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PLUTO(만화))] ||<-2>
[[넷플릭스/오리지널 콘텐츠 목록/애니메이션#s-2.3|{{{#ffffff '''Netflix 오리지널'''}}}]][br]{{{#ffffff,#ffffff '''{{{+1 플루토}}}''' (2023)[br]プルートウ[br]PLUTO}}}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플루토(아톰) 애니비주얼.jpg|width=100%]]}}} || ||<-2> {{{#ffffff,#ffffff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작품 정보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
'''{{{#ffffff,#ffffff 장르}}}''' ||[[사이언스 픽션|SF]], [[서스펜스]] || || '''{{{#ffffff,#ffffff 원작}}}''' ||[[우라사와 나오키]] × [[데즈카 오사무]] || || '''{{{#ffffff,#ffffff 감수}}}''' ||데즈카 마코토(手塚 眞) || || '''{{{#ffffff,#ffffff 협력}}}''' ||[[데즈카 프로덕션]] || || '''{{{#ffffff,#ffffff 감독}}}''' ||카와구치 토시오(河口俊夫) || || '''{{{#ffffff,#ffffff 크리에이티브[br]어드바이저}}}''' ||[[우라사와 나오키]] || || '''{{{#ffffff,#ffffff 캐릭터 디자인}}}''' ||<|2>[[후지타 시게루(애니메이터)|후지타 시게루]] || || '''{{{#ffffff,#ffffff 총 작화감독}}}''' || || '''{{{#ffffff,#ffffff 미술 감독}}}''' ||시바타 치카코(柴田千佳子) || || '''{{{#ffffff,#ffffff 촬영 감독}}}''' ||사토 미츠히로(佐藤光洋) || || '''{{{#ffffff,#ffffff 3D CG 프로듀서}}}''' ||히로카와 히로시(広川ひろし) || || '''{{{#ffffff,#ffffff CGI 연출}}}''' ||<|2>미야타 타카히로(宮田崇弘) || || '''{{{#ffffff,#ffffff 특수 촬영}}}''' || || '''{{{#ffffff,#ffffff CGI 연출}}}''' ||타나카 타이치(田中太一)[br]난바 카츠키(難波克毅) || || '''{{{#ffffff,#ffffff 음향 감독}}}''' ||[[미마 마사후미]] || || '''{{{#ffffff,#ffffff 음악}}}''' ||[[칸노 유고]] || || '''{{{#ffffff,#ffffff 제작 프로듀스}}}''' ||[[젠코(기업)|젠코]] || || '''{{{#ffffff,#ffffff 이그제큐티브[br]프로듀서}}}''' ||마키 타로(真木太郎)[br][[마루야마 마사오(1941)|마루야마 마사오]][br]야마노 히로후미(山野裕史) || || '''{{{#ffffff,#ffffff 프로듀서}}}''' ||마루야마 신타로(丸山真太郎)[br]이코 유시(伊香佑志)[br]우다가와 스미오(宇田川純男)[br]葛仰騫 || || '''{{{#ffffff,#ffffff 제작 프로듀서}}}''' ||하뉴다 마키(羽生田真希) || || '''{{{#ffffff,#ffffff 애니메이션 제작}}}''' ||Studio M2(スタジオM2)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m2_animation)] || || '''{{{#ffffff,#ffffff 제작}}}''' ||PLUTO [[제작위원회]] || || '''{{{#ffffff,#ffffff 공개 시기}}}''' ||[[애니메이션/2023년 10월|2023. 10. 26.]] || || '''{{{#ffffff,#ffffff 스트리밍}}}''' ||[[넷플릭스]] [[https://www.netflix.com/kr/title/81281344|▶]]^^독점^^ || || '''{{{#ffffff,#ffffff 편당 러닝타임}}}''' ||55~71분 || || '''{{{#ffffff,#ffffff 화수}}}''' ||8화 || || '''{{{#ffffff,#ffffff 시청 등급}}}'''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15세 이용가|[[파일:영등위_15세이상_2021.svg|width=25]] {{{#373a3c,#dddddd 15세 이상 관람가}}}]] || || '''{{{#ffffff,#ffffff 관련 사이트}}}''' ||[[https://pluto-anime.com/|[[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5]]]] |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pluto_anime_)] || }}}}}}}}}}}} || [목차] [clearfix] == 개요 == 만화 [[PLUTO(만화)|PLUTO]]을 원작으로 하는 [[넷플릭스/오리지널 콘텐츠 목록/애니메이션|넷플릭스 오리지널 애니메이션]]. 2020년 애니화될 예정이었으나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로 인해 연기되어 [[애니메이션/2023년 10월|2023년 10월]]에 [[넷플릭스]]로 공개가 결정되었다. 제작사는 Studio M2. 감독은 카와구치 토시오. == 공개 정보 == 제작은 [[마루야마 마사오(1941)|마루야마 마사오]]가 대표로 있는 Studio M2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Studio M2는 향후 어떻게 될지 미정이지만 이 작품을 만들기 위해 설립된 회사라고 한다. 당초엔 [[MAPPA]]가 원청 제작사 타이틀을 달고 있었고 배급을 맡을 예정이었다.[* MAPPA도 마루야마 마사오가 만든 회사이지만 마루야마는 애초에 [[이 세상의 한구석에(애니메이션)|이 세상의 한구석에]]와 [[잔향의 테러]]만 만들고 말 생각이었으므로 후배인 [[오오츠카 마나부]]에게 넘기고 Studio M2를 새로 설립하고 이적했다.] 그러나 [[넷플릭스]]의 독점 직배급이 결정되면서 MAPPA는 빠지고 M2 명의로 발표하게 되었다. [[프랑스]]의 애니메이션 스튜디오도 제작에 참가한다고 한다. 마루야마 마사오는 은인인 [[데즈카 오사무]]에 대한 헌정의 의미로 [* 이 작품의 원작은 데즈카 오사무의 대표작 [[철완 아톰]]이다.] 이 작품에 기대를 많이 걸고 있다고 하며 2021년 [[오타콘]]에서 이 작품만 6년은 족히 만들었고 곧 발표할 것이라고 밝혔다. 일단 만들고 있는 건 맞아서 제작 중의 자료가 유출되기도 했다. [[https://twitter.com/aelen_altria/status/1138769549262639104|#]] 2022년 한 프랑스 애니메이터가 자신이 만들던 일본 애니메이션이 방영이 취소되었다고 해서 이 작품이 아니냐는 루머가 돌았으나 [[마루야마 마사오(1941)|마루야마 마사오]]가 직접 "지금 잘 만들고 있습니다." 라고 하며 루머를 부정했다. [[https://twitter.com/Julian31759818/status/1530189925047476224|#]] 2023년 2월 15일, 본작에 대한 자세한 정보와 PV가 공개되었다. [[넷플릭스/오리지널 콘텐츠 목록/애니메이션|넷플릭스 오리지널 애니메이션]]으로 공개되며, 2023년 내 공개를 목표로 하고 있다고 한다. 2023년 7월 2일, 구체적인 송신 시기 및 스태프가 공개되었다. 총 8화인데[* 단행본 권수와 일치한다.] 1화가 1시간 분량이다. 마루야마 마사오 프로듀서는 이 작품을 1화 1시간으로 만든 것, 한 번에 일괄 공개하는 이유에 대해 "이 작품은 흡입력이 굉장해서 다른 TV 애니메이션처럼 20분 단위로 끊으면 몰입을 방해한다고 생각했다."라고 설명했다. === PV ===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youtube(U_4027-dnnA, width=100%)]}}} || || '''미리보기''' ||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youtube(i3adByIdZNo, width=100%)]}}} || || '''공식 티저 예고편''' ||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youtube(x7gmQ82HUck, width=100%)]}}} || || '''공식 예고편''' || === 키 비주얼 ===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파일:플루토 비주얼.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파일:플루토_애니티저비주얼.png|width=100%]]}}} || || '''{{{#ffffff,#ffffff 티저 비주얼}}}''' || '''{{{#ffffff,#ffffff 메인 비주얼}}}''' || == 줄거리 == >{{{#!folding [ 원문 ▼ ] 憎しみの連鎖は、断ち切れるのか。 人間とロボットが<共生>する時代。 強大なロボットが次々に破壊される事件が起きる。調査を担当したユーロポールの刑事ロボット・ゲジヒトは犯人の標的が大量破壊兵器となりうる、自分を含めた<7人の世界最高水準のロボット>だと確信する。 時を同じくしてロボット法に関わる要人が次々と犠牲となる殺人事件が発生。<ロボットは人間を傷つけることはできない>にも関わらず、殺人現場には人間の痕跡が全く残っていなかった。 2つの事件の謎を追うゲジヒトは、標的の1人であり、世界最高の人工知能を持つロボット・アトムのもとを訪れる。 「君を見ていると、人間かロボットか識別システムが誤作動を起こしそうになる。」 まるで本物の人間のように感情を表現するアトムと出会い、ゲジヒトにも変化が起きていく。 そして事件を追う2人は世界を破滅へと導く史上最悪の<憎しみの存在>にたどり着くのだった―――。}}} >---- >증오의 연속은, 끊어낼 수 있는 것인가. > >인간과 로봇이 "공생"하는 시대. >강대한 로봇이 차례차례 파괴되는 사건이 일어난다. 조사를 담당한 유로폴의 형사 로봇 게지히트는 범인의 표적이 대량파괴 병기이자, 자신을 포함한 '세계 최강의 로봇 7인'이라고 확신한다. > >같은 시기, 로봇법에 관련된 중요 인물들이 차례차례 희생되는 살인 사건이 발생한다. '로봇은 인간을 해칠 수 없다'라는 로봇법에도 불구하고, 살인 현장에는 인간의 흔적이 전혀 남아있지 않았다. > >두 사건의 수수께끼를 추적해 가는 게지히트는, 목표 중 한명이자 세계 최고의 인공지능을 가진 로봇 아톰을 찾아간다. > >'너를 보고 있으면, 인간과 로봇을 구별하는 식별 시스템이 오작동을 일으킬 것 같다.' >그야말로 실제 인간과 같이 감정을 표현하는 아톰과 만나면서, 게지히트에게도 변화가 일어나기 시작한다. > >그리고 사건을 쫓는 두 사람은 세계를 파멸로 몰아넣는 사상 최악의 '증오의 존재'에 도달하게 되는 것이었다-. >---- >― [[https://pluto-anime.com/|#]] >로봇은 인간을 죽일 수 없게 프로그래밍된 질서정연한 세상에서 살인 사건이 일어난다. 유로폴 소속의 로봇 형사 게지히트가 이 사건의 수사를 맡아 범행 현장으로 향한다. 하지만 그곳에선 인간의 흔적을 찾아볼 수 없고, 사건은 더욱 미궁 속으로 빠진다. 진실을 찾아 추적을 이어가던 게지히트. 그는 곧 역사상 유례를 찾아볼 수 없이 사악한 증오의 기운을 마주한다. 그 존재는 세상을 파멸시키겠다는 일념으로 가득한데. >---- >― [[넷플릭스]] == [[PLUTO(만화)/등장인물|등장인물]]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PLUTO(만화)/등장인물)] ||
'''{{{#ffffff,#dddddd 등장인물}}}''' || '''{{{#ffffff,#dddddd 성우}}}''' || || '''[[게지히트]]''' || [[후지 신슈]] || || '''[[아톰(PLUTO)|아톰]]''' || [[히카사 요코]] || || '''[[우란]]''' || [[스즈키 미노리]] || || '''[[몽블랑(철완 아톰)|몽블랑]]''' || [[야스모토 히로키]] || || '''[[노스 2호]]''' || [[야마데라 코이치]] || || '''[[브란도(철완 아톰)|브란도]]''' || [[키우치 히데노부]] || || '''[[헤라클레스(철완 아톰)|헤라클레스]]''' || [[코야마 리키야]] || || '''[[엡실론(철완 아톰)|엡실론]]''' || [[미야노 마모루]] || || '''[[플루토(철완 아톰)|플루토]] / 사하드''' || [[세키 토시히코]] || || '''헬레나''' || [[박로미]] || || '''[[오챠노미즈 박사]]''' || [[후루카와 토시오]] || || '''[[텐마 박사]]''' || [[츠다 에이조]] || || '''[[아브라 박사]]''' || [[야마지 카즈히로]] || || '''[[브라우 1589]]''' || [[타나카 히데유키]] || || '''[[Dr. 루스벨트]]''' || [[이노우에 마리나]] || || [[블랙잭(블랙 잭)|일본인 무면허 의사]][* 단 2마디의 대사를 위해 원작 성우를 캐스팅했다.] || [[오오츠카 아키오]] || == [[PLUTO(만화)#설정|설정]]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PLUTO(만화), 앵커=설정)] == 주제가 == === OP === ||<-2>
'''{{{#ffffff,#ffffff OP}}}'''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 width=100%)]}}} || ||<-2> '''{{{#ffffff,#ffffff WEB ver.}}}'''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 width=100%)]}}} || ||<-2> '''{{{#ffffff,#ffffff Full ver.}}}''' || ||<-2><^|1>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콘티''' ||<|2> 모리이즈미 요시노리(森泉仁智) || || '''연출''' || || '''일러스트레이션''' || [[우라사와 나오키]] || }}}}}}}}} || == 회차 목록 == ||
'''회차''' || '''각본''' || '''콘티''' || '''연출''' || '''작화감독''' || '''총작화감독''' || || 제1화 ||<|2> 야마시타 헤이스케[br](山下平祐) || [[코지마 마사유키]][br][[오키우라 히로유키]] || 마츠세 마사루[br](松瀬 勝)[br]요시무라 후미히로[br](吉村文宏)[br]마타노 히로미치[br](又野弘道) || 아오키 카즈노리[br](青木一紀)[br]사이토 이타루[br](齊藤 格) || [[후지타 시게루(애니메이터)|후지타 시게루]] || || 제2화[*D [[디알무비]] 하청 편.] ||<-3> 우메하라 타카히로[br](梅原隆弘) || 우메하라 타카히로[br]사쿠라이 쿠니히코[br](桜井邦彦)[br]후지타 시게루 || || 제3화 ||<|2> 이나모토 타츠로[br](稲本達郎) || 마츠세 마사루[br]시마자키 나나코[br](島崎奈々子) || 타카기 요시에[br](高木由絵) || 三獄理絵[br]타카하시 에리코[br](高橋英理子)[br]李晋螺 || 후지타 시게루 || || 제4화[*D] || [[사코이 마사유키]] || 엄상용[br]시마자키 나나코 || 권혁정 || 사쿠라이 쿠니히코[br]후지타 시게루 || || 제5화[*M [[MAPPA]] 하청 편.] ||<|2> 야마시타 헤이스케 || [[니시무라 사토시#애니메이션 감독 니시무라 사토시]][br][[마츠오 코우]] || 신타니 켄토[br](新谷研人)[br]오카모토 야스토모[br](岡本泰知) || 하라 슈이치[br](原 修一)[br]타카하시 마호[br](高橋万帆)[br]양창[br](ヤンチャン)[br]하야카와 카즈코[br](早川加寿子) || 후지타 시게루 || || 제6화[*M] || 오카모토 야스토모[br]사토 타케루[br](佐藤 威) || 오카모토 야스토모[br][[우다 코노스케]] || 하라 슈이치[br]쿠마다 아키코[br](熊田明子)[br]하야카와 카즈코[br]타키노 마미[br](滝野芙美)[br]토카노 에리[br](戸叶恵利)[br]이이노 켄이치[br](飯野堅一)[br]오기소 신고[br](小木曽伸吾)[br]스기노 하루토[br](杉埜はると) || 후지타 시게루[*LO [[레이아웃]] 총 작화감독.] || || 제7화[*C [[색연필 애니메이션]] 작화 하청 편.] ||<|2> 이나모토 타츠로 || 니시무라 사토시 || 아오야마 히로시[br](青山 弘) || 노구치 마사츠네[br](野口征恒)[br]아오키 카즈노리[br]사쿠라이 쿠니히코[br]劉柯利[br]李文臻[br]黄洋 || 카네모리 요시노리 || || 제8화 || 코지마 마사유키 || 요시무라 후미히로 || 아오키 카즈노리[br]코사코 요시시게[br](小佐小吉重)[br]사쿠라이 쿠니히코[br]시미즈 히로시[br](清水 洋) || 후지타 시게루 || == 평가 == === 공개 전 === 일본 애니메이션 여명기부터 명작을 남긴 프로듀서 [[마루야마 마사오(1941)|마루야마 마사오]]의 생전 마지막 작품이 될지도 모르는 작품이라[* 일단 이게 은퇴작이 아니며 자신이 죽어도 나올 수 있게 기획서는 많이 써놨다고 한다.] 많은 1급 연출가와 애니메이터가 참가 예정이다. [[스튜디오 지브리]] 출신 애니메이터 [[엔도 마사아키(애니메이터)|엔도 마사아키]] 말로는 자신이 아는 대단한 애니메이터가 여러 명 참가 예정이라고 한다. [[https://twitter.com/T35endou/status/1625739429066444801|#]] [[오오히라 신야]]도 참가 확정이다.[* PV의 게지히트 전투신이 오오히라 신야.] 감독 카와구치 토시오가 지브리 출신이라 지브리 멤버 주축으로 제작될 것으로 보인다. 총 작화감독 [[후지타 시게루(애니메이터)|후지타 시게루]]는 [[우라사와 나오키]]의 작화를 복사기 수준으로 똑같이 그려내는 애니메이터이다. 따라서 작화는 최고급을 찍을 것으로 보인다. 다만 예고편의 작화와 배경이 좀 따로 노는 것 같다는 감상도 있다. 이건 애니메이터가 아니고 [[미술]], [[촬영]] 쪽에서 잘못하면 생기는 문제인데 이쪽은 좀 불안 요소가 있다. 카와구치 토시오 감독이 작화 실력은 [[미야자키 하야오]]에게 인정을 받았을 정도의 애니메이터였지만[* [[미야자키 하야오]]는 엄청난 [[완벽주의]]자라 실력이 부족하면 아예 같이 일을 안 하고 쫓아낸다. 여러 번 같이 일했다는 것은 일본 최고급 실력과 재능이 있다는 것이다.] 연출, 미술, 채색, 촬영 쪽에선 두각을 보인 적이 없기에 그 영향이 있을 수도 있다.[* 다 똑같은 그림 그리기 아니냐고 할 수 있지만 애니메이션은 철저한 분업제라 부서마다 업무가 다 다르며 다 잘하는 사람은 흔치 않다.] 일단 정적인 느낌이었던 최초 미리보기에 비해 티저 영상은 역동적인 모습을 보여주어 기대감이 높아졌다. === 공개 후 === 원작의 매력과 스토리를 잘 살려서 호평이 지배적이다. 리뷰 사이트에서도 높은 평점을 기록하고 있다. 연출은 카와구치 토시오(河口俊夫) 감독이 연출 쪽 경력이 부족해서인지 [[코지마 마사유키]][* [[우라사와 나오키]]의 작품 [[|마스터 키튼]], [[몬스터(만화)/애니메이션|몬스터]]의 감독이다. 사실상 늘 우라사와 작품을 해왔던 감독이 한 것.]가 중요 에피소드의 [[콘티]]를 했으며 전체적으로 코지마의 연출색이 강하다. 카와구치 토시오 감독은 현장과 작화 관리 중심으로 감독한 것으로 보인다. 작화는 [[오오히라 신야]]의 작화가 두각을 보이며 1화, 7화, 8화가 작화로 호평이다. 다만 CG쪽이 어색하다는 평도 있다. [* [[마스다 히로후미]]는 왜 내 작화를 CG로 바꿨냐고 항의하기도 했다.] 호불호점으로는 [[스릴러]] 작품이라 그에 맞춰 연출 템포를 느리게 잡았고 액션도 생각보다 그렇게 많지 않아서 빠르고 자극적인 것을 좋아하는 시청자 사이에선 불호 의견도 있다. 그런데 이건 원작이 그래서 어쩔 수 없는 점이다. PV를 액션이 많은 작품인 것처럼 편집해 액션물로 알고 유입된 시청자도 있어서 이런 불만이 특히 두드러지는 것으로 보인다. 게임 제작자 [[코지마 히데오]]가 호평했다. [[https://twitter.com/Kojima_Hideo/status/1717905011337056435|#]] == 기타 == * PV에서 '지상 최대의 로봇'편 을 '지상 최강의 로봇'편이라고 번역한 오역이 있다. 또한 원작자명에는 데즈카 오사무라고 표기하였음에도 테즈카 마코토나 테즈카 프로덕션으로 표기하는 등 번역이 일괄적이지 못하다. 또한 공식 티저 예고편에서도 살해당한 사람이 독일인임에도 영어식 발음인 버나드 랭키라는 자막이 달렸다. 문제는 원판도 베르나르드 랑케라고 하며 최대한 독일식 인명으로 발음했는데 자막은 저렇게 되어있다는 것. 즉 명백한 오역이다. 추후 번역가 교체 혹은 철저한 검수를 통한 수정이 필요해보이는 상황이다. 원작의 분위기를 감안하면 오역이 발생하면 치명적인 내용 오해가 있을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 본편에서는 마지막까지도 조각조각 단편적인 장면으로만 보여줘서 독자가 직접 짜맞춰 유추해야했던 게지히트의 삭제된 과거가[* 만화 원작에서는 가장 중요한 부분을 극이 끝나고 에필로그 부분에 삽입했다.] 시청자가 확실하게 알 수 있도록 시간순으로 편집되어 마지막화에 플루토와의 결전 전 아톰이 게지히트의 기억을 회상하는 형식으로 등장하도록 변경되었다. * 1화에 나오는 피아노곡은 원작자 [[우라사와 나오키]]가 작곡했다.[* 음악 활동도 하는 만화가이다. [[20세기 소년]]의 삽입곡 [[밥 레논]]도 직접 작사 작곡한 곡이다.] * 영어 더빙 녹음은 [[아이유노(미국)|아이유노]]에서 녹음 되었으며 [[키스 데이비드]], [[프레드 태터쇼어]], [[에릭 바우자]], [[놀런 노스]]와 같이 미국 애니메이션에서 주로 활약하고 있는 성우들을 기용한것이 특징이다.[[https://animevoiceover.fandom.com/wiki/Pluto|#]] [[분류:PLUTO(만화)]][[분류:철완 아톰/애니메이션]][[분류:일본 애니메이션/목록]][[분류:2023년 4분기 일본 애니메이션]][[분류:일본 만화 원작 애니메이션]][[분류:넷플릭스 오리지널 일본 애니메이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