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대한민국의 프로듀서]][[분류:대한민국의 작곡가]] ||<-2> '''{{{+2 MVSON JANG[* '메이슨 장'이라고 읽는다.]}}}''' || ||<-2> {{{#!wiki style="margin: -0px -10px" [[파일:MVSON JANG 프로필 이미지.png|width=100%]]}}} || || '''출생''' ||2월 24일[* 나이는 비공개이다.]||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 '''직업''' ||[[작곡가]], [[프로듀서]]|| || '''장르''' ||[[퓨처 베이스]], [[멜로딕 덥스텝]]|| || '''MBTI''' ||ISTP|| || '''링크''' ||[[https://www.youtube.com/@mvsonjang|[[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4]]]] [[https://www.instagram.com/mvson_jang|[[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4]]]] [[https://soundcloud.com/user-272570727|[[파일:사운드클라우드 아이콘.svg|width=24]]]] [[https://linktr.ee/mvson_jang|링크트리]]|| [목차] [clearfix] == 개요 == >'''"내가 (TFT 리믹스에서) TOP3를 고른다면, Toyko, AKType, 그리고 MVSON JANG 이렇게 3명이다".''' >---- >- [[스티브 아오키]][[https://m.twitch.tv/videos/1990871940|#]][* 1:13:39~1:13:55, VPN을 사용해야 시청 가능] [[대한민국]]의 [[작곡가]] 겸 [[프로듀서]]. 주로 [[리믹스]] 위주로 음악을 제작한다. == 작곡 계기 == 6살 때 부모님의 권유로 클래식 피아노를 처음 접하여 중학생 때 까지 피아노를 연주하다 고등학교를 입학하며 피아노와 멀어졌지만, [[DAW]][* 현재 사용하는 DAW는 [[Ableton Live]]이다. [[https://www.instagram.com/stories/highlights/18015657067937397/|#]]]를 이용한 일렉트로닉 음악 작곡을 시작하였다.[* 중학생 때 런치패드에 입문하게 되면서 이때부터 일렉트로닉 음악에 관심이 생겼다고 한다.] 작곡을 시작한 초기에는 음원을 사운드클라우드에 업로드 하다 2022년 첫 공식 데뷔곡인 'Alone in the dark(MVSON JANG Remix)'를 발매하였다. == 수상 == 2016년 음악세계 피아노경연대회 중등부 최우수상 2022년 제1회 써밋플레이 리믹스 콘테스트 3위[* 이때 제작된 곡이 Alone in the dark (MVSON JANG)이다.] 2023년 Riot Games 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십 음원 파이널 리스트 == 음원 == ||<-2> '''{{{+2 2023 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십 삽입곡}}}''' || ||<-2> {{{#!wiki style="margin: -0px -10px" [[파일:MVSON JANG의 alone in the dark 앨범 표지.jpg|width=100%]]}}} || || ''' 곡명 ''' ||Alone in the dark (MVSON JANG Remix)[* 보컬은 박주희[* 트로트 가수 박주희가 아니라 뮤지컬 배우, 가수 박주희이다. [[보이스 코리아 2020]]에 출연하기도 하였다.]이다.]|| || '''발매일''' ||[[2022년]] [[9월 2일]]|| || '''장르''' ||일렉트로니카|| || '''발매사''' ||KDM|| || '''기획사''' ||MVSON JANG|| || '''작곡''' ||FRITHEY (DAY), 하얀반음|| || '''작사''' ||하얀반음|| || '''편곡''' ||MVSON JANG|| || '''프로듀서''' ||MVSON JANG|| == 여담 == • Alone in the dark(MVSON JANG Remix)로 첫 작곡가 데뷔를 하였으나, 이 당시 써밋플레이 리믹스 콘테스트 3위를 한 것으로 만족하여 음원 홍보도 하지 않아 약 1년간은 조회수가 100회도 되지 않았다고 한다.[* 스포티파이 월 청취자수는 10명 이하였다.] • 그 후, 유통사에서 2023 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십에 음원을 써도 되겠냐는 연락이 왔을 때 당황했었는데, 음원이 쓰이고 나서 한달 만에 대만의 Shazam Top Songs 11위까지 오르고 스포티파이 월 청취자수 5000명 도달, 유튜브 조회수 5만회 달성 등 성과를 이루게 되었고 댓글이나 인스타 DM으로 '이번 음원이 너무 좋고 다음곡도 정말 기대된다'와 같은 갑작스러운 관심을 받아 기분이 좋았지만 한편으론 큰 부담도 됐다고 한다. == 관련 기사 == [[https://www.issuemaker.kr/news/articleView.html?idxno=42723|# '페이커 우승' 2023 롤드컵 음악 원곡 누구?]] [[https://news.nate.com/view/20231122n20804|# '페이커 우승' 2023 롤드컵 파이널 선정 트랙, 애플뮤직 베트남 TOP200 차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