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콜드웰 천체 목록)] ||<-5><:> [[콜드웰 목록|{{{#FFFFFF '''콜드웰 천체'''}}}]] || ||<:> [[히아데스 성단|{{{+1 '''C 41'''}}}]][br] 황소자리의 산개성단 ||<:> {{{+1 ←}}} ||<:> {{{#000000 {{{+1 ''' C 42'''}}}[br]돌고래자리의 구상성단 }}} ||<:> {{{+1 →}}} ||<:> [[NGC 7814|{{{+1 '''C 43'''}}}]][br]페가수스자리의 정상나선은하 || ||<-5><:> [[NGC|{{{#FFFFFF '''NGC 천체'''}}}]] || ||<:> [[NGC 7005|{{{+1 '''NGC 7005'''}}}]][br]물병자리의 성군 ||<:> {{{+1 ←}}} ||<:> {{{#000000 {{{+1 ''' NGC 7006'''}}}[br]돌고래자리의 구상성단 }}} ||<:> {{{+1 →}}} ||<:> [[NGC 7007|{{{+1 '''NGC 7007'''}}}]][br]인디언자리의 렌즈형 은하 || ||||<-3><:> {{{#FFFFFF {{{+3 '''NGC 7006'''}}}}}} || ||<-3> [[파일:NGC 7006.jpg|width=100%]] || ||<-3> {{{#FFFFFF {{{-3 [[허블 우주 망원경]]으로 촬영한 NGC 7006 }}}}}} || ||<-3> {{{#FFFFFF '''관측 정보'''}}} || ||<|3> {{{#FFFFFF '''위치'''}}} || {{{#FFFFFF 적경}}} || 21h 1m 29.4s || || {{{#FFFFFF 적위}}} || +16° 11′ 14.4″ || || {{{#FFFFFF 별자리}}} || [[돌고래자리|{{{#3366aa 돌고래자리}}}]] || ||<-3> {{{#FFFFFF '''물리적 성질'''}}} || ||<-2><:> {{{#FFFFFF '''형태'''}}} || [[구상성단|{{{#3366aa 구상성단}}}]] || ||<-2> {{{#FFFFFF '''거리'''}}} || 13만 7천 [[광년|{{{#3366aa 광년}}}]][br] 약 4만 2천 [[파섹|{{{#3366aa 파섹}}}]] || ||<-3> {{{#FFFFFF '''광학적 성질'''}}} || ||<-2> [[겉보기 등급|{{{#FFFFFF '''겉보기 등급'''}}}]] || 10.06 || ||<-3> {{{#FFFFFF '''규모'''}}} || ||<-2> {{{#FFFFFF '''지름'''}}} || 약 110 [[광년|{{{#3366aa 광년}}}]] || ||<-2> {{{#FFFFFF '''겉보기 크기'''}}} || 2.8′ || ||<-3> {{{#FFFFFF '''명칭'''}}} || ||<-3> [[NGC|{{{#3366aa NGC }}}]] 7006, [[콜드웰 목록|{{{#3366aa C }}}]] 42 || [목차] == 개요 == {{{+1 NGC 7006}}} NGC 7006은 [[돌고래자리]] 방향으로 약 14만 광년 떨어져 있는 [[섀플리-소여 집중도 분류|I형]] 구상성단이다. == 상세 == [[우리 은하]]의 [[헤일로]]에 있는 구상성단으로 윌리엄 허셜이 1784년에 발견했다. 헤일로에 성단이 위치한 만큼 우리은하가 형성될 때 생겨났다고 추정되고 있고 때로는 매우 편심된 궤도로 인해 [[오메가 센타우리]]처럼 [[왜소은하]]의 잔해로 추정되기도 한다. 쌍안경과 스코프로는 보이지 않는다. 적어도 8인치에서 10인치 이상의 망원경으로 관측해야지 희미한 원형 물체로 보인다. [[백조자리]] 부근에 위치해 있기 때문에 성간먼지로 인해서 가시광선에서는 희미한 먼지 덩어리로 보일 뿐 자세하게 별을 구별할 수 없다.[* 그 [[허블망원경]]으로 관측해도 먼지덩어리로 보인다. 위의 사진은 근적외선으로 촬영한 사진과 가시광선으로 촬영한 사진을 합성한 사진이다.] 그때문에 쌍안경과 스코프로는 보이지 않고 적어도 8인치에서 10인치 이상의 망원경으로 관측해야지 희미한 원형 물체로 보인다. [[에드거 라이스 버로스]]가 1941년 출판한 [[SF 소설]]인 Beyond of the Fartest Star에 등장하는 폴로다인들이 지구의 위치를 추정하기 위해 이 성단을 이용한다. == 관련 문서 == * [[오메가 센타우리]] * [[돌고래자리]] * [[구상성단]] * [[헤일로]] * [[콜드웰 목록]] [[분류:나무위키 천문학 프로젝트]][[분류:성단]][[분류:콜드웰 목록]][[분류:NG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