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마인크래프트]][[분류:게임별 공략]] [include(틀:상위 문서, top1=Minecraft Legends)] [목차] == 개요 == 이 문서에서는 마인크래프트 레전드 대결 모드에 대해 다룬다. == 목표 == 대결 모드를 시작하면 양 팀에 각 팀의 기지가 생성된다. 먼저 상대 팀 기지를 부수면 승리한다. 대결 모드는 적게는 30분[* 후술할 전략을 잘 쓰면 10분만에도 끝난다. ]에서 길게는 2시간 정도 걸린다. == 게임 진행 == 이 문단에서는 게임 진행 양상을 서술한다. '''중요: 아래 정보는 대부분의 유저가 그렇게 한다는 것이지, 최선의 전략은 아니다. ''' === 초반: 자원 수집 및 조달 === 우선, 게임이 시작되면 자신의 기지 근처에서 자원을 수집하고 기지 근처에 방어선[* 성벽, 성문 등]을 구축해야 한다. 그러고 나면 '라피스를 시작됩니다'라는 안내 문구가 표시될 것이다. 이 때 골렘들을 데리고 피글린 기지에 가서 피글린 기지 구조물을 부수고 향후 개선 사항 구축에 필요한 프리즈머린을 수집[* 구조물을 부수면 프리즈머린이 나온다]한다. 이후 기지에 돌아와 개선 허브를 짓고, 개선 사항을 구축하여 '''자원을 조달'''[* 다른 개선보다도 자원 조달이 우선 순위이다. ]한다. 그 후 또 한 번 조달한 자원을 수집하거나, 피글린 기지에서 프리즈머린을 수집하고 더 많은 개선 사항을 구축할 수 있다. 이 과정은 약 20~30분 정도 소요된다. === 중반: 기지 방어 강화 후 상대 기지 공략 === 기지 방어는 아래와 같이 한다. (우선 순위 순대로 나열하였다. ) * 성벽과 성문으로 방어선 구축 및 화살탑 건설 * 개선 사항 구조물에 방어선 구축[* 개선 구조물이 상대에 의해 파괴되면 다시 자원을 조달해야 한다. ] * 목수 오두막을 설치[* 한 목수 오두막의 수리 범위 내에 다른 목수 오두막이 있으면, 서로 보완 관계가 된다. ] 이것을 완료했다면 이제 상대 기지를 공략할 차례다. 보통은 크리퍼[* 성벽 부수는 데 좋다. ], 좀비[* 근접 공격], 스켈레톤[* 성벽 너머로도 화살로 공격할 수 있다. ], 참나무 골렘, 조약돌 골렘을 데리고 기지에 침입한다. 밤이라면 피글린을 상대 기지로 유인하기도 한다. 이 공격을 하는 와중에 아군 기지가 공격받을 수도 있으니 주의. 아군 기지가 공격받는 데 걸리는 시간을 증가시키기 위해선, 석공 구조물을 지으면 된다. 목재 구조물을 석재로 바꾸어 내구도를 향상시켜준다. 하지만 이러한 공격 방법은 상당히 비효율적이라는 것을 곧 알게 된다. [* 근데 다음 판에서 또 그런다. ] 그후 기지로 돌아와 개선 사항을 정비하고, 공격에 도움이 될 개선 사항을 신설해 다시 공격을 시도한다. 아래 중 하나가 도움이 될 것이다. * 최초의 아이템 건설[* 최초의 돌, 최초의 섬록암 등] * 레드스톤 발사기 건설[* 이걸 더 추천한다. 최초의 돌은 AI가 안 좋다. 하지만 레드스톤 발사기는 수동으로 조준할 수 있으니 말이다. ] === 후반: 기지 공격 본격화 === 상 팀이 서로의 기지를 공략한다. 보통 한 쪽이 공격을 할 때 한 쪽이 수비하느라 정신이 없다. 보통 이 과정에서는 먼저 공격하는 쪽이 유리할 때가 많다. == 전략 == 전략 게임인 만큼 전략이 중요하다. [[체스]]의 전략 중 대결 모드에서도 쓸만한 전략들이 많다. '''전략은 장기적인 이점을 가지는 것이고, 전술은 단기적인 이점을 갖는 것이다. ''' === 초반부터 공격 === 마인크래프트 레전드 대결 모드에서 초반에는 대부분 기지를 건설[* 방어선 구축 등]하느라 바쁘다. 아군 플레이어 '''3명 중 1명[* 제발 한 명만 상대 기지 공략을 하자. 여러명이 하면 아군 방어선 구축 및 프리즈머린 모으는 건 할 사람이 없다. ]은 초반부터 상대 기지 근처에 적진을 치고[* 화살탑과 생성지면 된다. ] 상대 기지를 공격해 상대를 정신없게 만든다. '''그 사이 나머지 2명은 각각 기지 건설, 피글린 전초 기지를 맡는다. 상대가 이 전략을 눈치채면 보통은 적진 부근에 화살탑을 놓는 것으로 허술하게 대처[* 이렇게 대처하는 이유는 자기네 기지 건설하느라 바쁘기 때문. ]한다. 그러면 재빨리 그 적진을 버리고, 다른 곳에 가서 적진을 치고 기지를 다른 쪽에서 공격한다. 그러면 상대 기지에 최소 30%의 피해를 줄 수 있다. 이 작전의 특징은 팀원 중 한 명이 자원 수집, 피글린 전초 기지 역할을 맡지 않고 처음부터 상대 기지 공격을 한다는 것이다. 작전이 성공하면 초반부터 상대 기지가 불리해져서 자신의 팀이''' 단기간[* 이렇게 해서 약 15분만에 승리하기도 한다. ] 내에 경기를 승리할 확률이 높아지'''지만, 작전이 '''실패하면 자신의 팀의 자원 조달이 느린''' 것을 감수해야 하므로 불리해 진다. --체스의 오프닝 같다-- 실패할 때 보통은 자신이 상대기지 공격하는 동안 아군이 아무것도 하지 않은 경우가 많다. 상대 기지를 공격하면 상대가 알 수 있지만, 만약 상대가 피글린 공격인 줄 알고 안 오는 등 정말 실력이 안 좋은 초보라면, 3분만에도 이길 수 있다. 실제로 그런 사례가 있다. 아래 영상 참고. [youtube(1FAWf9Z6GyE)] 2023년 9월부터 이 전략이 나무위키의 이 문서와 아래 영상을 통해 소문이 나면서 이 전략이 잘 통하지 않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다. [youtube(vHH_CsMJMtY)] === 상대 포위 === 상대 기지를 완전히 포위하는 것은 주변에 강이 있을 수도 있으므로 불가능하지만, 어느 정도 상대 기지를 포위하는 전략을 사용하면 상대의 자원 조달을 방해할 수 있다. 방법은 아래와 같다. 1. 위의 초반부터 공격 전략으로 상대 기지를 공격한다. 2. 상대가 기지를 지키는 데 정신이 팔렸을 때, 다른 플레이어가 재빨리 포위한다. 다만, 이 전략은 손발이 맞아야 하고, 포위를 빠르게 하는 것도 쉽지 않으므로, 권장되지 않는다. 그럼에도 이 전략을 사용해 승리한 사례도 있다.[* 아래 영상은 초반부터 공격 전략을 쓰며 상대 정신을 분산시키는 역할을 하는 플레이어 시점에서 본 플레이이다. ] [youtube(FYq9WuqpO3I)] == 전술 == '''전략은 장기적인 이점을 가지는 것이고, 전술은 단기적인 이점을 갖는 것이다. ''' === 적진 관련 전술 === ==== 상대 기지 근처에 적진 치기 ==== 상대 기지 근처에 적진을 친 후 상대가 없을 때 공격한다. 상대의 방어가 허술할수록 유리하다. 주의 사항이라면 상대가 있을 때 적진을 치면 발각될 가능성이 크므로 주의해야 한다. 아니면 나무 같은 데 가려서 안 보이는 곳에 적진을 쳐도 된다. 적진을 처음 만들때는 상대 기지 방향으로 성벽을 놓고, 생성지와 화살탑 정도면 충분하다. 나중에 언제든 적진에 화살탑을 추가하고, 모든 방향으로 성벽과 성문을 놓는 등의 일을 할 수 있다. 적진 건설 초기에 적진이 발각되었다면 적진을 버리는 게 좋다. 적진을 방어하는 도중 아군 기지가 공격받을 수 있기 때문. 적진이 매우 견고해진 상황이라면 적진을 버리지 않고 방어하는 게 좋다. ==== 아군 기지 근처의 적진에 대응하는 방법 ==== 상대가 적진을 쳤다면 조약돌 골렘과 화살탑으로 적진을 부수거나, 이미 적진이 부수기 어렵게 커진 경우 방어를 늘려도 된다. 보통 상대 적진 방향으로만 방어해도 상관없다. [* 물론, 영리한 플레이어들은 방어가 허술한 쪽을 공략하지만, 대부분은 그렇지 않다. ] === 상대 기지 근처에 생성지 놓기 === 꼭 적진이 아니더라도 상대 기지 근처에 생성지 몆 개만 건설해두어도 추후 상대 기지 공략 시 유용하다. === 피글린 유인 === 피글린을 상대 기지로 유인하여 상대 기지의 정신을 분산시킨 뒤에 다른 쪽에서 공격하여 시간을 벌 수 있다. 다른 전술과 같이 사용하면 좋다. === 골렘 구성 방법 === 상대 기지의 방어를 뚫기 위해서는 크리퍼와 스켈레톤, 조약돌 골렘으로 공격하는 것이 좋다. [* 크리퍼는 상대 구조물 앞에서 폭발하며, 스켈레톤은 성문 너머로도 공격할 수 있다. 조약돌 골렘은 건물 부수기에 좋다. ] 그리고 많은 사람들이 성벽에다가 '목표 집중' 명령을 내리는데, 그렇게 하면 성벽만 부수고 골렘들이 가만히 있다. == 많이 하는 실수 == 아래 실수들 중 대부분은 용기의 깃발 사용과 게임의 시스템을 잘 익히지 못해 생긴다. === 골렘에게 명령 미리 내리기 === 용기의 깃발로 골렘에게 '저기로 가 있다가 공격해'라고 하는 사람이 있는데, 이렇게 할거면 화살탑을 쓰는 게 낫다. 비슷한 다른 게임들과는 다르게 마인크래프트 레전드에서는 용기의 깃발로 표적을 지정하면 골렘은 그 자리에서 가만히 있다가 적이 오면 '''그 자리'''에서만 공격한다. 이건 창조의 불꽃 낭비다. === 성벽을 표적으로 지정 === 용기의 깃발을 사용해 성벽을 표적으로 지정할 경우 성벽을 다 부수고 그냥 '''그 자리'''에 서있는다. 반면, 상대 기지를 표적으로 지정하면 직선거리 상으로 가는 길의 모든 구조물을 파괴하고 기지로 돌진한다. === 아군 기지 주변에 경사로 신설 === 경사로를 지으면 아군은 물론 상대도 다닐 수 있다. 그러니 아군 기지 주변에는 경사로를 짓지 말자. [* 상대 기지 근처에 경사로를 짓는 건 나쁘지 않다. 피글린 유인할 때도 좋다. ] === 피글린 전초 기지에 골렘 보내놓고 다른 일하기 === 피글린 전초 기지 파괴로 얻은 프리즈머린을 골렘들이 자동으로 수집하지는 않는다. 또한 상대가 프리즈머린을 강탈할 수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