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자격면허]] [include(틀:다른 뜻1, other1=(사)한국정보통신자격협회(ICQA)가 운영하는 국가공인민간자격증, rd1=PC정비사)] [include(틀:컴퓨터 분야 자격증)] (사)한국정보평가협회(KIE)가 운영하는 국가공인민간[[자격증]]. [[https://www.kie.or.kr/kiehomepage/fc/licencePCMasterG1?licence=|홈페이지]] [목차] == 개요 == PC에 대한 전문지식과 기능을 가지고 PC의 시스템구성 및 설치, 유지보수(고장수리, 시스템 최적화, 업그레이드), 기본적인 네트워크 설치 및 활용에 관한 업무와 사용자의 요구를 분석하여 사용자의 요구에 맞는 정보를 제공하고, 사용자의 PC를 관리하는 업무를 수행하는 능력을 공식적으로 인정해주는 자격이다. [[컴퓨터 고장 정보]] 문서 참조. 자격증 유효기간은 5년이며, 유효기간 만료 1개월 전부터 보수교육을 통해 5년 단위 재갱신이 가능하다. (사)한국정보통신자격협회(ICQA)가 운영하는 [[PC정비사]]와 이름이 비슷하고 능력 평가 범위도 거의 같아서 헷갈리는 경우가 있는데, 둘은 엄연히 다른 자격이다. [[DIAT]]와 [[ITQ]]의 관계와 비슷하다고 보면 된다. 또한, 1급과 2급으로 나뉘어 있는 PC정비사와는 다르게 이쪽은 단일등급이다. == 시험 == 1차 시험과 2차 시험으로 치러진다. 1차는 4지선다형 객관식 60문제를 60분 동안 푼다. 60점 (36문항) 이상 득점시 합격이다. 2차는 주관식 20문제를 60분 동안 푼다. 60점 이상 득점시 합격이다. [[정보처리기사]] 실기처럼 지필평가로 한다. PC정비사가 컴퓨터 앞에서 시뮬레이터 돌려서 푸는 것과는 다른 점. 2차 시험에 응시할 수 있는 기간은 1차 합격일로부터 1년이다. PC정비사가 1차 합격일로부터 2년 안에 2차 응시를 할 수 있는 것과 차이가 있다. == 응시료 == 1차는 4만원, 2차는 5만원이다. == 기타 == 학점은행제에서 4학점을 인정해준다. PC정비사 1급(5)보다는 1학점 적고 2급(3)보다는 1학점 많다. PC정비사와 마찬가지로 이쪽도 강원도에는 시험장이 없어서 타 지역으로 원정 응시를 해야 한다. PC정비사와 비교하면 굉장히 마이너하다. PC정비사 1급보다는 응시자 수가 많지만 2급과 비교하면 극히 적다. 시험교재도 PC정비사는 시중에 많이 풀려 있고 관련 커뮤니티에서도 활발한 공유가 이루어지는 데 반해 이쪽은 협회에서 공개하는 기출문제 말고는 교재가 거의 없다시피 하다. 다만 합격률은 80% 안팎으로 높은 편이다. PC정비사의 합격률이 대체로 30%대에서 형성되는 것과는 대조적이다. 아무래도 PC정비사는 2차 시험이 작업형이다 보니 1차 시험을 통과해 놓고도 2차 시험에서 물을 먹는 경우가 많아서 그런 듯 하다. == 관련 문서 == * [[PC정비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