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박정현/음반 목록)] ||<-2>
'''{{{+1 Op.4}}}[br]정규 4집'''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external/image.bugsm.co.kr/16456.jpg|width=100%]]}}} || || '''발매일'''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2002년 06월 15일 || || '''가수''' || [[박정현]] || || '''프로듀서''' || [[정석원(음악인)|정석원]] || || '''레이블''' || T엔터테인먼트 || || '''곡 수''' || 13곡 || || '''재생 시간''' || 58:09 || || '''장르''' || [[R&B]], [[어반]], [[발라드]] || || '''타이틀 곡''' || '''{{{#4E4D7B 꿈에}}}''' || ||<|2> '''후속곡''' || {{{#4E4D7B 미장원에서, 사랑이 올까요}}} || [목차] == 개요 == [include(틀:음악취향Y Best 100)] [include(틀:멜론 선정 명반,음반명=Op.4)] [include(틀:100BEAT 선정 2000년대 베스트 앨범, 순위=66)] [include(틀:유튜브 뮤직 선정 역대 국내 발라드 베스트)] [[2002년]] [[6월 15일]] 발매된 [[박정현]]의 4번째 정규앨범이다. 신인때부터 음반을 수십만장씩 팔아치우며 꾸준히 인기를 얻던 그녀는 이 앨범의 타이틀곡이자 그녀의 대표곡이라 할 수 있는 ‘[[꿈에(박정현)|꿈에]]’로 드디어 가요프로에서 1위를 달성하게 된다. 윤종신 사단과 결별 후 T엔터테인먼트에서 발매한 첫 앨범으로 [[015B]]의 [[정석원(음악인)|정석원]]이 총괄 프로듀싱을 담당하고 다수의 곡을 작곡한 앨범이다. 이전의 세개의 앨범들과 다르게 알앤비보다 팝발라드의 비중을 대폭 높였으며, 지금까지도 사랑받는 트랙들이 다수 수록된 앨범이다. 이 앨범 수록곡중 무려 3곡[* 꿈에, 사랑이 올까요, 미장원에서]을 나는 가수다에서 부르기도 했다. 4집 발매 후 앨범제목에 착안한 이른바 'Opus Project'라는 이름으로 총 4악장의 컨셉, 즉 서로 다른 스타일의 4번의 전국투어 콘서트를 진행했으며, 이를 녹음한 라이브 앨범도 [[7월 9일]]에 발매되었다. 라이브 앨범에는 라이브 음원 뿐 아니라, 새로운 후속곡인 '앤'과 히든트랙이 들어가 있는데, 이 문서에서 같이 다루도록 한다. == 음반 소개 == || {{{-1 {{{#fff '''R&B의 여제(女帝) 박정현의 새앨범'''}}}}}} ||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1 {{{#4E4D7B 국내외를 막론하고 대중가수나 팀의 4집 앨범은 정말 의미가 있는 앨범이다. 대중음악 앨범을 네번째까지 발매를 한다는 것은 상업적인 성공과 대중적 인지도가 어느정도 수반되어 있는 가수라는 의미이자, 한편으로는 이제 그 가수 혹은 팀의 음악적인 창조력이 고갈되어 있는가 혹은 더 높아지고 있는가의 분기점에 있는 음반이기도 하다. 네번째 앨범을 발표하는 시점에서 창조력이 고갈되지 않은 상태라면 이미 쌓여있는 대중적 인지를 토대로 한 폭발력은 가공할 만한 위력을 발휘하기도 한다. 그래서인지 해외에서는 Led Zepplin의 'Stairway to Heaven'이 실려있는 4집 앨범이나 국내의 이승환의 '천일동안'이 실려있는 "Human"이라는 4집 앨범은 그 아티스트의 최고 걸작인지도 모른다. 95년으로부터 시작된 한국의 여가수의 붐속에서 대중과 뮤지션 양측으로부터 가장 매력있는 Diva로 손꼽히는 뮤지션인 박정현의 새앨범이 나왔다. 2000년 12월 마지막 공연을 마치고 미국 최고 명문대를 의미하는 "아이비 리그"중 최고 학교인 Columbia 대학으로 유학을 떠난지 꼭 1년반 만의 컴백이다. 그러나, 그녀의 새앨범 컴백을 앞서서 벌써 2002년 FIFA월드컵 로컬앨범의 공식가수라는 타이틀로 전세계 최소 2억의 인구가 지켜보는 가운데 개막식을 열었고 이제 폐막식의 화려한 무대와 6월 28일 있을 동경에서 있을 월드컵 공식 공연까지 참여하는 등 그 시작이 심상치 않다. 음반산업 종사자들이 모두 피해가려는 이 월드컵 기간에 맞추어 새로운 음반까지 발표하는 박정현의 자신만만함은 새로 만들어진 앨범이 과거 선배 음악인들의 궤적과도 같이 자신의 최고 걸작음반이 될 음반은 아닐까 하는 묘한 기대감이 들기도 한다. 클래식에서 작품번호를 의미하는『Op.4』라고 이름 붙혀진 이번 앨범을 뜯어보면 그야말로 "작품"이라고 불리울 만한 곡들로 꽉 채워져 있다. 먼저 앨범전체의 프로듀싱은 지난해 이가희라는 신인으로 다시 프로듀서로써의 능력을 입증받은 015B의 정석원이 맡고 있다. 정석원씨는 "노래 잘하는 이미지의 박정현씨의 보컬을 더욱 효과적으로 어필하고 싶었고 실제로도 그 능력을 극대화 시키는 것에 가장 힘을 실었다."라는 말로 이 앨범의 컨셉을 언급하고 있다. 사실 가요계의 "마이다스의 손"중의 하나인 정석원과 2000년대 최고의 여자 보컬리스트인 박정현의 조우만으로도 이미 그 화제는 집중되고 있기도 하다. 그러한 프로듀서와 가수의 컨셉은 앨범 수록곡들 하나하나에 각인되어 있는데, 우선 타이틀곡인 '꿈에'를 들어보면 말 그대로 효과적이고 극대화 된 가창력이 돋보인다. 프로듀서인 정석원과 박정현이 Vocal Arrangement (보컬편곡)으로만 수십일을 보냈다고 알려지고 있는 이 곡은, 국악기인 소금의 몽환적 솔로와 곡 안에서 몇차례 템포와 보컬의 분위기 변화를 통해 드라마틱한 연출을 했다는 것을 가장 특징이라고 할 수 있으며 오페라를 연상케 하는 코러스와 기존과는 사뭇 다른 창법과 가창력을 보여줌으로써 앨범발표 이전부터 "역시 박정현이다"라는 평을 받고 있다. 그 외에도, 최고의 여자R&B 보컬이라는 별명을 입증시켜주는 'Someone', 헐리우드 블록버스터 영화음악을 듣는듯한 'Plastic Flower(상사병)', 웅장한 오케스트라와 힘있는 보컬로 프리프로덕션 단계에서부터 끝까지 타이틀곡 후보로 경합(?)을 벌렸던 '미장원에서' 박정현 특유의 감성적이며 호소력이 짙은 R&B발라드인 '사랑이 올까요' 등 앨범의 전곡에서 보여주는 그녀의 보컬은 R&B를 잘하는 매력적인 보컬을 뛰어넘어 한국 최고의 여가수임을 보여주고 있다. 새로운 앨범을 발표한 그녀의 행보 역시 예사롭지 않다. 월드컵 공식가수로 세계적으로 인정받고 있는 가창력의 가수답게 아시아 각국으로 부터의 음반출반 제안이 들어오고 있다. 대만과 홍콩을 시작으로 한 중국어권을 대상으로 한 음반을 시작으로 동남아 전국가의 발매를 위한 협의는 4집 앨범 제작중반 단계부터 결정이 되었고, 월드컵 공동개최국가인 일본에서의 음반발매 역시 현재 뜨겁게 논의중이다. 3집 활동이후로 세계최고의 명문대인 Columbia대의 학생으로 올 A를 받았던 그녀의 휴식기와, 2002 FIFA 월드컵 로컬앨범의 공식가수로써의 세계 거대무대의 완벽한 공연 그리고 전세계의 음반관계자들로부터 최고라는 찬사를 받은 보컬리스트의 정규 4집 앨범은 이미 선주문 10만장을 받아 시장과 대중의 관심도 역시 지대하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아마도 머리글에서도 언급하였듯이 아티스트 본인의 가장 걸작앨범이자 2002년에 발표된 앨범중 최고 걸작앨범이 될 것임을 믿어 의심치 않는다.}}}}}}}}} || == 트랙 리스트 == ||<:>{{{#ffffff '''트랙'''}}} ||<:>{{{#ffffff '''곡명'''}}} ||<:>{{{#ffffff '''작사'''}}} ||<:>{{{#ffffff '''작곡'''}}} ||<:>{{{#ffffff '''편곡'''}}}|| ||<:> 01 || '''Plastic Flower(상사병)''' || [[정석원(음악인)|정석원]] || 정석원 || 정석원 || ||<:> 02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order: 1px solid #4E4D7B; background: #4E4D7B; font-size: 0.6em; color: #ffffff;" '''TITLE'''}}}[br]'''[[꿈에(박정현)|꿈에]]''' || 정석원 || 정석원 || 정석원 || ||<:> 03 || '''Someone''' || 이동현 || 이동현 || 이동현 || ||<:> 04 || '''사랑이 올까요''' || 이희승 || 이현정 || 황성제 || ||<:> 05 || '''[[생활의 발견#s-4|생활의 발견]]''' || 정석원 || 정석원 || 정석원 || ||<:> 06 || '''미운 오리''' || 이희진 || 황성제 || 황성제 || ||<:> 07 || '''미장원에서''' || 정석원 || 정석원 || 정석원 || ||<:> 08 || '''여자친구 참 예쁘네''' || 정석원 || 정석원 || 정석원 || ||<:> 09 || '''게으름벵이''' || [[윤종신]] || 김덕윤 || 이준호 || ||<:> 10 || '''이별하러 가는길''' || 윤종신 || John Wetto || 정석원 || ||<:> 11 || '''떨쳐''' || [[MGR(음악가)|MGR]](RBW) || MGR(RBW) || 김영욱, 이근호, MGR(RBW) || ||<:> 12 || '''나의 어머니''' || 정석원 || 정석원 || 정석원 || ||<:> 13 || '''Puff''' || '''박정현''' || '''박정현''' || Saint Binary(세인트 바이너리) || *'''4집 라이브 앨범 CD2''' [[파일:external/image.bugsm.co.kr/32065.jpg|width=400]] ||<:>{{{#ffffff '''트랙'''}}} ||<:>{{{#ffffff '''곡명'''}}} ||<:>{{{#ffffff '''작사'''}}} ||<:>{{{#ffffff '''작곡'''}}} ||<:>{{{#ffffff '''편곡'''}}}|| ||<:> 11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order: 1px solid #4E4D7B; background: #4E4D7B; font-size: 0.6em; color: #ffffff;" '''TITLE'''}}}[br]'''앤''' || 정석원 || 정석원 || 정석원 || ||<:> 12 || '''(Hidden Track)''' || - || - || - || === Plastic Flower(상사병) === '''[[박정현 4대 광곡]] 중 두 번째 곡'''[* 광곡의 개념에 대한 설명은 해당 링크 참조.]. 부제가 나타내는것처럼 짝사랑을 다룬 곡이다. 프로그레시브 록 스타일의 웅장하고 단조로운 곡으로, 박정현의 처절하게 절규하는듯한 보컬과 어우러져 매우 오싹한 느낌이 드는 곡이다. 다 듣고 나면 한편의 뮤지컬을 감상한것 같은 느낌마저 드는 대곡. === [[꿈에(박정현)|꿈에]] === 앨범의 타이틀 곡이자 박정현의 대표곡. 더 자세한 사항은 [[꿈에(박정현)|항목]] 참조. === Someone === 어반한 스타일의 R&B트랙으로 박정현의 여리고 가는 목소리를 asmr(?)스러운 톤으로 감상할 수 있는 노래이다. 라이브 앨범 버전의 락버전 편곡이 압권이므로 들어보길 추천한다.[[https://youtu.be/zhxV0zUG3fA|#]] === 사랑이 올까요 === ‘오랜만에’에 이은 이현정 작곡가의 작품. 애절한 멜로디의 팝발라드 넘버로 후반의 긴 호흡의 고음 애드립이 압권인 곡이다. 박정현의 대표곡중 하나로 2002년 열린음악회에서 부른 버젼이 레전드로 회자된다. === [[생활의 발견#s-4|생활의 발견]] === [[생활의 발견#s-4|항목]] 참조 === 미운 오리 === 외모에 콤플렉스가 있어 ‘미운 오리’같던 자신이 고등학교를 졸업하고 꾸미기 시작해 몰라보게 예뻐진다는 내용을 담은 곡이다. 박정현의 자전적인 이야기를 담은 노래.[* 실제로 박정현이 토크쇼 등지에서 이야기 했던 내용과 매우 유사하다.] === 미장원에서 === 독특한 제목으로 많이 주목받았던 곡이다. 화려한 테크닉과 애절한 멜로디가 잘 버무려진 곡으로 우스갯소리로 5집 수록곡 ‘미아’와 함께 ‘일반인 학살용(?)’ 트랙으로 불리기도 한다.[* 대중적임과 동시에 박정현의 노래 실력을 제대로 보여줄 수 있다는 의미.] 여담으로, 원래 이 곡의 제목은 미장원에서가 아닌 '머리를 자르고(며)'였다고 한다.~~잘못들으면 호러~~ 하지만 같은 해에 [[왁스(가수)|왁스]]가 '화장을 고치고'라는 노래로 컴백을 해서(...) 겹친다고 생각되어 지금 제목으로 바꾸었다고 한다. 노래 가사에는 미장원이나 기타 장소를 암시하는 단어가 전혀 등장하지 않으므로 어찌보면 신의 한수이다. '미용실'과 놓고도 고민을 했는데, '미장원'에서가 조금더 포멀하고 극적인 느낌을 주어 선택하게 되었다고 한다. === 여자친구 참 예쁘네 === 밝은 분위기의 템포 있는 R&B트랙으로, '''어장관리 하던 남자가 다른 여자친구가 생기자 아쉬워하면서 후회하는 내용이다.'''(...) [[김이나]] 작사가가 좋아하는 곡이라고 한다. === 게으름뱅이 === 색소폰 편곡이 인상적인 팝발라드 트랙으로, 그대를 잊겠다는 약속을 지키지 못하는 자신을 게으름뱅이에 빗대는 내용이다. === 이별하러 가는길 === 영국의 프로그레시브 록 밴드 [[아시아(밴드)|Asia]]의 ‘The Smile Has Left Your Eyes’라는 곡을 리메이크 한 곡이다. 애절한 가사와 후반부의 '''4옥타브 레(D)'''의 초고음 절규 애드립이 인상적인 곡. === 떨쳐 === 이전 앨범의 ‘2gether’, ‘It’s Me’와 궤를 같이 하는 댄서블 트랙이다. 약간 트로트 스러운 멜로디를 느낄 수 있다, === 나의 어머니 === 어머니에 바치는 헌정곡. 여성의 입장에서 어머니를 이해하는 과정을 풀어쓴 곡이다. === Puff === '''박정현의 자작곡'''으로, 직접 작사 작곡한 곡이다. 박정현이 추구하는 음악세계를 잘 표현해주는 몽환적이고 다소 기괴한 느낌의 곡이다. 콘서트에서 광곡 스러운 편곡을 시도한 적도 있다. 박정현 특유의 시적이고 철학적인 가사가 돋보인다. ~~물론 영어다.~~ 추운 밤하늘에 내뿜으면 사라지는 입김처럼 도시에서 느끼는 좌절, 사라져버리는 꿈을 표현한 노래라고 한다. === 앤 === 4집 라이브 앨범의 타이틀 곡으로, 여타 수록곡들처럼 라이브 음원이 아닌 새로 공개된 오리지널 스튜디오 음원이다. [[정석원(음악인)|정석원]]이 작곡한 곡으로, 아주 잔잔하고 애절한 어쿠스틱 발라드 곡이다. 정석원이 본인이 만든 박정현의 곡들 중 가장 마음에 들어했다는 후문도 있다. [[https://youtu.be/Iq1T6mMh9FM|2003년 윤도현의 러브레터 라이브 영상]] === (Hidden Track) === 라이브 앨범의 두번째 시디에 들어가있는 히든트랙으로, 2집의 '편지할게요', '친구처럼', 4집의 '사랑이 올까요'를 신나는 일렉트로닉 댄스 뮤직으로 리믹스해서 이어붙인 메들리 곡이다. 음원 기준으로 20초 정도 후에 노래가 시작된다. 그런데 리믹스 대상이 된 곡들이 다들 신나는 분위기와는 거리가 먼 곡들이라 팬들에게는 도대체 수록 의도를 알 수 없는 버리는 트랙 취급당하는 중이다(...) [[분류:2002년 음반]][[분류:박정현/음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