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콜드웰 천체 목록)] ||<-5><:> [[콜드웰 목록|{{{#FFFFFF '''콜드웰 천체'''}}}]] || ||<:> [[NGC 55|{{{+1 '''C 72'''}}}]][br]조각가자리의 막대나선은하[* 또는 불규칙은하] ||<:> {{{+1 ←}}} ||<:> {{{#000000 {{{+1 ''' C 73'''}}}[br]비둘기자리의 구상성단 }}} ||<:> {{{+1 →}}} ||<:> [[남쪽고리성운|{{{+1 '''C 74'''}}}]][br]돛자리의 행성상성운 || ||<-5><:> [[NGC|{{{#FFFFFF '''NGC 천체'''}}}]] || ||<:> [[NGC 1850|{{{+1 '''NGC 1850'''}}}]][br]황새치자리의 초성단 ||<:> {{{+1 ←}}} ||<:> {{{#000000 {{{+1 ''' NGC 7006'''}}}[br]비둘기자리의 구상성단 }}} ||<:> {{{+1 →}}} ||<:> [[NGC 1852|{{{+1 '''NGC 1852'''}}}]][br]황새치자리의 산개성단 || ||||<-3><:> {{{#FFFFFF {{{+3 '''NGC 1851'''}}}}}} || ||<-3> [[파일:ngc 1851b.jpg|width=100%]] || ||<-3> {{{#FFFFFF '''관측 정보'''}}} || ||<|3> {{{#FFFFFF '''위치'''}}} || {{{#FFFFFF 적경}}} || 05h 14m 06.76s || || {{{#FFFFFF 적위}}} || –40° 02′ 47.6″″ || || {{{#FFFFFF 별자리}}} || [[비둘기자리|{{{#3366aa 비둘기자리}}}]] || ||<-3> {{{#FFFFFF '''물리적 성질'''}}} || ||<-2><:> {{{#FFFFFF '''형태'''}}} || [[섀플리-소여 집중도 분류|II형]] [[구상성단|{{{#3366aa 구상성단}}}]] || ||<-2> {{{#FFFFFF '''거리'''}}} || 39,000 [[광년|{{{#3366aa 광년}}}]][br] 약 12,000 [[파섹|{{{#3366aa 파섹}}}]] || ||<-3> {{{#FFFFFF '''광학적 성질'''}}} || ||<-2> [[겉보기 등급|{{{#FFFFFF '''겉보기 등급'''}}}]] || 7.3 || ||<-3> {{{#FFFFFF '''규모'''}}} || ||<-2> {{{#FFFFFF '''겉보기 크기'''}}} || 11′ || ||<-3> {{{#FFFFFF '''명칭'''}}} || ||<-3> [[NGC|{{{#3366aa NGC }}}]] 1851, [[콜드웰 목록|{{{#3366aa C }}}]] 73, Mel 30 , GCl 9, ESO 305-SC 016 || [목차] == 개요 == {{{+1 NGC 1851}}} NGC 1851은 [[비둘기자리]] 방향으로 약 39,000 광년 떨어진 [[구상성단]]이다. == 상세 == [[우리은하]]의 [[헤일로]]에서 0.7의 이심률로 공전하고 있으며 1826년 [[스코틀랜드]]의 천문학자인 [[제임스 던롭]]에 의해 발견되었다. II형 구상성단(빽빽한 중앙 집중도)이며 외부 성단과 내부 성단으로 나뉘는 구상성단으로 추정된다. 여기서 외부 성단은 [[적색거성]]이나 저질량 항성등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내부 성단은 [[준거성]]으로 이루어져 있다고 추정된다. 성단의 항성의 평균 나이는 92억년으로 같으나 더 오래된 항성들도 있다고 한다. 이는 아직까지도 이유가 밝혀지지 않았다. 성단은 782.7 광년 크기의 성단 헤일로로 둘러싸여져 있는데 이는 [[오메가 센타우리]]처럼 왜소은하의 잔해일 때 주로 발견되는 것이나 잔해에서는 발견되지 않는 조수 꼬리가 발견되어 논란이 생겼다고 한다. 이것도 아직까지 왜 그런건지는 밝혀지지 않은 상황. 두가지 논란을 한번에 종식시킬 가설이 한가지 있는데 이 은하가 왜소은하의 핵이 아니라, 왜소 은하에 속해 있던 두 성단이 충돌한 뒤 생겨난 [[구상성단]]이라는 가설이 있다. 이 가설이 사실일 경우 성단의 평균 나이문제는 두 성단의 나이가 차이났기 때문이고 헤일로 문제는 충돌 당시 성단의 외부에 있던 항성들이 밖으로 빠져나가 별의 핵과 일부 항성들만 남았다는 식으로 해결할 수 있다고 한다. PSR J0514-4002A이라는 [[중성자별]]을 공전하는 [[펄서]]가 발견되었고 이외에도 총 13개의 [[펄서]]가 발견되었다. == 관련 문서 == * [[오메가 센타우리]] * [[왜소은하]] * [[구상성단]] * [[헤일로]] * [[콜드웰 목록]] * [[까마귀자리]] [[분류:나무위키 천문학 프로젝트]][[분류:성단]][[분류:콜드웰 목록]][[분류:NG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