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의료]][[분류:보험]][[분류:영국의 공기업]] [include(틀:영국 관련 문서)] National Health Service (국민 보건 서비스) [목차] == 개요 == [[영국]]의 국영 의료 서비스를 말한다. 국가가 국민의 의료 서비스를 책임지므로 '[[의료보험]]'이라고 흔히 말하지만 영국의 NHS는 의료보험이 아니라 국영 의료 서비스 체계이다. 합법 체류 외국인 포함 모든 사람에게 무상 의료를 제공하며([[치과]] 제외) 그 비용은 세금으로 충당하는 방식으로 운영된다. [[호주]], [[홍콩]], [[싱가포르]], [[캐나다]] 등 [[영연방]] 내지는 구 영국령의 의료 제도가 영국의 영향을 받아 NHS와 비슷하게 설계되었다. == 역사 == [[제1차 세계 대전]]은 사상 유례가 없던 규모의 부상병을 만들어냈다. 세금을 써서라도 이 참전용사들을 치료해야 한다는 여론이 형성되었으나, [[대공황]]으로 이는 여의치 않게 되었다. 이윽고 [[제2차 세계 대전]] 및 [[영국 본토 항공전]]으로 참화는 민간에까지 밀어닥쳤고 부상자, 불구자가 속출했다. 1942년 영국 베버리지(Beveridge) 위원회에서 [[베버리지 보고서|사회보험에 의한 전 국민의 최저 생활을 보장하여야 한다는 보고서]]를 공표하였다. 하지만 보고서 쓰는 거와는 달리 진짜로 정책을 만드는 건 어렵고 시간이 걸리는 일이었다. 당시 보건부장관이었던 어나이린 베번(Aneurin Bevan)의 말로는 "전국을 돌며 의사들에게 금덩이를 물렸다"고 표현할 정도였다. 오랜 토론과 교섭 끝에 1946년에 와서야 법이 만들어졌으며, 이게 바로 NHS의 시작이었다. '[[영국병]]'을 지적하며 복지 정책 축소에 앞장섰던 [[마거릿 대처]]조차도 의료보험만은 건드리지 않았다. [[마이클 무어]] 감독의 영화 [[식코]]에서는 전직 영국 노동당 총수의 말을 빌어 '대처나 [[토니 블레어|블레어]]가 이걸(의료보험) 건드렸다면 혁명이 일어났을 것'이라는 대목이 나온다. [[보리스 존슨]] 내각에서 NHS에 대한 예산을 감축하려는 시도가 있었지만, 총리 자신이 [[코로나19]]로 입원 치료를 받은 이후로는 다시 예산을 증액했다. == 특징 == [[미국]]의 The Commonwealth Fund라는 단체에서 2014년에 발행한 레포트에 따르면 미국을 포함한 그 외 유럽, 오세아니아 주요 11개 선진국 중 영국의 헬스케어 시스템을 다방면에서 골고루 성공한 사례로 꼽았으며, 내용을 보면 영국의 의료 체계는 대부분의 항목에서 1위를 달성했다.[* 아니나다를까 [[미국]]은 여기서도 꼴찌를 했으며 '건강의 질적 수준' 또한 현저하게 낮았다.] NHS에 대한 영국인들의 애정도 상당하다. [[2012년 런던 올림픽]] 개막식에 NHS를 다룬 퍼포먼스가 펼쳐졌을 정도다. CNN 리포트에 따르면, '영국인의 정체성'을 구성하는 요소 중 하나라고 한다. [[https://edition.cnn.com/2020/04/18/uk/nhs-love-affair-uk-intl-gbr/index.html|#]] 영국인들은 NHS에 대한 자긍심이 매우 높고 이에 대한 지지율도 매우 높다. 오죽하면 신자유주의의 광전사였던 [[마거릿 대처]] 시절 제1재무경을 지낸 나이젤 로슨(Nigel Lawson)이 “The NHS is the closest thing the English have to a religion“(NHS는 영국인들에게 종교와도 같다)라고 말했을 정도이다. 국민들의 기본 마인드부터가 사람을 살려야 하는 의료 기술을 치료비 문제로 이용할 수 없거나, 차별 적용되거나 박탈당해서는 안 된다는 것이 기본 이념으로 깔려 있다. 의사들도 자신들이 배운 의술을 공적으로 사용하는 것에 자부심을 가지고 있다. 그래서 영국인들은 다른 나라, 특히 비유럽권 국가들의 유상 의료제도를 이상하게 또는 비도덕적으로 보기도 한다. NHS는 분배나 [[사회보장제도]] 이야기를 할 때 절대 빼놓을 수 없는 예시로 엄청나게 포괄적인 범위와 보장을 자랑한다.[* 대기가 엄청나게 길긴 하지만, [[성별 불쾌감]] 환자들을 위한 [[트랜스젠더 호르몬 치료]]와 '''[[성전환 수술]]까지''' 커버한다[[https://www.nhs.uk/conditions/gender-dysphoria/treatment/|#]]. 그에 수반되는 미용 목적의 성형수술은 사립병원에서만 실시하긴 하지만.] 누구나 치료비 걱정 없이, 줄을 서서 기다릴 수 있다는 장점이 있고, 적어도 돈 때문에 치료를 포기하고 인권 사각지대에 처한 사람은 찾아보기 힘들다. 또한 국가에서 관리하는 제도이니만큼 정부나 지자체에서 직접 운영하는 NHS병원이 전국에 골고루 분포되어 있다. 한국으로 치면 대부분의 병원들이 [[의료원]]에 해당하는 것과 같다. 공공보험은 어디까지나 기초적인 의료보장만 제공한다. 공공보험 가입자는 지정된 [[병원]], 또는 [[주치의]]로 등록된 의사에게만 진료가 가능하며 불필요한 경우는 진료 자체를 할 수 없다. 이 '불필요한 경우'라는 게 한국과는 개념이 달라서, 한국에서 병원 가는 사람들 중 대부분은 영국에선 진료조차 보지 못하고 [[약국]] 선에서 해결해야 한다. 그래서 영국제 [[감기약]]이 잘 듣기로 유명하다. 흔히 영국식 국영 의료서비스에 대해 비판할 때 암환자를 죽도록 내버려둔다는 식의 예시를 드는데, 암처럼 죽을 병에 대해서는 '정상적으로' 진료해주므로 틀린 비유이다. 생명에 관계된 분야이고 살릴 수 있으면 정상 진료이지만 그렇지 않은 분야에서는 치료 효율을 더 중요시하기 때문에, 한국 기준으로는 이상해보이는 상황이 나온다. 이를테면 갑상선이나 전립선암처럼 '천천히' 죽는 병이면 천천히 진료해주며 전이암처럼 [[트리아지|생존 가능성이 10% 정도로 떨어지면 치료를 잘 안 해주려고 한다.]] 사회복지의 천국에 사는 사람들이 왜 비싼 돈 내고 민간보험을 들려고 애쓰냐면 한국 정도의 의료서비스를 받기 위해서다. 영국 의료 서비스의 질의 예를 들어 보자면 [[임산부]]의 경우 출산 때까지 초음파를 2번 시행해주며, [[산부인과]] 전문의는 출산 1개월 전에 처음 만나게 된다. 고령임산부 등의 위험군이나 [[임신중독증]]같은 중대상황이 발생했을 경우는 당연히 예외이다. 또한 영국에서도 의료 시설의 수준이 지역마다 차이가 꽤 큰지라 postcode lottery(복불복)이란 표현까지 있는 게 현실이다.([[http://news.heraldcorp.com/view.php?ud=20140816000103&md=20140819004454_BL|기사]]) 특히 2016년 겨울부터 일명 NHS crisis라고 불리는 상황이 벌어지며 시스템의 문제가 가시화되었다. [[구급차]]로 실려 오면 1순위로 치료받아야 정상이지만, 어쩌다 정부 지원이 펑크나면 [[구급차]]를 타고 온 환자들이 10시간씩 병원에서 대기를 하고 수술이 취소되는 사태도 벌어진다.[* [[https://www.guinnessworldrecords.com/world-records/longest-hospital-trolley-duration|무려 77시간 30분]]동안 대기하여 기네스북에 등재될 정도. 단 이례적인 케이스로, 평균적으로 응급실 대기시간이 제일 긴 나라는 [[https://www.fraserinstitute.org/categories/health-care-wait-times|27시간]] 정도의 [[캐나다]]다.] 같은 접근성일 때 투자되는 비용이 적기 때문에 의료의 질이 낮은 것이다. 그 외에도 의사가 [[공무원]]이라 근무의욕이 낮다는 문제도 지적된다.[* 군필자 남성들은 [[군병원]]이나 [[의무대]]의 [[군의관]]들의 근무 의욕과 진료 방식을 생각하면 이해가 빠를 것이다. 사실 모든 의료보험 제도들에 문제점이 존재하는데, 대표적으로 영국식의 경우 의료진의 근무 의욕 및 진료 지연으로 인한 의료 서비스의 저품질, 한국 [[국민건강보험]]식 전 병원 국영보험 강제가입의 경우 재원 문제로 인한 수가 후려치기, 미국식 완전 민영보험의 경우 높은 의료비 및 보험 서비스 파편화가 문제이다.] [[치과]] 분야는 아예 사각지대로 소아의 경우에는 공공건강보험에서 커버해주지만 성인은 자비부담이라 치과진료비로 파산하는 사례도 있다.[* 한국도 대부분의 치과진료에는 의료보험이 적용이 안된다. 치과의사 공급과잉으로 가격이 저렴할 뿐.] 이런 현실로 인하여 영국인들이 치과 진료를 기피하는 건 당연지사고, 이 때문에 전 세계적으로 영국인들은 치아가 영 좋지 않다는 편견에 일조했다. 사립병원에서는 공공보험이 거의 적용되지 않으며 오히려 한국의 사립병원들보다 비싸다. 한국으로 치면 광주 사람은 서울대병원이나 아산은 못 가고 전남대병원도 너무 비싸서 가까운 보건소와 광주의료원만 가야 하는 격이다.[* 예시는 이렇지만 영국의 대학 중 98%가 국/공립이며, 자연히 그 산하의 대학병원은 거의 전부 NHS 시스템에 들어있어 사실상 대학병원까지 무료라고 봐도 무방하다. 즉 민간 병원의 보험 적용이 안되는 대신 해당 재원을 국공립 병원에 투자해 의료원과 보건소가 한국보다 훨씬 널리 깔려있고 국립대 병원도 무료로 운영하는 셈.] [include(틀:문서 가져옴, this=문서, title=의료보험/국가별 현황, version=8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