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CJ ENM)] [include(틀:OCN)] ||<-3> {{{#!wiki style="margin: -10px -10px" || [[파일:OCN Movies 로고.svg|height=25]]||{{{#ff7800 '''{{{+3 OCN movies}}}'''[br]{{{-3 CJ ENM㈜ 엔터테인먼트부문}}}[br]{{{-3 TV Shows}}}}}} ||}}}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03232 10%, #FF7800 55%, #FFB414)" '''{{{#white 인생영화 STORY NO.1}}}'''}}} || ||<-2> '''장르''' ||인생 영화 큐레이션 전문 채널 || ||<-2> '''개국''' ||[[2020년]] [[3월 1일]][* 구) chCGV: [[1992년]] [[7월 11일]]] ([age(1992-07-11)]주년) || ||<-2><|2> '''본사[br]소재지'''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서울특별시 마포구 상암산로 66, 너비=100%)]}}} || ||{{{#!wiki style="padding: 2px 10px; border-radius: 5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03232, #FF7800, #FFB414); color: white" '''[[CJ ENM|{{{#white CJ ENM CENTER}}}]]'''}}}{{{-2 [[서울특별시]] [[마포구]] 상암산로 66 ([[상암동(서울)|상암동]])}}} || ||<-2> '''방송책임'''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7800; font-size: 0.75em" {{{#fff '''편성책임'''}}}}}} 강기훈[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7800; font-size: 0.75em" {{{#fff '''광고책임'''}}}}}} 홍기성 || ||<-2> '''편성블록''' ||'''[수요일]''' 11PM 시리즈[br]'''[목요일]''' 비디오 리플레이[br]'''[금요일]''' 신작 사용 설명서[br]'''[일요일]''' 무비즈 PLUS || ||<-2> '''방송분야''' ||국내외 흥행 영화, 수준 높은 영화제 수상작 || ||<-3> [[https://ocn.cjenm.com/ko/|[[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height=20]]]][* OCN 홈페이지와 통합] | [[https://www.facebook.com/OCN.TV/|[[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width=20]]]] | [[https://twitter.com/No1_OCN|[[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width=20&theme=light]][[파일:X Corp 아이콘(화이트).svg|width=20&theme=dark]]]] | [[https://www.instagram.com/ocn_official_|[[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0]]]] | [[https://tv.naver.com/b/cjenm/17|[[파일:네이버TV 아이콘.svg|width=20]]]] | [[https://www.youtube.com/user/ocn|[[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목차] [clearfix] == 개요 == ||
<#ff7800>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youtube(07n1bzsGy8c)]}}}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03232 10%, #FF7800 55%, #FFB414)" '''{{{#white 인생영화 STORY NO.1, OCN movies}}}'''}}} || [[CJ ENM]]의 종합영화채널로, [[케이블 방송]]과 [[스카이라이프]], [[IPTV]][* IPTV의 경우 [[SK브로드밴드]] 기준] 등에 송출되고 있다. == 역사 == 2002년 오락채널이었던 NTV[* 본래 HBS([[현대방송]])라는 [[현대그룹]] 계열 연예/오락채널로(실제로 대부분의 프로그램 스폰서가 현대그룹 계열사의 광고들이었다.), 개국 당시 고정 채널 번호는 19번. [[SBS]]와 공동제작한 드라마 [[사랑하니까(드라마)|사랑하니까]]([[김수현(작가)|김수현]] 극본)의 실패 후 재정난으로 어려움을 겪어 현대그룹에서 분리된 뒤 넥스트미디어그룹([[국민일보]] 관계사, 2006년 부도)에 인수되면서 이와 같이 채널명이 변경되었는데 [[드라마넷]]을 2001년 3월 MBC로 넘긴 [[CJ미디어]]가 같은 해 4월 인수했으나 지상파 3사의 모든 드라마 및 예능 프로그램을 방영해 온 드라마넷과의 경쟁에서 밀리자 같은 해 9월부터 장르를 영화 전문 채널로 전환(이 과정에서 연예/오락 장르는 [[ETN(방송)|ETN]]으로 넘겨졌다.)한 다음, 2002년 7월 29일에 종합영화채널 Home CGV로 채널명을 변경하였다. 이후 현대그룹은 2000~2001년까지 현대오토넷을 통해 음악채널 [[KM(음악채널)|KMTV]]도 가지고 있었다. --아무튼 [[CJ미디어|훗날 이산가족 상봉]]...했다가 [[GMTV(텔레비전 채널)|결국...]]--]를 [[CJ미디어]]가 앞서 본 것처럼 인수해 영화채널 HomeCGV로 개국했다. 당시에는 부동의 1위였던 [[OCN]]에 힘싸움에서 밀려 신작영화 방영권의 수급에 어려움이 있어 주로 철지난 영화나 B급, 3류틱한 저질 영화들을 전문적으로 방영했었다. (하지만 당시 홈CGV의 개국 첫 로고는 두 영어 글씨가 반대로 되있었다. 그래서 2003년에는 재수정된 로고로 다시 개국되었다.) 하지만 2005년 들어서 개편을 단행. 채널CGV로 개명하고 PP홍보도 강화해 웬만한 지역의 케이블 보급형 채널에서도 볼 수 있게 됐다. 그리고 최신 한국영화를 다수 확보해 방송하면서 인기를 끌었다. 그 결과 OCN을 누르고 영화채널 1위로 등극했다. CJ미디어가 [[온미디어]]를 인수함에 따라 OCN과는 한 식구가 됐다. 가끔 OCN에서 했던 영화를 채널CGV에서도 하기도 한다.[* 거꾸로 OCN이나 수퍼액션에서 채널CGV가 방영권을 획득한 영화를 틀기도 했다.] 신작영화를 방영할 때마다 'TV 최초방영'을 유독 강조하며 [[낚시질]]하는 경향이 있었다. 이게 말이 안 되는 게 왜냐면 [[지상파]]나 [[캐치온]]이 한발 앞서 방영할 때가 종종 있기 때문이다. 분명 전날에 본인들이 방송한 영화를 다음 날 TV 최초라고 방송하는 경우도 발생. OCN도 이런 짓을 하긴 한다. --이건 일주일도 안 지나서라고 하면 할 말이 없다만--[* 캐치온은 유료영화 채널이라 그렇다 쳐도 예를 들어 [[부당거래]]의 경우 설날에 지상파인 [[SBS]]에서 먼저 방영했는데도 채널CGV는 한 달 가량 늦게 방영하고도 최초라고 주장했다.] 그냥 "자사채널 신작영화." 그냥 이쯤으로 이해하도록 하자. 최신영화, 신작영화는 [[OCN]]과 [[SCREEN]]이 가장 빨리 방영했다. [[퓨리(영화)|퓨리]], [[트랜스포터(영화)|트랜스포터 리퓰드]], [[엑스 마키나(영화)|엑스 마키나]], [[빅 히어로]]는 여기서 가장 먼저 방영했다. 2009년 08월 31일 로고도 [[CGV]]와 통합하고 블록버스터 영화전문채널로 또 다시 개편을 했다. 2011년 02월 28일 모회사가 [[CJ E&M]]으로 개편되었고 케이블 영화 채널 중에 거의 유일하게 다음 영화 예고창이 자막을 가렸다. 그리고 2010년대 중반에는 편집이 심한 편이였지만 2018~2019년에 들어서 부터 편집이 줄어들었다. 그리고 간혹 [[레옹]] 같이 청불영화를 15세로 방영하기도 했고 OCN에 비하면 외화 자막에서도 욕설이 더 나오는 편인데 창녀, 등신, 걸레, 똥 같은 단어들이 나왔다. 2020년 3월 1일부터 채널CGV에서 '''OCN Movies'''로 채널명을 변경했다. 이로써 18년 만에 OCN과의 경쟁 체제가 막을 내리고 OCN의 계열 채널이 되었다. 채널CGV로서의 마지막 영화는 [[롱 리브 더 킹: 목포 영웅]](2월 29일 21:30 ~ 익일 00:00)이고, OCN Movies로서의 첫 영화는 [[미옥]](3월 1일 00:00~01:50). 2022년 10월 1일 [[OCN Movies2]]가 개국한 날에 [[OCN Movies]]는 슬로건을 "인생영화 STORY NO.1"으로 바꾸었다. == 로고 == || {{{#!wiki style="margin: 0px -10px" [[현대방송|[[파일:현대방송 로고.svg|width=9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NTV(대한민국) 로고.gif|width=9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Home CGV 로고(2002-2003).svg|width=9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Home CGV 로고(2003-2005).svg|width=90%]]}}} || || 1995 ~ 2000 || 2000 ~ 2002 || 2002 ~ 2003 || 2003 ~ 2005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채널CGV 로고(2005-2010).png|width=9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채널CGV 로고.svg|width=90%]]}}}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OCN Movies 로고.svg|width=70%]]}}} || || 2005 ~ 2010 || 2011 ~ 2020 ||<-2> 2020 ~ 현재 || == 당시 채널CGV에서 방영했던 프로그램 == * 주말 N 영화(2005~2016) * [[아카데미 시상식]](2011~2017)[* [[제83회 아카데미 시상식|83회]]부터 [[제90회 아카데미 시상식|90회]]까지 독점 생중계했다.] * [[소녀K(드라마)|소녀K]](2011) * [[더 굿 무비]](2011~2017) * [[선데이 시네마]](2013) * 로케이션(2014) * 나도 영화 감독이다(2015~2016) * [[무비 스토커]](2015) * 한국 영화의 힘(2015) * 무비 버스터즈(2016) * 대한민국 박스오피스 100(2017)[* 말 그대로 박스오피스 100위권에 든 영화를 방영하며 흥행을 할 수 있었던 이유도 함께 말해준다.] * 채씨 영화방(2017) == 기타 == [각주] [[분류:CJ ENM]][[분류:영화 및 드라마 채널]][[분류:OC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