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파일:attachment/오필리어(마법소녀 마도카☆마기카)/Ophelia.png]] || || Ophelia의 아이캐치 || [목차] == 개요 == [[2011년]]에 열렸던 8회 [[무명전]]에서 Summerland라는 걸출한 곡으로 우승을 차지한 [[Lime]]이 2012년 봄에 열렸던 [[KBP|KBP2012]]에 냈던 곡으로 발광 BMS화와 맞물려 Lime을 대표하는 곡들 중 하나다. 신스음이 상당히 독특하게 깔리는데, 그 위의 피아노와 전자 멜로디가 괜찮은 조화를 이룬다. 곡의 전개가 상당히 뚜렷하고 잘 이어지며, 멜로디가 반복되더라도 악기를 바꾸면서 질리지 않는 느낌을 줘서 퀄리티가 높은 곡이라는 평을 받고 있다. BGA 제작은 choromatography. 왠지 모르겠지만 범용 BGA 같은 느낌이 난다. 곡 이름인 Ophelia는 [[마법소녀 마도카☆마기카]]의 [[오필리어(마법소녀 마도카☆마기카)|Ophelia]], 장르명인 [[마법소녀 마도카☆마기카/드라마 CD#s-4|Rosso Phantasma]]가 이를 뒷받침해주며, 아이캐치의 이미지 등도 마찬가지로 매치가 잘 된다. 본 애니메이션의 오필리어라는 마녀가 어떻게 생겨났는 지를 안다면 음악에서 쓰는 어딘가 슬픈 멜로디가 이해가 될 듯. == [[Be-Music Script|BMS]] == ||<#ffa,gold><:> '''곡명''' ||<:> '''Ophelia''' || ||<#faf,#9400d3><:> '''[[장르|{{{#373a3c,#ddd 장르}}}]]''' ||<:> '''Rosso Phantasma''' || ||<#afa,#228b22><:> '''[[BPM|{{{#373a3c,#ddd BPM}}}]]''' ||<:> '''178''' || ||<#faa,brown><:> '''[[작곡가|{{{#373a3c,#ddd 작곡가}}}]]''' ||<:> '''Lime''' || ||<#aff,#191970><:> '''[[BGA|{{{#373a3c,#ddd BGA}}}]]''' ||<:> '''温泉の力''' || ||<#aaf,#4169e1><:> '''BGA 형식''' ||<:> '''MPG-BGA''' || ||<#aaa,dimgray><:> '''Extended''' ||<:> '''-''' || [youtube(4kB8DtqkzIw)] ||<-11> [[Be-Music Script]] 난이도 체계 || || |||| 비기너 |||| 노멀 |||| 하이퍼 |||| 어나더 || || 7K || {{{#green,#0c0 ☆4}}} || {{{#green,#0c0 520}}} || {{{#blue,#6495ed ☆7}}} || {{{#blue,#6495ed 600}}} || {{{#orange ☆10}}} || {{{#orange 1200}}} || {{{#red ☆12}}} || {{{#red 2000}}} || === 차분 === ||<-6> [[발광 BMS]] 난이도 체계 || || 차분명 || 발광 난이도 || 노트 수 || 판정 || 차분 제작자 || 참고 || || HARD || ★8 || 2292 || {{{#green,#0c0 EASY}}} ||<|3> 赤い人 ||<|3> || || HARDEST || ★16 || 2611 || {{{#green,#0c0 EASY}}} || || INFELNO || ★20 || 2999 || {{{#green,#0c0 EASY}}} || || SEIRYU Easy || ▼7 || 1930 || {{{#green,#0c0 EASY}}} || ξ青龍ξ || 제2발광 || || Another || ▼12 || 2000 || {{{#green,#0c0 EASY}}} || - || 제2발광, 동봉차분 || || Phamrsolone || st0 || 2800 || {{{#green,#0c0 EASY}}} || 2RLZ || 스텔라 || || FOR 9DAN+ || st7 || 3300 || {{{#green,#0c0 EASY}}} || Beatnoob || 스텔라 || [youtube(xyVxwSGqs5Q)] ★20 INFELNO 차분 AUTOPLAY. [youtube(WvhkVFWbB9Y)] 한국 BMS 유저 8명의 ★20 INFELNO 차분 풀 콤보 영상. 제1발광 난이도표에는 3개의 패턴이 등록되어 있으며, 적인차분 답게 하나같이 많은 노트 수로 무장한 폭타곡이다. ★8의 HARD 차분은 평범한 난타가 곡 내내 이어지다 마지막에 난이도가 다소 올라가는 구성. ★16의 HARDEST 차분은 ★16의 곡들과 ★16을 넘어서는 레벨의 곡들을 잡기 위해서 꼭 거쳐가야 하는 연습곡이다. 이런 무난한 지력형 폭타곡이 그렇듯 난이도에 대한 평가는 박한 편이다. 리코멘드 수치를 보면 16레벨 최약체 KRAKEN보다는 어려우나 furioso melodia와 꼴찌에서 2번째 자리를 놓고 다투는 최하급. 다만 퓨리오소 멜로디아와는 보면 속성이 달라서 도전하는 입장에서 두 개를 동시에 잡기는 힘들다.[* 상술한 ★16 난이도 약체곡에 대한 설명은 하드게 클리어 난이도 설명에 가깝다. 이지클리어만 따지면 ★16 난이도에서 Ophelia보다 쉬운 곡이 상당히 많다. 보통 ★16 난이도에서 兎は舞い降りた, [[TYR]], [[Aragami]]의 세 곡이 이지클리어 약체 삼대장으로 꼽히는 편이다. 세 곡의 공통점은 후살 전의 포션구간이 길어서 후살만 넘기면 클리어가 쉬운데, 이지클리어 기준으로는 후살도 쉽다는 것. 스크래치와 동치에 강하다면 兎は舞い降りた, 동치에 강하다면 TYR, 고속폭타에 강하다면 Aragami으로 입문하기 쉽다.] ★20에 있는 INFELNO는 구 발광 단위인정 9단의 첫 스테이지였다. 정배치로 나오는 단위인정의 특성상 게이지 유지가 어려워 개인차에 따라 9단 내에서 가장 어려운 곡으로 분류되기도 하였다. 역시 앞의 ★8, ★16 차분과 똑같이 지력형 패턴을 가지고 있으며 스크래치, 따닥이, 딜레이와 같은 패턴으로 하드클리어가 어려운 차분이 많은 ★20 내에서는 꽤나 정직한 패턴을 가지고 있다. 하지만 밀도가 ★16에 비해 꽤나 많이 올라갔기 때문에 ★16에서 최하급에 위치한 HARDEST 차분과는 다르게 동렙에서 똑같이 무난한 지력차분인 Air, Lewisa, 수정세계보다는 어려운 난이도를 보여주고 있다. 전체 ★20에서는 LOVE☆BEAM와 비슷한 ★20 하급 ~ 중하급 정도의 난이도를 가지고 있다. == [[KALPA]] == [youtube(_Uy28QqJekI)] Mass Recall 업데이트로 작곡가 본인이 어레인지한 Ophelia -Phantasm-과 같이 수록되었다. BMS와는 다르게 자켓 이미지는 <[[햄릿]]>의 오필리어를 나타낸 것으로 보인다. === 원곡 === [include(틀:KALPA/Mass Recall - Legend)] [include(틀:KALPA의 S25+레벨 수록곡)] ||<|2><-1>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KALPA/Ophelia.jpg|width=100%]]}}} ||<-3>{{{#bdbdbd '''Ophelia''' [br] {{{-5 Lime}}}}}} || || - || 2:13 |||| - || ||<-4> 웅장, 몽환 || || [include(틀:글배경br, 배경색=#6bcf4b, 여백=2px 3px, 곡률=3px, 사이즈=.8em, 글자색=#ffffff, 내용=NORMAL)] || [include(틀:글배경br, 배경색=#1c7fe7, 여백=2px 3px, 곡률=3px, 사이즈=.8em, 글자색=#ffffff, 내용=HARD)] || [include(틀:글배경br, 배경색=#e02f97, 여백=2px 3px, 곡률=3px, 사이즈=.8em, 글자색=#ffffff, 내용=HARD+)] || [include(틀:글배경br, 배경색=#842fab, 여백=2px 3px, 곡률=3px, 사이즈=.8em, 글자색=#ffffff, 내용=ABYSS)] || || '''6''' {{{-2 (319)}}} || '''10''' {{{-2 (547)}}} || '''15''' {{{-2 (772)}}} || '''18''' {{{-2 (1095)}}} || || [include(틀:글배경br, 배경색=#2350d6, 여백=2px 3px, 곡률=3px, 사이즈=.8em, 글자색=#ffffff, 내용=S.HARD)] || [include(틀:글배경br, 배경색=#ca295a, 여백=2px 3px, 곡률=3px, 사이즈=.8em, 글자색=#ffffff, 내용=S.HARD+)] || [include(틀:글배경br, 배경색=#391367, 여백=2px 3px, 곡률=3px, 사이즈=.8em, 글자색=#ffffff, 내용=CHAOS)] || [include(틀:글배경br, 배경색=#153563, 여백=2px 3px, 곡률=3px, 사이즈=.8em, 글자색=#ffffff, 내용=COSMOS)] || || '''S6''' {{{-2 (530)}}} || '''S18''' {{{-2 (921)}}} || '''S21''' {{{-2 (1242)}}} || '''S25+''' {{{-2 (1801)}}} || 다지 모드는 원래 번외 채보가 없었으나 2023년 4월 7일 업데이트로 CHAOS 채보와 COSMOS 채보가 추가되었다. === Ophelia -Phantasm- === [youtube(R2ecslurDf8)] 작곡가 본인이 편곡한 버전으로, 원곡과 전개는 거의 동일하지만 피아노 음색이 더욱 선명해졌다. [include(틀:KALPA/Mass Recall - Rebirth)] [include(틀:KALPA의 S25+레벨 수록곡)] ||<|2><-1>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KALPA/Ophelia_-Phantasm-.png|width=100%]]}}} ||<-3>{{{#bf3c3c '''Ophelia -Phantasm-''' [br] {{{-5 Lime}}}}}} || || - || 2:19 |||| [include(틀:글배경br, 배경색=#2f3e67, 여백=6px 6px, 곡률=5px, 사이즈=.7em, 글자색=#8197ef, 내용=ORIGINAL)] || ||<-4> 공격적, 몽환, 웅장 || || [include(틀:글배경br, 배경색=#6bcf4b, 여백=2px 3px, 곡률=3px, 사이즈=.8em, 글자색=#ffffff, 내용=NORMAL)] || [include(틀:글배경br, 배경색=#1c7fe7, 여백=2px 3px, 곡률=3px, 사이즈=.8em, 글자색=#ffffff, 내용=HARD)] || [include(틀:글배경br, 배경색=#e02f97, 여백=2px 3px, 곡률=3px, 사이즈=.8em, 글자색=#ffffff, 내용=HARD+)] || [include(틀:글배경br, 배경색=#842fab, 여백=2px 3px, 곡률=3px, 사이즈=.8em, 글자색=#ffffff, 내용=ABYSS)] || || '''5''' {{{-2 (324)}}} || '''10''' {{{-2 (537)}}} || '''15''' {{{-2 (852)}}} || '''-''' || || [include(틀:글배경br, 배경색=#2350d6, 여백=2px 3px, 곡률=3px, 사이즈=.8em, 글자색=#ffffff, 내용=S.HARD)] || [include(틀:글배경br, 배경색=#ca295a, 여백=2px 3px, 곡률=3px, 사이즈=.8em, 글자색=#ffffff, 내용=S.HARD+)] || [include(틀:글배경br, 배경색=#391367, 여백=2px 3px, 곡률=3px, 사이즈=.8em, 글자색=#ffffff, 내용=CHAOS)] || [include(틀:글배경br, 배경색=#153563, 여백=2px 3px, 곡률=3px, 사이즈=.8em, 글자색=#ffffff, 내용=COSMOS)] || || '''S13''' {{{-2 (682)}}} || '''S22''' {{{-2 (1171)}}} || '''-''' || '''S25+''' {{{-2 (1785)}}} || [[분류:Be-Music Script의 곡]][[분류:KALPA의 수록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