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우탱 클랜의 멤버, rd1=Ol' Dirty Bastard)] [[파일:82960e2419d71b032b1684e1a1216abd.jpg|width=60%]] [[분류:1978년 출생]][[분류:2001년 데뷔]][[분류:미국의 프로레슬링 선수]][[분류:여성 프로레슬러]][[분류:메이플그로브(미네소타) 출신 인물]] [[파일:df8160751efa3e6a1c13461c1afc6d52.jpg]] || 링네임 || ODB[* One Dirty Bitch의 약자] || || 본명 || Jessica Nora Kresa (제시카 노라 크레사) || || 별칭 || One Dirty Bitch [br] One Dirty Briscoe || || 생년월일 || [[1978년]] [[6월 6일]] || || 신장 || 168cm (5'6") || || 체중 || 59kg (130lbs) || || 출생지 || [[미국]] [[미네소타]] 메이플 그로브 || || 피니쉬 무브 || BAM [br] 더티 도즌 [br] 브롱코 먼처 [br] 트레일러 파크 슈터 [br] 런닝 파워슬램 [br] 폴어웨이 슬램 || || 유형 || [[프로레슬러/유형/경기 스타일/브롤러|브롤러]] + [[프로레슬러/유형/경기 스타일/파워하우스|파워하우스]] || || 경력 || MPW 크루저웨이트 챔피언 1회 [br] [[OVW]] 위민스 챔피언 2회 [br] SDW 위민스 챔피언 1회 [br] TWF 위민스 챔피언 1회 [br] '''[[임팩트 넉아웃 월드 챔피언십|TNA 넉아웃 챔피언]] 4회''' [br] [[임팩트 넉아웃 월드 태그팀 챔피언십|TNA 넉아웃 태그팀 챔피언]] 1회 [br] USWO 텔레비전 챔피언 1회 || || 테마곡 || [[https://www.youtube.com/watch?v=dz7R6F2mCPY|Park It]] [br] [[https://www.youtube.com/watch?v=5yMoXAlmnVo|I'm About To Freak]] || [목차] == 개요 == 미국의 여성 프로레슬러. == 커리어 == 초창기 WWE에서 진행한 [[터프 이너프]]에 지원했지만 참가하는데 실패했고, 인디단체에서 레슬링을 하다가 [[TNA]]에서 경기를 가지는데 상대는 TNA에서 인기를 누리던 [[트리니티(프로레슬러)|트리니티]]와 [[트레이시 브룩스]]였다. ODB는 WWE와 제휴관계인 [[OVW]]에서 활동하면서 [[베스 피닉스]], [[케이티 리]], [[세레나 딥]]과 실력을 나란히 할 정도로 OVW 4대 디바로 활동했다. 초대 OVW위민스 챔피언에 등극하면서 탑 힐로 활동하지만 세레나에게 패배해 타이틀을 잃고 베스 피닉스를 이기고 챔피언에 등극한 케이티 리를 이기며 다시 OVW 위민스 챔피언에 등극한다. ODB는 WWE의 계약 제안을 거절하고 TNA를 선택하면서 결국 실력이 초짜였던 [[로사 멘데스|밀레나 루카]]에게 타이틀을 내주고 OVW를 떠난다.[* 당시 OVW는 WWE와 제휴관계였고, WWE가 TNA와 경쟁사이 사이였기에 ODB가 OVW에 계속 있을수 없는 상황. ODB입장에서는 당시 WWE가 외모와 몸매 지향적인 디바서치출신들이나 레슬링 경력도 없는 모델출신들로 여성디비전을 망치고 있기에 계약을 하기 싫을 수 밖에 없다.] TNA에 등장하면서 초창기엔 게일 킴을 중심으로 가는 상황이라 밀렸지만 게일 킴의 부상으로 인해 악역에서 선역으로 전환하면서 [[어썸 콩]]과 대립을 하게 된다. 선역으로 활동하면서 인기가 최고치로 올랐고, 기믹에 맞게 상당수 팬들의 지지를 받고 2009년에 [[안젤리나 러브]]를 이기고 TNA 넉아웃 챔피언에 등극한다. 그런데 같이 다닌 [[코디 디너]]가 넉아웃 챔피언에 획득하는 이상한 상황이 오면서 ODB는 코디 디너를 상대로 이기며 2회 넉아웃 챔피언에 등극하고 코디 디너와 갈라선다. [[레슬매니아 25]]에 있던 일로 WWE에게 실망하면서 레슬링 은퇴를 없던일로해 TNA와 계약한 [[빅토리아(프로레슬러)|타라]]와도 마주치고, 파이널 레볼루션에서 타라에게 패배해 챔피언 자리를 잃지만 몇주후에 다시 탈환해서 챔피언에 등극하고 그러나 3전 2선승제로 붙어서 재격돌하지만 패배하면서 또 챔피언 자리를 잃게된다. ODB는 2010년에 TNA를 그만둔다. 2011년에 다시 TNA에 돌아오면서 [[매디슨 레인]]을 상대하지만 패배하고, 이후에도 넉아웃 디비전에서 활동하다가 [[에릭 영]]과 엮이면서 게일 킴 & 매디슨 레인을 이기고 넉아웃 태그팀 챔피언에 등극한다. 1년이상 보유하지만 2013년 6월에 넉아웃 태그팀 챔피언 벨트는 폐지된다. 2013년에 [[미키 제임스]]를 이기고 통산 4회 넉아웃 챔피언에 등극하지만 게일 킴에게 패배해 챔피언 자리를 잃게된다. ODB는 2014년에 또한번 TNA를 나간다. 2015년에 [[ROH]]로 옮겨서 활동하다가 2016년까지 활동하게 되고 2016년에 TNA에 등장해서 시에나를 상대로 넉아웃 챔피언십 매치를 치루지민 패배한다. 2017년에 [[로즈마리(프로레슬러)|로즈마리]]를 상대하지만 패배하고, 2019년에 자신이 운영하는 푸드트럭 관련 홍보를 위해 이후로 잠깐씩 출연한다. 2019년, [[올 엘리트 레슬링|AEW]]에서 벌어진 [[올 아웃 2019|올 아웃]]에 참가하면서 [[카지노 배틀로얄]]에 나서지만 탈락된다. 2021년에 임팩트 레슬링으로 다시 돌아오면서 [[디오나 퍼라조]]와 대립이 형성되면서 [[새크리파이스 2021]]에서 넉아웃 챔피언십으로 맞붙게 되지만 패한다. == 기타 == * 레슬링 외에도 종합격투기 선수 및 배우로 잠깐 활동한 적이 있다. == 둘러보기 == ||||||||||<:>[[파일:resem63503gfwgauntletforgold.jpg|width=400]] || ||||||||||||<:> '''TNA/임팩트 레슬링 건틀렛 오브 더 골드 배틀로얄 우승자''' || || [[사모아 조]][br][[AJ 스타일스]] & [[톰코(프로레슬러)|톰코]][br][[게일 킴]][br](2007) || → || '''크리스찬 케이지[br]ODB[br]모터 시티 머신건즈[br]피티 윌리엄스[br](2008)''' || → || [[소조너 볼트]][br](2009) || || [[어썸 콩]][br][[게일 킴]][br][[LA 나이트|일라이 드레이크]][br](2016) || → || '''ODB[br]일라이 드레이크[br](2017)''' || → || [* 2018년도는 실시하지 않음.][br](2018) || ||||||||||
<:>[[파일:xcup12.jpg|width=300]] || ||||||||||||<:> '''TNA / 임팩트 레슬링 월드컵 토너먼트 우승자 ''' || || 팀 USA[* 크리스토퍼 다니엘스, 제임스 스톰, 카자리안, 케니 킹, 미키 제임스][br](2013) || → || '''팀 영[* 에릭 영, 불리 레이, 에디 에드워즈, 거너, ODB][br](2014)''' || → || 팀 하디[* 제프 하디, 거너, 크레이지 스티브, 데이비 리차즈, 락스타 스퍼드, 게일 킴][br](20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