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2>
[[DJMAX 시리즈|[[파일:DJMAX 로고(블랙).svg|width=100&theme=light]][[파일:DJMAX 로고(화이트).svg|width=100&theme=dark]]]]|| ||<-2>{{{#!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KIxkuluOI8o)]}}} || ||<-2> {{{-1 '''Full Ver.'''}}} || ||<-2>{{{#!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MuMPKGdNv2A)]}}} || ||<-2> {{{-1 '''BGA (Online Ver.)'''}}} || ||<-2>{{{#!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j0wfylAPcmg)]}}} || ||<-2> {{{-1 '''BGA (DMTT Ver.)'''}}} || || {{{-1 '''수록 정보'''}}} ||{{{-1 [[DJMAX 온라인|DJMAX Online]]}}} {{{-3 (2005)}}} || || {{{-1 '''장르'''}}} ||{{{-1 Junglepop}}} || || {{{-1 '''BPM'''}}} ||{{{-1 90}}} || || {{{-1 '''작곡'''}}} ||{{{-1 [[ND Lee]]}}} || || {{{-1 '''작사'''}}} ||{{{-1 Bean}}} || || {{{-1 '''보컬'''}}} ||{{{-1 Yoa}}} || || {{{-1 '''BGA'''}}} ||{{{-1 Eyehead(온라인) / Sampal, [[DumpingLIFE]](DMTT)}}} || ||<-2> {{{#!folding [ 가사 보기 ] I don't make a love, and you don't have a night Cause I don't make you love me something sweet in my life I don't make you love me something sweet in my life I don't make a love, and you don't have a night Cause I don't make you love me something sweet love is high you gotta make it love me rub me I sigh You gotta make it love me something so we gotta make it something this night I'm gonna make it love me so we can have a look at the something tonight I'm the one who can so much shakin' lonely shakin' sing for you I'm the one who can so much shakin' lonely shakin' sing for me never say never say never say never say you, never say you gonna get never say you gonna get to never say never say never say never say you gonna turn to the left of mine You gotta make it love me something so we gotta make it something this night I'm gonna make it love me so we can have a look at the something tonight I'm the one who can so much shakin' lonely shakin' sing for you I'm the one who can so much shakin' lonely shakin' sing for me never say never say never say never say you, never say you gonna get never say you gonna get to never say never say never say never say you gonna turn to the left of mine}}} || == 개요 == [[ND Lee]]의 [[DJMAX 시리즈]] 첫 참가곡. [[EZ2DJ]]시리즈에서 보여주었던 스타일을 그대로 고수하고 있는 곡이다. 흑인음악 스타일이 섞인 가요 스타일의 진행을 보여주는 곡. 다만 가사의 Never Say라는 부분이 '''내복세일'''[[몬데그린|로 들리는 바람에]] 별명은 내복세일이다. 가사는 데모 느낌의 가사로, 뜻과 문법을 신경써 작사했다기보다는 곡의 리듬을 살린 가사이다. 그렇기 때문에 해석에 딱히 의미는 없다. 처음 추가되었을 때와 이후 오픈 베타 테스트 때의 곡이 다른데, 처음 추가되었을 때는 오리지널 버전의 1절에서 일부분을 편집하여 사용한 버전이고, 오픈 베타 테스트 이후의 곡은 2절 부분을 편집한 곡을 계속 사용. 노래가 바뀌면서 BGA도 약간의 변화가 있었는데, 심의 문제덕분에 마지막 부분에 총을 겨누는 장면이 삭제가 되었다. 하지만 DJMAX Trilogy에서는 부활. 일본에서는 중반에 고글남이 달리는 씬의 모션이 우스꽝스러웠는지 ネバセ走り(네버세이 달리기)라는 네타가 붙어있다. 참고로 BGA 캐릭터 설정은 [[북두의 권]] 패러디. 고글남의 이름은 켄, 금발의 이름은 신, 여성의 이름은 유리아로 각각 [[켄시로]], [[신(북두의 권)|신]], [[유리아(북두의 권)|유리아]]에서 따왔다고 한다. 왠지 고글남의 디자인이 [[에미야 시로|열도의 5차 성배전쟁 주인공]]과 닮았다. 물론 만들어진 건 Never Say가 훨씬 더 먼저. [[DJMAX RESPECT]]에도 구곡으로 수록되었는데, [[BGA]]가 [[DJMAX TECHNIKA TUNE]] 버전이다. 다른 곡들은 대체로 후에 새로 만든 BGA가 있어도 포터블 버전의 BGA를 손봐서 넣는 형태인데 유독 이 곡은 바뀐 버전의 BGA를 채용했다. 구버전 BGA는 낮은 확률로 등장하는 히든 BGA로 쓰였다. [[DJMAX RESPECT]] [[DJMAX RESPECT/DLC#s-2.4|TECHNIKA 3 DLC]] Preview 방송에서 [[juking]]이 내부사정[* 구버전 BGA의 리마스터링이 상대적으로 늦었던 것으로 추정.]으로 인해 구버전 BGA가 히든 BGA가 되었다고 밝혔다. == [[DJMAX 온라인]] == 초기 버전의 경우 Hard Style 패턴의 판정이 극악이어서 좋은 판정을 내기가 굉장히 힘든 곡이었다. 오픈 베타 테스트 이후의 버전에서는 BPM이 느려 판정이 잘 나왔고 이중 계단 형식의 배치로 유저들에게 큰 인기를 끌었다. SC 패턴은 그렇게 어려운 채보는 아니었지만 게이지 감소량이 매우 커서 악명을 떨쳤다. 레벨 1에 아무 것도 장비하지 않은 상태의 HP가 100인데, 이 곡에서는 노트를 한 개 놓치면 HP가 150 떨어지기 때문에 사실상 즉사하는 것이었다. HP 증가 옵션이 달린 기어나 노트 등을 끼면 조금 더 버틸 수 있었지만 그래봤자 3 미스가 한계. 이후 [[DJMAX Trilogy]]에서는 게이지 감소량은 평범하게 변경되었다. == [[DJMAX TECHNIKA TUNE]] == |||||||||||| [[DJMAX TECHNIKA TUNE]] || || 패턴 || 난이도 || 비고 || ||<#FFFF00> STAR || 2 || || ||<#0000FF> {{{#white POP}}} || 4 || || ||<#FF0000> CLUB || 5 || [[Nostalgia Set]] 셀렉곡 || 이후 [[DJMAX TECHNIKA TUNE]]에도 이식되었고, BGA는 DMO의 스토리를 바탕으로 Sampal에 의해 리메이크되었다. 다만 구버전에서 여성을 잡아두고 있었던 것으로 보이는 라이벌의 존재가 사라지고 남녀 두 사람만이 나온다. 전체적인 그래픽의 밀도와 퀄리티는 8년 전보다 높아졌지만 그저 일러스트를 연속해서 보여주는 것에 지나지 않는 단순한 구성이 많은 유저들을 실망시켰다. 온라인 버전 Eyehead의 역동적인 애니메이션과 연출에 비교하면 더욱 그렇다. ~~[[http://www.youtube.com/watch?v=k1bAHwvbilg|Silent Clarity에 붙이니 멀쩡한 브가가 되어버렸다]]~~[* 참고로 [[Silent Clarity]] 항목에 가면 이것과 반대로 영상을 붙인 링크가 존재한다.] == [[DJMAX TECHNIKA Q]] == |||||||| [[DJMAX TECHNIKA Q]]의 뮤직팩 21 수록곡 || || [[Airwave(DJMAX)|Airwave]] || [[Burn it Down]] || '''Never Say''' || [[Miles]] || |||||||||||| [[DJMAX TECHNIKA Q]] 난이도 체계 || |||| 2라인 |||| 3라인 || || 패턴 || 난이도 || 패턴 || 난이도 || ||<#FFFF00> NORMAL || 4 ||<#FFFF00> NORMAL || 5 || ||<#0000FF> {{{#white HARD}}} || 6 ||<#0000FF> {{{#white HARD}}} || 6 || ||<#FF0000> EXPERT || 7 ||<#FF0000> EXPERT || 8 || 2014년 5월 12일 업데이트 된 Q 뮤직팩 21에 수록되었다. 스크롤 속도가 빠르고 엇박 드럼이 약간씩 나와서 좋은 판정 내기가 쉽지 않다. [youtube(nJ1j_nJtJQU)] 3라인 EXPERT 패턴 영상 == [[DJMAX RESPECT]] & [[DJMAX RESPECT V|V]] == [include(틀:DJMAX RESPECT/PORTABLE 1)]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Never Say_1.png|width=100%]]}}} ||<-4>{{{#!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a04cf7, #0faad6, #0faad6)" '''{{{#white PORTABLE 1}}}'''}}} || ||<-4>'''{{{+5 Never Say}}}''' || || 모드 || NM || HD || MX || '''SC''' || || 4B || [[파일:djmax_respect_star_yellow.svg|width=16]] 3 [br] {{{-5 234}}} ||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width=16]] 6 [br] {{{-5 483}}} || - || - || || 5B ||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width=16]] 6 [br] {{{-5 305}}} ||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width=16]] 7 [br] {{{-5 506}}} || - || [[파일:djmaxsc10.png|width=16]] {{{#purple,#f21cc7 '''9'''}}} [br] {{{-5 1165}}} || || 6B || [[파일:djmax_respect_star_yellow.svg|width=16]] 2 [br] {{{-5 234}}} ||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width=16]] 7 [br] {{{-5 539}}} || [[파일:djmax_respect_star_red.svg|width=16]] 12 [br] {{{-5 934}}} || - || || 8B ||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width=16]] 8 [br] {{{-5 506}}} || - || - || [[파일:djmaxsc10.png|width=16]] {{{#purple,#f21cc7 '''8'''}}} [br] {{{-5 1102}}} || ||<-5>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2px 5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af8ef6, #7baaf0, #67cdea)" {{{-3 *SC 난이도는 별도 난이도 체계를 사용.}}}}}} || DJMAX RESPECT V에선 2020년 8월 6일 업데이트로 SC 패턴이 추가되었다. === 4B TUNES === || {{{#white NM}}} || {{{#white HD}}}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utqfrz9HQk4)]}}}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hrVov0XHg0M)]}}} || === 5B TUNES === || {{{#white NM}}} || {{{#white HD}}}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sDSjrF7BVSE)]}}}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ZiDkDAgTiZA)]}}} || || {{{#white '''SC'''}}}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uo7NjTv4mP0)]}}} || || 5B SC 패턴은 온라인, 트릴로지 시절의 패턴을 조금만 어레인지 해서 거의 그대로 가져온 패턴. 대신 온라인때처럼 게이지 감소량이 늘어나는 기믹은 없다. === 6B TUNES === || {{{#white NM}}} || {{{#white HD}}}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b3Q1hrtC_gw)]}}}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5YLCcv3CuoY)]}}} || || {{{#white MX}}}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tRmf1O8CPXo)]}}} || || === 8B TUNES === || {{{#white NM}}} || {{{#white '''SC'''}}}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KxahM9kDgVQ)]}}}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gcPcJPIvheA)]}}} || == [[TAPSONIC TOP]] == VOCAL 속성으로 출시 되었다. EXPERT 패턴의 난이도는 10으로 크게 어려운 패턴은 없지만 BPM은 90으로 현재까지 출시한 탭탑 곡 중에서 BPM이 가장 낮다.[* 5배속으로 돌려도 450이다. 이는 BUCK WILD 엑스퍼트 최후반 가속을 0.5배속(1080 x 0.5 = 540) 돌린 것 보다 더 낮다.] [각주] [include(틀:로그 누락 문서)][[분류:로그 누락 문서]][[분류:DJMAX의 수록곡]] [include(틀:로그 누락 문서/기여자 내역, 문서명=Never Sa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