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2>
[[DJMAX 시리즈|[[파일:DJMAX 로고(블랙).svg|width=100&theme=light]][[파일:DJMAX 로고(화이트).svg|width=100&theme=dark]]]]|| ||<-2>{{{#!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0H7ojc4ohcI)]}}} || || {{{-1 '''수록 정보'''}}} ||{{{-1 [[DJMAX TECHNIKA Q]]}}} {{{-3 (2018)[* 곡 업데이트 일자 기준.]}}} || || {{{-1 '''장르'''}}} ||{{{-1 Electro Funk}}} || || {{{-1 '''BPM'''}}} ||{{{-1 106}}} || || {{{-1 '''작사/작곡'''}}} ||{{{-1 [[Studio LAY-BACK]]}}} || || {{{-1 '''보컬'''}}} ||{{{-1 Studio LAY-BACK & U[* [[DJMAX TECHNIKA 시리즈|DJMAX TECHNIKA]]의 팬들과 함께 녹음을 하였다.]}}} || || {{{-1 '''BGA'''}}} ||{{{-1 [[SB_ENGINEER]]}}} || ||<-2> {{{#!folding [ 가사 보기 ] {{{-2 팬들이 녹음에 참여한 부분은 '''볼드''' 표시.}}} [intro] You've got it babe That's my move babe [verse] TapTap 흔들리지마 Ur TECHNIKA TapTap 지금 그렇게 오늘만은 TapTap 흔들리지마 Beat that line TECHNIKA My TECHNIKA '''[[DJMAX TECHNIKA|ONE]](Want), [[DJMAX TECHNIKA 2|TWO]]([[DJMAX TECHNIKA TUNE|Tune]])[* TWO와 TUNE의 소리가 겹쳐져 있다. DMT2 기반으로 제작한 [[DMTT]]까지 포함하기 위한 의도. 실제로 BGA에서도 [[플레이스테이션 비타]]가 등장.], [[DJMAX TECHNIKA 3|THREE]](Thrill), [[DJMAX TECHNIKA Q|Q]](Cue)!''' Music on ur fingertips '''ONE, TWO, THREE, Q!''' Never Ending TECHNIKA '''ONE, TWO, THREE, Q!''' Music on ur fingertips '''ONE, TWO, THREE, Q!''' (My TECHNIKA) [chorus] 너와 나의 music 나만의 groovy music Never Ending TECHNIKA 너와 나의 music 나만의 funky music Never Ending TECHNIKA [bridge] '''Oh oh oh oh oh''' '''Oh oh oh oh oh''' [chorus] 너와 나의 music 나만의 groovy music Never Ending TECHNIKA 너와 나의 music 나만의 funky music Never Ending TECHNIKA [outro] You've got it babe That's my move babe}}} || == 개요 == [[DJMAX TECHNIKA Q]]의 신곡. [[DJMAX TECHNIKA 시리즈]]의 첫 작품인 [[DJMAX TECHNIKA]]의 10주년을 기념해서 팬들과 함께 녹음한 10주년 기념 곡이다. BGA 등 여러 요소에 테크니카 관련 내용이 많은 편이다. 곡명은 테크니카 튠의 트로피 Never Ending TUNE을 따왔으며, BGA를 모티브로 한 노트와 스킨 이름이 테크니카 3 미션 팩 중 하나였던 [[TechniColor|TECHNICOLOR]]인 것 등. BGA는 테크니카와 함께 성장하고 추억한 유저들[* [[영화 감독]]도 있는데, 아무래도 테크니카 다큐멘터리 영화를 제작한 니콜라스 돕킨(Nicholas Dobkin)으로 보여진다.]을 보여주며, 곳곳에 당시 타이틀 및 당시를 대표하는 곡의 BGA나 요소[* 처음 시작은 아케이드 기체의 화면 옆부분 가로선, 테스트 당시 '클리어 불가 스카이'라 불리기도 한 [[The Clear Blue Sky]], 시리즈 첫 작품 부제에서 따온 신곡 [[Beyond the Future]], 테크니카2 당시 보스곡이던 [[D2(DJMAX)]], 인기곡 중 하나인 [[First Kiss]], 각 작품의 한정판 카드중 함정으로 구분된 카드인 [[SON OF SUN]], [[Thor]](카드에 맞춰 아케이드 BGA로 나온다.), [[Xeus]] 등. 이외에도 [[Dear my Lady]]의 우주선과 [[Dual Strikers]]로 보이는 전투기에 (당시 추가 모집 1명을 포함한 11명의) 응모 당선 사연으로 보이는 것이 매달려 나온다.]들이 포함되어 있다. 그러나 이 노래가 발표된지 얼마 지나지 않아 [[DJMAX TECHNIKA Q]]가 갑작스럽게 '''[[서비스 종료]]'''를 하는 희대의 사태가 일어나면서 '''장송곡''' --네 번 엔딩 TECHNIKA--이라는 별명을 얻게 되었다. 이후 2022년 7월 28일에 [[DJMAX RESPECT V]]에 테크니카 TUNE & Q DLC가 발매되면서 뮤직팩의 대미를 장식하게 되었다. DMTQ에 올라간 버전은 원곡에서 일부 커팅된 버전으로, [[https://soundcloud.com/neowiz_ic_sound/studio-lay-back-never-ending-technika|3분 15초짜리 원곡이 존재한다.]] == [[DJMAX TECHNIKA Q]] == ||<-4> [[DJMAX TECHNIKA Q|{{{#7df12a '''DJMAX TECHNIKA Q'''}}}]] || || {{{#7df12a '''라인/난이도'''}}} || '''NM''' || '''{{{#white HD}}}''' || '''{{{#white EX}}}''' || || {{{#7df12a '''2 LINE'''}}} || 3 || 4 || 6 || || {{{#7df12a '''3 LINE'''}}} || 3 || 4 || 6 || || {{{#7df12a '''4 LINE'''}}} || 3 || 4 || 6 || 13번째 무료곡으로 업데이트되었다. [youtube(S3QK5FckWpQ)] 4Line EXPERT [youtube(iCo6ZGfS_Xg)] 3Line EXPERT == [[DJMAX RESPECT]] & [[DJMAX RESPECT V|V]] == [include(틀:DJMAX RESPECT/TECHNIKA TUNE Q)]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Never Ending TECHNIKA_1.png|width=100%]]}}} ||<-4>{{{#!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32deg, #FFFFFF 0%, #acacac 69%, transparent 50%), linear-gradient(56deg, #808080 75%, transparent 50%), linear-gradient(to top, #0ad900 100%, transparent 50%)" '''{{{#000 TECHNIKA T&Q}}}'''}}} || ||<-4>'''{{{+5 Never Ending}}} {{{+4 TECHNIKA}}}''' || || 모드 || NM || HD || MX || '''SC''' || || 4B || [[파일:djmax_respect_star_yellow.svg|width=16]] 3 [br] {{{-5 347}}} ||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width=16]] 7 [br] {{{-5 579}}} ||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width=16]] 10 [br] {{{-5 799}}} || [[파일:djmax_respect_star_sc10.svg|width=16]] {{{#purple,#f21cc7 '''6'''}}} [br] {{{-5 922}}} || || 5B || [[파일:djmax_respect_star_yellow.svg|width=16]] 2 [br] {{{-5 216}}} || [[파일:djmax_respect_star_yellow.svg|width=16]] 5 [br] {{{-5 425}}} ||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width=16]] 8 [br] {{{-5 649}}} || [[파일:djmax_respect_star_sc5.svg|width=16]] {{{#purple,#f21cc7 '''4'''}}} [br] {{{-5 846}}} || || 6B || [[파일:djmax_respect_star_yellow.svg|width=16]] 3 [br] {{{-5 306}}} ||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width=16]] 6 [br] {{{-5 473}}} ||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width=16]] 9 [br] {{{-5 790}}} || [[파일:djmax_respect_star_sc10.svg|width=16]] {{{#purple,#f21cc7 '''8'''}}} [br] {{{-5 1231}}} || || 8B || [[파일:djmax_respect_star_yellow.svg|width=16]] 5 [br] {{{-5 408}}} ||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width=16]] 8 [br] {{{-5 657}}} || [[파일:djmax_respect_star_red.svg|width=16]] 11 [br] {{{-5 893}}} || [[파일:djmax_respect_star_sc10.svg|width=16]] {{{#purple,#f21cc7 '''7'''}}} [br] {{{-5 983}}} || ||<-5> {{{#fff 특수 패턴}}} || || TB SP ||<-4><|2> [[DJMAX RESPECT V/미션/DLC#s-11.2.6|Dark Abyss SET]] || || TB EX || ||<-5>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2px 5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464b48, #606462, #999999)" {{{-3 {{{#cfcfcf *SC 난이도는 별도 난이도 체계를 사용.}}}}}}}}} || === 4B TUNES === || {{{#white NM}}} || {{{#white HD}}}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JfcvmnyAV-I)]}}}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MAkXSzr35iM)]}}} || || {{{#white MX}}} || {{{#white '''SC'''}}}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JpiQWKscsUE)]}}}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aIKHfGVUZnA)]}}} || 4B SC는 난이도가 높게 책정되었다는 의견이 있다. 실제로 플레이해 보면 타 6렙곡에 비해 스코어링이나 퍼펙트 플레이가 훨씬 수월하다. === 5B TUNES === || {{{#white NM}}} || {{{#white HD}}}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pHTvoiKy7WI)]}}}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MTCVdN0bsNU)]}}} || || {{{#white MX}}} || {{{#white '''SC'''}}}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WsovYKH6oRo)]}}}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B4CA0kCs-NM)]}}} || 5B SC의 경우 저렙 사이에서도 불렙이 넘쳐나는 이번 DLC에서 꽤나 얌전한 포지션을 맡고 있는 패턴으로, 특색을 강조했다기보단 그냥저냥 무난하다. 곡 자체의 평균 SC 난이도가 6~8을 웃돌고 있는 것에 비해 홀로 4의 난이도로 짜여진 것으로 보아 SC 입문곡 포지션으로 남겨둔 듯 하다. === 6B TUNES === || {{{#white NM}}} || {{{#white HD}}}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qKVT9ks8-vk)]}}}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q1jJYeZLhuQ)]}}} || || {{{#white MX}}} || {{{#white '''SC'''}}}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MGnm3z2eAg4)]}}}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zzvBJMeNSN8)]}}} || 6B SC의 경우 노트의 박자가 정박으로 맞춰진 다른 SC 패턴들과는 달리, 사이사이에 끼는 하이햇 사운드를 키음으로 적극 활용해 대부분의 박자가 '''엇박'''으로 맞춰져 있어 전체적으로 박자를 맞추기가 상당히 힘들다. [[즈레]] 수준까지는 아니더라도 등장하는 거의 모든 노트들이 따-닥 하는 박자로 등장하고, 곳곳에 즈레 노트도 섞여있다. 이때문에 클리어 난이도에 비해 스코어링 하나만큼은 8레벨 급이라고 보기에 상당히 힘들다. 최후반 롱노트 테크닉을 요구하는 생소한 롱잡 패턴도 주의하자. === 8B TUNES === || {{{#white NM}}} || {{{#white HD}}}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35RcfqyvFpU)]}}}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dMM2_2Hx2lw)]}}} || || {{{#white MX}}} || {{{#white '''SC'''}}}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ABr0m1PdAwM)]}}}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uhRWItoh8FM)]}}} || 8B SC의 경우 중반 드랍 구간에 사이드-트리거 혼합 패턴이 등장하긴 하는데 그렇게 헷갈릴만한 유형의 패턴은 아니다. 밀도가 높은 편도 아니라 [[Syriana]] SC와 7레벨 바닥을 담당하고 있다. [[분류:DJMAX의 수록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