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OGN ENTUS)] [include(틀:다른 뜻1, other1=형제 팀, rd1=OGN ENTUS FORCE, other2=리빌딩 이후의 단일팀, rd2=OGN ENTUS/배틀그라운드)] ||<-5> [[OGN ENTUS FORCE|{{{#fff '''OGN ENTUS FORCE'''}}}]] ||<|2> → ||<|2> '''[[OGN ENTUS/배틀그라운드|{{{#fff OGN ENTUS}}}]]''' || || [[OGN ENTUS ACE|{{{#fff '''OGN ENTUS ACE'''}}}]] || ||<-7> [[파일:OGN_Entus_Acelogo_square.png|width=300]] || ||<-7> '''{{{#fff {{{+1 OGN 엔투스 에이스}}}}}}''' || ||<-7> '''{{{#fff {{{+1 OGN ENTUS {{{#b3071a ACE}}}}}}}}}''' || || '''{{{#fff 창단}}}''' ||<-6>[[2017년]] [[12월 13일]] || || '''{{{#fff 팀명}}}''' ||<-6>CJ Entus ACE(2017~2018) '''OGN ENTUS ACE'''(2018~2019) 이후 '''[[OGN ENTUS/배틀그라운드|OGN ENTUS]]''' || ||<-7> '''{{{#fff 우승 기록}}}''' || || '''[[HOT6 PUBG Survival Series Beta|{{{#white PSS}}}]]'''[br]{{{#fff (1회)}}} ||<-6>2018 베타 시즌[* HOT6 PUBG Survival Series 초대 우승팀] || ||<-7> '''{{{#fff 팀 컬러}}}''' || ||<-7> {{{#!wiki style="margin: 0 -10px" {{{#373a3c,#ddd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7> {{{#fff '''팀 컬러'''}}} || ||<-7> {{{+5 {{{#b3071a ■}}} {{{#000 ■}}} {{{#fff ■}}} }}} ||}}}}}}}}}}}} || [목차] [clearfix] == 개요 == [[OGN 엔투스]]가 처음으로 창단한 [[배틀그라운드]] 프로게임단. 팀 약자는 '''ENA'''. == 주요 기록 == ||<-5> '''{{{#fff 우승 기록}}}''' || ||<-5> '''[[HOT6 PUBG Survival Series Beta]] 우승''' || || ''리그 출범'' || → || '''[[OGN ENTUS ACE]]''' || → || [[ASUS ROG Centurion|ROG Centurion]] || ||<-5> '''{{{#fff 준우승 기록}}}''' || ||<-5> '''Starseries & i-League PUBG Season 2 준우승''' || || [[Team Liquid]] || → || '''[[OGN 엔투스 에이스|OGN ENTUS ACE]]''' || → || ''폐지'' || == 플레이 스타일 == 자기장을 받은 건물에서의 방어가 뛰어나지만 능선 교전에서 약하다는 특징이 있다. 파일럿, 베타 시즌에는 신들린 위치 선정을 보여주며 최강팀으로 평가받았으나, 시야가 제한되는 1인칭 경기가 주류로 치고 올라온 시즌 1 이후부터는 이전과 같은 독보적인 모습을 보이지는 못하고 멤버의 교체 이후 기존의 우승권 성적에 훨씬 못 미치는 성적을 보여주고 있다. 변화된 자기장 메타에 적응하지 못한 채 핵심 역할을 수행하던 Somepeople이 무너지기 시작하면서 정규 대회 전환 이후 APL, PSS, PWM 모두 최하위권에 랭크되면서 부진은 점차 길어지고 있다. 에이스의 주특기인 빠른 정찰과 시야를 통한 경로 선정에 있어 약간 제한되고 있기 때문이라는 의견도 적지 않고, 피드백이 적극 필요한 부분. 부진이 길어지자 PSS 시즌 1에서는 OP GAMING Hunters의 taemin에게 자기장 빨로 이겼다고 운투스라는 별명까지 붙여졌다. 멤버가 리빌딩 된 18년 하반기~19년 페이즈 1에서 보여준 모습은 전반적으로 중위권 수준의 한국 프로팀 수준으로, 근접전에서만큼은 최고 수준으로 평가받는 형제 팀에 비해 크게 특출난 점은 없는 편이다. == 상세 == 2017년 11월 27일 스크림 명단에서 첫 공개된 다음 12월 8일부로 APL 예선에서 CJ 엔투스가 C조 명단에 올라와 예선에 참가되는 것이 확인되었다. 12월 14일 PSS 기자간담회에서 공식 창단했다. 2018년 1월 29일 [[APL]] 스쿼드 종합 3등으로 파이널에 진출하였다. APL 파이널에서 3라운드까지 2위에 랭크되는 등, 꾸준한 상위권 순위로 안정적인 운영을 펼치며 선전했으나, 4라운드 절벽 난전 도중 상위권 순위 팀에 비해 일찍 탈락하면서 4라운드 1위팀이었던 [[콩두 LSSi]], 그리고 4라운드 3위를 기록한 [[MVP(프로게임단)/배틀그라운드|MVP]]에게 밀리며 결국 4위로 마쳤다. 뛰어난 운영과 판단을 보여줬음에도 굉장히 아쉬운 대목. PSS에서의 활약이 주목된다. 2월 11일 [[PSS]] 베타 시즌 결승에서 따개비 몰살, 5라운드 우승 축하 슈류탄 자폭 세레머니 등 웃지못할 경기력을 보여주면서도 [[FaZe Clan]]를 75점차로 따돌리고 우승했다. 우승 인터뷰와 세레머니 리액션도 미지근해서 APL 우승하며 슈퍼스타가 된 [[KSV NTT]]와 비교 대상이 되고 제대로 축하받지도 못했다. 1일부터 4일까지 4일 간 우크라이나 키예프의 사이버 스포츠 아레나에서 펼쳐지는 [[Star Ladder|스타시리즈 i-리그 PUBG]]에 초청되었다. 전 샷샷팀 출신으로 현재 OGN 연습생인 테메리아가 로스터에 합류하여 경기 참여한다. 첫 날 진행된 3, 4라운드에서 연속 2등에 오르는 등 저력을 보여주긴 했지만, 종합 7위로 경기를 마무리했다. 중국, 동남아 등 아시아권 팀 중에서는 가장 높은 성적을 받았다. 3월 22일부터 25일까지 루마니아 부쿠레슈티에서 개최된 [[PGL PUBG Spring Invitational 2018]]에 MVP와 같이 참여했지만 큰 활약을 펼치지 못하고 9위에 머물렀다. 9월 3일 StarSeries i-League PUBG Season 2에 참가하여 2위를 기록했다. PKL 1시즌에서 부진하다는 평이 많았던 에이스였지만 세계대회에서의 좋은 성적으로 PKL 2시즌을 기대해 볼 수 있게 되었다. == 전 멤버 == * [[정효일]](hyoil) : 3월 3일 [[OGN ENTUS FORCE]]로 이동. * [[조영민(프로게이머)|조영민]](SomeP)[* 전 닉네임 somepeople] : 계약 종료. 이후 [[Night Wolf]] 이적. * [[성장환]](Seongjang) : [[OGN ENTUS FORCE]]로 이동. * [[이길도]](Temeria) : 계약 종료. 이후 [[OP GAMING Rangers]] 이적. * 홍건희(GunHee777) : 계약 종료. 이후 [[Cesti e-Sports]] 이적. * 김재영(Kirby) : 계약 종료. 이후 BJ 전향 * 김호욱(MIRA) : 계약 종료. 이후 [[OZ Gaming/배틀그라운드|Geekstar_PDV]]로 이적. * [[이준수(프로게이머)|이준수]](CRISTIS) : 계약 종료. 이후 [[DAMWON Gaming/배틀그라운드|DAMWON Gaming]] * [[김다현(프로게이머)|김다현]](Mickey) : 계약 종료. 이후 [[DeToNator PUBG KOREA|DeToNator]]로 이적. * 김성진(Raeng) : 계약 종료. 이후 [[DPG danawa]]로 이적. * [[방지민]](Alphaca) : 계약 종료. 이후 [[DPG EVGA]]로 이적. * [[박혜민(프로게이머)|박혜민]](Joy) : 계약 종료. 이후 [[DeToNator PUBG KOREA|DeToNator]]로 이적. == 성적 == ||<-4> [[OGN 엔투스 에이스/배틀그라운드|[[파일:OGN_Entus_Acelogo_square.png|height=45]]]] || || {{{#white 기간}}} || {{{#white 순위}}} || {{{#white 대회}}} || {{{#white 획득 상금}}} || || 2018.01.12 || '''{{{#white 3위}}}''' || [[AfreecaTV PUBG League Pilot Season/스플릿 2|AfreecaTV PUBG League PILOT SEASON - Split 2]] || ₩ 2,000,000 || || 2018.01.29 || '''{{{#black 1위}}}''' || [[AfreecaTV PUBG League Pilot Season/스플릿 3|AfreecaTV PUBG League PILOT SEASON - Split 3]] || ₩ 6,000,000 || || 2018.02.03 || '''{{{#white 4위}}}''' || [[AfreecaTV PUBG League Pilot Season/결승전|AfreecaTV PUBG League PILOT SEASON - Final]] || ₩ 3,200,000 || || 2018.02.11 || '''{{{#black 1위}}}''' || [[HOT6 PUBG Survival Series Beta|HOT6 PUBG SURVIVAL SERIES Beta - Final]] || ₩ 40,000,000 || || 2018.03.04 || '''{{{#white 7위}}}''' || StarSeries i-League PUBG Season 1 || $2,000[* 2018년 3월 2일 환율 기준 216만 6000원] || || 2018.03.25 || '''{{{#white 9위}}}''' || [[PGL PUBG Spring Invitational 2018]] || - || || 2018.09.02 || '''{{{#white 2위}}}''' || StarSeries i-League PUBG Season 2 || $20,000[* 2018년 9월 3일 환율 기준 2225만원] || || 2019.10.19 || '''{{{#black 1위}}}''' || [[PUBG Global Championship 2019/선발전|PUBG Global Championship 2019 - Korea Qualifier]] || - || || 2019.11.25 || '''{{{#white 10위}}}''' || [[PUBG Global Championship 2019]] || $48,000[* 2019년 11월 25일 환율 기준 5647만 2000원] || * 누적 상금: '''₩132,088,000''' == 둘러보기 == [include(틀:PSS 역대 우승팀)] [[분류:배틀그라운드/e스포츠 팀]][[분류:나무위키 배틀그라운드 프로젝트]][[분류:OGN ENTU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