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태민)] ||<-5> '''[[태민/음반|{{{#dfd7cc 태민의 음반}}}]]''' || || '''{{{-2 정규 3집 프롤로그 싱글}}}[br][[Never Gonna Dance Again : Prologue|{{{#93d502 Never Gonna Dance Again : Prologue}}}]]'''[br]{{{-2 (2020)}}} || → || {{{#dfd7cc '''{{{-2 정규 3집 Act 1}}}[br]Never Gonna Dance Again : Act 1'''[br]{{{-2 (2020)}}}}}} || → || '''{{{-2 정규 3집 Act 2}}}[br][[Never Gonna Dance Again : Act 2|{{{#2d383a Never Gonna Dance Again : Act 2}}}]]'''[br]{{{-2 (2020)}}} || ||<-2> '''{{{#dfd7cc {{{+1 Never Gonna Dance Again : Act 1}}}[br]The 3rd Album Act 1}}}'''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20347848.jpg|width=100%]]}}} || ||<-2> '''{{{#dfd7cc 태민 정규 3집 Act 1}}}''' || || '''{{{#dfd7cc 발매일}}}'''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2020년]] [[9월 7일]] || || '''{{{#dfd7cc 프로듀서}}}''' || [[이수만]] ([[SM엔터테인먼트]]) || || '''{{{#dfd7cc 기획사}}}''' || [[SM엔터테인먼트]] || || '''{{{#dfd7cc 유통사}}}''' || [[드림어스컴퍼니]] || || '''{{{#dfd7cc 재생시간}}}''' || 30:57 || || '''{{{#dfd7cc 곡 수}}}''' || 9곡 || || '''{{{#dfd7cc 타이틀곡}}}''' || '''Criminal''' || [목차] [clearfix] == 개요 == 2020년 9월 7일에 발매된 [[태민]]의 정규 3집 Act 1 앨범. [[샤이니]]의 정규 3집처럼 앨범이 나누어져서 발매된다. 타이틀곡 ''''Criminal'''을 포함해 총 9곡이 수록되어 있다. 태민 정규 3집 ‘Never Gonna Dance Again’은 선공개된 프롤로그 싱글에 이어 순차 발매되는 ‘Act 1’과 ‘Act 2’ 2개 앨범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태민이 지금까지 보여준 아이덴티티를 공고히 하면서도 아티스트로서 새로운 자아를 찾아가는 고민과 도전의 서사를 영화같은 스토리와 음악으로 담아낸 앨범이다. “새는 알에서 나오려고 투쟁한다. 알은 세계다. 태어나려는 자는 하나의 세계를 깨뜨려야 한다”는 소설 ‘데미안’의 구절처럼, 태민이 아티스트로서 익숙한 세계를 깨고 새로운 자아를 찾아가는 고민과 도전을 영화 같은 서사로 풀어냈다. 솔로 앨범을 준비하며 [[SuperM]]의 [[Super One|정규 1집]] 활동 준비도 병행했었을 태민에게는 강행군 속에서 발매된 앨범이기도 하다. == 《Never Gonna Dance Again : Act 1》 == ||<-5> '''{{{#dfd7cc Never Gonna Dance Again : Act 1 - The 3rd Album}}}''' || ||<-5> 2020. 9. 7. 발매 || || '''{{{#dfd7cc 트랙}}}''' || '''{{{#dfd7cc 곡명}}}''' || '''{{{#dfd7cc 작사}}}''' || '''{{{#dfd7cc 작곡}}}''' || '''{{{#dfd7cc 편곡}}}''' || || '''1''' || '''Criminal'''[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order: 1px solid #000000; background: #000000; font-size: 0.6em" {{{#dfd7cc '''타이틀곡'''}}}}}} || danke (라라라스튜디오) || Lauren Aquilina[br]Chloe Latimer[br]Shae Jacobs[br]SCORE (13)[br]MEGATONE (13) || Shae Jacobs[br]SCORE (13)[br]MEGATONE(13) || || '''2''' || 일식 (Black Rose)[br]{{{-2 (Feat. [[Kid Milli]])}}} || 김수진 (Jam Factory)[br][[Kid Milli]] || [[LDN Noise|Greg Bonnick[br]Hayden Chapman]][br][[deez|DEEZ]][br]Adrian Mckinnon || [[LDN Noise]][br][[deez|DEEZ]] || || '''3''' || Strangers || 김민지 (Jam Factory) || Daniel Davidsen[br]Peter Wallevik[br]Sarah Barrios[br]Linnea Södahl || PhD || || '''4''' || 해몽 (Waiting for) || 김민지 (Jam Factory) || Noah Conrad[br]Rollo Spreckley[br]Jake Torrey || Noah Conrad[br]Rollo Spreckley[br]Jake Torrey[br][[deez|DEEZ]] || || '''5''' || [[FAMOUS(태민)|Famous]][br]{{{-2 Korean Ver.}}} || 이스란 || Didrik Thott[br]Daniel Kim || Daniel Kim || || '''6''' || Clockwork || 이스란[br]봉은영 (Jam Factory) || Britt Burton[br]Harvey Mason Jr. || Harvey Mason Jr. || || '''7''' || Just Me and You || Mola (Makeumine works)[br]JQ ||<-2> Sam Gray[br]Steve Manovski[br]Jimmy Conway[br][[라이언 전|Ryan S.Jhun]] || || '''8''' || 네모 (NEMO) || Noday[br]이아일[br]박문치 || 이아일[br]박문치[br]Noday || 박문치[br]Noday || || '''9''' || 2 KIDS || [[조윤경(작사가)|조윤경]][br][[태민]] || Matt Thomson[br]Max Lynedoch Graham[br]Ninos Hanna[br]JENSON VAUGHAN[br]Marlene Strand[br]James F. Reynolds[br]Tim Stuart || ARCADES[br]BLUR || === 음반 구성 === || {{{#!wiki style="margin: 0px -11px" {{{#!folding Never Gonna Dance Again : Act 1 Album Detail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albumdetails_TAEMIN_Act1.jpg|width=100%]]}}}|| }}}}}} || ||
{{{#dfd7cc 구성}}} || {{{#dfd7cc '''Suspect(A ver.)'''}}} || {{{#dfd7cc '''Innocent(B ver.)'''}}} || || 슬리브 || 1종 (A Ver.) || 1종 (B ver.) || || 포토북/가사지 || 1종 (A Ver.) || 1종 (B ver.) || || R판 || 1종 (A Ver.) || 1종 (B ver.) || || 포토카드 || 2종 중 랜덤 1종 (A Ver.) || 2종 중 랜덤 1종 (B ver.) || || 접지 포스터 || 3종 중 랜덤 1종 (A Ver.) || 3종 중 랜덤 1종 (B ver.) || || Evidence || 3종 중 랜덤 1종 (A Ver.) || 3종 중 랜덤 1종 (B ver.) || == 수록곡 == === Criminal === || {{{-2 '''Track 1 〈Criminal〉'''}}} || || {{{-1 '''‘타이틀 곡 'Criminal'은 긴장감 넘치는 리듬과 뉴트로한 사운드가 어우러진 신스웨이브 장르의 곡으로, 벗어나고 싶어도 벗어날 수 없는 상대의 치명적인 매력을 '스톡홀름 신드롬'이라는 소재로 콘셉추얼하게 녹여낸 가사에 태민의 관능적인 보컬이 더해져, 마치 하나의 영화를 보는 듯한 느낌을 자아낸다.'''}}}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AJzLTlG-p4Y)]}}} || || {{{#!folding [ 가사 보기 ] La la la la la la la la 해롭단 거 잘 알지 그 눈빛과 움직임 널 벗어나려 하지만 세뇌된 채로 고개를 끄덕여 난 네 말에 꼬이고 춤추는 두 발이 왠지 싫지는 않지 태초에 정해진 너라는 진리에 저항할 맘 없으니 우아해 날 해치는 Criminal It's okay 날 달래곤 괴롭혀 Ooh 너란 목줄을 채운 난 숨을 쉴 수 없게 아프면서 황홀하잖아 우아해 날 망치는 Criminal Not okay 고갤 저어 보지만 Ooh 점점 더 깊이 끌려가 네게 빠진 순간 더는 결백하지 않은 나 너라는 그 Syndrome 날 유인하곤 흔들어 네 아이 같은 표정 뒤 아찔한 반전 소름이 끼쳐 상처로 벌어진 심장엔 이미 네 지문이 가득하지 날 찌른 네 손을 맞잡은 내 손도 깨끗하진 않으니 우아해 날 해치는 Criminal It's okay 날 달래곤 괴롭혀 Ooh 너란 목줄을 채운 난 숨을 쉴 수 없게 아프면서 황홀하잖아 우아해 날 망치는 Criminal Not okay 고갤 저어 보지만 Ooh 점점 더 깊이 끌려가 네게 빠진 순간 더는 결백하지 않은 나 La la la la la la la la 더 망쳐줘 우아해 날 해치는 Criminal It's okay 날 달래곤 괴롭혀 Ooh 너란 목줄을 채운 난 숨을 쉴 수 없게 아프면서 황홀하잖아 우아해 날 망치는 Criminal Not okay 고갤 저어 보지만 Ooh 점점 더 깊이 끌려가 벗어나길 원치 않아 전부 무너뜨려 날 }}} || > 이번 앨범 콘셉트와 잘 맞는 곡이라고 생각했어요. '''그래서 처음에는 없었던 뉴스 느낌의 음성을 추가하고''', 마지막 후렴의 애드리브도 노래를 좀더 극적으로 끌 수 있게 수정하는 등 여러 의견을 내면서 곡의 완성도를 높였습니다. 특이하게 곡 중간에 뉴스 음성이 등장하는데, 이는 태민의 아이디어라고 한다. 뉴스 음성의 내용은 정확하게 밝혀진 바는 없지만, "현장방문한 A씨를", "사랑한다는 착각과 망상에", "스톡홀름 증후군이 의심됩니다"등의 음성이 들리는 것으로 보아 스톡홀름 범죄를 주제로 한 뉴스 내용인 것으로 추측된다. ==== 뮤직비디오 ==== ||
{{{#dfd7cc '''{{{+1 Criminal}}}[br]Music Video'''}}}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hFQL7BS6lrs)]}}}|| * 뮤직비디오는 정규 1집 [[Press It]]의 수록곡 《Drip Drop》의 퍼포먼스 비디오를 촬영한 [[VM Project]]가 담당했다. * 태민의 뮤직비디오 중 가장 빠르게 1,000만뷰를 달성한 곡이었으나, [[Never Gonna Dance Again : Act 2#s-3.1|다음 앨범 타이틀곡]]이 그 기록을 깼다. ===== 비하인드 ===== ||
{{{#dfd7cc '''{{{+1 Criminal}}}[br]MV Behind l Behind the : Act l 태민 TAEMIN'''}}}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Efp2SfrEEMY)]}}}|| ===== 코멘터리 ===== ||
{{{#dfd7cc '''{{{+1 Criminal}}}[br]MV Commentary l 짝궁들아 ‘Criminal’ MV 궁금해?'''}}}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L6snbR67ljs)]}}}|| ==== 안무 영상 ==== ||
{{{#dfd7cc '''{{{+1 Criminal}}}[br]Dance Practice'''}}}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p1OGFLjtTes)]}}}|| === 일식 (Black Rose) (Feat. [[Kid Milli]]) === || {{{-2 '''Track 2 〈일식 (Black Rose)〉'''}}} || || {{{-1 '''‘일식 (Black Rose)’은 다크하면서도 화려한 건반 사운드와 향수를 자극하는 오르골 소스, 후렴구의 스트링이 조화를 이루는 팝 곡으로, 가사에는 자신 안에 새로운 자아와 마주하는 순간을 해와 달이 겹쳐지는 일식에 비유했으며, 래퍼 [[Kid Milli|{{{#dfd7cc Kid Milli}}}]](키드밀리)가 피처링해 매력을 배가시켰다.'''}}}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SzgkD7NObc8)]}}} || || {{{#!folding [ 가사 보기 ] {{{-2 {{{#brown '''Kid Milli'''}}}}}} {{{#brown 네 두 손이 나의 눈을 가릴 때 That’s okay 낮은 밤이 되고 밤은 낮이 돼 That’s okay 내 전불 가진 채 내 두 눈 멀게 해 끝내 서롤 마주 보고 선 그때 그때가 다가오게 되면 난 너가 될걸 너는 내가 되어서 우린 하늘 위로 탁해져 전부 우리 주위에는 검은색 장미 꽃잎이 흩날려 내 눈엔 Yeah I got everything 널 쥠으로써 난 Full Now you gotta choose 멎기 전에 오늘 밤 더 진한 어둠과 달빛 내 숨이}}} 내 손등 위에 너의 그림자 내 심장 위로 겹쳐 너를 안아봐 가까이 날 부르는 곳 아득한 의식 너머 닿은 네게로 Let me go 드물게 함께 낮을 걸어 넌 아주 먼 꿈결처럼 흩어져 긴 어둠에 빈틈에 더 멀리 영원하겠다던 Your lies 다시 피어나는 Black rose black rose 아프게 맘을 할퀴어 계속 태양을 삼켜 피어나 Oh 넌 잠식해 In my dream in my dream (Black rose) 낯선 금빛 태양을 삼킨 까만 눈동자 In my dream 멀어진다 해도 I’ll see you in my dream in my dream {{{#brown 네 두 손이 나의 눈을 가릴 때 That’s okay 낮은 밤이 되고 밤은 낮이 돼 That’s okay}}} 태양을 달이 삼켜 낮과 밤이 공존해야 내 안에 숨어있던 너를 마주할 수 있어 Ah 중력 위로 하나의 끌림 다른 건 모두 사라져 드물게 함께 낮을 걸어 넌 아주 먼 꿈결처럼 흩어져 긴 어둠에 빈틈에 더 멀리 영원하겠다던 Your lies 다시 피어나는 Black rose black rose 아프게 맘을 할퀴어 계속 태양을 삼켜 피어나 Oh 넌 잠식해 In my dream in my dream (Black rose) 낯선 금빛 태양을 삼킨 까만 눈동자 In my dream 멀어진다 해도 I’ll see you in my dream in my dream 진실을 마주하는 순간 시들어 져 Rose under the light 쏟아진 가시가 날 가슴 깊이 찔러 베어와 두 번 다시 볼 수 없을까 Oh 난 차라리 눈 감아 태양이 또 떠밀어 날 Fall into all of your lies yeah 순간 사라지는 Black rose black rose 아프게 맘을 할퀴어 계속 어둠이 눈을 가려야 또 넌 피어나 In my dream in my dream (Black rose) 낯선 금빛 태양을 삼킨 까만 눈동자 In my dream 멀어진다 해도 I’ll see you in my dream in my dream Black rose }}} || === Strangers === || {{{-2 '''Track 3 〈Strangers〉'''}}} || || {{{-1 '''‘Strangers’(스트레인저스)는 미니멀한 EP 사운드와 동양적인 멜로디가 인상적인 다크 팝 장르의 곡이다. 길에서 우연히 만난 옛 연인과 서로 모른 척 스쳐 지나가는 순간을 그린 가사와 반복해서 들리는 구두굽 소리가 어우러져 몰입감을 배가시킨다.'''}}}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azDriieGufY)]}}} || || {{{#!folding [ 가사 보기 ] 분주한 거리 위 쉼 없이 울리는 Call 흩어지는 소음과 사람들 그 틈에 너 널 보게 된 건 우연인지 운명인지 그런 의민 더 이상은 소용없는 일이란 걸 알아 이미 스쳐가 널 모르는 듯이 Cause you and I are strangers with memories Strangers you forgot me got me 우리의 기억들이 Strangers you forgot me got me 너와 내 이 순간이 Strangers you forgot me got me 스쳐가 이젠 멀리 You and I are strangers with memories 걸음은 시간에 발맞춰 날 이끌고 너와 내가 멈춰 둔 시간들을 뒤로한 채로 꼭 실수처럼 닿아버린 시선에도 정한 듯이 그 누구도 붙잡지는 않는단 걸 알아 우린 스쳐가 날 몰랐단 듯이 Cause you and I are strangers with memories Strangers you forgot me got me 우리의 기억들이 Strangers you forgot me got me 너와 내 이 순간이 Strangers you forgot me got me 스쳐가 이젠 멀리 You and I are strangers with memories 오랜만이야 참 그런 말조차 꺼내지 않는 사이가 돼도 너와 나 기억의 조각 그 일부로 남아 영원히 지워낼 순 없어 자연스레 날 스쳐 지나가 참 이상하지 나보다 더 나를 아는 너는 이미 스쳐가는 사람들 속 하나뿐인 낯선 타인 더 이상 머무르지 않길 Cause you and I are strangers with memories Strangers you forgot me got me 알잖아 지금 우린 Strangers you forgot me got me 스쳐가 서로 멀리 Strangers you forgot me got me 희미해질 때까지 You and I are strangers with memories }}} || === 해몽 (Waiting for) === || {{{-2 '''Track 4 〈해몽 (Waiting for)〉'''}}} || || {{{-1 '''‘해몽 (Waiting For)’은 바이올린 선율과 스패니쉬 기타 애드리브가 돋보이는 미디엄 템포의 댄스 곡으로, 가사에는 매일 꿈 속에 나타나는 상대에게 빠져 꿈을 해석하고 다시 상대를 불러내려 하는 모습을 담았다.'''}}}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ImbbExIuC34)]}}} || || {{{#!folding [ 가사 보기 ] 긴장이 풀려버린 지금에야 몰아 쉬는 숨 긴 밤에 말라버린 내 입술이 놓쳤던 Ma boo 기억은 언제나 잔상일 뿐 잡힐 듯 잡히지 않았던 You 이젠 널 알아야 해 끝도 없이 반복될 이 꿈 You 너인 걸 알아 그 손길로 꽉 잡아 Fake 아닌 척 그저 깊이 빠져 Low low Woah 멋대로 와서 나를 떠나도 다시 Wait 오늘 밤에Na na na na na na na Waiting for wait wait waiting for Waiting for wait wait waiting for Na na na na na na na 헤치고 분석해 봐 네가 나를 찾아오는 Rule 그 또한 널 그리는 시간이 돼 외로워져 늘 Why 결국 나는 좀 더 깊은 꿈을 바라잖아 No 어쩌면 네가 아닌 내가 너를 불러내는 꿈 It’s true You 너인 걸 알아 그 손길로 꽉 잡아 Fake 아닌 척 그저 깊이 빠져 Low low Woah 어질러 잔뜩 미치게 해도 다시 Wait 오늘 밤에Na na na na na na na Waiting for wait wait waiting for Waiting for wait wait waiting for Na na na na na na na Waiting for wait wait waiting for Waiting for wait wait waiting for 이 꿈의 난 노예 (Why why) 이토록 오래 (Why why) 조금씩 Down down down 깊이 나를 삼켜가 It’s you it’s you it’s you yeah You 꿈인 걸 알아 그럼에도 널 잡아 Fake 모른 척 좀 더 깊이 빠져 Low low Woah 끝내 널 곁에 두고 싶었던 난 또 Stay 이 꿈속에Na na na na na na na Waiting for wait wait waiting for Waiting for wait wait waiting for Na na na na na na na Waiting for wait wait waiting for Waiting for wait wait waiting for Na na na na na na na }}} || === [[FAMOUS(태민)|Famous]] (Korean Ver.) === || {{{-2 '''Track 5 〈FAMOUS (Korean Ver.)[* 일본 미니 3집 타이틀곡 [[FAMOUS(태민)|FAMOUS]]의 한국어 번안 버전]〉'''}}} || || {{{-1 '''반복되는 리듬 패턴과 임팩트 있는 베이스 라인이 돋보이며, 가사에는 아티스트로서 느끼는 무대 위 화려한 외면과 무대 밖 내면의 갈등을 표현했다.'''}}}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T19C_lz-nkU)]}}} || || {{{#!folding [ 가사 보기 ] Yeah (No drama no drama) No drama 막이 오르고 Watch me 화려함 속에 Awakening 눈부신 조명들 아래 빛나는 내가 나일까 이면 뒤에 가려진 내가 진짜 나일까 어느 순간 덮쳐온 내 안의 의문들 앞에 정답을 찾지 못한 채로 익숙해져 가 헤어날 수도 없게 날 삼킨 어두운 그림자 이젠 나도 몰라 Famous (I’m so fabulous) Famous (I’m so dangerous) 날 부르는 함성 속 황홀한 이 Delight Famous (I’m so fabulous) Famous (I’m so dangerous) Famous (So famous) 모두 나를 원해 So famous (No drama no drama) 내 것이 되고 싶다면 알아 둬 특별한 대본 따위 난 필요치 않아 날 원한 너의 그 Fantasy를 따라 Do me right 습관적인 Bad romance 거짓투성이 Emotion 끝도 없이 내 온몸을 잠식하는 Potion 진심 아닌 사랑도 환상뿐인 가면도 한순간 스쳐 갈 이야깃거리니까 뜨겁게 불태운 후에 미련조차 남지 않게 모두 지워 버려 Famous famous (I’m so) Famous famous (Famous) Spotlight 속 환희에 차오른 Catharsis Famous famous (I’m so) Famous famous (Ooh) 아무도 알지 못할 고독 속의 Drama Drama drama drama No drama drama drama That’s right Famous (I’m so fabulous) Famous (I’m so dangerous) Famous (So famous) 거짓뿐인 Drama So famous 막이 내려도 Watch me 괴리감 속에 Awakening 베일은 날 더 감추고 난 이 밤사이 더 미쳐 가 Famous famous (I’m so) Famous famous (Famous) 깊이 파고든 전율에 내 심장이 반응해 Famous famous (I’m so) Famous famous Famous (So famous) 모두 나를 원해 Famous (No drama no drama) So famous }}} || ==== 무대 영상 ==== ||
{{{#dfd7cc '''{{{+1 Famous}}}[br]Korean Ver.'''}}}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caTUDQAVRh8)]}}}|| === Clockwork === || {{{-2 '''Track 6 〈Clockwork〉'''}}} || || {{{-1 '''‘Clockwork’(클락워크)는 세계적인 프로듀서 The Underdogs(더 언더독스)가 참여한 팝 발라드 곡으로, 가사에는 헤어진 연인과의 기억을 계속해서 떠올리는 행동을 끊임없이 움직이는 시계에 빗대어 표현했으며, 시계의 움직임을 형상화한 건반 패턴과 초침 소리가 특징이다.'''}}}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spR8ds26Pbs)]}}} || || {{{#!folding [ 가사 보기 ] 같은 낮과 밤 같은 밤과 낮 기억을 따라 다시 너와 날 나의 너와 날 돌고 또 돌아 네가 없는 시간들이 고장 난 듯 하루 종일 내 기억을 헛돌다 또 너로 날 채우지 일분일초마다 바늘 끝에 진하게 밴 네 향이 네 숨이 날 깨워내 하염없이 찔러대고 둘 사이 스쳐 간 순간마다 찰나마다 흘러간 모든 게 멀어져 가 내 시간이 내 세상이 It’s like clockwork 이 원 안에 갇혀 쉴 새 없이 널 그리다 두 눈을 감는 밤 It’s like clockwork 흘러만 가 점점 멈춰보려 해도 날 어지럽히듯이 돌고 돌아 덧없이 It’s like clockwork It’s like clockwork 되돌릴 수 없는 너와 나의 시간 끝나버린 옛 초침 소린 무의식 속에 귓갈 채워내 자꾸 나른히 나른히 잠들게 해 아른히 아른히 나부낀 네 모습에 헛된 꿈을 꾸게 It’s like clockwork 이 원 안에 갇혀 쉴 새 없이 널 그리다 두 눈을 감는 밤 It’s like clockwork 흘러만 가 점점 멈춰보려 해도 날 어지럽히듯이 돌고 돌아 덧없이 It’s like clockwork It’s like clockwork Oh- (Clockwork Clockwork Clockwork Clockwork Clockwork Clockwork Clockwork) It’s like clockwork 이 원 안에 갇혀 쉴 새 없이 널 그리다 두 눈을 감는 밤 }}} || === Just Me and You === || {{{-2 '''Track 7 〈Just Me and You〉'''}}} || || {{{-1 '''‘Just Me And You’(저스트 미 앤드 유)는 레트로한 테이프 소스와 속삭이는 보컬 사운드, 묵직한 드럼 비트가 특징인 R&B 팝 곡이다. 쓸쓸하면서도 휘몰아치는 곡의 흐름이 어지러운 세상 속 다른 것들은 모두 지우고 사랑하는 사람으로만 채우고 싶다는 가사의 감정선을 극대화했다.'''}}}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P1WdWGzT9gA)]}}} || || {{{#!folding [ 가사 보기 ] 생각들은 잠시 꺼도 돼 나른해진 몸을 기댄 채 아주 작은 숨소리조차 속삭임처럼 들려오는 밤 너와 난 Ooh 천천히 손끝으로 Ooh 어둠 속 서롤 그릴 뿐 어지러운 세상 속 다른 건 다 지워 우리만 남도록 차갑도록 공허했었던 밤이 너 하나로 완벽해지는 그림 Baby baby baby 우린 끝이 없는 춤을 추듯 꿈결 속을 헤엄치듯 Just me and you 때론 어떤 말보다 지금 같은 눈의 대화가 내 맘에 짙게 번져가 너에게 더 깊게 헤어나지 못하게 No no no no 너와 난 Ooh 조금씩 물들여 가 Ooh 하나의 색으로 섞일 뿐 새롭게 태어나 네 맘을 다 비워 나로 꽉 차도록 닫혀있던 나를 열게 한 원인 말 없이도 전해지는 그 맘이 Baby baby baby 마치 이 감정을 음미하듯 지그시 눈을 감고 지금처럼 내게만 집중해줘 차갑도록 공허했었던 밤이 너 하나로 완벽해지는 그림 Baby baby baby 우린 끝이 없는 춤을 추듯 꿈결 속을 헤엄치듯 이대로 Just me and you Me and you Just me me me me me and you 너와 난 이대로 닫혀있던 나를 열게 한 원인 말 없이도 전해지는 그 맘이 Baby baby baby 마치 이 감정을 음미하듯 지그시 눈을 감고 지금처럼 내게만 집중해줘 차갑도록 공허했었던 밤이 너 하나로 완벽해지는 그림 Baby baby baby 우린 끝이 없는 춤을 추듯 꿈결 속을 헤엄치듯 이대로 Just me and you }}} || === 네모 (NEMO) === || {{{-2 '''Track 8 〈네모 (NEMO)〉'''}}} || || {{{-1 '''‘네모 (Nemo)’는 무게감 있는 리듬에 리드미컬한 기타와 건반 사운드가 어우러진 R&B 곡으로, ‘레트로 장인’이라 불리는 프로듀서 박문치가 참여해 90년대 음악 감성을 극대화했으며, 곡 제목인 ‘네모’의 동음이의어를 활용한 재치 있는 가사가 눈길을 끈다.'''}}}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iZYnVIn4Evs)]}}} || || {{{#!folding [ 가사 보기 ] 나 네 맘을 볼 수 있다면 아마 이런 끝은 아니겠지 If you see what I can see 너도 나와 같을까 이 길을 걷는 게 나처럼 허전할까 괜히 혼자 이러는지 네가 앉은 자리 온기 Why aren’t you with me? 시간이 지나가도 여전히 똑같잖아 이 자리에서 기다려 널 Yeah 까맣게 타버린 이 모든 게 나 때문에 내 모났던 말들 내 모났던 맘 널 아프게만 했었던 순간들 네모난 서랍 속 남겨둔 추억에 처음으로 온 제자리 너의 기억 속에 난 어디쯤에 서 있는지 Yeah I’m running in circles I’m running in running in running in 아무 말도 못 해 네가 날 바라볼 땐 뒤늦은 후회 속에 너의 사진만 바라봐 내 하루의 전부였는데 밤새 또 쌓인 슬픔이 덮쳐 나를 더 힘들게 하는 너의 흔적들 You were mine Wish you were mine 네가 앉은 자리 온기 Why aren’t you with me? 시간이 지나가도 여전히 똑같잖아 이 자리에서 기다려 널 Yeah 까맣게 타버린 이 모든 게 나 때문에 내 모났던 말들 내 모났던 맘 널 아프게만 했었던 순간들 네모난 서랍 속 남겨둔 추억에 처음으로 온 제자리 너의 기억 속에 난 어디쯤에 서 있는지 Yeah I’m running in circles I’m running in running in running in So let me take it back 우리 같이 있었던 그때를 기억해 봐도 점점 더 흐려지는 걸 Cause all I need is you 널 더 잊기 전에 Uh 내 안에 널 내 모났던 말들 내 모났던 맘 널 아프게만 했었던 순간들 네모난 서랍 속 남겨둔 추억에 처음으로 온 제자리 너의 기억 속에 난 어디쯤에 서 있는지 Yeah I’m running in circles I’m running in running in running in }}} || === [[Never Gonna Dance Again : Prologue|2 KIDS]] === || {{{-2 '''Track 9 〈2 KIDS〉'''}}} || || {{{-1 '''‘2 KIDS’는 따뜻하고 편안한 기타 사운드가 이끄는 미니멀한 트랙과 태민의 아련하고 서정적인 보컬이 어우러진 일렉트로 팝 장르의 곡으로, 태민이 작사에 참여한 가사에는 어린 시절 서툴렀던 사랑으로 인한 이별의 기억을 일상적이고 솔직하게 풀어냈다. 태민이 기존에 보여준 강렬한 퍼포머의 모습과는 차별화된 감성 보컬리스트의 면모를 확인시켜 주며, 정규 3집의 프롤로그 싱글로 선공개되어 좋은 반응을 얻었다.'''}}}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vrQuQCvo_xA)]}}} || || {{{#!folding [ 가사 보기 ] 들이킬수록 아파도 날 내버려 둬 내버려 놔둬 후회 속에서라도 널 그리도록 내버려 놔둬 우리의 마지막인 줄도 모른 채 끝까지 널 이기려 들던 나였었지 돌아보면 별거 아닌 자존심이 뭐 그리 대단했는지 그렇게 We were just 2 kids too young and dumb 어리고 멍청한 서툴렀던 맘 꽉 안아 줘 유난히 서럽던 그날의 너와 날 너와 날 잡아주길 바라면서 밀어냈었고 미안해 그 한 마딜 얘기하는 게 Uhm 2 kids too young and dumb 모든 걸 견디면 달라졌을까 너와 난 내 맘 같지 않던 모든 것에 헤어짐의 이율 더 깊이 새겨 내 서로 미친 듯이 싸우고 또 후회하길 반복해 댄 이미 지난 일들을 떠올리기도 해 이보다 나쁠 수는 없던 이별에 그래도 시작은 좀 예뻤던 것 같애 네가 내게 남긴 모든 상처와 흔적들도 사랑이었어 지금도 We were just 2 kids too young and dumb 어리고 멍청한 서툴렀던 맘 꽉 안아 줘 유난히 서럽던 그날의 너와 날 너와 날 잡아주길 바라면서 밀어냈었고 미안해 그 한 마딜 얘기하는 게 Uhm 2 kids too young and dumb 모든 걸 견디면 달라졌을까 We were Just too, we were just too young We were just too young and dumb We were just too young and dumb 추억마다 입을 맞춰 하나씩 We were just too young and dumb just too young and dumb 너와 난 2 kids too young and dumb 어리고 멍청한 서툴렀던 맘 꽉 안아 줘 유난히 서럽던 그 날의 너와 날 너와 날 안아주길 바라면서 밀어냈었고 사랑해 그 한 마딜 얘기하는 게 Uhm 2 kids too young and dumb 시간을 견디며 잊혀져야 할 너와 나 }}} || ==== 뮤직비디오 ==== ||
{{{#dfd7cc '''{{{+1 2 KIDS}}}[br]Music Video'''}}}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7UZRHi0kh3c)]}}}|| ===== 비하인드 ===== ||
{{{#dfd7cc '''{{{+1 2 KIDS}}}[br]MV Behind The Scenes'''}}}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Y4kx8jdb74s)]}}}|| ==== 라이브 비디오 ==== ||
{{{#dfd7cc '''{{{+1 2 KIDS}}}[br]Live Video'''}}}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DAp0R1ledt4)]}}}|| == 앨범 프로모션 == ||
{{{#dfd7cc '''날짜'''}}} || {{{#dfd7cc '''내용'''}}} || {{{#dfd7cc '''비고'''}}} || ||<|2> [[8월 24일]] || 공식 홈페이지 변경 및 타임테이블 공개 || [[http://taemin.smtown.com/|#]] || || 예악판매 시작 || || || [[8월 28일]] || 트랙리스트 포스터 공개 || || ||<|2> [[8월 29일]] || 티저 이미지 #1 공개 || || || 앨범 사양 공개 || || ||<|2> [[8월 30일]] || 티저 이미지 #2 공개 || || || '''무드 샘플러(MOOD SAMPLER) A''' 공개 || || ||<|2> [[8월 31일]] || 티저 이미지 #3 공개 || || || '''무드 샘플러(MOOD SAMPLER) B''' 공개 || || || [[9월 1일]] || 티저 이미지 #4 공개 || || || [[9월 2일]] || 티저 이미지 #5 공개 || || || [[9월 3일]] || 티저 이미지 #6 공개 || || || [[9월 4일]] || 티저 이미지 #7 공개 || || ||<|2> [[9월 5일]] || 티저 이미지 #8 공개 || || || '''Criminal''' 뮤직비디오 티저 #1 공개 || || || [[9월 6일]] || '''Criminal''' 뮤직비디오 티저 #2 공개 || || ||<|2> [[9월 7일]] || '''Never Gonna Dance Again : Act 1''' 음원 및 앨범 발매 || || || '''Never Gonna Dance Again : Act 1''' 발매 기념 [[V LIVE]] 방송 || || === 티저 이미지 === ||<-2>
{{{#dfd7cc 8월 25일 공개}}}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ngda_timetable.jpg|width=100%]]}}} || ||<-2>
{{{#dfd7cc 8월 28일 공개}}}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ngda_tracklist.jpg|width=100%]]}}} || ||<-2>
{{{#dfd7cc 8월 29일 공개}}}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0829_ngda_teaser1.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0829_ngda_teaser2.jpg|width=100%]]}}}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0829_ngda_teaser3.jpg|width=100%]]}}} || ||<-3>
{{{#dfd7cc 8월 30일 공개}}}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0830_ngda_teaser1.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0830_ngda_teaser2.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0830_ngda_teaser3.jpg|width=100%]]}}}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0830_ngda_teaser4.jpg|width=100%]]}}} || ||<-2>
{{{#dfd7cc 8월 31일 공개}}}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0831_ngda_teaser1.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0831_ngda_teaser2.jpg|width=100%]]}}}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0831_ngda_teaser3.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0831_ngda_teaser4.jpg|width=100%]]}}} || ||<-2>
{{{#dfd7cc 9월 1일 공개}}}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0901_ngda_teaser1.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0901_ngda_teaser4.jpg|width=100%]]}}}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0901_ngda_teaser2.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0901_ngda_teaser3.jpg|width=100%]]}}} || ||<-2>
{{{#dfd7cc 9월 2일 공개}}}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0902_ngda_teaser1.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0902_ngda_teaser2.jpg|width=100%]]}}}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0902_ngda_teaser3.jpg|width=100%]]}}}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0902_ngda_teaser4.jpg|width=100%]]}}} || ||<-2>
{{{#dfd7cc 9월 3일 공개}}}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0903_ngda_teaser1.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0903_ngda_teaser4.jpg|width=100%]]}}}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0903_ngda_teaser2.jpg|width=100%]]}}}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0903_ngda_teaser3.jpg|width=100%]]}}} || ||<-2>
{{{#dfd7cc 9월 4일 공개}}}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0904_ngda_teaser1.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0904_ngda_teaser3.jpg|width=100%]]}}}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0904_ngda_teaser2.jpg|width=100%]]}}} || ||<-3>
{{{#dfd7cc 9월 5일 공개}}}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0905_ngda_teaser2.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0905_ngda_teaser3.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0905_ngda_teaser4.jpg|width=100%]]}}}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0905_ngda_teaser1.jpg|width=100%]]}}} || ==== 비하인드 ==== ||
{{{#dfd7cc '''{{{+1 Criminal}}}[br]Jacket Behind l Behind the : Act'''}}}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dRStQfhqGV4)]}}}|| === 티저 영상 === ||<-2>
'''{{{+1 {{{#dfd7cc Criminal}}}}}}''' || || '''{{{#000000 Music Video Teaser 1}}}''' || '''{{{#000000 Music Video Teaser 2}}}'''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W8DEmtUV9Vw)]}}}||{{{#!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vs0WvuiV_eY)]}}}|| === 무드 샘플러 === ||<-2>
'''{{{+1 {{{#dfd7cc Mood Sampler}}}}}}''' || || '''{{{#000000 Suspect Ver.}}}''' || '''{{{#000000 Innocent Ver.}}}'''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210-eZVtgDQ)]}}}||{{{#!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qcEcqstc2z0)]}}}|| == 앨범 판매량 == ||<-3>
{{{#dfd7cc '''한터차트 기준 초동 판매량'''}}} || || '''날짜''' || '''판매 장수''' || '''누적 판매량''' || || '''9월 7일'''^^(1일 차)^^ || '''57,1**''' || '''57,1**'''[* 태민의 첫날 판매량 자체 최고 기록] || || '''9월 8일'''^^(2일 차)^^ || '''5,9**''' || '''63,1**''' || || '''9월 9일'''^^(3일 차)^^ || '''14,4**''' || '''77,5**''' || || '''9월 10일'''^^(4일 차)^^ || '''2,1**''' || '''79,7**''' || || '''9월 11일'''^^(5일 차)^^ || '''6,5**''' || '''86,2**''' || || '''9월 12일'''^^(6일 차)^^ || '''9,3**''' || '''95,6**''' || || '''9월 13일'''^^(7일 차)^^ || '''20,7**''' || '''116,4**''' || 발매 5일만에 이전 최고기록인 미니 2집 [[WANT]] 초동 판매량을 돌파했고, 마지막날 2만장 이상의 판매고를 올리며 초동판매량 11만 6천장을 기록해 '''역대 솔로가수 초동 판매량 11위'''[* 2020년 9월 13일 기준]에 올랐다. 초동 10만장 돌파는 태민으로서도 최초이며 샤이니로서도 최초의 기록이다. 가온차트 총 판매량[* 2020년 연간차트 기준]은 '''153,926장'''이다. == 활동 == === 음악방송 === ||
{{{#dfd7cc '''날짜'''}}} || {{{#dfd7cc '''방송'''}}} || {{{#dfd7cc '''곡'''}}} || {{{#dfd7cc '''링크'''}}} || ||<|2> 9월 12일 ||<|6> THE STAGE ||<|2> Criminal || [[https://tv.naver.com/v/15735568|[[파일:네이버TV 아이콘.svg|width=20]]]] [[https://www.youtube.com/watch?v=ck60xub3DWM|[[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 {{{#!folding [ 기타 영상 ] [[https://www.youtube.com/watch?v=CQMC5LKJb0E|'''{{{-2 ONE-TAKE}}}''']] [[https://www.youtube.com/watch?v=aoiHJckgMyM|'''{{{-2 Eye Contact Cam}}}''']] [[https://www.youtube.com/watch?v=rx3GyzcGjFg|'''{{{-2 Behind The Scenes}}}''']] }}} || ||<|2> 9월 13일 ||<|2> 일식 (Black Rose) || [[https://tv.naver.com/v/15745734|[[파일:네이버TV 아이콘.svg|width=20]]]] [[https://www.youtube.com/watch?v=JIuquo8i7oM|[[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 {{{#!folding [ 기타 영상 ] [[https://www.youtube.com/watch?v=pSFx-3p9fpw|'''{{{-2 ONE-TAKE}}}''']] [[https://www.youtube.com/watch?v=E8Pr-RX18Yo|'''{{{-2 Eye Contact Cam}}}''']] }}} || ||<|2> 9월 14일 ||<|2> 네모 (NEMO) || [[https://tv.naver.com/v/15757235|[[파일:네이버TV 아이콘.svg|width=20]]]] [[https://www.youtube.com/watch?v=exp5V3ey3LA|[[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 {{{#!folding [ 기타 영상 ] [[https://www.youtube.com/watch?v=ySCAVtbzVzA|'''{{{-2 ONE-TAKE}}}''']] [[https://www.youtube.com/watch?v=9H0oPXxdpxI|'''{{{-2 Eye Contact Cam}}}''']] }}} || ||<|3> 9월 18일 ||<|3> [[KBS2]] [[뮤직뱅크]] ||<|2> Criminal || [[https://tv.naver.com/v/15848676|[[파일:네이버TV 아이콘.svg|width=20]]]] [[https://www.youtube.com/watch?v=lp7ENh54FwY|[[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 {{{#!folding [ 기타 영상 ] [[https://www.youtube.com/watch?v=4Eg-XK2NHoo|'''{{{-2 8K 직캠}}}''']] }}} || || 일식 (Black Rose) || [[https://tv.naver.com/v/15848592|[[파일:네이버TV 아이콘.svg|width=20]]]] [[https://www.youtube.com/watch?v=PY__jilR8Yg|[[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4> 9월 19일 ||<|4> [[MBC]] [[쇼! 음악중심]] ||<|2> Criminal || [[https://tv.naver.com/v/15861776|[[파일:네이버TV 아이콘.svg|width=20]]]] [[https://www.youtube.com/watch?v=mTWquyAQm5Y|[[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 {{{#!folding [ 기타 영상 ] [[https://www.youtube.com/watch?v=FVRE8xuShJA|'''{{{-2 [예능연구소 4K] 직캠}}}''']] [[https://www.youtube.com/watch?v=oy43vU4dxNc|'''{{{-2 [예능연구소] 세로캠}}}''']] }}} || ||<|2> 일식 (Black Rose) || [[https://tv.naver.com/v/15861775|[[파일:네이버TV 아이콘.svg|width=20]]]] [[https://www.youtube.com/watch?v=YEAdHNpxSIA|[[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 {{{#!folding [ 기타 영상 ] [[https://www.youtube.com/watch?v=UC25RSU7r5A|'''{{{-2 [예능연구소] 직캠}}}''']] }}} || ||<|4> 9월 20일[* 막방] ||<|4> [[SBS 인기가요]] ||<|2> Criminal || [[https://tv.naver.com/v/15871001|[[파일:네이버TV 아이콘.svg|width=20]]]] [[https://www.youtube.com/watch?v=y3FbS81s-DA|[[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 {{{#!folding [ 기타 영상 ] [[https://www.youtube.com/watch?v=3VAAFlfA6pI|'''{{{-2 안방1열 직캠4K(풀캠)}}}''']] [[https://www.youtube.com/watch?v=UkuEBjMCeRM|'''{{{-2 안방1열 직캠 4K}}}''']] [[https://www.youtube.com/watch?v=mvw7AeXDhq8|'''{{{-2 페이스캠 4K}}}''']] [[https://www.youtube.com/watch?v=-Gif96worTU|'''{{{-2 사이드캠 4K}}}''']] [[https://www.youtube.com/watch?v=y1o5lR8KzJY|'''{{{-2 단독샷캠 4K}}}''']] [[https://www.youtube.com/watch?v=ruITIxx7qJw|'''{{{-2 항공캠 4K}}}''']] }}} || ||<|2> 일식 (Black Rose) || [[https://tv.naver.com/v/15871000|[[파일:네이버TV 아이콘.svg|width=20]]]] [[https://www.youtube.com/watch?v=7myKX7DGtMs|[[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 {{{#!folding [ 기타 영상 ] [[https://www.youtube.com/watch?v=_Y4mN1zdRFw|'''{{{-2 안방1열 직캠4K(풀캠)}}}''']] [[https://www.youtube.com/watch?v=cZfeMRiNFPY|'''{{{-2 안방1열 직캠 4K}}}''']] [[https://www.youtube.com/watch?v=5DkCOS06fxI|'''{{{-2 페이스캠 4K}}}''']] [[https://www.youtube.com/watch?v=T3Es9zg0uXw|'''{{{-2 사이드캠 4K}}}''']] [[https://www.youtube.com/watch?v=cgsasP8Zu9I|'''{{{-2 단독샷캠 4K}}}''']] [[https://www.youtube.com/watch?v=vN9kvUYaL94|'''{{{-2 항공캠 4K}}}''']] }}} || === 예능 및 라디오 === ||
{{{#dfd7cc '''날짜'''}}} || {{{#dfd7cc '''분류'''}}} || {{{#dfd7cc '''방송'''}}} || {{{#dfd7cc '''비고'''}}} || ||<|2> 9월 10일 ||<|3> 라디오 ||<|2> [[KBS 2FM]] 강한나의 [[볼륨을 높여요]] || [[https://www.youtube.com/watch?v=GerS_jeolr0|[[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 {{{#!folding [ 기타 영상 ] [[https://www.youtube.com/watch?v=jEWu19UC8F4|{{{-2 Criminal Radio Ver.}}}]] }}} || || 9월 16일 || NAVER NOW 심야 아이돌 || || || 9월 20일 || 방송 || [[MBC]] [[구해줘! 홈즈]] || || === 컨텐츠 === ||
{{{#dfd7cc '''날짜'''}}} || {{{#dfd7cc '''컨텐츠명'''}}} || {{{#dfd7cc '''비고'''}}} || || 9월 16일 || ‘Criminal’ Dance Tutorial with 탬또롤 || with. [[마크(NCT)|마크]], [[제노(NCT)|제노]] || ||<-3> {{{#!folding [ 영상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DEOe_AgSU84)]}}} }}} || || 9월 17일 || RAVI's CLOSE UP! || || ||<-3> {{{#!folding [ 영상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fkz5iP_RnaY)]}}} }}} || || 9월 17일 || 아빠 안 잔다 After_zzZ || || ||<-3> {{{#!folding [ 영상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IkTl1UmLrBo)]}}} [[https://twitter.com/Piki_pictures/status/1305431090270736384?s=20| '''{{{-2 태민 아들램에게서 메시지가 도착했습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TlKzZJGRekU| '''{{{-2 [벌.zip] 벌칙 모음}}}''']] }}} || || 10월 1일 || RAVI's CLOSE UP! || || ||<-3> {{{#!folding [ 영상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6CVj7FMxa_8)]}}} }}} || == 여담 == * 태민의 일본 미니 3집인 <[[FAMOUS(태민)|FAMOUS]]>의 한국어 버전이 2019년 [[MBC 가요대제전]]에서 선공개 되었는데 공개된 지 9개월 후에 발매된 이번 앨범에 스튜디오 버전으로 수록되었다. == 둘러보기 == [include(틀:빌보드 선정 2020년 최고의 K-POP)] [[분류:태민/음반]][[분류:2020년 음반]][[분류:한국의 음반]][[분류:가온앨범차트 1위/2020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