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철도 운영기관, rd1=MTR)] [include(틀:홍콩의 대중교통)] [[분류:홍콩의 철도]][[분류: 중국의 도시철도]] [include(틀:중국의 도시철도)] [include(틀:MTR의 노선)]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000px-Hong_Kong_Railway_Route_Map_en.svg.png|width=100%]]|| ||<:>{{{#ffffff 노선도}}}||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MTR_M-Trains.jpg|width=100%]]|| ||<:>{{{#ffffff 전동차}}}|| [목차] == 개요 == [[홍콩]]의 [[지하철]] 및 [[광역철도]]. 전 노선을 홍콩 정부 소속 공기업인 [[MTR]]에서 운영한다. 원래 [[동철선]], [[서철선]], [[마온산선]], [[광저우]]-[[구룡반도]] 간 구광철도 국제선 등은 KCR이라는 별개 회사가 운영하는 사철이었으나 [[2006년]] 연말 MTR과 KCR 합병으로 MTR로 넘어가 현재 홍콩의 철도는 [[홍콩 트램]]을 제외하면 모두 이 MTR사가 독점운행하며 '''MTR이 철도의 대명사'''이다. [[1975년]] [[영국]] 식민지 정부에서 [[일본]] 업체와 함께 시공하여 [[1979년]] 처음 개통하였다.[* 홍콩 최초의 [[도시철도]]는 [[홍콩 트램]]으로 1905년에 개통되었다.] 최초 구간은 현 [[쿤통선]]인 [[구룡반도]] 쿤통-자운산[* 현재 웡타이신구를 자운산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좀 옛날틱한 명칭으로 기성세대가 아직까지 자운산으로 부른다.]-몽콕-야우마테이를 잇고 다시 [[췬완선]]에 편입된 몽콕-센트럴[* [[1970년대]] 개통 당시 차터라고 불렀다.]까지 연결했다. 이 연결선은 현재도 살아 있다. 당초 목적은 기존 [[도시철도]]인 [[홍콩 트램]]이 닿지 않는 [[구룡반도]]에 도시철도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과 [[홍콩 섬]]을 [[구룡반도]]와 잇는 것이었다. 비슷한 시기인 [[1977년]]에 이미 [[자동차]] 전용 [[해저터널]]인 크로스하버 해저터널도 개통되었다. 겉으로 볼땐 [[수도권 전철]]보다 늦게 개통되었지만 그래도 [[중화권]]에서 [[베이징 지하철]]에 이어 두번째로 일찍 개통된 지하철이다. 오히려 [[1904년]] 개통된 [[홍콩 트램]]이 홍콩 최초 도시철도임을 감안하면 중화권에서 첫번째, [[아시아]]에선 [[일본]]에 이어 두번째로 도시철도가 생긴 셈이다. 그리고 서비스는 [[베이징 지하철]]과 [[수도권 전철]]을 쌈싸먹을 정도로 좋다. 참고로 [[싱가포르 MRT]], [[상하이 지하철]], [[타이베이 첩운]], [[선전 지하철]], [[광저우 지하철]]은 [[수도권 전철]]은 고사하고 [[부산 지하철]], [[톈진 지하철]]보다도 늦게 개통되었다. 애초 중국 도시들에 마구잡이로 지하철이 생기기 시작한 건 얼마 되지 않은 [[2000년대]]부터의 일이다. 열차의 [[통행방향]]은 과거 영국령이었던 홍콩답게 자동차와 같은 좌측통행이다. 유일무이한 케이스로 [[마온산선]]은 홍콩 내 교통수단 중 유일하게 전 노선이 우측통행을 실시하고 있었으나, 2020년 2월 14일부로 [[타이와이역|타이와이]]-[[카이탁역|카이탁]] 구간 개통 및 [[튄마선 1단계]]로 노선명이 변경됨과 동시에 좌측통행으로 전환하였다. == 특징 == [[중화인민공화국]] 영토이지만 '''특별행정구'''라 사실 상 별개 국가인 [[홍콩]]답게 사실 상 일개 [[미니국가]]의 [[도시철도]]라고 보면 된다. 철도 위주의 교통 시스템을 가진 [[홍콩]]은 교통안내의 기준이 거의 [[MTR]]이고, 미니버스나 [[2층 버스]]는 모세혈관 역할을 한다. 물론 시내버스는 그냥 타고가는 경우도 많다만 대놓고 MTR 로고를 행선지판에 그리는 경우도 많고 [[일본]]의 [[도쿄]], [[오사카]] 등과 같은 복합 교통터미널도 MTR역에 자주 보인다. 세계 각 도시의 [[도시철도]]와 흡사하게 아침마다 토 나오는 통근 지옥을 맛 본다. 물론 홍콩이 [[서울특별시|서울]] [[수도권(대한민국)|수도권]]이나 [[도쿄]] [[수도권(일본)|수도권]], [[베이징]] 광역권, [[상하이]] 광역권보다는 인구가 적어서 한중일 관광객은 그렇게까지 불편을 느끼진 않는 편이다. 그러나 사람이 많이 몰리는 [[센트럴역(홍콩)|센트럴역]]이나 [[애드미럴티역]] 등 시내 중심가는 아침만 되면 좀비 떼를 방불케 하는 인파가 몰린다. 전동차와 역 구내가 미친듯이 좁아서 인구에 비해 혼잡도가 더 크게 느껴진다. 산이 많고 평지가 좁고 시가지가 무지막지하게 압축된 홍콩의 지형 특성으로 인해 여러 노선의 중복구간이 여기저기 많은 것이 특징이다.[* 고베시도 홍콩과 비슷한 특성을 가지고 있어서, [[고베 고속철도]]와 같은 괴악한 터널회사가 나오기도 한다.] 물론 한 노선으로는 수송하기 어려울 정도로 몰리기 때문에 혼잡을 해소하기 위한 측면도 있다. 아직까지 [[홍콩 섬]] 서남부와 [[구룡반도]] 중부에는 노선이 없는 편이며 [[쿤통선]]의 홍함 연장으로 왐포아(黃浦.Whampoa)역이 신설되고 [[서철선]] 및 [[마온산선]]이 [[2020년]] 2월 14일 카이탁까지 연장되었고, 2020년 말 이후로 홍함역까지 추가적으로 개통되며 [[구룡반도]] 중부는 커버가 될 예정이다. 하지만 인구가 희박한 [[홍콩 섬]] 서부는 별 다른 계획 없이 센트럴 및 사우스 호라이즌 행[* [[MTR 남부섬선]]이 이 역까지 들어온다.] 미니버스로 땜빵 중이다. 노선 중 [[동철선]]은 2개의 역(로우역, 록마차우역)을 통해 [[선전 지하철]]과 접속한다. [[선전(도시)|선전]] 옆의 [[둥관]]에까지 지하철이 연결되면 지하철만으로 [[광저우]]에서 [[홍콩]]까지 갈 수 있게 된다.[* 지금도 홍콩 [[홍함역]]에서 광저우 동역으로 직통하는 기차는 탈 수 있다.] 물론 [[홍함역]]에서 나가는 대륙행 국제열차는 역에서 CIQ를 하기 때문에 [[중국]] [[비자]]가 필요하며, 지하철로 갈 경우 행정구역 경계이자 실질적 국경인 [[로우역]](羅湖, Lo Wu)/뤄후(羅湖) 및 [[록마차우역]](落馬州, Lok Ma Chau)[* 원래 [[선전시]]와 홍콩 간 관할 분쟁이 붙은 습지대인데 [[2006년]] 말 국경 관문이 새로 생겼다. 이쪽으로는 [[고속버스]]로 오가는 황강커안도 있다.]/ 푸톈(福田) 경계에서 내려서 출입국 수속이 필요하다. 여기서 전자는 [[광동어]], 후자는 [[중국어]] 지명으로 중국본토와 홍콩 간 부르는 이름이 다르다. 이중 로우/뤄후의 경우 뤄후에서 [[중화인민공화국 공안부]] 소속 [[선전시]] 공안국 직원들이 도착[[비자]]를 발행해 준다. 변방관리국(中國邊檢)에서는 출입국 심사를 담당한다. 실질 체감은 중국본토 측이 한국인에게 미국 입국과 비슷한 강도의 고통을 제공한다(...) [[2018년]]부터는 중국 입국시 외국인의 지문까지 요구하며, 한국 여권은 입국 시 [[비자]]를 받아야 한다. 반면 홍콩은 90일 무비자에 한국여권은 묻지도 따지지도 않고 들여보낸다. 물론 일본 여권은 중국 무비자입국이 가능해 한국인같은 고통을 겪지 않는다. [[동철선]], [[서철선]], [[마온산선]], [[MTR 경철|경철]] 및 홍콩~중국간 국제열차, 화물열차는 원래 MTR에서 운영하던 것이 아니었다. [[2007년]] 이전까지 홍콩의 철도는 홍콩 내 지하철 노선을 담당하던 MTR과 일반철도를 담당하던 KCR[* Kowloon Canton Railway. [[광저우]]와 [[홍콩]]을 잇는 일반철도(현재의 동철선과 중국 대륙 쪽 광선철로)를 운영한 데서 시작한 회사로, 홍콩 정부가 소유한 공기업이었다.]이 따로 있는 이원체제로 운영되었다. 하지만 MTR과 KCR간 환승시 요금을 이중부담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고[* 다른 운영주체의 노선으로 환승할 경우 할인혜택이 없었다. 이전에 [[용인 에버라인|용인 경전철]], [[의정부 경전철]]과 기타 [[수도권 전철]] 간 환승시 할인혜택이 없었던 것을 생각하면 쉽다.], 두 운영주체로 나뉘어 운영하는 것이 비효율적이라는 의견이 계속 제기되어 KCR 노선들의 운영권이 MTR로 이관된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위의 3+1[* 튄문과 윈롱 지역의 [[노면전차]]인 경철]노선과 구 MTR 노선 간 외양상 큰 차이가 있다. 차종은 물론이고 전류방식과 지상구간의 비율, 심지어 [[스크린도어]] 유무와 같은 크나큰 차이까지 있다.[* 구 KCR 노선에는 스크린도어가 없다. 그리고 전동차도 전두부 모양이 다른데 MTR은 영국식 전두부를 택하고 KCR은 초도 전동차가 일제 차량이라 약간 일본철도와 중국철도를 짬뽕한 느낌이 난다.] MTR의 운임은 한국보다 저렴하거나 비슷하다. 가장 저렴한 [[수도권 전철]]도 기본 운임이 1250원인데, MTR로 한 두 정거장 가는 기본 운임이 약 4~5[[HKD]] 정도[* 노선별로 다르며 [[옥토퍼스 카드]] 이용시 대개는 할인된다.]로 우리나라 돈으로 약 600~700원 정도 한다. 단, 멀면 멀수록, 또한 어느 노선 및 구간을 달리느냐에 따라 요금이 널뛰기를 하기 시작한다. 우리나라 여느 [[전철]]과는 달리 두 역만 넘어도 추가요금이 붙기 시작한다. 빅토리아 만을 지나가는 구간의 경우,예를 들어 [[애드미럴티역]]-[[침사추이역]] 한 역만 타는데도 [[HKD]] 9.7가 찍힌다. 현금으론 10.5[[HKD]]. 마찬가지로 한 역 거리이지만 [[홍콩 섬]] 내 구간인 [[애드미럴티역]]- [[센트럴역(홍콩)|센트럴역]]은 옥토퍼스, 현금 모두 [[HKD]] 4.5이다.[* 싸게 이동하려면 불편하더라도 [[스타페리]]를 이용하는 게 낫다. 반값 이하다.] 한편 [[서울역]]에서 [[수원역]] 거리에서 조금 더 되는[* 정확히는 31km로 [[서울역]]-[[오산역]] 정도 거리다. [[선전시]] 도심까지는 [[홍콩 섬]] 센트럴 기준으로 [[서울역]]-[[평택역]] 정도이고 [[둥관]]은 [[서울역]]-[[천안역]] 정도다.] [[동철선]] [[홍함역]] ~ [[로우역]] 구간은 요금이 옥토퍼스로 38.1HKD로 거의 '''5700원'''정도인데, 참고로 [[서울역]]에서 [[수원역]] 간 '''[[새마을호]] 운임이 4800원'''이다. 하지만 로우역 바로 전 역인 셩수이역까지는 불과 10.2HKD. 약 1500원 정도에 불과하다.[* [[침사추이역]]~오션파크역 구간보다 '''싸다!'''] 로우 및 록마차우역은 중국 본토 [[선전시|선전]]과의 국경 코 앞에 위치하여, 사실상 행정구역 출입경 심사대를 이용하는 사람들만을 위한 역이기 때문에[* 철도만큼 편리한 대체 교통수단이 딱히 없어 손쉽게 돈을 뜯을 수 있는 곳이다! 영국 본토의 [[채널 터널]]과 비슷한 상황.] 이 구간에서 요금차이가 극심한 것으로 보인다. 록마차우나 로우역을 나갈 때는 민통선 통행 허가가 필요한데, 민통선 안에 살지 않는 한 따기 어렵다. 앞서 빅토리아만 구간의 요금 할증 역시 비슷한 이유이다. 역이나 열차 내 모든 안내방송은 [[광동어]], [[표준중국어]], [[영어]] 순으로 이루어지며 안내판 등은 [[번자체|번체]]와 영문으로 표기되어 있다. 여담으로 [[영국]]과 마찬가지로 홍콩에서는 Subway 표지판을 따라가면 역이 아니라 지하보도가 나온다. == 노선 == [include(틀:MTR의 노선)] 2019년 현재 중전철 11개와 경전철 1개, 총 12개 노선이 운영되고 있다. 이 중 디즈니랜드 연결선은 두 역을 왕복하는 셔틀이다. 나중에 연장공사가 완료되면 마온산선과 서철선을 단일 노선으로 통합할 예정이므로 노선수는 하나가 줄어들 예정이다. || 노선명 || 최초 개통연도 || 길이(㎞) || 역수 || 비고 || ||{{{#99ccff ●}}} [[동철선|MTR 동철선]] || 1910년 || 41.1 || 14 || || ||{{{#2e8b57 ●}}} [[쿤통선|MTR 쿤통선]] || 1979년 || 11.2 || 15 || || ||{{{#d80f1f ●}}} [[췬완선|MTR 췬완선]] || 1982년 || 16.0 || 16 || || ||{{{#0072b2 ●}}} [[홍콩섬선|MTR 홍콩섬선]] || 1985년 || 13.3 || 14 || || ||{{{#ff9900 ●}}} [[뚱충선|MTR 뚱충선]][* 뚱충선의 종착역인 뚱충역에서 홍콩철도 유한공사의 자회사가 운영하는 케이블카 [[옹핑 360]]과 환승이 가능하다.] || 1998년 || 31.1 || 8 || || ||{{{#763688 ●}}} [[정관오선|MTR 정관오선]] || 2002년 || 11.9 || 8 || || ||{{{#bd2a80 ●}}} [[서철선|MTR 서철선]] || 2003년 || 35.4 || 12 || || ||{{{#a74c00 ●}}} [[마온산선|MTR 마온산선]] || 2004년 || 11.4 || 9 || || ||{{{#ff99cc ●}}} [[디즈니랜드 연결선|MTR 디즈니선]] || 2005년 || 3.3 || 2 || || ||{{{#d3a809 ●}}} [[MTR 경철]][* 서철선만 연결되는 노선으로 이름을 보듯 경전철이다. 68개 역이 있다.] || 1988년 || 36.2 || 68 || || ||{{{#007881 ●}}} [[MTR 공항선]] || 1998년 || 35.2 || 5 || || ||{{{#bac429 ●}}} [[MTR 남부섬선]] || 2016년 || 7 || 5 || || == 차량 == === 1432mm [[협궤|준표준궤]] === ==== Metro Cammell EMU (DC)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Mtrc79.jpg]] [[1979년]] 개통 이후 들어간 1세대 [[전동차]]. [[영국]] 메트로카멜에서 제작했다. M-stock(M형 전동차)이라 불리는 1세대 전동차. [[싱가포르 MRT]]와 디자인이 비슷해 보인다. ||<:>[[파일:MTRMetroCammellEMUDCInterior.jpg|width=700]]|| 구형 차량의 차내 모습. 볼 타입 손잡이를 써서 지금과는 확연히 달라 보인다. [[1988년]] [[홍콩 영화]]인 [[성룡]]의 폴리스스토리 2에서도 [[침사추이역]] 근처에서 이 열차를 이용해 테러 조직의 접선을 추격하는 [[홍콩 경찰]] 수사관들이 등장하면서 잠깐 나왔다. 이 전동차는 MTR의 상징이다시피 한 메인 전동차로 도입된 지 40년이 넘은 지금까지 아직도 [[췬완선]], [[홍콩섬선]], [[정관오선]], [[쿤통선]], [[디즈니랜드 연결선]]을 달리고 있다. [[1998년]] '''대대적 개조'''를 거쳐서 지금도 굴리고 있는데~~노인학대~~ 롤지였던 행선판이 [[1998년]] 개조 후 LED 형식으로 변경되었다.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MTR_M_TWL_KWF.jpg]] [[콰이퐁역]] 근처로 진입하는 [[췬완선]] 1세대 개량 전동차. ||<:>[[파일:MStockHengFaChuen.jpg|width=700]]|| [[홍콩섬선]] 헹파췬 차량기지로 진입하는 1세대 개량 전동차 이렇게 개조를 거쳐서 외관이 확 바뀌었다. ||<:>[[파일:HK_MTR_M-Trains_Interior.jpg|width=700]]|| 개조 차량의 차내로 차내 역시 리모델링되어 확 바뀌었다. [[파일:external/farm3.static.flickr.com/4301518938_1288482d8a.jpg]] 한편 디즈니랜드 연결선용으로는 이런 차량이 들어간다. 이놈은 가급적 젊은 것들인 [[2001년]]과 [[2002년]] 도입분들을 끌어모아 개조한 것으로 [[2005년]] 홍콩 디즈니랜드 개장을 앞두고 개조했다. ==== Adtranz–CAF EMU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Airport_Express_Train.jpg]] [[독일]] Adtranz(현재 [[봄바르디어]]에 합병)와 [[스페인]] [[CAF]]의 합작으로 만들어진 열차. [[홍콩 국제공항]]으로 직통으로 가는 [[MTR 공항선|공항고속선]]에 투입된다. 최고시속 135km/h로, 일명 AEL이라 불리는 이것을 타면 [[홍콩역]]에서 30분, [[까우룽역]]에서 20분이면 공항으로 간다. --그런데 비싸!--[* [[서울역]]이나 [[COEX]] 같은 [[도심공항터미널]] 기능도 두 역에 있어 체크인이 가능하다. 체크인 후 몸만 들어가면 되는데 한국과 달리 출국심사는 공항에서 해야 한다.]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MTR-Tung-Chung-line.jpg]] [[뚱충선]]에도 투입되지만 외관은 비슷해도 --요금 차이가 큰 만큼-- 도색과 내장이 크게 다르다. 유튜브 등지에서 흔히 'K형 전동차'로 불린다. ==== Rotem EMU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HK_Tung_Chung_Line_Train.jpg]] 2002년부터 투입된 [[현대로템]]제 열차. [[쿤통선]]에 투입되었다가 2009년에 [[정관오선]]으로 이사왔다. 원래부터 정관오선에서 운행할 예정이었는데 신호 시스템 트러블로 잠시 쿤통선에서 운행한 것이다. 2006년부터는 [[뚱충선]]에서도 운행하는데 정관오선 전동차와는 사양이 많이 다르다. ==== CNR Changchun EMU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C-Train_at_Kowloon_Bay.jpg]] C-stock 이라 불리는 신형 전동차. 2010년에서 2013년까지 중국 창춘 궤도객차에서 제작했다. [[쿤통선]]과 [[남부섬선]]에서 쓰인다. ==== CRRC Sifang EMU ==== ||<:>[[파일:MTR_Urban_Lines_Vision_Train_in_Tsuen_Wan_Depot.jpg|width=700]]|| 중국 쓰팡에서 제작될 예정인 전동차. [[췬완선]], [[쿤통선]], [[홍콩섬선]], [[정관오선]]에 투입될 전동차로 MTR 초창기에 투입된 --구닥다리--Metro Cammell EMU를 대체한다. === 1435mm [[표준궤]] === ==== Metro Cammell EMU (AC) ==== [[파일:KCRC_Metro_Cammell_train,_1993.jpg]] [[동철선]]의 구형 열차로 동철선에서 처음으로 전철이 운행된 1982년 당시부터 운행했던 열차이다.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MTR-EastRailLineTrain.jpg]] 1996년에서 1999년 사이에 대수선을 거쳐서 외관이 상전벽해했다. 이 때를 기점으로 1량당 문이 6개(한쪽 3개)에서 10개(한쪽 5개)로 늘어났다. 특이사항으로 구동방식이 조괘식이다. 전세계적으로 [[노면전차]]나 [[전기 기관차]]를 제외하곤 사양길에 접어들은 구동방식이라 도시철도나 간선철도에선 보기 드문 편이다. ==== Kawasaki SP1900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SP1900_FOT.jpg|width=500]] [[서철선]], [[마온산선]], [[동철선]] 등의 표준궤 구간에서 쓰고 있는 전동차. 1999년 ~ 2004년에 제작되어 서철선에 29편성, 동철선에 6편성, 마온산선에 17편성이 운행되고 있다. 전량 [[가와사키 중공업]]에서 제작. 아래 나올 Hyundai Rotem EMU가 들어오면 동철선 편성은 전부 서철선으로 이사갈 예정이다. ==== Hyundai Rotem EMU ==== [[파일:Rtrain-low.jpg]] 위의 Rotem EMU와는 다르다. [[현대로템]]에서 2018년에 제작해 [[동철선]]에 투입되는 열차. 동철선 애드미럴티역 연장을 대비해 투입되며 Metro Carmell EMU와 SP1900을 대체한다. 연장구간이 지하구간으로 승강장 수용 한계가 짧아 Metro Carmell EMU와 SP1900보다 1편성당 수용인원이 적은데, 신호체계를 개선해 배차간격을 2분으로 좁히는 것으로 해결하려 한다. ==== CRRC Changchun EMU ==== [[파일:003_Ma_On_Shan_Line(Made_in_China)_24-06-2017.jpg]] 2018년도부터 투입되고 있는 전동차. [[서철선]]과 [[마온산선]](그리고 둘이 병합해 생길 예정인 튄마선)에 투입될 전동차이며 중국 창춘 궤도객차에서 제작될 예정이다. == 확장 계획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106px-Shatin_to_Central_Link_proposal_final.svg.png|width=400]] 4개 주요 프로젝트가 진행 중이며, 각 사항은 다음과 같다. * [[쿤통선]] 연장'''(완료)''' : [[야우마테이역]]에서 끊기는 쿤통선을 동쪽으로 연장한다. 종점은 왐포아(Whampoa)역이고 중간에 호만틴역이 [[마온산선]]과의 환승역으로 새로 만들어진다. 2016년 10월 23일 개통했다. * SCL(Sha Tin to Central Link) 프로젝트 : 두 가지 프로젝트를 같이 엮어 일컫는다. * 1기(Phase 1) : 동서주랑(East West Corridor, 東西走廊)이라는 명칭이 붙어 있다. 타이와이역에서 애매하게 끊어지는 [[마온산선]]을 연장해 다이아몬드 힐 쪽으로 틀어서 내려오다, [[쿤통선]] 연장 구간에 새로 건설되는 호만틴역을 거쳐 [[홍함역]]까지 연장한 후 [[서철선]]과 통합해 '''튄마선(Tuen Ma Line)'''으로 노선명을 변경한다. 2019년 완공 예정이었으나 2018년 12월~2019년 1월 사이에 진행한 안전점검에 실패해서 개통일자가 크게 연기되었는데, [[타이와이역]]~[[카이탁역]]구간은 2020년 초에 완공하고 나머지 [[카이탁역]]~[[홍함역]] 구간은 2021년 완공예정이다.[* 터널공사와 차량제작에 한국 기업이 참여했다. 터널 공사중 유물이 발견되어 공사가 지연되었다. 그로 인해 로템에서 제작한 열차들이 수출되지 못하고 마산과 덕양, 태금에 유치되어있고, MTR이 [[로템]]에 열차 유치비를 지불한다.] * 2기(Phase 2) : 남북주랑(North South Corridor, 南北走廊)이라는 명칭이 붙어 있으며, 홍함역까지 들어오는 동철선을 연장해 [[애드미럴티역]]까지 들어오게 하고 전시장(Exhibition)역[* 인근에 홍콩 컨벤션 센터가 있다. [[완차이역]]의 북쪽이다.]을 신설한다. 2021년 완공 예정. ~~영원히 고통받는 [[애드미럴티역]]~~ * [[MTR 남부섬선]] 개통'''(완료)''' : 원래 서부섬선, 남부선섬이 있었는데 서부섬선은 홍콩대학역에서 출발해 섬 서쪽으로 내려와 [[사이버포트]], 애버딘을 거치고, 남부섬선은 [[애드미럴티역]]을 출발해 오션 파크를 경유해 역시 에버딘 및 [[사이버포트]]로 빠진다. 두 노선은 원래 에버딘 인근의 웡치우캉역에서 만날 예정이었는데 서부섬선은 사실상 계획이 파토나서(...)[* 심지어 공식 홈페이지조차 없어졌으며, 2011년 이후에는 언론사에서도 언급하지 않는다. 계획 자체가 완전히 나가리된 모양. 계획은 있는데 2020년대에 착공해서 2020년대 말에 개통한다고 한다.] 남부섬선은 2016년 12월 28일에 개통했다. * 익스프레스 레일 링크(Express Rail Link)'''(완료)''' : [[선전(도시)|선전]]과 홍콩을 잇는 약 26km 길이의 고속철도. 지하철은 아니지만 MTR에서 시공했다. 중국 [[징광선강고속철도]]의 일부분으로 2018년 9월 23일 이전에는 이 고속선은 [[선전(도시)|선전]]의 푸톈역까지 개통되었고, 이 구간이 완공되면서 선전까지 개통되어있는 [[중국철로고속]]과 직통하여 중국 대륙 직통 [[CRH]] 열차를 홍콩에서 볼 수 있게 되었다. MTR 역시 바이브런트 익스프레스(Vibrant Express)라는 이름의 중국 대륙 직통 고속열차를 운행하기 시작했다. 억소리 나는 홍콩 땅값 때문에 [[수도권 광역급행철도|GTX]]를 연상하게 하는 대심도 지하터널구간이 대부분이며 AEL [[까우룽역]] 인근에 들어서는 지하역인 싸이까우룽역(西九龍站)을 터미널로 한다. 여기에 이민국[* 중국변검(중국 출입국관리국)과 연계되어 홍콩 내에서 [[치외법권]] 논란이 인 적도 있다.]이 설치되어 출입경 수속을 하며 [[비자]] 혹은 내륙여행허가가 있어야 체크인 및 탑승이 가능하다. 현재 [[홍함역]]에서 출발하는 [[광저우]]행 직통 국제열차와 같은 방식이다. 예약은 MTR 공식사이트, [[중국 국철]] 홈페이지인 12306.CN을 이용하여 해야 한다.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280px-North_Island_Line_proposal_interchange.svg.png|width=550]] 그 외에도 [[뚱충선]] 연장 구상도 이루어지고 있는데, [[홍콩역]]에서 애매하게 끊기는 뚱충선을 연장해 새로 만들어지는 전시장역과 환승시키고 코즈웨이베이노스역을 새로 만들어 [[정관오선]]과 직통운전시키자는 계획. 2021년 공사를 개시해 2026년에 완공 예정인데, 직통 운전과 연락 운전 중에서 어떤 방법을 취할지는 아직까지 결정되지 않았다고. == 기타 == * [[2019년]] [[11월 3일]] MTR의 모든 [[철도역]]이 [[나무위키]]에 작성이 완료되었다.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MTR, version=3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