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은하]][[분류:NGC]][[분류:나무위키 천문학 프로젝트]][[분류:콜드웰 목록]][[분류:UGCA 목록]][[분류:PGC 목록]] [include(틀:다른 뜻1, from=방추 은하, other1=방추 은하로 불리는 다른 천체, rd1=NGC 5866)] [include(틀:콜드웰 천체 목록)] ||<-5><:> [[콜드웰 목록|{{{#FFFFFF '''콜드웰 천체'''}}}]] || ||<:> [[콜드웰 52|{{{+1 '''C 52'''}}}]][br]처녀자리의 타원은하 ||<:> {{{+1 ←}}} ||<:> {{{#000000 {{{+1 ''' C 53'''}}}[br]육분의자리의 렌즈형은하 }}} ||<:> {{{+1 →}}} ||<:> [[콜드웰 54|{{{+1 '''C 54'''}}}]][br]외뿔소자리의 산개성단|| ||<-5><:> [[NGC|{{{#FFFFFF '''NGC 천체'''}}}]] || ||<:> [[NGC 3114|{{{+1 '''NGC 3114'''}}}]][br]용골자리의 산개성단 ||<:> {{{+1 ←}}} ||<:> {{{#000000 {{{+1 ''' NGC 3115'''}}}[br]육분의자리의 렌즈형은하}}} ||<:> {{{+1 →}}} ||<:> [[NGC 3116|{{{+1 '''NGC 3116'''}}}]][br]작은사자자리의 렌즈형은하 || ||||<-3><:> {{{#FFFFFF '''NGC 3115'''[br]{{{+3 '''방추 은하'''}}}[br]Spindle Galaxy}}} || ||<-3> [[파일:C53.jpg|width=100%]] || ||<-3> {{{#FFFFFF '''관측 정보'''}}} || ||<|3> {{{#FFFFFF '''위치'''}}} || {{{#FFFFFF 적경}}} || 10h 05m 14.0s || || {{{#FFFFFF 적위}}} || −7° 43′ 07″ || ||<:>{{{#FFFFFF 별자리}}} || [[육분의자리|{{{#3366aa 육분의자리}}}]] || ||<-2> [[겉보기 등급|{{{#FFFFFF '''겉보기 등급'''}}}]] || 9.9 || ||<-3> {{{#FFFFFF '''물리적 성질'''}}} || ||<-2><:> {{{#FFFFFF '''형태'''}}} || S0-형 [[렌즈형은하|{{{#3366aa 렌즈형은하}}}]] || ||<-2><:> {{{#FFFFFF '''거리'''}}} || 약 3,160만 [[광년|{{{#3366aa 광년}}}]][br]약 970만 [[파섹|{{{#3366aa 파섹}}}]] || || {{{#FFFFFF '''운동'''}}} || {{{#FFFFFF 시선속도}}} || 663 ± 4 km/s || ||<-3> {{{#FFFFFF '''규모'''}}} || ||<-2> {{{#FFFFFF '''겉보기 크기'''}}} || 7′.2 × 2′.5 || ||<-2> {{{#FFFFFF '''지름'''}}} || 195,000 [[광년|{{{#3366aa 광년}}}]][br] 60,000 [[파섹|{{{#3366aa 파섹}}}]][* 이 길이는 중심핵 기준으로 최대로 잡을 시 [[우리은하]]의 직경인 10만 광년보다 3배 더 크다.] || ||<-3> {{{#FFFFFF '''명칭'''}}} || ||<-3> 방추 은하, [[NGC|{{{#3366aa NGC}}}]] 3115, [[콜드웰 목록|{{{#3366aa C}}}]] 53, [[UGCA|{{{#3366aa UGCA}}}]] 199, [[PGC 목록|PGC]] 29265 || [목차] == 개요 == {{{+1 NGC 3115}}} NGC 4697은 [[육분의자리]] 방향으로 약 3,160만 광년 떨어진 [[렌즈형은하]]이다. == 상세 == 1787년 2월 22일에 [[윌리엄 허셜]]에 발견되었으며 [[렌즈형은하]]라는 점에서 유추할 수 있듯 별 형성이 거의 일어나지 않는다. [[하와이 대학교]]의 존 코멘디와 [[미시간 대학교]]의 더글라스 리치스톤은 1992년에 은하 중심의 뜨거운 성간가스들의 온도를 측정해 이 은하의 중심에 [[초대질량 블랙홀]]이 존재한다는 것을 발표했으며 중심블랙홀의 질량은 태양질량의 10억배로 추정했다. 2011년에 [[찬드라 X선 망원경]]을 이용한 연구에서 대략 20년 전의 블랙홀을 발견한 방법과 거의 똑같이 중심에서 700광년 이내의 뜨거운 가스의 흐름이 이미지화되었고 이를 통해 기존의 추정치인 10억 태양질량의 2배인 20억 태양질량의 질량을 가진 [[초대질량 블랙홀]]으로 정정되었다.[* 이는 블랙홀의 첫번째 사진으로 유명한 [[처녀자리A 은하]]의 중심 블랙홀인 포웨히의 1/3배의 질량이다.] == 관련 문서 == * [[렌즈형은하]] * [[콜드웰 목록]] * [[NGC 5866]][* 방추 은하로 불리는 또다른 은하이다.] * [[육분의자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