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MTR의 노선)] ||<-2><)>[[MTR|[[파일:홍콩철도유한공사 심볼.svg|height=24&align=left]]]][[MTR(기업)|{{{#FFFFFF '''홍콩철도유한공사'''}}}]]|| ||<-2><:>{{{#!wiki style="margin: -10px -10px" ||<:>{{{#ffffff {{{+1 MTR 공항선}}}[br]港鐵機場快綫[br]MTR Airport Express}}} ||}}}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E110.jpg|width=100%]]}}} || ||<-2> [[MTR Adtranz-CAF 전동차|Adtranz-CAF 전동차]](A형) || ||<-2> {{{#ffffff,#000000 '''노선 정보'''}}} || || '''분류''' ||[[공항철도]] || || '''기점''' ||[[홍콩역]] || || '''종점''' ||[[아시아월드엑스포역]]|| || '''역 수''' ||5 || || '''개업일''' ||[[1998년]] [[7월 6일]] || || '''사용차량''' ||[[MTR Adtranz-CAF 전동차]] || || '''차량기지''' ||시우호완차량기지[* [[뚱충선]], [[MTR 디즈니선|디즈니선]]과 공용] || ||<-2> {{{#ffffff,#000000 '''노선 제원'''}}} || || '''노선연장''' ||35.3㎞ || || '''궤간''' ||1,432㎜ || || '''선로구성''' ||[[복복선]][* [[까우룽역]] ↔ [[칭이역]].], [[복선]] || || '''사용전류''' ||직류 1,500V [[가공전차선]] || || '''최고속도''' ||135㎞/h || || '''표정속도''' ||84.72㎞/h[* 전 구간 운행에 25분 소요 기준.] || || '''지상구간''' ||[[칭이역]] ↔ [[아시아월드엑스포역]]|| || '''통행방향''' ||좌측통행 || || '''개통 연혁''' ||1998. 7. 6. [[홍콩역]] ↔ [[공항역(홍콩)|공항역]][br]2005. 12. 20. [[공항역(홍콩)|공항역]] ↔ [[아시아월드엑스포역]] || ||[youtube(JeBI3btROZU)]|| || {{{#white '''전구간 주행영상'''}}} || [목차] [clearfix] == 개요 == [[MTR(기업)|MTR(홍콩철도유한공사)]]가 운행하는 [[공항철도]]로 다른 [[MTR|MTR]] 노선들과 요금체계나 운행방식이 많이 상이한 노선이며 사실상 다른 노선 시스템과는 분리되어 있는 별개의 노선이다. 란타우 섬 첵랍콕의 [[홍콩 국제공항]]을 기점으로 칭이 섬과 [[구룡반도]] 서쪽 남청, 타이콕추이, ICC 등을 지나 중심가인 [[홍콩 섬]] 북서부의 센트럴(中環, Central)에 있는 [[홍콩역]]까지 잇는 노선으로, 약칭인 AEL(Airport Express Line)로 부르기도 하며 노선의 대부분을 [[뚱충선]]과 병행한다. 소요 시간은 [[구룡반도]] 침사추이 서쪽 끄트머리 쯤에 있는 ICC 지하의 [[까우룽역]]까지 약 20분, [[홍콩 섬]] 센트럴 IFC몰 지하에 있는 [[홍콩역]]까지 약 23분 정도로 굉장히 빠르다. == 노선 정보 == 함께 지어진 [[뚱충선]]보다 약 한달 늦은 [[1998년]] [[7월 6일]]에 개업하였는데, 이는 [[홍콩 국제공항]] 개항일에 맞춘 것이다. [[MTR]]의 다른 [[MTR|홍콩 지하철]] 노선과는 운임체계가 완전히 분리되어 있어 무조건 타 노선과 환승을 하려면 게이트 밖으로 찍고 나갔다가 [[공항철도]] 구역으로 다시 찍고 들어가야 한다. [[옥토퍼스 카드]]로 탑승할 경우 [[환승할인]]이 적용되는데, 다른 지하철 노선에서 공항선으로 갈아타거나 그 반대로 갈아타면 총액 기준 공항선 요금만 부과되고 다른 지하철 요금은 부과되지 않는다. [[구룡반도]] 서부인 라이킹에서 칭이 섬과 마완 섬을 거쳐 란터우 섬으로 건널 때, 도로와 철도 겸용으로 사용되는 2층 구조의 현수교로서는 세계 최장[* 2.2km 정도다.]인 칭마대교를 통과한다. 칭마대교는 칭이 섬과 마완 섬을 연결하는 현수교로 [[구룡반도]] 서북부 라이킹과 란타우 섬 간의 북란타우 고속공로가 통과한다. [[까우룽역]] - [[칭이역]]까지는 '''복복선'''으로 [[뚱충선]]과 선로가 완벽하게 분리되어 있다. [[칭이역]] 이후로는 단순 복선이 되어 MTR 뚱충선과 선로를 공유한다. 이렇게 된 이유는 건설 당시 예산부족으로 칭마대교를 복복선+도로 겸용 구조로 건설하기 힘들었기 때문이다. 칭이역 이후로는 선로용량이 모자라 [[뚱충선]]의 배차간격이 상대적으로 긴 편으로 첨두시간대에 [[칭이역]]-[[홍콩역]] 반복 셔틀노선을 운행하기도 한다. 2복선화된 [[홍콩역]], [[까우룽역]], [[칭이역]]은 공항선과 [[뚱충선]]의 플랫폼 층수가 다르며, 뚱충선의 나머지 통과역들은 공항선이 중앙부를 지나가거나 옆으로 지나간다. [[차량기지]]는 [[뚱충선]] 및 [[MTR 디즈니선|디즈니선]]과 같이 란타우 섬의 시우호완 차량기지를 공용으로 쓰고 있으며, 뚱충선이 [[뚱충역(MTR)|뚱충역]] 방향으로 갈라서기 직전에 나온다. 배차간격이 공항철도 치고는 꽤 짧은 편인데, [[홍콩 국제공항]]에서 [[홍콩역]]사이를 운행시간 내내 10분 간격으로 [[빗자루질(교통)|빗자루질]] 운행을 한다. 덕분에 위에 언급된 칭마대교의 선로용량 포화로, 병행하는 [[뚱충선]]의 일부 열차는 이 다리를 건너지 못하고 [[칭이역]]에서 곧장 빽해서 다시 [[홍콩역]]으로 간다. [[전시회]] 시설인 [[아시아월드엑스포]](AsiaWorld-Expo)가 [[홍콩 섬]] 완차이 컨벤션센터의 기능을 보완하고자 [[2005년]]에 완공되는데, 이 시설을 계획하면서부터 공항역에서 노선을 연장하는 것을 검토하여, 개관일과 동시에 맞춰서 [[아시아월드엑스포역]]이 [[2005년]] 12월 20일에 개통했다. [[홍콩역]](香港, Hong Kong) - [[까우룽역]](九龍, Kowloon) - [[칭이역]](青衣, Tsing Yi)의 각 역에서 출발하는 [[아시아월드엑스포역]]까지의 운임은 공항역의 운임과는 다르게 책정되어 있으며, 부정승차를 방지하기 위해 엑스포역 개찰구 밖에 1시간 이상 있지 않거나 1회용 승차권을 쓴다면 공항 운임이 적용된다. 공항철도의 로고가 [[암트랙]]이나 과거 [[대한민국 철도청]]과 비슷해 보이는데, 화살처럼 빠르다는 뜻이다. 공항선은 [[MTR(기업)|MTR]]사가 운영하지만 [[MTR|홍콩 지하철]] 시스템 밖에 있는 별도의 철도 노선으로 계획했었고 그 흔적이 이 로고인 셈. [[홍콩 국제공항]]에서 승차하는 경우 개찰구 없이 1층 도착로비에서 바로 열차로 진입하면 되고, 하차하는 경우 또한 [[옥토퍼스 카드]]를 찍지 않고 바로 나갈 수 있다. [[2019년 홍콩 민주화 운동]] 당시 공항 점거시도 때문에 홍콩 종심법원에서 공항 점거금지명령을 내려서 [[홍콩 경찰]]이 공항 출입을 엄격히 통제중이라 [[2019년]] 8월 이후 24시간 유효한 전자항공권 및 여권을 확인한다. 이 때문에 공항에 가려면 여유 시간을 두고 가는 게 좋다. == 관광객들을 위한 유용한 정보 == [[공항역(홍콩)|공항역]]-[[홍콩역]] 기준 운임이 100 [[홍콩 달러]] 정도로 가격은 엄청나게 비싸지만 짧은 배차 간격과 널널한 좌석, [[홍콩역]](香港, Hong Kong) 기준 23분, [[까우룽역]](九龍, Kowloon) 기준 20분이라는 짧은 소요시간 덕분에 이용객은 꾸준히 있다. 공항선 티켓이 있으면[* 혹은 당일 비행기 티켓을 보여줘도 된다.] [[까우룽역]]과 [[홍콩역]]에서 주요 [[호텔]][* 반드시 그 호텔을 가지 않아도 된다. 적당한 곳에 내려서 딴 호텔에 가도 문제 없다. 심지어 [[MTR]]사 홈페이지에도 인근 호텔 목록이 있기도 하다.]을 이어주는 무료 [[셔틀버스]]까지 이용할 수 있다. 일요일 및 공휴일을 제외한 모든 날에는 오전 7시~오전 10시 동안 조조 할인요금으로 이용이 가능한데, 20[[홍콩 달러|달러]]로 탑승이 가능하다. 대신 셔틀버스 서비스는 제외된다. 또한 칭이 섬 신도시 사람들이 아침마다 미어 터지는 [[뚱충선]]을 피해 공항철도로 [[홍콩 섬]]에 진입하고 싶어해서 칭이 섬 주민들을 상대로 할인패스를 끊어준다. 단체할인도 있어서 2인 편도일 경우에는 도합 HK$170에, 4인 편도일 경우에는 도합 HK$250에 [[홍콩역]] - [[공항역(홍콩)|공항역]]까지 이용 가능하다. 시간여유가 좀 있고 돈을 좀 아끼고 싶다면 첵랍콕에서 [[뚱충역(MTR)|뚱충역]]까지 15분 정도 [[시내버스]][* 홍콩 공항으로 갈때 공항버스는 출국층에 내려주는것과 달리 공항으로 올때도 처음 탔던 장소에서 내려 준다.]타고 가서 거기서부터 [[뚱충선]]을 타고 시가지로 들어가면 훨씬 싸다.--러시아워에는 홍콩의 심각한 [[교통 체증]]이 당신을 반겨주니 그때는 공항선 타자-- 공항선을 타고 가는 것의 4분의 1밖에 안 들고, [[공항버스]]보다도 좀 더 싸며 빠르기까지 하다. 그리고 [[공항버스]]가 다니는 북란타우 고속도로는 [[신계(홍콩)|신계]] 서부 윈롱에서 들어오는 고속도로와 접속하며 출퇴근 시간대에는 꽤 막히는 편에 속한다. 그러나 러시아워에 짐이 많은 경우 사람들의 따가운 시선을 받게 될 것이다.[* [[동철선]]에서는 중국인 보따리상들이 너도나도 캐리어를 갖고 타자 23kg짜리 캐리어 한개로 제한을 걸어버렸다.] == [[도심공항터미널]] 기능 == [[홍콩역]]과 [[까우룽역]]에서는 인타운 체크인(In-Town Check-In)이라 해서, 짐을 먼저 부치고 여행을 할 수 있다. 인타운 체크인은 비행기 출발 1시간 30분 전까지 이용 가능하다. 여기서 [[캐세이퍼시픽항공]] 등 몇몇 항공사의 경우 비행기 출발 전 날 와서 미리 체크인하는 것도 가능하다. [[삼성역(도시철도)|삼성역]] 코엑스 도심공항터미널과는 다르게, 출국심사는 공항에서 해야 한다. 코엑스는 출입국관리사무소가 있고 바로 공항으로 연결되나 여기는 그렇지 않기 때문이다. 홍콩을 기점으로 하는 [[캐세이퍼시픽 항공]]과 자회사 [[캐세이드래곤항공]]만 원래 있었으나, 현재는 세계 유수의 항공사 뿐만 아니라 한국 국적기 [[대한항공]], [[아시아나항공]] 등 여러 항공사가 모여 있다. 2019년 8월 현재 국내 저가 항공사의 경우 [[제주항공]], [[에어부산]], [[에어서울]]의 경우 여기서 체크인이 가능하지만, [[이스타항공]], [[진에어]]는 그냥 공항 가야 한다. 인타운 체크인 가능 항공사 목록은 [[http://www.mtr.com.hk/archive/en/services/itci.pdf|여기]]에서 확인 가능. [[캐세이퍼시픽항공]]의 [[미국]]행 노선은 인타운 체크인이 불가능하다. [[미국]]행 노선은 [[국토안보부]]의 요청으로 전 세계적으로 따로 보안검사를 하고 있기 때문에, 공항 가서 그것도 전용 카운터에서 별도로 빡센 검사를 받아야 한다. 탑승 전 수하물 수색 강도가 심한 건 물론 간단한 인터뷰를 할 수도 있다. 미국이 목적지인 건 물론 미국을 거쳐 [[멕시코]], [[브라질]], [[아르헨티나]], [[칠레]], [[페루]], [[푸에르토리코]], [[콜롬비아]] 등 [[라틴아메리카]]를 갈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미국행 별도 탑승수속을 밟아야 하니까 홍콩에서 미국을 가거나, 혹은 미국을 거쳐 [[라틴아메리카]]를 갈 생각이면 한국 등 타 국가를 갈때보다 빨리 공항에 와야 한다. 체크인 카운터는 공항철도 티켓이나 옥토퍼스 카드가 있어야만 이용 가능하다. 카운터로 들어갈때 개찰구를 지나가야 하고[* 그래서 인타운 체크인을 하고 싶으면 공항철도를 타야 한다.] [[옥토퍼스 카드]]를 이용했다면 요금이 빠져나간다. 그리고 열차 탑승 전에 개찰구를 한 번 더 통과해야 하는데, 이 때 요금이 또 빠지거나 하진 않는다. 체크인 후 역 밖으로 나올 수 있으며 나중에 개찰구를 다시 통과할때에도 역시 요금이 또 빠지지는 않는다. 공항철도 티켓 사용시에도 마찬가지로 공항철도 편도 티켓은 당일에만 유효하다고 되어 있지만, 몇몇 항공사의 경우 비행기 출발 전날 미리 체크인하고 다음 날 탑승할 수 있는 경우가 있는데[* 이를 Day before Check-in이라고 한다. 대표적으로 [[싱가포르항공]], [[캐세이퍼시픽 항공]], [[콴타스 항공]] 등이 있다. 특이하게 [[에어 인디아]]와 [[남아프리카 항공]]도 이 서비스를 지원한다. 아직까지 한국 국적항공사는 이용이 불가능하다.] 이 경우 다음 날 사용하는 데는 문제가 전혀 없다. 티켓에 따라 이용할 수 있는 역이 정해져 있으니 주의해야 한다. 예를 들어 [[까우룽역]] 왕복 티켓을 소지하고 있다면 [[홍콩역]]에서 짐을 부칠 수 없다. [* 그 반대의 경우는 가능한 것으로 보이나, 이용시 확인이 필요한 내용이다.] 당일편이나 익일 새벽 비행기만 체크인 가능한 경우가 대부분이니 항공사에 미리 확인을 하자. 운영 시간도 항공사에 미리 확인하는 것이 좋다.[* 일반적으로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은 아침 일찍부터 밤 늦게까지 운영한다. [[캐세이퍼시픽항공]]은 홍콩 국적기인 만큼 당연히 '''24시간''' 운영한다. [[아시아나항공]]은 아침 8시부터 운영을 하며 00:40 비행기인 OZ746도 체크인이 가능하다.] == 노선 및 역 목록 == [[파일:attachment/MTR 공항선/공항선.jpg]] [youtube(x09CZFegpQY)] ||<-5> {{{#ffffff MTR 공항선 역 목록}}} || || 한국어 역명 || 중국어 역명 || 영어 역명 || 승강장 || 환승노선 || || [[홍콩역|홍콩]] || 香港 || Hong Kong || {{{#c0c0c0 ■│}}}│■ || {{{#ff9900 ●}}} [[뚱충선]] [br] {{{#0072b2 ●}}} [[홍콩섬선]] [br] {{{#d80f1f ●}}} [[췬완선]][* 홍콩섬선, 췬완선은 센트럴역으로 연계된다. 물론 [[막장환승]]으로 한참을 걸어야 한다.] || || [[까우룽역|까우룽]] || 九龍 || Kowloon || ■││■ || {{{#ff9900 ●}}} [[뚱충선]][* 인근에 [[MTR 튄마선|튄마선]] [[오스틴역]], [[징광선강고속철도]] [[홍콩사이까우룽역]]이 있으나 이 역들은 환승역이 아니다. 또한, 침사추이 등으로는 연계가 되지 않는다. 밖으로 나와서 동쪽으로 많이 걸어야 함.] || || [[칭이역|칭이]] || 青衣 || Tsing Yi || {{{#c0c0c0 ■│}}}│■(U4)[br]{{{#c0c0c0 ■│}}}│■(U2) || {{{#ff9900 ●}}} [[뚱충선]] || || [[공항역(홍콩)|공항]] || 機場 || Airport || {{{#c0c0c0 ■}}}│■(L6)[br]{{{#c0c0c0 ■}}}│■(L5) || || || [[아시아월드엑스포역|아시아월드엑스포]] || 博覽館 || [[아시아월드엑스포|Asia World-Expo]] || ■│{{{#c0c0c0 ■│}}} || || == 개통 연혁 == * [[1998년]] [[7월 6일]] 공항(機場) ↔ 홍콩(香港) 구간 개통 * [[2005년]] [[12월 20일]] 아시아월드엑스포(博覽館) ↔ 공항(機場) 구간 개통 == 운행 차량 == * [[MTR Adtranz-CAF 전동차]](A형) == 여담 == MTR의 여타 노선과 분리되어 설계되어 있기 때문에 다른 노선과의 환승이 어렵다. 출발역인 [[홍콩역]]부터 시가지로 이어주는 도시철도 노선들인 [[홍콩섬선]]이나 [[췬완선]] 등이 있는 [[센트럴]]역과 연결은 되어 있으나 [[막장환승|거리는 더럽게 멀다.]] 병행하는 노선인 [[뚱충선]]도 설계 당시 요금 분리만을 염두에 두고 지어서(...) 평면환승같은 건 없고 상술했듯 뚱충선과 공항철도가 함께 정차하는 역은 층을 나눠서 구역을 분리했다. 특히 짐이 많을 경우, 다른 노선으로부터 공항철도로 환승해서 이용할 계획이거나, 신계 윈롱, 튄문 등지로 갈 계획이면 그냥 편하게 홍콩 전 지역으로 직송해주는 [[공항버스]]를 타는 게 낫다. 더운 여름에는 시원하게 에어컨 나오고 1층에 짐 놔두고 2층에서 편하게 경치 구경하며 느긋하게 이동할 수 있는 공항버스가 훨씬 낫다. 공항버스의 경우 A11로 [[홍콩 섬]] 센트럴, 완차이, 코즈웨이베이를. A21로 [[구룡반도]] 몽콕, 야우마테이, 조던, 침사추이를 갈 수 있고 A33X는 튄문 지역으로 직통한다. 첵랍콕 섬으로 가지 않는 표는 팔지 않는다. 예를 들어, 칭이까지 빠르게 이동하겠답시고 이 노선을 타고 [[홍콩역]] - [[칭이역]] 구간을 이용할 수 없다. 예외가 있는데 평일 또는 토요일 오전 7시에서 10시까지 칭이 또는 까우룽역에서 홍콩역까지 옥토퍼스 카드로 공항선을 HKD 20에 이용할 수 있다. [[유덕화]] 주연 영화 [[쇼크 웨이브 2]]에서 나온 적이 있다[* 이때 초반에 [[MTR Adtranz-CAF 전동차|열차]]에 설치되어 있던 [[핵폭탄]]이 폭파되어 공항이 붕괴되고 많은 사람들이 희생당하는 장면이 나왔으나 이것은 페이크. 마지막에 공항역과 칭이역 사이의 칭마대교를 폭파시켜 열차를 폭탄째 수장시키는 작전을 실행시킴으로써, 더 큰 피해를 면했다.] [[분류:MTR 공항선]][[분류:1998년 개업한 철도 노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