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이 확장자를 주로 사용하는 음악 코덱, rd1=Vorbis, other2=자낳대의 팀, rd2=2020 AMD 자낳대 시즌 2, paragraph2=3.4, other3=IATA 코드가 OGG인 공항, rd3=카훌루이 공항)] [include(틀:Xiph.Org 재단)] [include(틀:비디오 포맷)] [목차] == 개요 == Xiph.Org 재단에서 개발하고 있는 [[오픈소스]] 컨테이너 포맷이다. == 특징 == 본래 Ogg라 하면 .ogg에 담기는 음악 코덱인 [[Vorbis]]가 유명하지만, 그 외에도 동영상이나 자막 등 여러 가지 포맷이 존재한다. 'Ogg'는 이 모든 것의 '껍질'에 해당하는 컨테이너 포맷이다. [[확장자]]는 .ogg[* Vorbis, Opus, FLAC 등의 오디오를 모두 포함할 수 있는 컨테이너], .ogv[* Theora 비디오를 포함할 수 있는 컨테이너], .oga[* 오디오 전용 컨테이너], .ogx, .spx[* Speex 오디오 전용 컨테이너], .opus[* Opus 오디오 전용 컨테이너], .flac[* FLAC 오디오 전용 컨테이너] 등이 있다. 원래는 Vorbis 빼고는 [[듣보잡]]에 가까웠지만, [[HTML5]]가 이 Ogg를 공식적으로 지원하면서 앞으로 성장이 기대될 거라 예상되었던 포맷이다. 오디오의 경우 [[FLAC]](확장자로써 .ogg 대신 .flac을 더 많이 쓴다)을 제외하면 수요가 오히려 줄어들고 있으며, 비디오의 경우 후속 코덱인 [[VP8]], [[VP9(비디오 코덱)|VP9]], [[AV1]]으로 대체되며 역시 수요가 줄고 있다. [[MP3]]의 경우, 특정 기업에서 '''파일 포맷과 코덱'''에 대해 특허권을 행사 중이라 음원을 MP3 형식으로 만들어 상업용으로 활용할 때 이 MP3 기술에 특허를 가지고 있는 집단에 로열티를 지불해야 했다[* MP3의 특허는 2017년에 만료되었다. 즉, 2017년 이전까지 있었던 해프닝이었다.]. 하지만 Vorbis를 포함한 Ogg 포맷은 처음부터 [[오픈 소스]] [[자유 소프트웨어]]라서 코덱 라이선스의 로열티 지불 없이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다.[* 한때는 이 내용이 '.ogg 파일로 된 음악은 저작권이 없다'라는 식으로 잘못 퍼져서, "저작권이 없는 ogg로 올립니다"라는 멘트와 함께 실제로 Ogg 형식의 음악 파일을 멋대로 업로드하는 사람들이 꽤 있었으며, 이 때문에 [[경찰서 정모|뜻하지 않은 정모]]가 개최되기도 했다. 확장자와 코덱이 무료 자유 소프트웨어 포맷이라고 해도 일단 그 '''음악 자체의 저작권'''이 죽는 건 아니니까 주의하는 게 좋다. 박스(Ogg)와 포장 방법(Vorbis)이 공짜라고 해서 그 내용물(음악)까지 공짜가 되는 건 아니니까 말이다. MP3의 경우 박스(mp3), 포장 방법(MPEG Audio Layer 3), 그 내용물(음악)이 모두 유료였다가 대략 2018년 이전에 박스와 포장 방법의 특허가 하나둘 만료되어 무료가 되었으나, '''그 내용물인 음악 자체'''는 여전히 저작권이 존재하고 [[저작권#저작재산권 보호기간|저작자 사망 후 70년이 지나야 저작권이 소멸]]되는 건 마찬가지이다.] == 지원 코덱 종류 == * 오디오 * [[손실 압축 포맷]] * [[Vorbis]] * [[Speex]] - 음성통화용도의 포맷으로, 알게 모르게 많이 쓰이는 코덱. 대표적으로 [[Xbox 360]]의 음성 채팅, [[iPhone]]의 [[Siri]]에 쓰인다. 아래 항목의 Opus 코덱은 이 Speex를 대체하기 위하여 나온 것. * CELT - 2007년에 개발된 코덱. Opus의 전신이다. * [[Opus(오디오 코덱)|Opus]] - 2012년에 개발된 코덱. 확장자는 .ogg와 .opus를 쓸 수 있다. Xiph.Org을 포함한 오픈소스 그룹, [[마이크로소프트]], [[브로드컴]], [[구글]], [[모질라]]재단 등등에서 공동제작한 [[오픈소스]] 코덱이다. 본래 [[Skype|스카이프]] 같은 인터넷 전화나 화상회의 등에서 쓰이는 G.7xx나 Speex 코덱을 대체[* 64kb/s 이하의 저 비트레이트에서 쓰인다.]하는 용도였는데 [[AAC]]와 [[Vorbis]] 뺨 때릴 만한 음질을 자랑하는 괴물이 되었다. 스테레오 기준 최대 512kb/s의 비트레이트를 자랑하여 음악감상용으로도 손색이 없다. 2013년 6월부터 ffmpeg에서 인코딩이 가능하며, 음악재생 프로그램은 [[foobar2000]]이 지원을 하고, 동영상 코덱팩인 Lavfilter나 K-lite codec pack, 다음 [[팟플레이어]] 역시 지원한다. [[http://hacks.mozilla.or.kr/2012/11/its-opus-it-rocks-and-now-its-an-audio-codec-standard/|소개(한글)]] * [[무손실 압축 포맷]] * [[FLAC]] * [[무손실 무압축 포맷]] * OggPCM * 비디오 * [[손실 압축 포맷]] * [[Theora]] - [[HTML5]]에서 [[구글]]과 [[모질라]] 재단이 밀고 있던 Ogg에 들어가는 코덱이다. 하지만 다른 더 성능이 좋은 코덱들에 밀려 사실상 사장되었다. * Tarkin * Dirac - Theora의 후속 코덱이었지만 Daala로 대체되었다. * Daala - VP10, Thor와 함께 [[AV1]]에 통합되었다. * [[무손실 압축 포맷]] * OGGUVS * 기타 * CMML * Writ * OggKate == 경쟁 컨테이너 종류 == * mp4 - 가장 범용적인 ISO 표준 컨테이너. * mkv - 널리 사용되는 컨테이너 중 하나로서, 코덱에 구애받지 않고 다양한 코덱을 담을 수 있게 하기위해 개발된 범용 컨테이너. * webm - mkv에서 확장된, 구글이 밀어주는 컨테이너.[* 이거 때문에 ogg 미래는 그리 밝지 않다(...)] [각주] [[분류:파일 형식]][[분류:Xiph.Org 재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