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 [[NGC|{{{#FFFFFF '''NGC/IC 천체'''}}}]] || ||<:> [[NGC 7009|{{{+1 '''NGC 7009'''}}}]][br]물병자리의 행성상성운 ||<:> {{{+1 ←}}} ||<:> {{{#000000 {{{+1 ''' NGC 7010'''}}}[br]물병자리의 타원은하 }}} ||<:> {{{+1 →}}} ||<:> [[NGC 7011|{{{+1 '''NGC 7011'''}}}]][br]백조자리의 산개성단 || ||<:> [[IC 5081|{{{+1 '''IC 5081'''}}}]][br]돌고래자리의 나선은하 ||<:> {{{+1 ←}}} ||<:> {{{#000000 {{{+1 ''' IC 5082'''}}}[br]물병자리의 타원은하 }}} ||<:> {{{+1 →}}} ||<:> [[NGC 7011|{{{+1 '''NGC 7011'''}}}]][br]조랑말자리의 렌즈형은하 || ||||<-3><:> {{{#FFFFFF {{{+3 '''NGC 7010'''}}}}}} || ||<-3> [[파일: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f/fe/SDSS_NGC_7010.jpg|width=100%]] || ||<-3> {{{#FFFFFF '''관측 정보'''}}} || ||<|3> {{{#FFFFFF '''위치'''}}} || {{{#FFFFFF 적경}}} || 21h 04m 39.5s || || {{{#FFFFFF 적위}}} || -12° 20' 18" || || {{{#FFFFFF 별자리}}} || [[물병자리]] || ||<-3> {{{#FFFFFF '''물리적 성질'''}}} || ||<-2><:> {{{#FFFFFF '''형태'''}}} || E5형 [[타원은하]] || ||<-2> {{{#FFFFFF '''거리'''}}} || 3억 6,500만 [[광년]][br] 1억 1,120만 [[파섹]] || ||<-3> {{{#FFFFFF '''광학적 성질'''}}} || ||<-2> [[겉보기 등급|{{{#FFFFFF '''겉보기 등급'''}}}]] || +14.5 || ||<-3> {{{#FFFFFF '''규모'''}}} || ||<-2> {{{#FFFFFF '''지름'''}}} || 약 215,000 [[광년|]] || ||<-2> {{{#FFFFFF '''겉보기 크기'''}}} || 1.9" × 1.0" || ||<-3> {{{#FFFFFF '''명칭'''}}} || ||<-3> [[NGC]] 7010, [[IC]] 5082, MCG -2-53-24 , PGC 66039 || [목차] == 개요 == {{{+1 NGC 7010}}} NGC 7010은 [[물병자리]]에 위치한 타원 은하이다. == 상세 == 1823년 8월 6일 John Herschel(존 허셜)과 1886년 8월 27일 Guillaume Bigourdan에 의해 발견되었으며 은하에 넓은 항성들로 이루어진 껍질이 있으며 이는 다른 은하와의 강착으로 인해 발생되었다고 한다. == 관련 문서 == * [[물병자리]] * [[NGC]] * [[나무위키 천문학 프로젝트]] [[분류:은하]][[분류:NGC]][[분류:나무위키 천문학 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