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40px-P-38_Can_Opener.jpg|width=500]] || || 출처 : [[https://en.wikipedia.org/wiki/P-38_can_opener|위키피디아 (영어)]] || >"[[전투식량/미군#s-6|이게]] 상사님이 [[베트남]]에서 먹었다는 그거에요?" >"맞아. 저리 치워. 보기만 해도 속이 미식거린다. '''P-38없이는 먹을 수 없어서 이게 바로 밥줄'''이었다고. 이거하고 카라미스[* 원본 책의 오타로, 원래 명칭은 카밀러스(Camillus)다. 카밀러스 사에서 납품한 [[스위스 아미 나이프]]를 가리키는 것.] 나이프를 [[군번줄]]에 걸고 다녔는데 그 몰골이란..." >---- > - 컴뱃 바이블 1권 中. 미군이 2차대전 때부터 줄기차게 써온 [[따개#s-1.3|캔따개]]. 한국에서도 40대를 넘긴 사람들, 혹은 젊은 사람이라도 군대에서 취사장이나 창고 한 켠에 몇 개 돌아다니는 걸 본 사람이라면 익숙한 형태일 것이다. 누워있는 날을 세우고, ~~싸제~~ 민수용 [[깡통]]따개처럼 슥삭슥삭 따면 된다. P-38이라는 형식번호의 어원에 대해서는 많은 이설이 있는데, 길이가 38mm라서 그렇다든지,(실제 길이가 그러하다.) [[전투식량/미군|C-레이션]] 열기 위해서 38번의 따개질을 해야 하기 때문이라든지, [[P-38 라이트닝|P-38 전투기]]에서 따왔다든지 하는 설이 있다.[* 묘하게도 P-51도 마찬가지로 [[P-51 머스탱]]이 있다.] 병사들은 [[지프]]라거나[* [[지프#s-2|M38]]이라는 지프가 있다.] [[존 웨인]](믿음직해서) 같은 별명을 붙여 부르기도 했다. C레이션과 그 후계인 MCI는 [[통조림]] 위주라서 따개가 필수였다. 없으면 그냥 '''대검으로 쑤시거나(...) 짱돌로 내리치거나(...)'''해서 먹어야한다. 따라서 병사들은 되도록 이 캔따개를 하나씩 휴대하려 했다. 문제는 MCI 박스 12개들이 큰 걸 하나 까면 캔따개는 4개 밖에 안들어있다는 것. 캔따개가 딱히 쓰고 버리는 물건은 아니니 짬밥 몇차례 먹으면 하나쯤 얻을 수 있겠지만, 실제 이게 필요할 때(작전 나갔을 때)는 손에 없는 기막힌 경우가 많아서 위에 적힌대로 [[베트남 전쟁]]때의 미군 군인들 대부분은 [[군번줄]]에 이 P-38을 달고 다녔다. '''얘 없으면 밥 못먹으니까.''' [[파일:external/www.countycomm.com/opener22small.jpg]] 이것보다 한 치수 큰 P-51 캔따개도 있는데, 이것도 길이가 51mm다. 사이즈 외의 차이점이라면 가운데 찍힌 프레스 자국이 2줄이라는 점과 흔히 군번줄 걸곤 했던 구멍이 칼날 옆이 아닌 반대쪽 끝 가운데 뚫려있다는 점 정도다. P-38은 1981년 미군 전투식량이 [[MRE]]로 바뀌면서 비로소 퇴역(?)한다. 하지만 P-51은 T-레이션(B-레이션)을 따는데 사용하기 때문에 아직 현역이다.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ADF_Can_Opener.jpg|width=500]] 비슷한 물건은 다른 나라에서도 흔했다. 어떤 것은 손잡이가 더 길어졌거나, 병따개 기능도 첨부한다든지 하는 경우도 있다. 오스트레일리아군은 FRED(Field Ration Eating Device)라는 캔따개 겸 병따개를 쓰는데, 이게 손잡이 끝에 숟가락이 달려있는 희한하게 생긴 놈이다. 그래서 호주 군인들은 FRED를 frigging ridiculous eating device(존나 희한한 밥숟갈)이라고 농담삼아 부르기도 한다. [각주] [[분류:전투식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