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 {{{#fff '''[[퍼블릭 이미지 리미티드|{{{#fff 퍼블릭 이미지 리미티드}}}]]의 스튜디오 앨범'''}}} || || [[Public Image: First Issue|{{{#000,#fff Public Image: First Issue}}}]][br]{{{-2 1978}}} || → || [[Metal Box|{{{#000,#fff Metal Box}}}]][br]{{{-2 1979}}} || → || [[The Flowers of Romance|{{{#000,#fff The Flowers of Romance}}}]][br]{{{-2 1981}}} || || {{{#!wiki style="margin:-5px -10px;padding:7px 10px;" {{{#515151 '''Metal Box의 주요 수상'''}}}}}} || ||<#fff,#191919> {{{#!folding [ 펼치기 · 접기 ] [include(틀:롤링 스톤 선정 500대 명반,연도=2003,순위=469,연도2=2012,순위2=461)] ---- [include(틀:NME 선정 500대 명반,순위=229)] ---- [Include(틀:어클레임드 뮤직 선정, 항목=올타임 명반, 순위=244)] ---- [Include(틀:피치포크 선정, 항목=1980년대 최고의 앨범, 순위=104)] ---- [include(틀:언컷 선정 1970년대 500대 명반, 순위=35)] ---- [include(틀:죽기 전에 꼭 들어야 할 앨범 1001장)] ---- [include(틀:죽기 전에 꼭 들어야 할 레코딩 1000)] ---- [include(틀:올타임 탑 1000 앨범, 순위=525, 연도=1998)] }}} || ||<-2><#e8e8e8> '''{{{#515151 {{{+1 Metal Box}}}}}}'''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metal box.jpg|width=100%]]}}} || || '''발매일''' ||[[1979년]] [[11월 23일]] || || '''녹음''' ||[[1979년]] 3월 - 10월 || || '''장르''' ||[[포스트 펑크]], [[익스페리멘탈 록]] || || '''재생 시간''' ||60:29 || || '''곡 수''' ||10곡[* Second Edition에서는 12곡.] || || '''프로듀서''' ||퍼블릭 이미지 Ltd || || '''스튜디오''' ||매너 스튜디오[br]타운하우스[br]어드비전 스튜디오[br]구스베리 사운드 스튜디오 || || '''레이블''' ||[[버진 레코드]] || [목차][clearfix] == 개요 == [[퍼블릭 이미지 리미티드]]의 2번째 스튜디오 앨범. == 상세 == 전작과 다른 음악을 보여주며 아방가르드 음악의 영향을 짙게 받았다. 존 라이든의 아리송한 가사, [[덥]]의 영향을 받아 도드라지는 베이시스트 자 워블의 댄서블한 리듬, 기타리스트 키스 레빈의 날카롭고 메탈릭한 기타 사운드가 돋보인다. 전작의 드러머 짐 워커의 탈퇴로, 녹음 기간 동안 여러 드러머들이 참여하기도 했다. [* 하지만 이들 중 누구도 재발매반 이전까지 크레딧에 이름을 올리지 못했다.] 발매 당시 앨범 제목처럼 데니스 모리스가 디자인한 금속 상자에 LP가 담겨 발매되었다. 한 면마다 10분씩 담겨있었기 때문에 들을때마다 판을 수시로 바꾸어야 해서 들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때문에, 재발매가 되었을땐 더블 LP로 제작되었다. 다음해인 1980년, Second Edition이라는 제목으로 재발매되었다. == 평가 == [include(틀:롤링 스톤 앨범 가이드, 점수=★★★★)] [include(틀:올뮤직, 링크=https://www.allmusic.com/album/metal-box-mw0000714559, 점수=★★★★★)] [include(틀:피치포크, 링크=https://pitchfork.com/reviews/albums/22374-metal-box/, 점수=10.0)] [include(틀:RYM, 링크=https://rateyourmusic.com/release/album/pil/metal-box/, 점수=3.84)] [include(틀:어클레임드 뮤직, 링크=http://www.acclaimedmusic.net/album/A458.htm, 순위=1979년 8위 / 1970년대 73위 / 올타임 244위)] '''퍼블릭 이미지 리미티드의 최고의 앨범'''으로 꼽히며, [[Unknown Pleasures]], [[Marquee Moon]], 그리고 [[Remain in Light]]와 더불어 [[포스트 펑크]]를 대표하는 앨범으로 평가받는다. 특히 악명 높다던 [[피에로 스카루피]]한테서 무려 8점[* 참고로 이 양반은 많은 평론가들이 호평하는 비틀즈를 굉장히 짜게 점수를 줬으며 아무리 높게 줘봤자 7점이며 이는 [[페퍼 상사]]와 [[애비 로드]]가 받은 점수이다.]을 받았으며 이 외에도 [[NME]]와 [[피치포크]]같은 매체에서도 호평을 아끼지 않았다. == 트랙 리스트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
{{{-1 '''트랙'''}}} || {{{-1 '''곡명'''}}} || {{{-1 '''작사 / 작곡'''}}} || {{{-1 '''재생 시간'''}}} || ||<-4><#e8e8e8> {{{#!wiki style="margin:-3px 0px" {{{#515151 {{{-1 '''Metal 1.1'''}}}}}}}}} || || {{{-2 '''1'''}}} || {{{-1 Albatross}}} || {{{-2 Public Image Ltd.}}} || {{{-1 10:32}}} || ||<-4><#e8e8e8> {{{#!wiki style="margin:-3px 0px" {{{#515151 {{{-1 '''Metal 1.2'''}}}}}}}}} || || {{{-2 '''1'''}}} || {{{-1 Memories}}} ||<|2> {{{-2 Public Image Ltd.}}} || {{{-1 5:05}}} || || {{{-2 '''2'''}}} || {{{-1 Swan Lake}}} || {{{-1 4:19}}} || ||<-4><#e8e8e8> {{{#!wiki style="margin:-3px 0px" {{{#515151 {{{-1 '''Metal 1.3'''}}}}}}}}} || || {{{-2 '''1'''}}} || {{{-1 Poptones}}} ||<|2> {{{-2 Public Image Ltd.}}} || {{{-1 7:45}}} || || {{{-2 '''2'''}}} || {{{-1 Careering}}} || {{{-1 4:32}}} || ||<-4><#e8e8e8> {{{#!wiki style="margin:-3px 0px" {{{#515151 {{{-1 '''Metal 1.4'''}}}}}}}}} || || {{{-2 '''1'''}}} || {{{-1 No Birds}}} ||<|2> {{{-2 Public Image Ltd.}}} || {{{-1 4:43}}} || || {{{-2 '''2'''}}} || {{{-1 Graveyard}}} || {{{-1 3:07}}} || ||<-4><#e8e8e8> {{{#!wiki style="margin:-3px 0px" {{{#515151 {{{-1 '''Metal 1.5'''}}}}}}}}} || || {{{-2 '''1'''}}} || {{{-1 The Suit}}} ||<|2> {{{-2 Public Image Ltd.}}} || {{{-1 3:29}}} || || {{{-2 '''2'''}}} || {{{-1 Bad Baby}}} || {{{-1 4:30}}} || ||<-4><#e8e8e8> {{{#!wiki style="margin:-3px 0px" {{{#515151 {{{-1 '''Metal 1.6'''}}}}}}}}} || || {{{-2 '''1'''}}} || {{{-1 Socialist/Chant/Radio 4}}} || {{{-2 Public Image Ltd.}}} || {{{-1 12:31}}} ||}}} === A면 === ==== Albatross ==== [Youtube(VitLGxG92WU)] === B면 === ==== Memories ==== [youtube(pdC7qclC9wE)] ==== Swan Lake ==== [youtube(c4Sgl8NuXQI)] [[존 라이든]]이 그의 어머니를 위해 쓴 곡이다. 자신의 장례식에 쓸 디스코 노래를 써 달라고 부탁했었다고. [[표트르 차이콥스키]]의 [[백조의 호수]] 멜로디를 차용했다. 1979년 6월 29일, "Death Disco"라는 이름으로 싱글 발매되었다. 싱글 차트 20위까지 올랐으며, 같은해 [[NME]] 선정 "올해의 트랙" 11위를 차지했다. === C면 === ==== Poptones ==== [youtube(d-s3krNS0fc)] ==== Careering ==== [youtube(NR8ZR6c64r0)] === D면 === ==== No Birds ==== [youtube(1O90JEEFeok)] ==== Graveyard ==== [youtube(sfIdXa38ohY)] === E면 === ==== The Suit ==== [youtube(DPvDu3JFfLU)] ==== Bad Baby ==== [youtube(_wnWQrtQIMA)] === F면 === ==== Socialist/Chant/Radio 4 ==== [youtube(liowLm8HfVU)] [youtube(PnGhS2XpU0A)] [youtube(55-SE87G5Ec)] == 참여자 == * [[존 라이든]] - 보컬, 피아노 ^^("No Birds", "Bad Baby")^^ * 키스 레빈 - 기타, 신디사이저, 드럼^^("Poptones", "Radio 4")^^, 베이스 ^^("Radio 4")^^ * 자 워블 - 베이스 ^^("Radio 4" 제외)^^, 드럼 ^^("Careering", "The Suit")^^, 피아노^^("The Suit")^^ * 데이비드 험프리 - 드럼 ^^ ("Albatross", "Swan Lake")^^ * 리처드 두빈스키 - 드럼 ^^("Memories", "No Birds", "Graveyard", "Socialist", "Chant")^^ * 마틴 앳킨스 - 드럼 ^^("Bad Baby")^^ [[분류:영국의 록 음반]][[분류:1979년 음반]][[분류:포스트 펑크]][[분류:익스페리멘탈 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