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PUBG e스포츠 폐지된 대회)] ---- [include(틀:PUBG e스포츠 지역 리그 (~2019))] ---- ||<-3>
[[파일:1280px-PEL_logo.png|height=250]] || ||<-3> '''{{{#!htmlPUBG Europe League}}}''' || || '''한글 명칭''' ||<-2> 펍지 유럽 리그 || || '''지역''' ||<-2> [[유럽|[[파일:유럽 연합 깃발.svg|width=26]] 유럽]] ㆍ [[중동|[[파일:아랍 연맹 깃발.svg|width=26]] 중동]] ㆍ [[아프리카|[[파일:아프리카 연합 기.svg|width=26]] 아프리카]] || || '''운영 주체''' ||<-2> [[starladder|[[파일:external/wiki.teamliquid.net/SL_logo.jpg|width=180]]]] || || '''약칭''' ||<-2> '''{{{+1 {{{#ffffff PEL}}}}}}''' || || '''해외 송출 플랫폼''' ||<-2> [[트위치|[[파일:트위치 아이콘.svg|width=30]]]] || || '''공식 유튜브''' ||<-2> [[https://www.youtube.com/channel/UC-K5OHzPjAxcP4wd_XjNE-Q|[[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40]]]] || || '''경기장''' ||<-2> [[메세 베를린]] || || '''마지막 우승팀''' ||<-2> [[파일:600px-FaZe_Clan_2018_infoboximage.png|width=25]] [[FaZe Clan/배틀그라운드|FaZe Clan]] || || '''하위 대회''' ||<-2> [[파일:1280px-PEL_logo.png|width=25]] 펍지 유럽 컨텐더스 || ||<-3> [[https://pubgesports.eu/en/| [[파일:1280px-PEL_logo.png|width=25]]]] || [목차] [clearfix] == 개요 == [include(틀:PEL 참가 팀)] [[펍지 주식회사]]에서 주관하는 유럽의 [[PUBG: BATTLEGROUNDS]] 프로 리그이다. Phase 1, 2, 3로 나뉘어져 진행하며, PEL의 총 팀은 16팀, 경기수는 Phase 1 60경기, Phase 2, Phase 3 96경기로 현재 존재하는 PUBG 지역 리그 중 경기 진행수가 가장 많다. 현재 제한적 승강제를 채택하고 있으며, 이것은 PEL의 하위 4팀과 PELC 상위 12팀이 승강전을 펼쳐 4팀이 다음 Phase에 PEL로 진출하는 프로모를 의미한다. 이번 시즌에는 일종의 프리 시즌 개념으로 1회의 Kick-off Cup을 진행하였다. === 2019 페이즈 1 === 총 60라운드로 치러졌으며, Phase 1 종료 후 상위 4팀의 FGS 진출, 하위 5팀의 프로모행이 결정된다. '''우승''' : [[ENCE/배틀그라운드|ENCE]] , 준우승 : [[Team Liquid/배틀그라운드|Team Liquid]], 3위 : [[Ninjas in Pyjamas]], 4위 : [[Winstrike]] 위 4팀이 영국 런던에서 열리는 2019 Faceit Global Summit에 진출하였다. === 킥 오프 컵 === PEL, PELC의 팀들이 참여하며, 예선 라운드를 거쳐 결선 12라운드로 치러진다. '''우승''' : [[Team Liquid/배틀그라운드|Team Liquid]], 준우승 : SE7EN Esports, 3위 : [[FaZe Clan/배틀그라운드|FaZe Clan]], 4위 : Unity === 2019 페이즈 2 === 2019 페이즈3 시작 전에 올스타 이벤트가 예정되어 있다. 이것은 타 지역에서도 같이 발표되었으며, 일종의 국가대항전 성격이 강하다. 그리고 이 대회의 공식 명칭이 PUBG Nations Cup으로 결정되었다. 또한, 그 이전에 유럽 / 올아메리카 / 오세아니아 지역의 경쟁전인 GLL Grand Slam: PUBG Classic이 진행되는 것이 확정되었다. 1주당 4일, 하루 당 4경기씩 치러 6주, 총 96경기에 걸친 총합 점수로 순위를 결정하며 상위 5팀은 프리미엄 파트너 대회인 [[GLL Grand Slam: PUBG Classic]]에 참가한다. '''우승''' : [[FaZe Clan/배틀그라운드|FaZe Clan]], 준우승 : [[Natus Vincere/배틀그라운드|Natus Vincere]], 3위 : [[Team Liquid/배틀그라운드|Team Liquid]], 4위 : [[G2 Esports/배틀그라운드|G2 Esports]], 5위 : Pittsburgh Knights Phase 2는 엄청난 이변으로 받아들여졌는데, 불과 이틀 사이에 70점 차이를 역전해서 TSM을 제치고 강등 위기에서 국제대회에 진출한 Pittsburgh Knights의 뒤집기가 돋보였으며, 해설자들조차 당연히 5위 TSM을 예상하고 있었던 찰나 마지막 날에 3번의 치킨을 기록해서 그것을 모조리 뒤집어버렸다. 또한 Phase 1 우승팀 ENCE는 마지막 날까지 저조한 성적으로 강등권에 있다가, 겨우 10위로 잔류에 성공하는 등 이상현상이 곳곳에서 일어났다. === 2019 페이즈 3 === Phase 3는 사녹이 추가되면서 경기 일수, 일당 경기 숫자에 차이가 생겼다. 총 5주, 19일에 걸쳐서 진행하며 DAY 1~18 까지는 경기당 5매치[* x1, x2, x6,x7 - 미라마, x3, x8 - 사녹, x4, x5, x9, x0 - 에란겔], DAY 19에만 6경기[* Match 91, 92 - 미라마, Match 93 - 사녹, Match 94, 95, 96 - 에란겔] 를 진행한다. 맵은 미라마 38경기, 사녹 19경기, 에란겔 39경기로 총 96경기이다. Phase 2, Phase 3의 점수의 비율 차등을 통해 이 둘의 점수를 총합해 상위 5팀이 [[PUBG Global Championship 2019]]에 참가하며, Phase 3 우승팀은 점수 총합에서 면제되고 자동으로 PUBG Global Championship 2019에 진출한다. 만약 Phase 3 우승팀이 포인트 상위 5팀 안에도 들어갈 경우, 포인트 6위가 진출하게 된다. 포인트 산정은 ( Phase 2 점수 x 0.3 ) + ( Phase 3 점수 x 0.7 )로 이루어지며, 동일 점수일 경우 소수점까지 확인해서 높은 팀 > Phase 3의 점수가 높은 팀 > 킬 점수가 높은 팀으로 우열을 결정한다. '''우승''' : [[FaZe Clan/배틀그라운드|FaZe Clan]], 준우승 : [[Team Liquid/배틀그라운드|Team Liquid]], 3위 : [[TSM/배틀그라운드|TSM]], 4위 : [[Natus Vincere/배틀그라운드|Natus Vincere]], 5위 : [[CrowCrowd]], FaZe Clan이 Phase 2에 이어서 Phase 3에서도 연속 우승을 차지했으며, 자동으로 PGC에 진출하였다. 또한 5위를 기록한 CrowCrowd는 72경기 시점까지도 중하위권에 처져 있다가 후반 대약진으로 마지막 PGC 진출권을 손에 넣었다. ||<-7> '''{{{#white PEL 퍼포먼스 포인트}}}''' || || 순위 ||<-2> 팀명 || P2 || P3 || 전체 포인트 || 비고 || || 1 || [[FaZe Clan/배틀그라운드|[[파일:600px-FaZe_Clan_2018_infoboximage.png|width=25]]]] || '''[[FaZe Clan/배틀그라운드|FC]]''' || 212 || 521 || 733 || || || 2 || [[Team Liquid/배틀그라운드|[[파일:Team Liquid 로고 2023 블루.svg|width=21]]]] || '''[[Team Liquid/배틀그라운드|TL]]''' || 206 || 500 || 706 || || || 3 || [[Natus Vincere/배틀그라운드|[[파일:600px-Natus_Vincere.png|width=25]]]] || '''[[Natus Vincere/배틀그라운드|NV]]''' || 207 || 452 || 659 || || || 4 || [[TSM FTX/배틀그라운드/2021년 5월 이전|[[파일:Team SoloMid.png|width=23]]]] || '''[[TSM FTX/배틀그라운드/2021년 5월 이전|TSM]]''' || 169 || 475 || 644 || || || 5 || [[G2 Esports|[[파일:G2 Esports 로고.svg|width=20]]]] || '''[[G2 Esports|G2]]''' || 205 || 402 || 607 || || || 6 || [[CrowCrowd|[[파일:Crowcrowd_logo.png|width=22]]]] || '''[[CrowCrowd|CC]]''' || 159 || 433 || 592 || || || 7 || [[Ninjas in Pyjamas|[[파일:external/wiki.teamliquid.net/NiP-StarLogo_20170209-Original.png|width=22]]]] || [[Ninjas in Pyjamas|NIP]] || 159 || 365 || 524 || || || 8 || [[Pittsburgh Knights|[[파일:Pittsburgh Knights logo.png|width=50]]]] || [[Pittsburgh Knights|PK]] || 170 || 333 || 503 || || || 9 || [[Team Reciprocity|[[파일:Team Reciprocity_logo.png|width=22]]]] || REC || 143 || 353 || 496 || || || 10 || [[Raise Your Edge|[[파일:Raise Your Edge_logo_2.png|width=22]]]] || RYE || 155 || 326 || 481 || || || 11 || [[Digital Athletics|[[파일:Digital Athletics_logo.png|width=20]]]] || [[Digital Athletics|DA]] || 150 || 302 || 452 || || || 12 || [[ENCE/배틀그라운드|[[파일:ENCE logo.png|width=22]]]] || [[ENCE/배틀그라운드|ENCE]] || 149 || 298 || 447 || || || 13 || [[N47|[[파일:N47_logo.png|width=25]]]] || N47 || 0 || 410 || 410 || || || 14 || [[Se7en eSports|[[파일:Se7en eSports_logo.png|width=23]]]] || S7E || 148 || 256 || 404 || || || 15 || [[Desperado|[[파일:Desperado_logo.png|width=22]]]] || DES || 0 || 344 || 344 || || || 16 || [[Team GamerLegion|[[파일:Team GamerLegion_logo.png|width=23]]]] || GL || 0 || 321 || 321 || || ||<-7> {{{-2 {{{#97ecab 초록색:}}} {{{#white PGC 진출 |}}} {{{#ffd700 금색:}}} {{{#white P3 우승 |}}} {{{#fcc 빨간색:}}} {{{#white PGC 진출 실패}}} }}} || PGC 진출팀 : 1번 시드 - FaZe Clan // 2번 시드 : Team Liquid, Natus Vincere, TSM, G2 Esports, CrowCrowd 위 6팀이 PUBG Global Championship 2019에 유럽 대표로 출전한다. 그리고 Phase 1 우승팀 ENCE는 이번 Phase 3에서 승강전(Promo)으로 내려가면서, 유럽팀 최초로 우승팀이 강등당하는 불명예를 안게 되었다. 참고로 이 기록이 전 세계 최초는 아니다.[* 한국에서는 이미 舊 ROCCAT INV가 2019 Phase 1 당시에 강등을 기록한 적이 있다.] 그나마 강등은 안 당하고, Promo에서 1위를 기록해서 살아 남았다. == 역대 기록 == === 역대 대회 === [include(틀:PEL 역대 대회)] === 역대 우승팀 === [include(틀:PEL 역대 우승팀)] [[분류:PUBG: BATTLEGROUNDS/대회]][[분류:PUBG Europe Leagu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