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마법소녀 마도카 마기카 모바일 게임, rd1=마기아 레코드 마법소녀 마도카☆마기카 외전)] '''마법'''[* [[라틴어]](고전 발음: 마기아, 교회 발음: 마지아)를 기점으로 [[이탈리아어]](마지아), [[스페인어]](마히아), [[프랑스어]](마지), [[독일어]](마기), [[포르투갈어]](마지아), [[폴란드어]](마기아), [[핀란드어]](마기아), [[에스페란토]](마기아) 등. [[매직|Magic]], 즉 마법을 뜻하는 단어. 고대 [[그리스어]] 'μαγεία (mageia)'에서 왔다. [[마기아 레코드 마법소녀 마도카☆마기카 외전]]에서는 [[필살기]]라는 뜻으로 사용된다.] [include(틀:마법소녀 마도카☆마기카/오프닝&엔딩)] [목차] == 개요 == [[파일:Magia.jpg]] [[마법소녀 마도카☆마기카]]의 엔딩곡. [[Kalafina]]가 불렀다. 그리고 [[공의 경계]] 등으로 유명한 [[카지우라 유키]]가 작곡에 참여했다. 본래 발라드풍의 곡을 주문받았다가 [[우로부치 겐]]의 각본을 읽어보고 이 곡을 만들었다고 한다. 엔딩곡 제목의 발음은 공식적으로 '마기아'이며 팬들은 '마기아', '마지아'로 부른다. TVA 방영 당시 1,2화는 엔딩곡이 없었다. 사용된 에피소드는 3화~8화, DVD/BD 한정 11화이다. 1화의 "천국으로의 프롤로그"에서 재생 속도, 길이, 음정을 조정한 버전이 배경음악으로 쓰였고 2화에선 엔딩이 아닌 전투 장면의 BGM으로 쓰였다. (그리고 마기아뿐만 아니라 1화의 모든 BGM들의 템포가 느리게 조정되었다.) [[コネクト|오프닝]]과 같이 TV판과 DVD/BD판의 연출이 서로 약간 다르며 기타 솔로를 비롯한 여타 부분을 제외한 magic mix 버전도 존재한다.[*quattro 극장판 '시작의 이야기'의 엔딩 주제가로 쓰인 '''quattro''' 버전은 바이올린 사운드를 적극적으로 활용한 덕분에 원판보다 무서우면서 웅장하다.] 극장판 시작의 이야기에서의 엔딩 영상은 마도카의 실루엣이 천천히 걸어가다가 각 인물들의 실루엣이 하나하나 비춰진 뒤 마도카가 주위 마법소녀 동료들의 실루엣을 지나쳐 가고,[* 주저앉아 있는 마미, 고개를 숙이고 서 있는 쿄코, 마도카에게 등을 돌린 채 뒤돌아선 사야카, 마도카를 향해 바라보는 호무라.] 마침내는 점차 걸음이 빨라져서 나중에는 전력질주로 어둠 속을 향해 달려가는 모습이다. 호무라의 곁을 지나쳐 갈 때에는 유독 호무라가 마도카를 향해 다급히 손을 내뻗는 모습이 나온다. 마지막에는 얼티밋 마도카로 짐작되는 거대한 실루엣이 눈물짓고 있고, 그 복부에 카나메 마도카가 웅크린 채 천천히 빙글빙글 돌고 있는 것이 겹쳐져 나온다. 가사의 화자는 불명. 다만 몇몇 사람들은 이 노래의 화자를 [[아케미 호무라]]라고 추측하고 있다.[* 호무라로 추측하는 사람들은 [[コネクト]]의 화자를 [[카나메 마도카]]라고 추측하고 있다.] 가사의 내용은 호무라의 비장한 각오와 어느 정도 겹치는 면이 있다. 마법소녀 마도카 마기카 10주년 프로젝트에 의해 첫 공개 후 10년이 지난 2021년 3월 26일에 TV판 엔딩이, 4월 9일에 극장판 제 1부 시작의 이야기 엔딩이 기간한정[* 2021년 6월 말까지]으로 유튜브에 풀려나왔다. || 태진 || 27418 || || 금영 || 43336 || == 가사 == [include(틀:스포일러)]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vKr61FJ66dE)]}}}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QwquipMpsiQ)]}}}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BiKaHCJlhxo)]}}} || || {{{#white '''Opening Version'''}}} || {{{#white '''Music Video Full Version'''}}} || {{{#white '''극장판 제 1부 시작의 이야기 엔딩 버전'''}}} || ||<-3> いつか君が瞳に灯す 이츠카 키미가 히토미니 토모스 언젠가 네가 눈동자에 지필 愛の光が時を超えて 아이노 히카리가 토키오 코에테 사랑의 빛이 시간을 넘어서 滅び急ぐ世界の夢を 호로비 이소구 세카이노 유메오 [[발푸르기스의 밤(마법소녀 마도카☆마기카)|멸망을 서두르는]] [[크림힐트 그레트헨|세계의 꿈]]을 確かに一つ壊すだろう 타시카니 히토츠 코와스다로우 확실히 하나 부수겠지 [* 이 4구절의 주체가 [[아케미 호무라]]라면 [[발푸르기스의 밤(마법소녀 마도카☆마기카)|발푸르기스의 밤]]에, [[카나메 마도카]]라면 [[크림힐트 그레트헨]]에 해당된다.] 躊躇いを飲み干して 타메라이오 노미호시테 망설임을 삼켜버리고 君が望むものは何 키미가 노조무 모노와 나니 네가 원하는 것은 무엇인가 こんな欲深い憧れの行方に 콘나 요쿠부카이 아코가레노 유쿠에니 이런 탐욕스런 동경의 행방에 儚い明日はあるの 하카나이 아시타와 아루노 덧없는 내일은 있을까 子供の頃夢に見てた 코도모노 코로 유메니 미테타 어릴 적 꿈에서 보았던 古の魔法のように 이니시에노 마호우노요우니 옛날 옛적의 마법처럼 闇さえ砕く力で 야미사에 쿠다쿠 치카라데 [[얼티메이트 마도카|어둠마저 부술 힘]]으로 微笑む君に会いたい 호호에무 키미니 아이타이 미소 짓는 [[카나메 마도카|너]]를 만나고 싶어 怯えるこの手の中には 오비에루 코노 테노 나카니와 떨리는 이 손 안에는 手折られた花の勇気 타오라레타 하나노 유우키 꺾인 꽃의 용기 [* 가사 전체를 통해 유추해보면 [[토모에 마미]]일 가능성이 높다. 꺾인 꽃은 죽은 (실패한) 마법소녀, 가사의 순서가 시간 순서라고 인식했을 경우.][* 특히 아래쪽의 '칼날' 은 [[미키 사야카]] 말고는 엮을 수가 없다.] 想いだけが頼る全て 오모이다케가 타요루 스베테 마음만이 의지할 모든 것 光を呼び覚ます願い 히카리오 요비사마스 네가이 빛을 불러 일으키는 [[소울 젬(마법소녀 마도카☆마기카)|소원]] いつか君も誰かの為に 이츠카 키미모 다레카노 타메니 언젠가 너도 누군가를 위해서 [* 꼭 [[카나메 마도카]]로 볼 수만은 없는 게, [[마법소녀(마법소녀 마도카☆마기카)|마법소녀]] 전체에 해당되기 때문.] 強い力を望むのだろう 츠요이 치카라오 노조무노다로 [[마법소녀(마법소녀 마도카☆마기카)|강한 힘]]을 바라게 되겠지 愛が胸を捉えた夜に 아이가 무네오 토라에타 요루니 사랑이 가슴을 사로잡은 밤에 未知の言葉が生まれて来る 미치노 코토바가 우마레테쿠루 미지의 말이 태어나게 되지 迷わずに行けるなら 마요와즈니 유케루나라 헤매지 않고 갈 수 있다면 心が砕けてもいいわ 코코로가 쿠다케테모 이이와 마음이 부서져도 좋아 いつも目の前の哀しみに 이츠모 메노마에노 카나시미니 언제나 눈 앞의 슬픔에 立ち向かう為の呪文が欲しい 타치무카우 타메노 쥬몬가 호시이 맞서기 위한 [[소울 젬(마법소녀 마도카☆마기카)|주문]]이 필요해 君はまだ夢見る記憶 키미와 마다 유메미루 키오쿠 [[카나메 마도카|너]]는 아직 꿈꾸는 기억 私は眠らない明日 와타시와 네무라나이 아시타 [[아케미 호무라|나]]는 잠들지 못하는 내일 二人が出会う奇跡を 후타리가 데아우 키세키오 우리가 만나는 기적을 勝ち取る為に進むわ 카치토루타메니 스스무와 쟁취하기 위해 나아가겠어 怯えるこの手の中には 오비에루 코노 테노 나카니와 떨리는 이 손 안에는 手折られた花の刃 타오라레타 하나노 야이바 꺾인 꽃의 [[미키 사야카|칼날]][* [[천본앵(블리치)|칼날 같은 꽃잎]]을 말한다.][* 또, 칼을 쓰는 TVA 마법소녀는 [[미키 사야카]] 밖에 없다.] 想いだけが生きる全て 오모이다케가 이키루 스베테 마음만이 삶의 모든 것 心に振りかざす願い 코코로니 후리카자스 네가이 마음 속으로 치켜든 소원 囚われた太陽の輝く 토라와레타 타이요우노 카가야쿠 붙잡힌 태양의 빛 不思議の国の本が好きだった頃 후시기노 쿠니노 혼가 스키닷타 코로 이상한 나라의 책을 좋아했던 시절 願いはきっと叶うと 네가이와 킷토 카나우토 소원이 반드시 이뤄진다고 敎えるお伽噺を信じた 오시에루 오토기바나시오 신지타 가르쳐준 동화를 믿었어 光と影の中 히카리토 카게노 나카 [[마법소녀(마법소녀 마도카☆마기카)|빛]]과 [[마녀(마법소녀 마도카☆마기카)|그림자]] 안에서 靜かに咲き乱れていた 시즈카니 사키미다레테이타 고요히 흐드러져 있었던 古の魔法優しく 이니시에노 마호우 야사시쿠 옛날 옛적의 마법은 달콤하게 世界を変える力が 세카이오 카에루 치카라가 세계를 바꿀 힘이 その手にあると囁く 소노 테니 아루토 사사야쿠 [[큐베|그 손에 있다고 속삭여]] 終わらない夢を見よう 오와라나이 유메오 미요우 끝나지 않는 꿈을 꾸자 君と行く時の中で 키미토 유쿠 토키노 나카데 너와 함께 갈 시간 속에서 想いだけが生きる全て 오모이다케가 이키루 스베테 마음만이 삶의 모든 것 命を作るのは願い 이노치오 츠쿠루노와 네가이 [[마법소녀(마법소녀 마도카☆마기카)|생명]]을 만들어내는 것은 [[소울 젬(마법소녀 마도카☆마기카)|소원]] || 해석에 유의해야 할 점으로 화자가 누구이냐가 가장 중요한데, 공식 언급은 없고 [[아케미 호무라]]냐 [[카나메 마도카]]냐로 갈린다. 보통 [[아케미 호무라]]로 여겨지는데, 그 이유로는 중간의 몇몇 구절에서 호무라가 아니면 설명되지 않는 부분이 있기 때문. 그러나 노래 진행에 있어 둘 이상의 주체에 대해 번갈아 서술하는 기법도 엄연히 존재하기 때문에 모든 부분이 호무라의 서술이라고 단정짓는 것은 힘들다. 거기다 [[아케미 호무라|양]] [[카나메 마도카|쪽]]에 모두 해당되는 가사도 상당수 있다. 중의적인 표현으로 받아들이는 것이 좋다 여겨진다. 심지어 중간에 [[큐베]]의 서술이라고 볼 수 있는 여지가 있는 부분도 존재한다. == 평가 == [[http://bbs.ruliweb.com/hobby/board/300075/read/22987922|이 엔딩이 시청자들에게 어떻게 보였는지 잘 나타내주는 글]] >마미루 나오고 3화 끝나고 바로 어두운 배경에 암울한 목소리로 이 곡이 나와서 갑자기 급충격받고 멘탈붕괴 했던 기억이 ..... -_- > >이후로 '''"각본: [[우로부치 겐]]"'''의 이름을 두 번 다시 잊을 수가 없었지...[* 원본 엔딩 영상에는 이름이 없었고, [[コネクト|오프닝]] 영상에 이름이 수록되었다. [[애니플러스]]판은 [[엔딩 크레딧]]에 [[:파일:1698538716759.png|한글로 수록되었다.]]] >-해당 루리웹 링크의 베스트 댓글들 중 하나 * '''[[충격과 공포]] 그 자체. 이야기를 잘 모르는 사람이 들으면 소름끼치게 만드는 곡이 되고, 아는 사람이 들으면 [[처형용 BGM]]이 되는 호러 뮤직.''' * 문제의 3화가 '''[[마미루|이 애니의 진상이 제대로 드러나는 에피소드]]'''였기에 수많은 시청자들이 충격에 빠진 직후 마기아가 엔딩곡으로 처음 나오면서 공포가 몇 배로 증폭되었다. 그래서 무서워하는 게 많은 몇몇 시청자들은 트라우마가 엄청났다고 한다.[* 애니를 보지 않더라도 TVA 엔딩 애니메이션만 봐도 그 느낌을 알 수 있는데, 어두운 배경이 스쳐가는 장면이 나오다가 마지막에는 소름돋는 여자의 얼굴 같은 현상까지 등장하여 공포감이 더 높아진다.] * 실제 엔딩곡의 분위기와 영상은 오프닝곡인 [[コネクト]]보다 상당히 격렬하고 무겁다. [[마성의 BGM]]으로서의 성격도 가지고 있기에 [[큐베|계약을 맺는 상황은 물론]] 공포와 관련된 글에는 이 곡이 자주 배경음악으로 깔리기도 한다. 마성의 BGM으로는 공포 BGM에 들어가는 노래고 마마마의 공포와 절망을 상징한다. 곡의 분위기는 절망적이지만 가사는 그렇게 절망적으로 보이지는 않는다. 아직도 구해낼 거라는 희망은 있다는 듯. 가사의 내용은 오프닝이 '[[아케미 호무라|진주인공]]의 심리'라면 엔딩은 '스토리'에 가깝다. * 시작부터 불길한 종소리에 이어지는 헤비리프는 중후반부의 바이올린 연주와 이어지는 기타솔로는 그야말로 절망적이다. * [[Muse]]의 Uprising[[https://www.youtube.com/watch?v=9sK3lYQ_b-w|#]][* [[The Resistance]]에 수록되었다.]과 상당한 싱크로율을 자랑한다. 간주에는 [[Black Holes and Revelations|Supermassive Blackhole]]도 매시업되었다. * [[극장판 마법소녀 마도카☆마기카 [신편] 반역의 이야기|2013년]]에도 [[역사는 반복된다|역사가]] [[君の銀の庭|반복되었다.]] * [[극장판 마법소녀 마도카☆마기카 [신편] 반역의 이야기|반역의 이야기]]까지 포함해 호무라의 스토리가 커넥트 이상으로 절묘하게 압축되었다. 거의 제 2의 캐릭터송 수준. 커넥트와 달리 호무라가 마도카를 위해 [[루프물|루프를 반복하며]] 쌓인 다양한 감정들의 어두운 면을 묘사했기 때문에 어두운 감정이 폭발한 반역의 이야기의 스토리와 자연스럽게 어울리는 것으로 보인다. == 기타 == * 2화에서 [[토모에 마미]]가 [[게르트루트(마법소녀 마도카☆마기카)|게르트루트]]를 쓰러뜨릴 때 [[주제가가 BGM인 전투|본 음악이 사용되었다.]] * 2011년에 싱글앨범으로 발매되었을 때 [[공의 경계]]의 종장 이미지송과 한 CD에 [[Kalafina/음반 목록#s-1.9|수록되었다.]] * [[https://wiki.puella-magi.net/File:Magia_Anime_Cover.jpg|애니메이션 버전 커버]][* [[아케미 호무라]]가 [[카나메 마도카]]의 조준을 도와준다. 그런데 둘 다 너덜너덜. 곡의 분위기와 가사에 적절한 커버.]가 공개되었을 때 [[스포일러]]라고 말이 많았지만. '''낚시다.''' 본편에 저런 장면은 안 나온다. * [[리듬게임]]에서는 [[퍼커션 마스터]] 3에 수록되었다. * 비공식 하이퍼 테크노([[유로비트]]) 버전이 나왔다. [[https://www.youtube.com/watch?v=UEl5GTEhVw4|#]] 원곡의 분위기가 어두운데 오리지널 [[유로비트]]보다는 하이퍼 테크노 버전으로 리믹스한 것 같다. 비트 빠른 댄스 음악으로 믹스된 것에 의한 건지 원곡의 무서운 분위기는 줄어들었다. 80년대 테크노 분위기를 살리면서 최대한 어둡게 만든 [[https://www.youtube.com/watch?v=Ot-q9ma28Hs|다른 버전]]도 있다. 시작하자마자 [[역십자]]가 나온다. * [[https://www.youtube.com/watch?v=iAme1GnVgh8|이런 어레인지]] * 8비트 편곡 버전도 있다. [[https://youtu.be/4SgVPoSFs_A|#]] * [[https://youtu.be/b2Chwj5JEww|영어 가사 버전]] 역자는 [[성우/북미|북미권 성우]]이자 [[우타이테]]인 [[아만다 리|Amanda Lee]]이다. 일본 애니메이션 OST 영상들을 [[영어]]로 번역된 고퀄리티 영상이 업로드된 유튜브 채널 [[https://www.youtube.com/channel/UC8THb_fnOptyVgpi3xuCd-A|LeeandLie]] 채널을 운영한다. 가사에서는 호무라의 감정을 잘 표현하도록 [[마개조]]에 가깝게 재해석됐다. 덧글에서는 [[치명적 유해물|마마마를 친구에게 소개받고 낚인 서양 네티즌들이 그 친구를 모욕한다.]] [[https://www.youtube.com/watch?v=XSXtTDbvS40|그리고 다시금 리마스터 버전을 업로드했다.]] 2018년 1월 18일에 《Nostalgia III: Magical Girl Edition》 의 5번 수록곡으로도 실렸다. * [[https://youtu.be/lu98k5vVP-Y|독일어 가사 버전]] 작중에서 [[독일어]]가 적극적으로 사용됨을 고려하면 은근히 어울린다. * [[https://www.youtube.com/watch?v=4YThZ95p6ZI|프랑스어 가사 버전]] * [[https://www.youtube.com/watch?v=af6MKYoYIg8|8개국어 가사 버전]] * [[마법소녀 마도카☆마기카 포터블]]에서는 [[마법소녀 마도카☆마기카 포터블/루트|호무라 루트]]를 제외한 모든 루트의 엔딩곡이다. [[발푸르기스의 밤(마법소녀 마도카☆마기카)|본작 최종 보스]]의 [[마지막에 성공한 악당|위엄을 느낄 수 있다.]] [각주] [[분류:마법소녀 마도카☆마기카/음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