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냉전/한국 보병장비)] ||<-2>
{{{#white '''{{{+3 MX 소총}}}'''[br]''MX rifle''}}}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한국 MX소총-vert.jpg|width=100%]]}}}|| || '''종류''' ||[[자동소총]] || || '''원산지'''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3]] [[한국]] || ||<-2> {{{#!folding 【펼치기 · 접기】 ||<-2>
{{{#white '''이력'''}}} || || '''역사''' ||[[1971년]] || || '''개발''' ||[[국방과학연구소]] || || '''개발년도''' ||[[1971년]] || || '''생산''' ||[[국방과학연구소]] || || '''생산년도''' ||[[1971년]] || || '''생산수''' ||2정 || || '''사용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3]] || ||<-2> {{{#white '''기종'''}}} || || '''원형''' ||[[M1 개런드]] || ||<-2> {{{#white '''제원'''}}} || || '''탄약''' ||[[.30-06 스프링필드]] 혹은 [[7.62×51mm NATO]][* 일단 M1 개런드를 바탕으로 M14 소총 처럼 만드는 정보만 있을 뿐 어떤 탄약을 채택한다는 정보는 없다.] || || '''급탄''' ||-발들이 탈부착식 탄 || || '''작동방식''' ||- || || '''총열길이''' ||-mm || || '''전장''' ||-mm || || '''중량''' ||-kg(탄약 미포함) || || '''탄속''' ||-m/s || || '''유효사거리''' ||-m ||}}}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에서 만든 [[M1 개런드]]의 개량형. 1971년, 외산 무기를 개량하고 한국 내에서 자력으로 무기를 생산하려는 [[번개사업]]이 추진되면서 [[국방과학연구소]]에 미군 무기를 40일이라는 단기간에 복제/개량하는 지시가 내려지고, 제작품 중에는 [[M14 소총]]을 모델로 [[M1 개런드]]를 개조해 외부탄창과 자동사격이 가능하도록 개량한 MX 소총이 2정 제작되었다.[* 간단하게 보면 MX 소총 3정 만든것 같다는 의견이 보이지만 자세히 보면 2정은 MX 소총이며 다른 한 정은 M1 카빈 계열(자동 사격이 가능한 M2 카빈)으로 추정된다. [[번개사업]]으로 1971년 12월 30일까지 제작하라고 지시를 내린 목록 중에는 M1 개런드를 자동화한 MX 소총 2정과 M1 카빈을 자동화한 M2 카빈 10정이 목록에 있다. 참고로 한국군이 개발중이던 MX 소총이나 미군이 한 때 제식 소총으로 채용하여 베트남전 초기에 운용한 M14 소총이나 둘 다 M1 개런드를 기반으로 자동사격되게 개조/개량한 소총이다.] 당시에는 [[M16 소총]]을 이미 한국에서 라이선스 생산을 시작해 제식소총으로 결정되어 있는 상태였으므로 MX 소총은 [[예비군]]용 총기로 생산될 예정이었다. 그러나 풍산에서 1970년대 5.56mm 탄약 KM193의 면허생산이 성공적으로 진행되었고 게다가 이후 MX 소총보다 더 우수한 [[M16A1]] 소총이 도입됨과 한국형 생산 KM16A1이 생산되자 MX 소총은 시대에 뒤떨어졌다고 판단, 개발이 취소되었다. == 특징 == 기본적으로는 개런드의 자동사격이 가능한 버전이지만 양각대를 설치하여 기존의 운용했었던 [[M1918]]과 비슷하게 운용할수 있었다. [[분류:대한민국 국군/장비]][[분류:대한민국/개발 총기]][[분류:1971년 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