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콜드웰 천체 목록)] ||<-5><:> [[콜드웰 목록|{{{#FFFFFF '''콜드웰 천체'''}}}]] || ||<:> [[NGC 4449|{{{+1 '''C 21'''}}}]][br] 사냥개자리의 불규칙은하 ||<:> {{{+1 ←}}} ||<:> {{{#000000 {{{+1 ''' C 22'''}}}[br]안드로메다자리의 행성상성운 }}} ||<:> {{{+1 →}}} ||<:> [[NGC 891|{{{+1 '''C 23'''}}}]][br]안드로메다자리의 나선은하 || ||<-5><:> [[NGC|{{{#FFFFFF '''NGC 천체'''}}}]] || ||<:> [[NGC 7661|{{{+1 '''NGC 7661'''}}}]][br] 큰부리새자리의 나선은하 ||<:> {{{+1 ←}}} ||<:> {{{#000000 {{{+1 ''' NGC 7662'''}}}[br]안드로메다자리의 행성상성운 }}} ||<:> {{{+1 →}}} ||<:> [[NGC 7663|{{{+1 '''NGC 7663'''}}}]][br]물병자리의 불규칙 은하 || ||||<-3><:> {{{#FFFFFF {{{+3 '''NGC 7662'''}}}}}} || ||<-3> [[파일:NGC 7662.jpg|width=100%]] || ||<-3> {{{#FFFFFF '''관측 정보'''}}} || ||<|3> {{{#FFFFFF '''위치'''}}} || {{{#FFFFFF 적경}}} || 23h 25m 54s || || {{{#FFFFFF 적위}}} || +42° 32′ 6″ || || {{{#FFFFFF 별자리}}} || [[안드로메다자리|{{{#3366aa 안드로메다자리}}}]] || ||<-3> {{{#FFFFFF '''물리적 성질'''}}} || ||<-2><:> {{{#FFFFFF '''형태'''}}} || [[행성상성운|{{{#3366aa 행성상성운}}}]] || ||<-2> {{{#FFFFFF '''거리'''}}} || 약 2,500 [[광년|{{{#3366aa 광년}}}]][br] 약 767[[파섹|{{{#3366aa 파섹}}}]] || ||<-3> {{{#FFFFFF '''광학적 성질'''}}} || ||<-2> [[겉보기 등급|{{{#FFFFFF '''겉보기 등급'''}}}]] || 8.6 || ||<-3> {{{#FFFFFF '''규모'''}}} || ||<-2> {{{#FFFFFF '''크기'''}}} || 37″ || ||<-2> {{{#FFFFFF '''지름'''}}} || 약 0.8 광년 || ||<-3> {{{#FFFFFF '''명칭'''}}} || ||<-3> 눈덩이 성운, 푸른 눈덩이 성운 [[NGC|{{{#3366aa NGC}}}]] 7662, [[콜드웰 목록|{{{#3366aa C}}}]] 22, PK 106-17 1, GCRV 14695, PN ARO 20 || [목차] == 개요 == {{{+1 NGC 7662/푸른 눈덩이 성운}}} NGC 7662 또는 푸른 눈덩이 성운은 [[안드로메다자리]] 방향으로 약 2,500 광년 떨어진 [[행성상성운]]이다. == 상세 == 중심에 있는 별은 [[준왜성#뜨거운 준왜성|O형 준왜성]]으로 백색왜성 2개가 충돌해서 만들어졌다고 추정된다. 맨눈으로는 관측이 불가능하며 적어도 쌍안경이나 파인더는 있어야 볼 수 있고 8인치 이상의 망원경으로는 어두운 중심부분까지 볼 수 있다. ||
{{{#!wiki style="margin: -26px -10px -5px" [[파일:NGC7662_Finder_Chart.png|width=140%]]}}} || || 카시오페이아 델타와 카시오페이아 알파를 이은 선의 3배만큼 이동하면 안드로메다자리 람다성이 있다. 람다성에서 동북동쪽으로 조금만 이동하면 안드로메다 13별이 있고 거기서 조금만 더 동북동쪽으로 이동하면 성운을 찾을 수 있다. || == 관련 문서 == * [[행성상성운]] * [[안드로메다자리]] * [[준왜성]] [[분류:나무위키 천문학 프로젝트]][[분류:성운]][[분류:콜드웰 목록]][[분류:NG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