력치 개체값은 2~15[* 13.3 ~ 100%] 중 무작위가 된다. '''체육관 배틀 / 레이드배틀''' 어택 보너스 5% : ☀️ 레이드 보너스: [[파일:pokemongo_premierball.png|width=20&height=20]]볼 +1 || 10,000 || 7일을 함께 플레이한다. || || 울트라 프렌드 ||'''교환''' 교환에 필요한 별의모래가 92% 줄어든다: [[파일:별의모래.png|width=20&height=20]][[파일:별의모래.png|width=20&height=20]] 교환받은 포켓몬의 각 능력치 개체값은 3~15[* 20 ~100%] 중 무작위가 된다. '''체육관 배틀 / 레이드배틀''' 어택 보너스 7% : ☀️☀️ 레이드 보너스: [[파일:pokemongo_premierball.png|width=20&height=20]][[파일:pokemongo_premierball.png|width=20&height=20]]볼 +2 || 50,000 || 30일을 함께 플레이한다. || || 베스트 프렌드 ||'''교환''' 교환에 필요한 별의모래가 96% 줄어든다: [[파일:별의모래.png|width=20&height=20]][[파일:별의모래.png|width=20&height=20]][[파일:별의모래.png|width=20&height=20]] 교환받은 포켓몬의 각 능력치 개체값은 5~15[* 33.3 ~ 100%] 중 무작위가 된다. '''체육관 배틀 / 레이드배틀''' 어택 보너스 10% : ☀️☀️☀️ 레이드 보너스: [[파일:pokemongo_premierball.png|width=20&height=20]][[파일:pokemongo_premierball.png|width=20&height=20]][[파일:pokemongo_premierball.png|width=20&height=20]][[파일:pokemongo_premierball.png|width=20&height=20]]볼 +4 || 100,000 || 90일을 함께 플레이한다. || === 교환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OQ3rEWAhKEM)]}}} || || {{{#ffd700 '''공식 가이드 영상'''}}} || 서로 친구 추가가 된 상대끼리 할 수 있으며, [[환상의 포켓몬]]을 제외한 포켓몬만 교환 가능하다. 교환을 할 때는 두 플레이어가 서로 약 100m 내에 있어야 하며, 굿 프렌드 등급 이상이어야 한다. 또한 나이가 13세 이상인 플레이어야 한다. 가끔 원거리 교환 이벤트로 40km까지 확장된다. 교환하는 포켓몬의 개체값은 무작위로 변경되며, 자신의 트레이너 레벨에서 최대로 강화 가능한 포켓몬 레벨을 넘은 포켓몬을 교환받게 되면 현재 자신의 트레이너 레벨에 맞는 최대 강화 레벨로 하향되어 받는다. 즉, 트레이너 레벨에 맞는 포켓몬을 새로 포획하는 것과 같다. 그러나 우정 레벨(친구 등급)이 높을수록 최소 개체값이 높아지기에 교환받는 포켓몬의 개체값도 더 높은 값으로 나오기 쉬워진다.[[http://gall.dcinside.com/board/view/?id=pokemongo&no=745220|확인 실험]] 또한 서로 교환하는 포켓몬 간의 포획한 거리에 비례해 보상으로 주어지는 사탕의 개수가 주어진다. 즉, 해당 포켓몬 간의 잡은 거리가 멀수록 사탕이 많이 주어진다. 미진화 포켓몬 기준으로 12km 내에서는 사탕이 1개, 12~100km 내에서는 2개, 100km 이상일 경우 3개가 주어진다. 마지막으로 교환한 포켓몬은 만난 장소에 교환으로 얻었다는 것이 표시되며, 다시 교환할 수 없다. 포켓몬의 종류에 따라 교환에 필요한 별의모래의 양이 달라지며, 우정 레벨이 높을수록 요구되는 별의모래 양이 감소한다. 단, 처음부터 100 이하의 모래가 요구되는 경우에는 우정 레벨의 할인이 적용되지 않는다. [[전설의 포켓몬]], [[색이 다른 포켓몬]], 상대방 도감에 미등록된 포켓몬을 교환하는 경우는 '''특별한 교환'''으로 취급되는데, 이 경우 필요한 별의모래가 굉장히 많아지며 1일 1회만 가능하다. ||<-5>
'''{{{#000000 프렌드 등급 및 교환 대상에 따른 별의모래 요구량}}}''' || ||<|2> 등급 ||<-2> 도감에 등록됨 ||<-2> 도감에 미등록 || || 일반 포켓몬 || 전설, 색이 다른 포켓몬 || 일반 포켓몬 || 전설, 색이 다른 포켓몬 || || 굿 프렌드 ||<|4> 100 || 20,000 || 20,000 || 1,000,000 || || 그레이트 프렌드 || 16,000 || 16,000 || 800,000 || || 울트라 프렌드 || 1,600 || 1,600 || 80,000 || || 베스트 프렌드 || 800 || 800 || 40,000 || 현재 교환 시스템의 의의는 희귀 포켓몬의 사탕 얻기, 개체 다시 뽑기, 반짝반짝 포켓몬으로 정리된다. 교환하는 행위 자체가 개체값을 리셋해버리는지라 강력한 포켓몬 하나를 선물해주는 방식은 추천하기 힘들고, 대신 최대한 많은 포켓몬을 교환하여 개체값을 재선별하고 사탕을 모아 진화시키는 것이 추천되는 사용 방식이다. 또한 반짝반짝 포켓몬은 개체값이 높게 설정되며 육성도 쉬워지기 때문에 교환하는 사람들의 주 목적이 된다. 여담으로, 포켓몬 GO 커뮤니티 등지에서는 현물이나 포켓몬을 포켓몬과 교환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로치의 경우는 이로치마다 다 가치가 다르다.[* 이로치 취급도 못 받는 경우부터 백지수표 취급까지..] 전설의 포켓몬 쪽은 좀 덜하지만 역시 가치의 차이가 좀 있다.[* 보통 이벤트를 통해 풀린 포켓몬은 가치가 낮아지고 시간이 지날수록 가치가 올라간다.][* 2020년 11월 기준 한국 커뮤니티에서는 흉내내 이로치가 백지수표 취급을 받는다. 이외에 코스튬 이로치나 안농, 뮤츠 이로치 등도 가치가 높다. 이벤에 따라 계속 유동적이므로 직접 들어가서 알아보는 편이 좋다.] 환상의 포켓몬, 이미 교환한 적이 있는 포켓몬, 그림자 포켓몬[* 포켓몬을 정화시키면 다시 교환이 가능해진다.], 약해진 포켓몬(체력이 최대치가 아닌 포켓몬)은 교환할 수 없다. === 언제나 모험 모드 === 2018년 10월 25일에 공개되어 11월 2일부터 적용된 기능. 구글 피트니스와 애플 건강과 연동해 포켓몬 GO를 실행하지 않더라도 해당 앱들의 걸은 거리를 이용해 알의 부화와 파트너 포켓몬의 사탕 획득이 가능하다. 거리에 비례해 추가 보상이 주어지며, 레벨 5 이상이 되어야 사용할 수 있다. === 루트 === 2023년 7월 21일에 공개 되어 적용된 기능. 루트를 참여하거나 작성, 사용하면서 거리 조건을 맞추면 거리에 비례해 보상을 준다. 1주일 기준으로 매일 빠짐없이 하면 추가 보상이 주어지며, 진행 중에 운 좋으면 녹색의 빛나는 부분이 나오는데 터치하면 지가르데 셀을 얻을 수 있다. 단 터치 도중에 [[방해꾼]] 포켓몬이 나타나 터치를 방해하거나 종착 지점에 닿으면 놓칠 수가 있으니 조심하자. 루트 업데이트 이후에는 거리 조건을 맞추고 루트 완료를 터치하면 보상을 얻을 수 있는 기능이 추가되어, 방해꾼 포켓몬이나 종착 지점에 닿더라도 지가르데 셀을 놓치는 일이 없어졌다. === [[Pokémon GO/업데이트|업데이트 내역]]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Pokémon GO/업데이트)] 포켓몬 고의 콘텐츠 업데이트는 느린 편이다. 어떤 게임이든, 특히 패키지 게임이 아닌 지속 서비스형 게임들은 업데이트가 제일 중요한데, 나이언틱이 욕먹는 이유 중에는 이 부분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 [[http://todayhumor.com/?bestofbest_306002|해당 사이트]]의 모 유저의 의견이 신빙성이 있다는 의견이 있다. 해당 글의 내용을 정리하자면, 유저들이 쓰는 서드어플이 해당 게임 서버에 부담을 주는 경우가 많은데, 후에 버그나 다른 일로 게임 운영에 차질을 빚는 것보다 차라리 업데이트를 더디게 해서라도 유저들을 위해 원활한 게임운영을 위해 서버 점검을 1순위에 두고 운영을 한 것으로 보인다는 의견이라는 내용이다. 그렇다고 한들, 그 비난과 비판을 다 상쇄시킬 순 없다. 애초에 미완성 된 게임을 출시했을 때 각오를 했어야 하는 부분이다. 좀 더 빠른 콘텐츠 추가와 재밌는 게임을 즐기기 위해서는 서드 어플 사용을 자제하는 것을 '''권장'''한다.(안 그러면 밴을 당한다.) 물론 서버 문제를 감안하더라도 포켓몬 고의 업데이트 주기는 굉장히 긴 편에 속한다. 이를 빼고 보더라도, 나이언틱의 게임 제작능력에 대해 많은 질타가 쏟아지고 있다.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Pokémon GO, version=4638, paragraph=3)] [[분류:Pokémon GO/시스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