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 [[NGC|{{{#FFFFFF '''NGC 천체'''}}}]] || ||<:> [[NGC 658|{{{+1 '''NGC 658'''}}}]][br]물고기자리의 정상나선은하 ||<:> {{{+1 ←}}} ||<:> {{{#000000 {{{+1 ''' NGC 659'''}}}[br]카시오페이아자리의 산개성단 }}} ||<:> {{{+1 →}}} ||<:> [[NGC 660|{{{+1 '''NGC 660'''}}}]][br]물고기자리의 정상나선은하, 극고리 은하 || ||||<-3><:> {{{#FFFFFF {{{+3 '''NGC 659'''}}}}}} || ||<-3> [[파일:NGC 659 d.jpg|width=100%]] || ||<-3> {{{#FFFFFF '''관측 정보'''}}} || ||<|3> {{{#FFFFFF '''위치'''}}} || {{{#FFFFFF 적경}}} || 01h 44m 4s || || {{{#FFFFFF 적위}}} || +60° 40′ 0″ || || {{{#FFFFFF 별자리}}} || [[카시오페이아자리]] || ||<-3> {{{#FFFFFF '''물리적 성질'''}}} || ||<-2><:> {{{#FFFFFF '''형태'''}}} || I2m형[* [[산개성단/분류|로버트 트럼플러의 산개성단 분류법]]을 따름] [[산개성단|{{{#3366aa 산개성단}}}]] || ||<-2> {{{#FFFFFF '''거리'''}}} || 8,200 [[광년|{{{#3366aa 광년}}}]][br] 2,500 [[파섹|{{{#3366aa 파섹}}}]] || ||<-3> {{{#FFFFFF '''광학적 성질'''}}} || ||<-2> [[겉보기 등급|{{{#FFFFFF '''겉보기 등급'''}}}]] || +7.9 || ||<-3> {{{#FFFFFF '''규모'''}}} || ||<-2> {{{#FFFFFF '''크기'''}}} || 6' || ||<-2> {{{#FFFFFF '''지름'''}}} || 약 15 광년 || ||<-3> {{{#FFFFFF '''명칭'''}}} || ||<-3> [[NGC|{{{#3366aa NGC}}}]] 659, [[콜린더 목록|Cr]][* 콜린더 목록] 19, [[Mel]] 10 || [목차] == 개요 == {{{+1 NGC 659}}} NGC 659는 [[카시오페이아자리]]에 위치한 작은 [[산개성단]]으로, 지구로부터 약 8,200광년 정도 떨어진 성단이다. 1783년 [[캐롤라인 허셜]]에 의해 발견되었으며, [[NGC 663]]으로부터 남서쪽으로 40분 정도만 가면 이 성단을 볼 수 있다. 이 성단은 맨눈으로는 보이지 않으며, 망원경으로 보면 NGC 663 남쪽으로 비교적 어두운 성단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 다른 천체 목록 == ||<-5><:> [[콜린더 목록|{{{#FFFFFF '''콜린더 천체'''}}}]] || ||<:> [[Cr 18|{{{+1 '''Cr 18'''}}}]][br]카시오페이아자리의 산개성단||<:> {{{+1 ←}}} ||<:> {{{#000000 {{{+1 ''' Cr 19'''}}}[br]카시오페이아자리의 산개성단 }}} ||<:> {{{+1 →}}} ||<:> [[Cr 20|{{{+1 '''Cr 20'''}}}]][br]카시오페이아자리의 산개성단 || ||<-5><:> [[콜린더 목록|{{{#FFFFFF '''멜로테 천체'''}}}]] || ||<:> [[Mel 9|{{{+1 '''Mel 9'''}}}]][br]카시오페이아자리의 산개성단||<:> {{{+1 ←}}} ||<:> {{{#000000 {{{+1 ''' Mel 10'''}}}[br]카시오페이아자리의 산개성단 }}} ||<:> {{{+1 →}}} ||<:> [[Mel 11|{{{+1 '''Mel 11'''}}}]][br]카시오페이아자리의 산개성단 || == 관련 문서 == *[[카시오페이아자리]] *[[NGC 663]] *[[NGC]] *[[나무위키 천문학 프로젝트]] [[분류:성단]][[분류:NGC]][[분류:나무위키 천문학 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