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Oxygen Not Included/자원)] [include(틀:Oxygen Not Included/관련 문서)] [include(틀:Oxygen Not Included/자원)] [목차] == 금속 광석(Raw Metal) == 금속 광석이라 부르는 이유는 제련한 금속이 따로 존재하기 때문이다. 아래 표의 재응고 물질들이 모두 제련된 금속이다. === 동광석(Copper Ore) === ||<-2>
'''{{{#white 동광석(Copper Ore)}}}'''|| ||<-2> [[파일:Oxygen_Copper_Ore.png]] || ||'''{{{#white 등장 지역}}}'''||사암 지역[br]우주 지역(구리 유성우)[br]불모지 지역{{{#orange ⓢ}}}[br]프린팅 포드[br]암석 소행성 탐사|| ||'''{{{#white 비열용량}}}'''||0.386(DTU/g)/℃|| ||'''{{{#white 열전도율}}}'''||4.5(DTU/(m*s))/℃|| ||'''{{{#white 녹는점}}}'''||1083.9℃|| ||'''{{{#white 녹은 물질}}}'''||구리(액체)|| ||'''{{{#white 재응고 물질}}}'''||구리|| ||'''{{{#white 방사선 흡수율}}}'''||0.56|| ||'''{{{#white 시설 효과}}}'''||장식 + 10%|| ||'''{{{#white 경도}}}'''||25|| ||<-2>|| ||<-2>(Cu,,2,,O)동광석은 전도성 금속입니다.[br]전력 시스템을 건조하는데 적합합니다.|| 가장 먼저 만나는 금속이다. 장식 효과가 미미하게나마 있기 때문에 복제체가 자주 다니고 주로 생활하는 곳에 쓰게 된다. 초반 시작 지형이 아니면 은근히 찾기 어려우므로 조금씩은 남겨두는 것이 좋다. === 철 광석(Iron Ore) === ||<-2>
'''{{{#white 철 광석(Iron Ore)}}}'''|| ||<-2> [[파일:Oxygen_Iron_Ore.png]] || ||'''{{{#white 등장 지역}}}'''||정글 지역[br]기름투성이 지역[br]녹 지역|| ||'''{{{#white 비열용량}}}'''||0.449(DTU/g)/℃|| ||'''{{{#white 열전도율}}}'''||4(DTU/(m*s))/℃|| ||'''{{{#white 녹는점}}}'''||1534.9℃|| ||'''{{{#white 녹은 물질}}}'''||철(액체)|| ||'''{{{#white 재응고 물질}}}'''||철|| ||'''{{{#white 방사선 흡수율}}}'''||0.61|| ||'''{{{#white 경도}}}'''||25|| ||<-2>|| ||<-2>(Fe)철광석은 부드러운 금속입니다.[br]전력 시스템을 만드는데 적합합니다.|| 특별한 추가 효과가 없다. 기본적인 능력만 필요하면 충분한 곳에 쓰거나 다른 금속이 떨어졌을때 대용으로 쓴다. === 금 아말감(Gold Amalgam) === ||<-2>
'''{{{#white 금 아말감(Gold Amalgam)}}}'''|| ||<-2> [[파일:Gold_Amalgam.png]] || ||'''{{{#white 등장 지역}}}'''||늪 지역[br]프린팅 포드[br]우주 지역(금 유성우)|| ||'''{{{#white 비열용량}}}'''||0.15(DTU/g)/℃|| ||'''{{{#white 열전도율}}}'''||2(DTU/(m*s))/℃|| ||'''{{{#white 녹는점}}}'''||1063.9℃|| ||'''{{{#white 녹은 물질}}}'''||금(액체)|| ||'''{{{#white 재응고 물질}}}'''||금|| ||'''{{{#white 방사선 흡수율}}}'''||0.3|| ||'''{{{#white 시설 효과}}}'''||장식 +10%[br]'''과열온도 +50℃'''[br]열 반응성|| ||'''{{{#white 경도}}}'''||2|| ||<-2>|| ||<-2>금 아말감은 금과 수은의 전도성 아말감입니다.[br]전력 시스템을 만드는 데 적합합니다.|| 과열온도가 증가하기 때문에 때문에 간헐천 및 높은 온도에서도 버텨야 하는 곳의 건조물에 주로 사용된다. 하지만 비열이 낮기 때문에 많은 열이 발생하는 폴리머 프레스의 재료로는 부적합하다. === 철망간 중석(Wolframite) === ||<-2>
'''{{{#white 철망간 중석(Wolframite)}}}'''|| ||<-2> [[파일:Wolframite.png]] || ||'''{{{#white 등장 지역}}}'''||툰드라 지역[br]희미하게 빛나는 행성 탐사|| ||'''{{{#white 비열용량}}}'''||0.134(DTU/g)/℃|| ||'''{{{#white 열전도율}}}'''||15(DTU/(m*s))/℃|| ||'''{{{#white 녹는점}}}'''||2926.9℃|| ||'''{{{#white 녹은 물질}}}'''||텅스텐(액체)|| ||'''{{{#white 재응고 물질}}}'''||텅스텐|| ||'''{{{#white 방사선 흡수율}}}'''||0.65|| ||'''{{{#white 시설 효과}}}'''||높은 열전도도[br]열 반응성|| ||'''{{{#white 경도}}}'''||150|| ||<-2>|| ||<-2>((Fe,Mn)WO,,4,,)철망간 중석은 고체 상태의 밀도 높은 금속 원소입니다.[br]텡스텐의 원천이며 전력 시스템을 만드는 데[br]적합합니다.|| 열전도율이 높아 차가운 지역에서 식히거나 뜨거운 지형에서 가열할 때 쓰인다. 증기 간헐천에서 나온 물을 툰드라 지역이나 씨근풀 위를 지나게 하면 빨리 식고 냉각기를 만들 경우 과열 현상이 덜하다. 대신에 주변 기온이 빨리 올라간다. 즉 단열 가스/액체관으로 쓰면 안 된다. 또한 금속 광석 중에서 가장 녹는점이 높기 때문에 텅스텐과 함께 로켓 발사대 주변 구조물을 지을 때 쓰인다. === 알루미늄 광석(Aluminum Ore) === ||<-2>
'''{{{#white 알루미늄 광석(Aluminum Ore)}}}'''|| ||<-2> [[파일:Aluminum_Ore.png]] || ||'''{{{#white 등장 지역}}}'''||숲 지역[br]프린팅 포드[br]살아 있는 행성 탐사|| ||'''{{{#white 비열용량}}}'''||0.91(DTU/g)/℃|| ||'''{{{#white 열전도율}}}'''||20.5(DTU/(m*s))/℃|| ||'''{{{#white 녹는점}}}'''||1083.9℃|| ||'''{{{#white 녹은 물질}}}'''||알루미늄(액체)|| ||'''{{{#white 재응고 물질}}}'''||알루미늄|| ||'''{{{#white 방사선 흡수율}}}'''||0.72|| ||'''{{{#white 시설 효과}}}'''||높은 열전도도|| ||'''{{{#white 경도}}}'''||25|| ||<-2>|| ||<-2>보크사이트라고도 알려진 알루미늄 광석은 금속 함량이 높은 퇴적암입니다.[br]알루미늄으로 정제될 수 있습니다.|| 현실의 알루미늄처럼 열전도율이 끝내주게 높다. 다만 숲에서 시작하는 행성의 시작 지역에서 구할 수 있기 때문에 초기에 열전도율이 높은 건조물을 눈물을 머금고 만들어야 한다(...)는 에러가 조금 있다. 그에 대한 대가인지 그 어떤 광석보다 '''엄청난 압축률'''로 숲 지형에서는 말 그대로 썩어 넘치도록 캘 수 있다. 게다가 게임 중후반엔 오히려 열전도율이 높은게 이득이 되어 돌아오는데 성능 좋은 열전도판이나 전도성 파이프를 편하게 만들 수 있기 때문. === 황철광(Pyrite) === ||<-2>
'''{{{#white 황철광(Pyrite)}}}'''|| ||<-2> [[파일:Oxygen_Pyrite.png]] || ||'''{{{#white 등장 지역}}}'''||금박 소행성 탐사|| ||'''{{{#white 비열용량}}}'''||0.386(DTU/g)/℃|| ||'''{{{#white 열전도율}}}'''||4.5(DTU/(m*s))/℃|| ||'''{{{#white 녹는점}}}'''||1083.9℃|| ||'''{{{#white 녹은 물질}}}'''||철(액체)|| ||'''{{{#white 재응고 물질}}}'''||철|| ||'''{{{#white 방사선 흡수율}}}'''||0.7|| ||'''{{{#white 경도}}}'''||25|| ||<-2>|| ||<-2>(FeS,,2,,)황철광은 전도성 금속입니다.[br]일명 "바보금"이라고 하며, 전력 시스템을[br]만드는 데 적합합니다.|| [[황철석]]인데 번역이 좀 이상하다. 일반적으로는 볼 수 없고 스타 맵에서 먼 거리에 무작위로 나오는 금박 소행성에서 채굴해 와야 볼 수 있다. 제련할 경우 철이 되며 그 외 특이점은 없다. === 코발트 광석(Cobalt Ore){{{#orange ⓢ}}} === ||<-2>
'''{{{#white 코발트 광석(Cobalt Ore)}}}'''{{{#orange ⓢ}}}|| ||<-2> [[파일:Oxygen_Cobalt_Ore.png]] || ||'''{{{#white 등장 지역}}}'''||늪 지역[br]금속 동굴|| ||'''{{{#white 비열용량}}}'''||0.420(DTU/g)/℃|| ||'''{{{#white 열전도율}}}'''||4.000(DTU/(m*s))/℃|| ||'''{{{#white 녹는점}}}'''||1494℃|| ||'''{{{#white 녹은 물질}}}'''||코발트(액체)|| ||'''{{{#white 재응고 물질}}}'''||코발트|| ||'''{{{#white 방사선 흡수율}}}'''||0.58|| ||'''{{{#white 경도}}}'''||25|| ||<-2>|| ||<-2>(Co)코발트 광석은 파란색 금속입니다.[br]전력 시스템을 만드는 데 적합합니다.|| 늪 바이옴에서 대량으로 얻을 수 있다. 딱히 특별한 점은 없으며 동광석, 금 아말감 보다는 높은 열전도를 철망간 중석보다는 낮은 열전도를 지녔다. === 우라늄 광석(Uranium Ore){{{#orange ⓢ}}} === ||<-2>
'''{{{#white 우라늄 광석(Uranium Ore)}}}'''{{{#orange ⓢ}}}|| ||<-2> [[파일:Oxygen_Uranium_Ore.png]] || ||'''{{{#white 등장 지역}}}'''||방사능 지역[br]우라늄 상자|| ||'''{{{#white 비열용량}}}'''||1.000(DTU/g)/℃|| ||'''{{{#white 열전도율}}}'''||20.000(DTU/(m*s))/℃|| ||'''{{{#white 녹는점}}}'''||132.9℃|| ||'''{{{#white 녹은 물질}}}'''||우라늄(액체)|| ||'''{{{#white 재응고 물질}}}'''||고갈된 우라늄|| ||'''{{{#white 방사선 흡수율}}}'''||0.3|| ||'''{{{#white 방사선 방출/1000㎏}}}'''||165 라드/주기|| ||'''{{{#white 시설 효과}}}'''||높은 열전도도[br]느린 가열|| ||'''{{{#white 경도}}}'''||150|| ||<-2>|| ||<-2>(U)우라늄 광석은 고도의 방사성 금속입니다.[br]연구용 반응로용 연료로 정제할 수 있습니다.|| 타일상태에는 소량의 방사능을 생성하지만, 우라늄 광석으로 건설한 건축물이 방사능을 내뿜지는 않는다. 알루미늄 뺨치게 높은 열전도를 지녔는데 덕분에 방열 기체 파이프를 사용할 때 유용하다. 다만 양이 소량이다보니 알루미늄이 없는(숲 바이옴이 없는) 행성에서나 소량 사용해봄직하다. 물론 구조물 건설에 쓰기에는 매우 희귀한 금속이라 아깝기 때문에 벌타나 우라늄 원심분리기로 농축 우라늄을 만드는데 쓰는게 좋다.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Oxygen Not Included/자원, version=443 , paragraph=2)] [[분류:Oxygen Not Included/자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