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동방신기의 일본 싱글 24집, rd1=呪文 -MIROTIC-)] [include(틀:동방신기)] [include(틀:동방신기/음반 순서, this1=정규 4집, this2=2008. 09. 26., this3=MIROTIC, prev1=디지털 싱글, prev2=2007. 10. 19., prev3=여행기 (旅行記\), prev4=여행기 (旅行記\), next1=정규 4집 리패키지, next2=2008. 11. 12., next3=MIROTIC (SPECIAL EDITION), next4=MIROTIC (SPECIAL EDITION))] || '''{{{#fff 주요 차트 기록 및 수상}}}'''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한국갤럽 선정 올해의 가요)] ---- [include(틀:멜론 선정 K-POP 명곡100)] ---- ||<-5> [[골든디스크어워즈|[[파일:골든디스크 시상식_로고.png|width=50]]]][br]'''{{{#000000 음반 대상}}}''' || || [[SG워너비]][br]<[[The Sentimental Chord|아리랑]]>[br](2007년) || {{{+1 →}}} || '''동방신기[br]<[[MIROTIC|주문-MIROTIC]]>[br](2008년)''' || {{{+1 →}}} || [[슈퍼주니어]][br]<[[Sorry, Sorry]]>[br](2009년) || ---- ||<-5> [[엠넷|[[파일:엠넷 로고.svg|width=50]]]] '''[[마마 어워즈|{{{#E20C78 KM 뮤직 페스티벌}}}]][* 2006년부터 2008년까지는 명칭이 '엠넷 KM 뮤직 페스티벌'이었다.][br]{{{#E20C78 올해의 앨범상}}}''' || || [[에픽하이]][br]<[[Remapping The Human Soul]]>[br](2007년) || {{{+1 →}}} || '''동방신기[br]<[[MIROTIC]]>[br](2008년)''' || {{{+1 →}}} || [[G-DRAGON]][br]<[[하트브레이커|Heartbreaker]]>[br](2009년) || }}} || [include(틀:동방신기/이미지, title=The 4th Album, name=MIROTIC, 그라데이션=#cd011b\,#000\,#000, font=fff, f=MIROTIC 단체.jpg, w=100, desc=왼쪽부터 오른쪽으로, member=최강창민 · 믹키유천 · 영웅재중 · 유노윤호 · 시아준수)] ||<-3>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90deg, #cd011b, #000, #000)" '''{{{+2 MIROTIC}}}[br]The 4th Album'''}}} || ||<-3> {{{#!wiki style="margin: -6px -10px -5px" [[파일:동방신기미로틱A버전.jpg|width=100%]]}}} || || '''발매일'''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 [[2008년]] [[9월 26일]][* 타이틀곡 주문만 9월 19일에 싸이뮤직 선공개] || || '''가수''' ||<-2> [[동방신기]] || || '''프로듀서''' ||<-2> [[이수만]] ([[SM엔터테인먼트]]) || || '''기획사''' ||<-2> [[SM엔터테인먼트]] || || '''유통사''' ||<-2> [[드림어스컴퍼니]] || || '''재생시간''' ||<-2> 53:53 || || '''곡 수''' ||<-2> 13곡 || || '''타이틀곡''' ||<-2> [include(틀:타이틀곡, 그라데이션=#cd011b\,#000\,#000, 글자색=#fff, 문서=MIROTIC, 제목=주문-MIROTIC)] || ||<|3> '''커플링곡''' ||<-2> [include(틀:타이틀곡, 그라데이션=#cd011b\,#000\,#000, 글자색=#fff, 문서=MIROTIC, 제목=Hey! (Don't Bring Me Down\))] || ||<-2> [include(틀:타이틀곡, 그라데이션=#cd011b\,#000\,#000, 글자색=#fff, 문서=MIROTIC, 제목=Love in the Ice)] || ||<-2> [include(틀:타이틀곡, 그라데이션=#cd011b\,#000\,#000, 글자색=#fff, 문서=MIROTIC, 제목=악녀 (Are You A Good Girl?\))] || || '''리패키지''' ||<-2> [[MIROTIC (SPECIAL EDITION)]] || [목차] [clearfix] == 개요 == [[2008년]] [[9월 26일]]에 발매된 [[동방신기]]의 4번째 정규 앨범이다. 온오프라인 발매 전인 [[2008년]] [[9월 19일]]에 타이틀곡인 [[주문]] 1곡만 싸이월드의 음원서비스인 싸이뮤직을 통해 선공개되었다. 그룹이 분열되기 전인 5인 체제에서 발매된 마지막 국내 정규 앨범으로, 정규 3집 이후 약 2년이라는, 아이돌 그룹으로써는 상당히 긴 공백 기간을 두고 발매되었다. == 앨범 소개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90deg, #cd011b, #000, #000)" '''{{{#fff The 4th Album 《MIROTIC》}}}'''}}} ||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margin: 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앨범 소개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font-size: 0.83em" ||<:>'''아시아 Top 아티스트 동방신기, 4집 앨범 'MIROTIC' 9월 26일 발매! 1년 7개월만의 화려한 컴백![br]헤어나올 수 없는 미로처럼, 동방신기 음악에 사로잡힐 것이다!''' 아시아를 무대로 눈부신 성과를 이룬 동방신기(SM 엔터테인먼트 소속)가 오는 9월 26일 정규 4집 앨범을 발표하고, 국내 무대에 컴백한다. 특히 4집 앨범 ‘MIROTIC’은 동방신기가 1년 7개월만에 국내에 발표하는 정규 앨범인데다 이미 선주문만 30만장을 돌파, 발매일을 불가피하게 이틀 연기할 정도로 폭발적인 반응을 얻고 있어, 음악 팬들은 물론 가요관계자들의 눈과 귀도 집중시키고 있는 상황이다. 4집 앨범 타이틀인 ‘MIROTIC’ 은 미로(迷路)라는 단어에 영어의 형용사 어미 Tic을 합성한 신조어로, ‘헤어나올 수 없는 미로처럼 더욱 빠져드는’의 의미로 해석. ‘미로처럼 헤어나올 수 없는’ 노래가 담긴 4집으로 음악 팬들을 완벽하게 사로잡겠다는 동방신기의 포부를 담았다고 할 수 있겠다. 또한 이번 정규 4집은 발매 시기가 결정되기 전부터 아시아 지역 발매에 대한 해외 음반사들의 문의가 쇄도, 9월 24일 한국 발매를 시작으로 아시아 전역에 순차적으로 선보일 계획이어서 아시아 Top 아티스트 동방신기의 위상을 다시 한 번 입증했다. BoA 미국 데뷔곡 ‘Eat You Up’ 작곡팀이 선사한 4집 타이틀 곡 ‘주문-MIROTIC! 저스틴 팀버레이크, 크리스 브라운의 안무가 Kenny Wormald 참여! 4집 타이틀 곡 ‘주문-MIROTIC’은 리버스비트(Reverse beat) 댄스 트랙으로 세련된 멜로디와 중독성이 느껴지는 후렴구가 인상적인 노래. 특히 이 곡은 BoA의 미국 데뷔 곡인 ‘Eat You Up’의 작곡팀 Remee /Troelsen이 참여해 눈길을 끈다. 또한 2007년부터 4집 앨범을 체계적으로 준비해 온 동방신기는 지난 1월 ‘주문-MIRO TIC’을 접하고, 동방신기의 새로운 이미지를 부각시킬 최고의 곡으로 판단, 2개월 간의 녹음 및 수정 작업 끝에 지난 6월 4집 앨범 수록곡 중 가장 먼저 레코딩을 마쳤다는 후문이다. 더불어 ‘주문-MIROTIC’에서 선보이는 몽환적이면서도 강렬한 동방신기의 보컬은 ‘넌 내게 빠져, 넌 내게 미쳐, 넌 나의 노예’ 등 첫 눈에 반한 여성의 모든 것을 지배하기 위해 주문을 거는 듯한 직설적인 가사와 완벽한 조화를 이뤄, 곡이 가진 매력을 한층 더 부각시킨다. 게다가 타이틀 곡 ‘주문-MIROTIC’의 안무는 저스틴 팀버레이크, 크리스 브라운, 크리스 티나 아길레라 등 최고의 팝 스타들과 함께 해온 안무가 Kenny Wormald 작품이어서, 동방신기가 ‘주문-MIROTIC’을 통해 선보일 새로운 퍼포먼스에 대한 관심도 뜨거운 상황이다. 시아준수가 작사한 ‘노을..바라보다’ 최강창민이 작사한 한국어 버전 ‘Love in the Ice’ 이번 앨범에는 시아준수와 최강창민이 직접 2곡의 작사에 참여해 눈길을 끈다. 시아준수가 작사한 ‘노을..바라보다’는 감성적인 멜로디와 호소력있는 동방신기의 보컬이 조화를 이루는 팝발라드 곡으로, 사랑하는 여인을 지켜주고 싶은 마음을 노을, 태양등에 비유한 감성적인 가사가 인상적이다. 더불어 일본 3번째 앨범 ‘T’에 수록된 발라드 곡 ‘Love in the Ice’의 한국어 버전으로, 최강창민이 직접 작사를 맡아 팬들의 더욱 뜨거운 반응이 기대된다. 세련된 Groove가 인상적인 ‘Wrong Number’ 히트 작곡가 유영진이 선사한 S.M.P.곡 ‘HEY! (Don’t bring me down’) 또한 ‘Wrong Number’는 세련된 Groove가 느껴지는 곡으로 강렬하고 공격적인 사운드가 특징이며, 첫 선을 보이는 영웅재중의 랩이 새로운 매력을 더한다. 히트 작곡가 유영진이 선사한 S.M.P(SM Music Performance) 장르의 ‘HEY!(Don’t bring me down)는 드럼의 강한 사운드와 비트박스가 인상적이며, 동방신기의 파워풀한 퍼포먼스를 기대하기에 충분하다. 1980년대 히트 곡 ‘잊혀진 계절’, 영웅재중 솔로곡으로 재탄생! 이밖에도 1980년대 이용의 히트곡을 새롭게 재탄생 시킨 영웅재중의 솔로곡’ 잊혀진 계절’은 물론 3집 수록곡 ON&ON의 느낌을 이어가는 ‘넌 나의 노래(You’re my melody)’, 애시드 재즈곡 무지개(Rainbow), 인도 악기 Sitar가 독특한 느낌을 선사하는 낙원(PARADISE), 신나는 클럽댄스곡 악녀(Are you A Good girl?) 등 주옥 같은 12곡을 수록해 팬들을 설레게 하고 있다. 한편, 동방신기는 28일 SBS 인기가요를 통해 정규 4집 앨범의 새로운 무대를 방송에서 첫 공개하며, 활발한 활동을 이어나갈 것이다.|| }}}}}}}}} || == 수록곡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5>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90deg, #cd011b, #000, #000)" '''{{{#fff The 4th Album 《MIROTIC》}}}'''}}} || ||<-5> 2008. 09. 26. (금) 발매 || || {{{-2 '''트랙'''}}} || {{{-2 '''곡명'''}}} || {{{-2 '''작사'''}}} || {{{-2 '''작곡'''}}} || {{{-2 '''편곡'''}}} || || {{{-2 '''01'''}}} || {{{-1 '''주문-MIROTIC[br](Clean Ver.)'''}}}[* 후술한 사건으로 인해 추가 수록된 음원이다. 오직 음원 사이트와 클린 버전의 [[MIROTIC (SPECIAL EDITION)|리패키지 앨범]]을 통해서만 들을 수 있는 트랙이다.][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order: 1px solid #000; background: #000; font-size: 0.6em" {{{#ffffff '''TITLE'''}}}}}} || {{{-2 [[유영진(작곡가)|유영진]]}}} || {{{-2 SIGVARDT / [[Thomas Troelsen]] / Sarah Connor / Lucas Secon}}} || {{{-2 [[유영진(작곡가)|유영진]]}}} || || {{{-2 '''02'''}}} || {{{-1 [[Wrong Number]]}}} || {{{-2 강준우}}} || {{{-2 Marvin Ambrosius / Christopher Lee-Joe / Iain James / Philippe Anquetil}}} || {{{-2 유한진}}} || || {{{-2 '''03'''}}} || {{{-1 노을..바라보다 (Picture Of You)}}} || {{{-2 [[김준수(JYJ)|시아준수]]}}} || {{{-2 Tuohey Alfred Dale / Bui Thanh Vu}}} || {{{-2 LeeOn (이재명)}}} || || {{{-2 '''04'''}}} || {{{-1 Crazy Love}}} ||<-3> {{{-2 김영후}}} || || {{{-2 '''05'''}}} || {{{-1 Hey! (Don't Bring Me Down)}}} ||<-3> {{{-2 [[유영진(작곡가)|유영진]]}}} || || {{{-2 '''06'''}}} || {{{-1 넌 나의 노래 (You're My Melody)}}} || {{{-2 김영후}}} ||<-2> {{{-2 JV / Sean Alexander / Pascal "Claps" Guyon}}} || || {{{-2 '''07'''}}} || {{{-1 무지개 (Rainbow)}}} ||<-3> {{{-2 [[KENZIE]]}}} || || {{{-2 '''08'''}}} || {{{-1 낙원 (Paradise)}}} || {{{-2 [[휘성]]}}} ||<-2> {{{-2 Kevin Kumar / Sean Kumar}}} || || {{{-2 '''09'''}}} || {{{-1 악녀 (Are You A Good Girl?)}}} ||<-3> {{{-2 [[유영진(작곡가)|유영진]]}}} || || {{{-2 '''10'''}}} || {{{-1 Flower Lady}}} || {{{-2 [[조윤경(작사가)|조윤경]]}}} || {{{-2 Andrew Omar Grange / Rupert Lloyd Gayle / Micah Samuel Williams}}} || {{{-2 유한진}}} || || {{{-2 '''11'''}}} || {{{-1 잊혀진 계절 (Forgotten Season)}}}[* 원곡자는 가수 [[이용(가수)|이용]]이며 [[김재중]]이 리메이크하여 불렀다.] || {{{-2 [[박건호]]}}} || {{{-2 [[이범희]]}}} || {{{-2 홍석}}} || || {{{-2 '''12'''}}} || {{{-1 [[Love in the Ice|Love In the Ice]]}}} || {{{-2 [[최강창민]]}}} || {{{-2 스즈키 다이스케}}} || {{{-2 스즈키 다이스케 / 사이토 유야}}} || || {{{-2 '''13'''}}} || {{{-1 [[주문-MIROTIC]] [br] (Original Ver.)}}}[*선공개 9월 19일 선공개] || {{{-2 [[유영진(작곡가)|유영진]]}}} || {{{-2 SIGVARDT / [[Thomas Troelsen]] / Sarah Connor / Lucas Secon}}} || {{{-2 [[유영진(작곡가)|유영진]]}}} || }}} === [[주문-MIROTIC]] === [include(틀:다른 뜻1, other1=상세 내용, 문서명=주문-MIROTIC)]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youtube(Z9Lh6WCl5e8)]}}}|| ||{{{#!wiki style="word-break: keep-all; 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90deg, #cd011b, #000, #000)" '''{{{-1 Track 01}}}[br]{{{+3 주문-MIROTIC}}}'''[br]'''3' 28"'''[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order: 1px solid #fff; background: #fff; font-size: 0.6em; color: #000" '''TITLE'''}}}[br][br]{{{-2 '''4집 타이틀 곡 ‘주문-MIROTIC’은 리버스비트(Reverse beat) 댄스 트랙으로 세련된 멜로디와 중독성이 느껴지는 후렴구가 인상적인 노래. 특히 이 곡은 BoA의 미국 데뷔 곡인 ‘Eat You Up’의 작곡팀 Remee /Troelsen이 참여해 눈길을 끈다. 또한 2007년부터 4집 앨범을 체계적으로 준비해 온 동방신기는 지난 1월 ‘주문-MIRO TIC’을 접하고, 동방신기의 새로운 이미지를 부각시킬 최고의 곡으로 판단, 2개월 간의 녹음 및 수정 작업 끝에 지난 6월 4집 앨범 수록곡 중 가장 먼저 레코딩을 마쳤다는 후문이다. 더불어 ‘주문-MIROTIC’에서 선보이는 몽환적이면서도 강렬한 동방신기의 보컬은 ‘넌 내게 빠져, 넌 내게 미쳐, 넌 나의 노예’ 등 첫 눈에 반한 여성의 모든 것을 지배하기 위해 주문을 거는 듯한 직설적인 가사와 완벽한 조화를 이뤄, 곡이 가진 매력을 한층 더 부각시킨다.'''}}}}}}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가사 보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ALL {{{#FF0000 영웅재중}}} {{{#ff8c00 유노윤호}}} {{{#228B22 믹키유천}}} {{{#1290FF 시아준수}}} {{{#9400D3 최강창민}}}''' || || {{{#!wiki style="word-break: break-all; margin: 10px 0px" {{{#FF0000 시작은 달콤하게, 평범하게 나에게 끌려 언제나 그랬듯이 먼저 말을 걸어와}}} {{{#9400D3 모든 가능성, 열어둬 Oh-}}} {{{#1290FF 사랑은 뭐다? 뭐다! 이미 수식어 Red ocean 난, breakin' my rules again 알잖아 지루한 걸}}} {{{#228B22 조금 다쳐도 넌, 괜찮아 Oh- }}} 넌 나를 원해 넌 내게 빠져 넌 내게 미쳐 헤어날 수 없어 {{{#FF8C00 I got you- Under my skin}}} 넌 나를 원해 넌 내게 빠져 넌 내게 미쳐 넌 나의 노예 {{{#FF0000 I got you- Under my skin}}} {{{#9400D3 네 머릿속을 파고드는 날카로운 눈빛 나 아니고선, 움직이지도 않는 Chrome heart}}} {{{#1290FF 네가 선택한 길인걸 Oh-}}} {{{#228B22 혈관을 타고 흐르는 수억 개의 나의 Crystal 마침내 시작된 변신의 끝은 나}}} {{{#FF8C00 이것도 사랑은 아닐까? Oh-}}} 넌 나를 원해 넌 내게 빠져 {{{#9400D3 (Oh~)}}} 넌 내게 미쳐 헤어날 수 없어 {{{#9400D3 (Oh~)}}} {{{#1290FF I got you- Under my skin}}} 넌 나를 원해 {{{#1290FF (넌 나를 원해)}}} 넌 내게 빠져 {{{#9400D3 (Oh~)}}} 넌 내게 미쳐 {{{#1290FF (넌 내게 미쳐)}}} 넌 나의 노예 {{{#9400D3 (Oh~)}}} {{{#9400D3 I got you- Under my skin}}} {{{#FF8C00 한 번의 키스와 함께 -날이 선 듯한- 강한 이끌림}}} {{{#228B22 두 번의 키스, 뜨겁게 터져버릴 것 같은 네 심장을}}} {{{#FF8C00 Yeah~ 너를 가졌어 You know you got it!}}} {{{#9400D3 Yeah~}}} {{{#FF8C00 Come on! Come on!}}} {{{#1290FF I got you- Under my skin}}} 네 꿈 속에 난 널 지배하는 마법사 {{{#FF0000 (네 꿈속에~)}}} {{{#9400D3 (Oh~)}}} 내 주문에 넌 다시 그려지고 있어 {{{#FF0000 (그려지고 있어~)}}} {{{#9400D3 (Oh~)}}} {{{#228B22 I got you- Under my skin }}} My devils ride, 더는 숨을 곳이 없잖아 {{{#9400D3 (Oh~)}}} {{{#1290FF (My superstition knock down)}}} 그렇다면 이젠 즐겨 보는 게 어떨까 {{{#1290FF (You know i got you go down on me)}}} {{{#FF0000 I got you- Under my skin }}} {{{#1290FF (whoo~under my skin~)}}} 넌 나를 원해 {{{#FF0000 hey hey}}} {{{#9400D3 Hey~ Yeah~}}} 넌 내게 빠져 넌 내게 미쳐 {{{#FF0000 hey hey}}} {{{#9400D3 My babe babe babe babe~}}} 헤어날 수 없어 {{{#9400D3 Wow~wow~wow~}}} {{{#FF8C00 I got you Under my skin }}} 넌 나를 원해 {{{#FF0000 Yeah~Yeah}}} 넌 내게 빠져 {{{#FF0000 Yeah~Yeah}}} 넌 내게 미쳐 {{{#FF0000 Yeah~ wow~}}} 넌 나의 노예 {{{#FF0000 Wow~}}} I got you- Under my skin }}} || }}}}}}}}} || ==== 뮤직비디오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padding: 5px 10px 6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90deg, #cd011b, #000, #000)" '''{{{+1 주문-MIROTIC}}}[br]Music Video'''}}}||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youtube(HtJS32n6LNQ)]}}}|| === [[Wrong Number]]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youtube(YdJ88zAmpMw)]}}}|| ||{{{#!wiki style="word-break: keep-all; 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90deg, #cd011b, #000, #000)" '''{{{-1 Track 02}}}[br]{{{+3 Wrong Number}}}'''[br]'''4' 14"'''[br][br]{{{-2 '''‘Wrong Number’는 세련된 Groove가 느껴지는 곡으로 강렬하고 공격적인 사운드가 특징이며, 첫 선을 보이는 영웅재중의 랩이 새로운 매력을 더한다.'''}}}}}}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가사 보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ALL {{{#FF0000 영웅재중}}} {{{#ff8c00 유노윤호}}} {{{#228B22 믹키유천}}} {{{#1290FF 시아준수}}} {{{#9400D3 최강창민}}}''' || || {{{#!wiki style="word-break: break-all; margin: 10px 0px" 하루에 열두번씩 전활 걸어 확인하고 어쩌다 통화 중일 때면 괜한 의심으로 넌 또 메세질 남겨놔 이 시간에 대체 누구길래 전활해 있지도 않은 여잘 상상해 만들어내 숨이 막힐 것 같아 Yeah- 사랑이라는 말에 날 가둬두고 지겨운 잔소리는 쌓여 또 집착이 되고 No 널 지울래 다신 내 전화에 네가 뜨지 못하게 I said You've got the wrong number You've got the wrong number I'm Sorry. You've got the wrong number So Don't Call Me No More 마치 넌 엄마처럼 하룰 다 알고 있고 어디서 누구와 뭘 할까 불안하고 날 위한 거라 또 믿지 관심이었단 말로 변명을 하지만 지나친 구속은 사랑을 더 아프게 만드는 걸 끊긴 전화에 매달리면 뭘 해 들려오는 건 뻔해 What To Say You've got the wrong number You've got the wrong number I'm Sorry. You've got the wrong number So Don't Call Me No More You've got the wrong number You've got the wrong number (돌아갈 수가 없어) I'm Sorry. You've got the wrong number So Don't Call Me No More 다 지워버린 다 바꿔버린 너와 날 기억하고 있는 숫자, 비밀번호 언제라도 내 이름이 뜰 때마다 울리던 너의 벨소리 모두 다 지워 Reset Reset Wow 미쳐버리겠다 닥쳐주길 원했다 너의 그물 속에 바보같은 Fish 이걸로는 안 돼? Cash 너의 사랑이 내 살을 도려내 아련해 오늘 나 머리가 아파와 또 다시 환청이 들려와 관심있는 척 날 위한 척 이라는 곳에 난 그대만의 꼭두각시 No라는 소리에 모든 숨을 죽일 필요가 없는데 니 품에 있는 날 놓아줘 Say 벗어날 수 있게 날 도와줘 Say 다시 시작할 수 없을만큼 너무 멀리 와버렸어 You've got the wrong number You've got the wrong number I'm Sorry. You've got the wrong number So Don't Call Me No More 이젠 벗어나고 싶은데 You've got the wrong number 다신 전화하지 마 You've got the wrong number 더 날 사랑하지 마 I'm Sorry. You've got the wrong number So Don't Call Me No More 제발 놓아줘 그만 끊어줘 Wrong Number. Wrong Number I'm Sorry. You've got the wrong number I'm Sorry. You've got the. You've got the I'm Sorry. You've got the. So Don't Call Me No More }}} || }}}}}}}}} || ==== 뮤직비디오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padding: 5px 10px 6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90deg, #cd011b, #000, #000)" '''{{{+1 Wrong Number}}}[br]Music Video'''}}}||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youtube(rwagNDrh1DA)]}}}|| === 노을..바라보다 (Picture Of You)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youtube(VGO1tX8xGN8)]}}}|| ||{{{#!wiki style="word-break: keep-all; 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90deg, #cd011b, #000, #000)" '''{{{-1 Track 03}}}[br]{{{+3 노을..바라보다 (Picture of You)}}}'''[br]'''4' 51"'''[br][br]{{{-2 '''시아준수가 작사한 ‘노을..바라보다’는 감성적인 멜로디와 호소력있는 동방신기의 보컬이 조화를 이루는 팝발라드 곡으로, 사랑하는 여인을 지켜주고 싶은 마음을 노을, 태양등에 비유한 감성적인 가사가 인상적이다.'''}}}}}}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가사 보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ALL {{{#FF0000 영웅재중}}} {{{#ff8c00 유노윤호}}} {{{#228B22 믹키유천}}} {{{#1290FF 시아준수}}} {{{#9400D3 최강창민}}}''' || || {{{#!wiki style="word-break: break-all; margin: 10px 0px" {{{#FF0000 저녁 노을이 지고 하나 둘 켜지는 불빛을 따라서 너에게 가고 있어}}} {{{#228B22 차가운 바람에 움츠린 네 어깨가 내려앉기 전에 내가 감싸줄게}}} {{{#9400D3 날봐 Love You 바보 같은 그대 그 모든 것이 나에겐 다 소중한걸}}} 그대 위로 떠오른 태양만큼 눈이 부신 이 가슴으로 {{{#1290FF 기다려줄 시간만큼 널 내가 지켜줄께}}} {{{#9400D3 기도한 모든 꿈이 간절한 내 향기로 남아 우릴 향해 있어}}} More than the air I breathe {{{#FF8C00 oh hoo~ 밝아 올 아침에 함께 웃을 수 있는 나의 바램들이 이뤄질 수 있도록}}} {{{#FF0000 내가 기다릴게 {{{#228B22 (기다릴게)}}} 네 손 놓지 않을게 눈물 뿐이라 해도 내가 닦아줄게}}} {{{#1290FF 끝이 보이지 않아도 아무리 험한 길일지라도 약속할게 ma ma ma mine please be mine {{{#FF0000 (Please be mine)}}}}}} 그대 위로 떠오른 태양만큼 눈이 부신 이 가슴으로 기다려줄 시간만큼 널 내가 지켜줄게 기도한 모든 꿈이 간절한 내 향기로 남아 우릴 향해 있어 {{{#FF0000 More than the air I breathe}}} {{{#FF8C00 사랑한다고 이젠 그대 뿐이라고}}} {{{#9400D3 저 하늘 끝에 소리쳐 전하고 싶어}}} {{{#1290FF Love you 터질듯 한 가슴이 그대를 부르고 있어}}} 아픈 시련이 우릴 찾아와도 그 아픔에 목메어 와도 다 어루만져 줄 수 있는 내가 더 사랑할게 투명한 웃음꽃이 반짝이는 저 별들처럼 {{{#FF0000 아름답게 널 너만을 비쳐줄게}}} 그대 위로 떠오른 태양만큼 눈이 부신 이 가슴으로 기다려 준 시간만큼 널 내가 지켜줄게 사랑해 널 사랑해 세상 가장 눈부신 그대 꿈결같은 {{{#228B22 이 맘 More than the air I breathe}}} }}} || }}}}}}}}} || 밝고 따뜻한 멜로디와 화려한 편곡 위에 멤버들의 하모니가 펼쳐지는 팝 발라드 곡이다. 왠지 동방신기는 매 앨범마다 신경을 엄청나게 쓴 듯한 고퀄리티의 발라드를 한 곡씩 넣어왔는데[* 1집의 '지금처럼', 2집의 'One', 3집의 'On & On' 이 해당된다. ~~그래놓고 활동은 '믿어요', 'I'll Be There', 'Hey Girl'로 했다는게 함정~~], 이 노래가 4집에서의 그 포지션. 4집 쇼케이스 당시에 한 번 부른 것을 제외하면 공연에서 선보인 적은 없다.[* 사실 이 점은 위에 언급한 앞 앨범들의 명 발라드들과도 비슷한 점이다. '지금처럼'은 2집 콘서트때 짧은 버전으로 한 번, 'On&On'은 라이브 공연 전무. 예외로 'One'은 2, 3집 콘서트는 물론 [[뮤직뱅크]]에서도 부른 적이 있다.] ==== 뮤직비디오 ==== ||<:>'''{{{+1 노을..바라보다 (Picture Of You)}}}[br]Music Video'''||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youtube(GAijIAS-WkY)]}}}|| === Crazy Love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youtube(tzK_aV74718)]}}}|| ||{{{#!wiki style="word-break: keep-all; 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90deg, #cd011b, #000, #000)" '''{{{-1 Track 04}}}[br]{{{+3 Crazy Love}}}'''[br]'''3' 42"'''}}}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가사 보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ALL {{{#FF0000 영웅재중}}} {{{#ff8c00 유노윤호}}} {{{#228B22 믹키유천}}} {{{#1290FF 시아준수}}} {{{#9400D3 최강창민}}}''' || || {{{#!wiki style="word-break: break-all; margin: 10px 0px" {{{#9400D3 평소엔 안 그러던 내 마음 한구석 심장 없는 로봇처럼 가만히 죽은 척 그녈 가슴에 두고 I’ve been hurting so much 모두 반대하는 그녀는 나의 Number 1}}} {{{#FF0000 (그게 나도 이런 날 몰라)}}} {{{#1290FF 몇 천 번이고 맘을 고쳐 봐도 안 돼요}}} {{{#1290FF (Baby I know U know I want Ya)}}} {{{#FF8C00 너를 향한 내 맘 다들 모르죠}}} {{{#FF0000 그대 듣지 말아요 헛된 이야기들 그 누구보다 그댈 믿어주는 난 세상을 향해 외쳐요}}} 누가 뭐라 해도 You’re my crazy love 미쳤다고 해도 Just can’t get enough 이런 나의 맘을 그댄 알아주겠죠 {{{#228B22 Baby my heart beats for you}}} {{{#1290FF 사람들은 자주 계산하지 마치 사고파는 물건같이 뭔가 더 원하지 (더 원하지) 역시 더 나은 L O V E를 기대하며 살지 하지만 그건 내가 아니지 }}} {{{#FF0000 (그게 나도 이런 내가 싫어)}}} {{{#9400D3 몇 만 번이고 고갤 돌려봐도 안 돼 (Yo)}}} {{{#1290FF (Baby I know U know I want Ya)}}} {{{#FF0000 너 없이 안 되는 날 받아줘}}} {{{#228B22 아름다운 것들은 영원하지 않죠 언제까지나 나를 믿어주는 넌 그 무엇보다 소중해}}} 누가 뭐라 해도 You’re my crazy love 미쳤다고 해도 Just can’t get enough 이런 나의 맘을 그댄 알아주겠죠 {{{#1290FF Baby my heart beats for you}}} {{{#FF8C00 사랑한 게 죈가요 (사랑한 게) 멈출 수가(멈출 수가) 없어요 아무도 이해할 수 없어도}}} {{{#FF0000 그댈 사랑해요}}} {{{#9400D3 (Baby I love you)}}} {{{#228B22 그댈 힘들게 해}}} {{{#9400D3 (맘이 아파요)}}} {{{#1290FF 이런 나의 맘을 아무도 몰라줘도}}} {{{#9400D3 그대면 돼}}} 누가 뭐라 해도 You’re my crazy love 미쳤다고 해도 Just can’t get enough 이런 나의 맘을 그댄 알아주겠죠 {{{#FF8C00 One more time}}} 누가 뭐라 해도 You’re my crazy love 미쳤다고 해도 Just can’t get enough 이런 나의 맘을 그댄 알아주겠죠 {{{#9400D3 Baby my heart beats for you}}} {{{#FF0000 알아요 It’s my crazy love for you}}} }}} || }}}}}}}}} || === Hey! (Don't Bring Me Down)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youtube(l2lDzulaEpA)]}}}|| ||{{{#!wiki style="word-break: keep-all; 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90deg, #cd011b, #000, #000)" '''{{{-1 Track 05}}}[br]{{{+3 Hey! (Don't Bring Me Down)}}}'''[br]'''4' 11"'''[br][br]{{{-2 '''히트 작곡가 유영진이 선사한 S.M.P(SM Music Performance) 장르의 ‘HEY!(Don’t bring me down)는 드럼의 강한 사운드와 비트박스가 인상적이며, 동방신기의 파워풀한 퍼포먼스를 기대하기에 충분하다.'''}}}}}}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가사 보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ALL {{{#FF0000 영웅재중}}} {{{#ff8c00 유노윤호}}} {{{#228B22 믹키유천}}} {{{#1290FF 시아준수}}} {{{#9400D3 최강창민}}}''' || || {{{#!wiki style="word-break: break-all; margin: 10px 0px" {{{#228B22 내게 떠나란 말 이제는 끝 이란 말 언제나 하고 싶은 대로 나를 움직여도 너의 투정일 뿐 이라는 걸 나는 알아 네가 그런다고 달라지는 것은 없어}}} {{{#9400D3 (Cut up, cut up)}}} {{{#1290FF 이제 그만 나를 시험하지마}}} {{{#9400D3 (Cut up, cut up)}}} {{{#1290FF 그 모습에 내가 힘들잖아}}} {{{#FF8C00 여자들은 왜 자꾸 확인 받고 싶어}}} {{{#1290FF 남자들의 마음을 흔들까 whoo-yeah}}} {{{#9400D3 정해져 버린 것처럼 미래까지 보인다면 너무 재미없겠지만 매일 같은 말 매일 같은 식의 표현도 정말 재미없잖아}}} {{{#1290FF I say Hey! Don’t bring me down}}} 그저 그런 남자로 만들지마 {{{#9400D3 (Oh)}}} 사랑하는 법을 아는 남자라면 언제나 {{{#FF0000 멈춰있지 않는 길을 선택해}}} {{{#228B22 I Say Hey! Don’t break me down}}} 철새 같은 남자로 {{{#1290FF 보지마}}} 마지막 순간에 너의 사람이 누구인지 지켜봐 {{{#FF0000 (My only girl)}}} (Break it down now, Break it down now, Break it down Break it down now, Break it down now, Break it down Break it down now, Break it down now, Break it down Break it down now, Break it down now, Break it down) {{{#FF0000 내게 한눈 팔 생각도 하지 말란 말 예전보다 애정이 식었다는 말 너는 왜 그렇게 소중한 네 가치도 아직 모르는 거야}}} {{{#FF8C00 (자신 없어 보여)}}} {{{#1290FF 어울리지 않는 말}}} {{{#FF8C00 (정말 모르겠니)}}} {{{#1290FF You don’t know why loving you}}} {{{#FF8C00 (진짜 모르겠니)}}} {{{#1290FF 머리부터 발끝까지 너의 모든 것이 나를 사로잡아 버린 걸 }}} {{{#9400D3 너의 곁에서 절대 벽걸이처럼 지루한 내가 되고 싶지 않아 매일 같은 말 매일 같은 식의 표현도 정말 재미없잖아}}} {{{#FF0000 I Say Hey! Don’t bring me down}}} 그저 그런 남자로 만들지마 {{{#FF0000 (Oh)}}} 사랑하는 법을 아는 남자라면 언제나 {{{#1290FF 멈춰있지 않는 길을 선택해}}} {{{#228B22 I Say Hey! Don’t break me down}}} 철새 같은 남자로 {{{#FF0000 보지마}}} 마지막 순간에 너의 사람이 누구인지 지켜봐 {{{#1290FF (My only girl)}}} {{{#1290FF 다신 나를 흔들어볼 생각 하지 말아 있는 그대로의 나를 지켜봐}}} {{{#FF8C00 I need a girl, so I need your love. Don’t be gone bad you’re not kinda girl. let me love ya. Give me love ya Oh, give me some more.}}} {{{#FF0000 요즘 사람들의 시선에 맞춰 나를 가치 없는 남자로 만들려고 하지 마}}} {{{#FF8C00 I need a girl, I need a girl, I need you girl}}} {{{#9400D3 I say Hey! Don’t bring me down}}} 그저 그런 남자로 만들지마 {{{#9400D3 (Oh)}}} 사랑하는 법을 아는 남자라면 언제나 {{{#FF0000 멈춰있지 않는 길을 선택해}}} {{{#1290FF I Say Hey! Don’t break me down}}} 철새 같은 남자로 {{{#1290FF 보지마}}} 마지막 순간에 너의 사람이 누구인지 지켜봐 {{{#9400D3 (My only girl)}}} {{{#FF8C00 Hey! Don’t bring me down 그저 그런 남자로 만들지마 {{{#FF0000 (Oh)}}} 사랑하는 법을 아는 남자라면 언제나}}} ^^(윤호, 준수)^^멈춰있지 않는 길을 선택해 {{{#1290FF I Say Hey! Don’t break me down}}} 철새 같은 남자로 {{{#FF0000 보지마}}} 마지막 순간에 너의 사람이 누구인지 지켜봐 {{{#FF0000 (My only girl)}}} {{{#FF8C00 I need a girl girl I need you girl girl}}} }}} || }}}}}}}}} || === 넌 나의 노래 (You're My Melody)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youtube(tLiXnIs_cDg)]}}}|| ||{{{#!wiki style="word-break: keep-all; 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90deg, #cd011b, #000, #000)" '''{{{-1 Track 06}}}[br]{{{+3 넌 나의 노래 (You're My Melody)}}}'''[br]'''3' 32"'''[br][br]{{{-2 '''3집 수록곡 ON&ON의 느낌을 이어간다.'''}}}}}}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가사 보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ALL {{{#FF0000 영웅재중}}} {{{#ff8c00 유노윤호}}} {{{#228B22 믹키유천}}} {{{#1290FF 시아준수}}} {{{#9400D3 최강창민}}}''' || || {{{#!wiki style="word-break: break-all; margin: 10px 0px" {{{#FF0000 눈을 감으면 들려오는 소리들 그대의 마음을 그대의 작은 생각들을}}} {{{#1290FF 내 맘의 많은 잡음 때문에 듣지 못 했었나 봐 미안해 미안해}}} {{{#9400D3 눈물의 시간이 이젠 history}}} {{{#FF8C00 걱정하지마 Because}}} {{{#FF0000 You're my melody 너를 연주할께 On & On (and on & on & on) 넌 나의 노래 내 삶의 사운드트랙}}} {{{#228B22 인생의 무댈 밝혀주는 너를 사랑해 또 불러줄래 넌 나의 노래}}} {{{#FF8C00 I'm sorry 란 말을 하기 싫었던 자존심 많았던 너무도 맘이 가난했던}}} {{{#9400D3 내 영혼이 말라가고 있을 때 모든게 무너질 때 내게 와줄래}}} {{{#FF0000 슬픔의 시간도 노래처럼 꼭}}} {{{#228B22 끝이 있는걸 Because}}} {{{#1290FF It's your love your love 내게 사랑을 들려주던 (and on & on & on) 그댄 나의 리듬 내 삶의 선물}}} {{{#9400D3 늘 항상 곁에서 아름다운 꿈이 되어줘 또 불러줄래 넌 나의 노래}}} {{{#FF0000 수 없이도 많은 sad love songs sad love songs 우릴 노래하는 것 같아도}}} {{{#FF8C00 이 순간 내 곁을 지켜주는 그댄 무엇보다 소중한걸요}}} {{{#1290FF 눈을 감으면 들려오는 소리들 그대의 마음을 이젠 불러요}}} {{{#FF0000 You're my melody 너를 연주할께 On & On (and on & on & on) 넌 나의 노래 내 삶의 사운드트랙}}} {{{#228B22 인생의 무댈 밝혀주는 너를 사랑해 또 불러줄래 넌 나의 노래}}} {{{#1290FF It's your love your love 내게 사랑을 들려주던 (and on & on & on) 그댄 나의 리듬 내 삶의 선물}}} {{{#9400D3 늘 항상 곁에서 아름다운 꿈이 되어줘 또 불러줄래}}} ^^(창민, 재중)^^넌 나의 노래 {{{#1290FF lt's your love your love 내게 사랑을 들려주던 (and on & on & on) 그댄 나의 리듬 내 삶의 선물}}} {{{#9400D3 늘 항상 곁에서 아름다운 꿈이 되어줘 또 불러줄래}}} ^^(창민, 재중)^^넌 나의 노래 }}} || }}}}}}}}} || === 무지개 (Rainbow)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youtube(-Y4jB8vPhug)]}}}|| ||{{{#!wiki style="word-break: keep-all; 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90deg, #cd011b, #000, #000)" '''{{{-1 Track 07}}}[br]{{{+3 무지개 (Rainbow)}}}'''[br]'''4' 09"'''[br][br]{{{-2 ''' 애시드 재즈곡이다.'''}}}}}}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가사 보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ALL {{{#FF0000 영웅재중}}} {{{#ff8c00 유노윤호}}} {{{#228B22 믹키유천}}} {{{#1290FF 시아준수}}} {{{#9400D3 최강창민}}}''' || || {{{#!wiki style="word-break: break-all; margin: 10px 0px" {{{#228B22 Bye bye my sweet love 철없던 날에 안녕 가끔은 그리워 가끔은 또 외로워 }}} {{{#FF0000 세상에 흔하디흔한 말 다 변하는 거라고}}} {{{#1290FF (baby baby 다 변한다고) }}} {{{#FF8C00 Bye bye my sweet love 뛰놀던 작은 동네가 전부인줄만 알았던 그 어린 시절아}}} 계절은 흐르고 내 젊은 날 이제 막 시작됐어 눈부시게 {{{#1290FF 그 어느 날 소나기}}} 흠뻑 맞은 채로 찾아낸 무지개처럼 어른이 돼가고 친구들은 다른 것들을 말해 그런 걸까? {{{#9400D3 잃고 싶지는 않았고}}} 갇히고도 싶진 않았던 꿈을 찾아가 {{{#9400D3 Bye bye sweet love 어렸던 꿈에 안녕 가끔은 그리워 가끔은 또 우스워 이제는 알 것 같아 전부 다 소중한데 말야}}} {{{#228B22 (baby baby I’m losing my mind) }}} {{{#1290FF Bye bye my sweet love 저녁 붉은 노을에도 눈물이 나던 그 녀석 그 어린 시절아}}} 계절은 흐르고 내 젊은 날 이제 막 시작됐어 눈부시게 {{{#228B22 그 어느 날 소나기}}} 흠뻑 맞은 채로 찾아낸 무지개처럼 어른이 돼가고 친구들은 다른 것들을 말해 그런 걸까? {{{#FF8C00 잃고 싶지는 않았고}}} 갇히고도 싶진 않았던 꿈을 꿈을 찾아{{{#FF0000 가}}} {{{#1290FF 땀 맺힌 이마 위 갈색 머리카락도}}} {{{#FF0000 점점 옅어져 희미해 질 때면 난 웃고 있을까}}} 계절은 흐르고 내 젊은 날 이제 막 시작됐어 눈부시게 그 어느 날 소나기 흠뻑 맞은 채로 찾아낸 무지개처럼 어른이 돼가고 친구들은 다른 것들을 말해 그런 걸까? 잃고 싶지는 않았고 갇히고도 싶진 않았던 꿈을 꿈을 찾아가 }}} || }}}}}}}}} || === 낙원 (Paradise)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youtube(T_kmG4897Jw)]}}}|| ||{{{#!wiki style="word-break: keep-all; 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90deg, #cd011b, #000, #000)" '''{{{-1 Track 08}}}[br]{{{+3 낙원 (Paradise)}}}'''[br]'''4' 38"'''[br][br]{{{-2 '''인도 악기 Sitar가 독특한 느낌을 선사한다.'''}}}}}}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가사 보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ALL {{{#FF0000 영웅재중}}} {{{#ff8c00 유노윤호}}} {{{#228B22 믹키유천}}} {{{#1290FF 시아준수}}} {{{#9400D3 최강창민}}}''' || || {{{#!wiki style="word-break: break-all; margin: 10px 0px" {{{#FF0000 거룩한 운명처럼 거부감 없이 이끌려 사랑에 빠진 후부터}}} {{{#9400D3 공기가 왠지 맑아지고 물 맛도 정말 달아요 믿을 수 없는 기적들}}} {{{#1290FF 자꾸 눈을 비비며 꿈 아닐까 확인해}}} {{{#1290FF (벌써 몇 달이 지났는데)}}} {{{#1290FF 나는 오늘도 눈부신 그댈 보며 말해}}} {{{#228B22 단 둘. 단둘만 있으면 어디든 행복의 낙원처럼 느끼는 내 맘 아나요}}} {{{#9400D3 (My boo my boo)}}} {{{#FF0000 하루하루 더 빨리 흘러서 그대의 멋진 남편이 되길 소원하며 살아요}}} {{{#FF8C00 눈물이 모두 마른 듯 슬펐던 기억 없는 듯 기쁨이란 감정만 남았죠}}} {{{#228B22 두렵던 여름 폭풍도 못 견디던 한겨울 추위도 그댈 지켜줄 이유가 되었죠}}} {{{#1290FF 모든 것에 감사한 삶을 살게 해주는}}} {{{#9400D3 (그대라는 존재 위해)}}} {{{#1290FF 할 수 있는 일 그 무엇이라도 해볼 거야}}} {{{#9400D3 단 둘. 단둘만 있으면 어디든 행복의 낙원처럼 느끼는 내 맘 아나요}}} {{{#FF0000 (My boo my boo)}}} {{{#FF8C00 하루하루 더 빨리 흘러서 나만의 예쁜 아내가 되길 소원하며 살아요}}} {{{#9400D3 잠을 쫓는 설레임에 온 밤을 새워도 좋아 눈을 크게 떠 그대 사진 보는 게 더 좋아}}} {{{#FF0000 내게 보이는 천국의 세계 그대 역시 보고 있기를 기도해요 온 맘으로 Baby forever you and I}}} {{{#FF8C00 발끝 닿는 곳 어디든 그대를 업고 달려가고 싶은 기분 이해 하나요}}} {{{#1290FF 하늘 태양과 달이 머무는 저 높은 곳을 함께 날아서 여행하고 싶어요}}} {{{#9400D3 단 둘. 단둘만 있으면 어디든 행복의 낙원처럼 느끼는 내 맘 아나요}}} {{{#FF0000 하루하루 더 빨리 흘러서 그대의 멋진 남편이 되길 소원하며 살아요}}} {{{#FF8C00 그대의 멋진 남편이 되길 소원하며 살아요}}} {{{#1290FF 단 둘이면 어디든 낙원이죠}}} ({{{#9400D3 함께라면 좋아요 you and I)}}} {{{#FF0000 My Boo}}} }}} || }}}}}}}}} || === 악녀 (Are You A Good Girl?)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youtube(-x9q7GEVvWU)]}}}|| ||{{{#!wiki style="word-break: keep-all; 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90deg, #cd011b, #000, #000)" '''{{{-1 Track 09}}}[br]{{{+3 악녀 (Are You A Good Girl?)}}}'''[br]'''4' 10"'''[br][br]{{{-2 '''신나는 클럽댄스곡이다.'''}}}}}}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가사 보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ALL {{{#FF0000 영웅재중}}} {{{#ff8c00 유노윤호}}} {{{#228B22 믹키유천}}} {{{#1290FF 시아준수}}} {{{#9400D3 최강창민}}}''' || || {{{#!wiki style="word-break: break-all; margin: 10px 0px" {{{#FF0000 쥐었다 놓았다 나를 맘대로 주물러}}} {{{#228B22 꼼짝도 못하게 너무 나를 주물러}}} {{{#9400D3 어쩜 그래 나에게만 그렇게 냉정한 건지}}} {{{#1290FF 왜 하필 내겐 카리스마 같은 게 없는지 Oh ho}}} Are you a good girl? (good girl) ^^(윤호, 유천)^^너는 내가 감당할 수 없는 girl Are you a good girl? (good girl) ^^(윤호, 유천)^^너는 너무 감당하기 벅찬 girl {{{#9400D3 진심을 다 해도 먹혀들지 않는 너}}} {{{#1290FF 쏟아 부어도 절대 만족하지 않는 너}}} {{{#FF0000 하루에 열 번은 짜증 섞인 말투로}}} {{{#FF8C00 그 나머지 열 번도 토라진 듯 얼굴로}}} {{{#9400D3 어쩜 그래 매일 같은 상황이 반복 되잖아}}} {{{#1290FF 왜 있는 그대로의 나를 인정할 수 없는지}}} Are you a good girl? (good girl) ^^(윤호, 유천)^^너는 내가 감당할 수 없는 girl Are you a good girl? (good girl) ^^(윤호, 유천)^^너는 너무 감당하기 벅찬 girl Are you a good girl? (good girl) ^^(윤호, 유천)^^나를 가만두지 않는 대찬 girl Are you a good girl? (good girl) {{{#FF8C00 근데 사랑할 수밖에 없는 girl}}} {{{#FF0000 Return to love 정말 좋았었잖니}}} ({{{#9400D3 우리 100일 때 첫 키스도 기억해)}}} {{{#1290FF 세심한 내 배려가 감동적이라며 내 품에 안겨 네가 속삭였잖아}}} {{{#FF8C00 주변사람들의 시선에도 넌 언제나 그렇게 신경만 써 좀 복잡하지 않게 자유롭게 날 그렇게 대해주면 안될까}}} {{{#228B22 난 뭐니 뭐니 뭐니 해도 네게 열광하는 Big fan 난 절대 너를 이겨보려 하지 않아 우리 사인 네가 짱 먹으셈}}} Are you a good girl? (good girl) ^^(윤호, 유천)^^너는 내가 감당할 수 없는 girl Are you a good girl? (good girl) ^^(윤호, 유천)^^너는 너무 감당하기 벅찬 girl {{{#9400D3 진심을 다 해도 먹혀들지 않는 너}}} {{{#1290FF 쏟아 부어도 절대 만족하지 않는 너}}} {{{#FF8C00 (절대로 만족하지 않는 너)}}} }}} || }}}}}}}}} || ==== 뮤직비디오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padding: 5px 10px 6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90deg, #cd011b, #000, #000)" '''{{{+1 악녀 (Are You A Good Girl?)}}}[br]Music Video'''}}}||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youtube(DSSegg5GEMY)]}}}|| === Flower Lady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youtube(M2KfKlQawlU)]}}}|| ||{{{#!wiki style="word-break: keep-all; 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90deg, #cd011b, #000, #000)" '''{{{-1 Track 10}}}[br]{{{+3 Flower Lady}}}'''[br]'''3' 52"'''}}}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가사 보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ALL {{{#FF0000 영웅재중}}} {{{#ff8c00 유노윤호}}} {{{#228B22 믹키유천}}} {{{#1290FF 시아준수}}} {{{#9400D3 최강창민}}}''' || || {{{#!wiki style="word-break: break-all; margin: 10px 0px" ^^(재중, 유천)^^라라라라라라 라라 라라따 {{{#1290FF 찬란한 저 햇살의 반짝임 한가로운 바람 나의 곁을 맴돌 때 보이는 모든 풍경에 스며든 너를 찾게 돼 어쩜 이렇게 향기로운지 마치 꿈결처럼}}} ^^(유천, 창민)^^Like flowers my Lady 어디도 갈 수 없게 내 심장 안에 뿌리를 내려서 (Stay with me) {{{#228B22 너무 아름다운}}} (Shine your leaves) {{{#228B22 가득 피어나줄래 나만 볼 수 있게 Stay you stay always}}} ^^(준수, 윤호)^^라라라 라라라라라라 라라라 라라라라라라 라라 라라따 라라라 예이예 {{{#FF0000 촉촉한 네 꽃잎 모아 담아 사랑을 속삭이는 입술에 내려앉아}}} ^^(재중, 창민)^^가득한 내 열정을 네게 전해 주고파 {{{#FF0000 절대 마르지 않을 나의 이 사랑을 Baby}}} ^^(준수, 윤호)^^Like flowers my Lady 싱그런 네 몸짓도 환한 미소도 부드런 입술도 (Stay with me) {{{#FF8C00 오직 내 곁에서}}} (Blow my Heart) {{{#FF8C00 매일 피어나줄래 }}} 평생 내 가슴에 {{{#1290FF Stay you stay}}} (always) {{{#9400D3 바람에 흩날리는 날도 나를 향하기를 널 활짝 웃게 하는 햇살 내가 되길 가득하길}}} {{{#1290FF 동화 속 어린 왕자처럼 길들여가길 그저 사랑 앞에 So stay}}} (Stay with me) {{{#FF0000 너무 아름다운}}} (Shine your leaves) {{{#FF0000 가득 피어나줄래 나만 볼 수 있게 Stay you stay always}}} (Stay with me) {{{#9400D3 오직 내 곁에서}}} (Blow my Heart) {{{#9400D3 매일 피어나줄래 평생 내 가슴에 Stay you stay always}}} Stay With Me Shine your leaves Stay you stay always }}} || }}}}}}}}} || === 잊혀진 계절 (Forgotten Season)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youtube(oi9tq_sO3Bs)]}}}|| ||{{{#!wiki style="word-break: keep-all; 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90deg, #cd011b, #000, #000)" '''{{{-1 Track 11}}}[br]{{{+3 잊혀진 계절 (Forgotten Season)}}}'''[br]'''4' 21"'''[br][br]{{{-2 '''1980년대 히트 곡 ‘잊혀진 계절’, 영웅재중 솔로곡으로 재탄생!'''}}}}}}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가사 보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wiki style="word-break: break-all; margin: 10px 0px" 지금도 기억하고 있어요 시월의 마지막 밤을 뜻 모를 이야기만 남긴 채 우리는 헤어졌지요 그 날의 쓸쓸했던 표정이 그대의 진실인가요 한 마디 변명도 못하고 잊혀져야 하는 건가요 언제나 돌아오는 계절은 나에게 꿈을 주지만 이룰 수 없는 꿈은 슬퍼요 나를 울려요 지금도 기억하고 있어요 시월의 마지막 밤을 뜻 모를 이야기만 남긴 채 우리는 헤어졌지요 그 날의 쓸쓸했던 표정이 그대의 진실인가요 한 마디 변명도 못하고 잊혀져야 하는 건가요 언제나 돌아오는 계절은 나에게 꿈을 주지만 이룰 수 없는 꿈은 슬퍼요 나를 울려요 }}} || }}}}}}}}} || === [[Love in the Ice]] === [include(틀:다른 뜻1, other1=일본어 버전, rd1=Love in the Ice, paragraph1=3)]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youtube(vspM47RersU)]}}}||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90deg, #cd011b, #000, #000); color: #ffffff" '''{{{-1 Track 12}}}[br]{{{+3 Love in the Ice}}}'''[br]'''5' 17"'''[br][br]{{{-2 '''일본 3번째 앨범 ‘T’에 수록된 발라드 곡 ‘Love in the Ice’의 한국어 버전으로, 최강창민이 직접 작사를 맡아 팬들의 더욱 뜨거운 반응이 기대된다.'''}}}}}}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가사 보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ALL {{{#FF0000 영웅재중}}} {{{#ff8c00 유노윤호}}} {{{#228B22 믹키유천}}} {{{#1290FF 시아준수}}} {{{#9400D3 최강창민}}}''' || || {{{#!wiki style="word-break: break-all; margin: 10px 0px" {{{#FF0000 식어버린 작은 손 차갑게 떨리는 입술 아무 일도 없었다고 고개 숙인 체}}} {{{#9400D3 누군가를 추억하는 네 모습 두려운거니 입 안에서 맴도는 말 애써 삼키며}}} {{{#228B22 외면 했었던 뒷모습이 새하얀 눈처럼 조금씩 녹아내려}}} {{{#FF0000 어두워진 밤하늘을 떠나지 않는 별처럼 사랑이란 믿음으로 영원히 함께 하는 꿈}}} ^^(준수, 윤호)^^그 사람 내가 될 수 있다면 다시 한 번 굳어버린 그대 맘을 영원의 따스함으로 감싸 안을거야 {{{#228B22 현실의 벽에 부딪혀}}} {{{#FF0000 시려오는 가슴이라도}}} ^^(유천, 재중)^^흘러내린 눈물의 끝에는 {{{#FF8C00 흐려져가던 빛줄기가}}} {{{#9400D3 어둠속을 환하게 비추고}}} ^^(윤호, 창민)^^그 시간에 스며들어 {{{#FF0000 숨이 멎을 벅찬 가슴에}}} 뜨거운 체온을 서로 느낄 수 있어 ^^(재중, 준수)^^누구라도 안고있는 상처와 깊은 한숨들 끌어안아 줄 수 있는 그 공간을 찾고 있어 ^^(재중, 윤호)^^나 단 한 사람 그대에게만 속삭이는 설레임에 눈이 부신 그 날의 세상이 되어 곁에 있을테니 {{{#1290FF 세상끝에 홀로 {{{#FF0000 (My heart)}}} 남겨졌다고 혼자였다고 {{{#FF8C00 (Don't be afraid)}}} 아주 오래도록 {{{#9400D3 (Let you know my love)}}} 내가 지켜낼 {{{#228B22 (you know)}}} 사랑이니까 {{{#228B22 (Let you know my love)}}}}}} 어두워진 밤하늘을 떠나지 않는 별처럼 사랑이란 믿음으로 영원히 함께 하는 꿈 그 사람 내가 될 수 있다면 다시 한 번 굳어버린 그대 맘을 영원의 따스함으로 감싸 안을거야 }}} || }}}}}}}}} || === 주문-MIROTIC (Clean Ver.)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youtube(_LeoJwuDi1o)]}}}|| ||{{{#!wiki style="word-break: keep-all; 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90deg, #cd011b, #000, #000)" '''{{{+3 주문-MIROTIC}}}'''[br]'''3' 28"'''[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order: 1px solid #fff; background: #fff; font-size: 0.6em; color: #000" '''TITLE'''}}}}}}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가사 보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ALL {{{#FF0000 영웅재중}}} {{{#ff8c00 유노윤호}}} {{{#228B22 믹키유천}}} {{{#1290FF 시아준수}}} {{{#9400D3 최강창민}}}''' || || {{{#!wiki style="word-break: break-all; margin: 10px 0px" {{{#FF0000 시작은 달콤하게, 평범하게 나에게 끌려 언제나 그랬듯이 먼저 말을 걸어와}}} {{{#9400D3 모든 가능성, 열어둬 Oh-}}} {{{#1290FF 사랑은 뭐다? 뭐다! 이미 수식어 Red ocean 난, breakin' my rules again 알잖아 지루한 걸}}} {{{#228B22 조금 다쳐도 넌, 괜찮아 Oh-}}} 넌 나를 원해 넌 내게 빠져 넌 내게 미쳐 헤어날 수 없어 {{{#FF8C00 I got you- Under my '''sky'''}}} 넌 나를 원해 넌 내게 빠져 넌 내게 미쳐 넌 나의 노예 {{{#FF0000 I got you- Under my '''sky'''}}} {{{#9400D3 네 머릿속을 파고드는 날카로운 눈빛 나 아니고선, 움직이지도 않는 Chrome heart }}} {{{#1290FF 네가 선택한 길인걸 Oh- }}} {{{#228B22 혈관을 타고 흐르는 수억 개의 나의 Crystal 마침내 시작된 변신의 끝은 나}}} {{{#FF8C00 이것도 사랑은 아닐까? Oh-}}} 넌 나를 원해 넌 내게 빠져 {{{#9400D3 (Oh~)}}} 넌 내게 미쳐 헤어날 수 없어 {{{#9400D3 (Oh~)}}} {{{#1290FF I got you- Under my '''sky'''}}} 넌 나를 원해 {{{#1290FF (넌 나를 원해)}}} 넌 내게 빠져 {{{#9400D3 (Oh~)}}} 넌 내게 미쳐 {{{#1290FF (넌 내게 미쳐)}}} 넌 나의 노예 {{{#9400D3 (Oh~)}}} {{{#9400D3 I got you- Under my '''sky'''}}} {{{#FF8C00 한 번의 키스와 함께 -날이 선 듯한- 강한 이끌림}}} {{{#228B22 두 번의 키스, 뜨겁게 터져버릴 것 같은 네 심장을}}} {{{#FF8C00 Yeah~ 너를 '''택했어'''[* 수정된 부분] You know you got it!}}} {{{#9400D3 Yeah~}}} {{{#FF8C00 Come on! Come on!}}} {{{#1290FF I got you- Under my '''sky''' 네 꿈 속에 난 널 지배하는 마법사 {{{#FF0000 (네 꿈속에~)}}} {{{#9400D3 (Oh~)}}} 내 주문에 넌 다시 그려지고 있어}}} {{{#FF0000 (그려지고 있어~)}}} {{{#9400D3 (Oh~)}}} {{{#228B22 I got you- Under my '''sky''' My devils ride, 더는 숨을 곳이 없잖아 {{{#9400D3 (Oh~)}}} {{{#1290FF (My superstition knock down) }}} 그렇다면 이젠 즐겨 보는 게 어떨까 }}} {{{#1290FF (You know i got you go down on me)}}} {{{#FF0000 I got you- Under my '''sky'''}}} {{{#1290FF (whoo~under my '''sky'''~)}}} 넌 나를 원해 {{{#FF0000 hey hey}}} {{{#9400D3 Hey~ Yeah~}}} 넌 내게 빠져 넌 내게 미쳐 {{{#FF0000 hey hey}}} {{{#9400D3 My babe babe babe babe~}}} 헤어날 수 없어 {{{#9400D3 Wow~wow~wow~}}} {{{#FF8C00 I got you Under my '''sky'''}}} 넌 나를 원해 {{{#FF0000 Yeah~Yeah}}} 넌 내게 빠져 {{{#FF0000 Yeah~Yeah}}} 넌 내게 미쳐 {{{#FF0000 Yeah~ wow~}}} 넌 나의 노예 {{{#FF0000 Wow~}}} I got you- Under my '''sky''' }}} || }}}}}}}}} || == 앨범 버전 및 트랙리스트 == 본 앨범의 오리지널 곡이 아닌 각각 리메이크, 번안곡인 점이 작용해서인지 DVD가 수록된 B 버전에는 트랙상의 맨 마지막의 두 곡이 수록되어 있지 않다. 어찌보면 오리지널 트랙이 아닌 보너스 트랙으로 이해해도 무리가 없다고 생각된다. 이는 [[AVEX]]와의 오랜 제휴 관계를 맺으면서 터득한 상술로 보인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동방신기미로틱A버전.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동방신기미로틱B버전.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동방신기미로틱C버전.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동방신기미로틱D버전.jpg|width=100%]]}}} || || {{{#ffffff '''A버전'''}}} || {{{#ffffff '''B버전'''}}} || {{{#ffffff '''C버전'''}}} || {{{#ffffb3 '''D버전'''}}} || ===# A버전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5> '''{{{#fff The 4th Album 《MIROTIC》}}}''' || ||<-5> 2008. 09. 26. (금) 발매 || || {{{-2 '''트랙'''}}} || {{{-2 '''곡명'''}}} || {{{-2 '''작사'''}}} || {{{-2 '''작곡'''}}} || {{{-2 '''편곡'''}}} || || {{{-2 '''01'''}}} || {{{-1 '''주문-MIROTIC'''}}}[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order: 1px solid #000; background: #000; font-size: 0.6em" {{{#ffffff '''TITLE'''}}}}}} || {{{-2 [[유영진(작곡가)|유영진]]}}} || {{{-2 SIGVARDT / Thomas Troelsen / Sarah Connor / Lucas Secon}}} || {{{-2 [[유영진(작곡가)|유영진]]}}} || || {{{-2 '''02'''}}} || {{{-1 [[Wrong Number]]}}} || {{{-2 강준우}}} || {{{-2 Marvin Ambrosius / Christopher Lee-Joe / Iain James / Philippe Anquetil}}} || {{{-2 유한진}}} || || {{{-2 '''03'''}}} || {{{-1 노을..바라보다 (Picture Of You)}}} || {{{-2 [[김준수(JYJ)|김준수]]}}} || {{{-2 Tuohey Alfred Dale / Bui Thanh Vu}}} || {{{-2 LeeOn (이재명)}}} || || {{{-2 '''04'''}}} || {{{-1 Crazy Love}}} ||<-3> {{{-2 김영후}}} || || {{{-2 '''05'''}}} || {{{-1 Hey! (Don't Bring Me Down)}}} ||<-3> {{{-2 [[유영진(작곡가)|유영진]]}}} || || {{{-2 '''06'''}}} || {{{-1 넌 나의 노래 (You're My Melody)}}} || {{{-2 김영후}}} ||<-2> {{{-2 JV / Sean Alexander / Pascal "Claps" Guyon}}} || || {{{-2 '''07'''}}} || {{{-1 무지개 (Rainbow)}}} ||<-3> {{{-2 Kenzie}}} || || {{{-2 '''08'''}}} || {{{-1 낙원 (Paradise)}}} || {{{-2 휘성}}} ||<-2> {{{-2 Kevin Kumar / Sean Kumar}}} || || {{{-2 '''09'''}}} || {{{-1 악녀 (Are You A Good Girl?)}}} ||<-3> {{{-2 [[유영진(작곡가)|유영진]]}}} || || {{{-2 '''10'''}}} || {{{-1 Flower Lady}}} || {{{-2 조윤경}}} || {{{-2 Andrew Omar Grange / Rupert Lloyd Gayle / Micah Samuel Williams}}} || {{{-2 유한진}}} || || {{{-2 '''11'''}}} || {{{-1 잊혀진 계절 (Forgotten Season)}}} || {{{-2 [[박건호]]}}} || {{{-2 [[이범희]]}}} || {{{-2 홍석}}} || || {{{-2 '''12'''}}} || {{{-1 [[Love in the Ice|Love In the Ice]]}}} || {{{-2 [[최강창민]]}}} || {{{-2 스즈키 다이스케}}} || {{{-2 스즈키 다이스케 / 사이토 유야}}} || }}} ===# B버전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5> '''{{{#fff The 4th Album 《MIROTIC》}}}''' || ||<-5> 2008. 09. 26. (금) 발매 || || {{{-2 '''트랙'''}}} || {{{-2 '''곡명'''}}} || {{{-2 '''작사'''}}} || {{{-2 '''작곡'''}}} || {{{-2 '''편곡'''}}} || || {{{-2 '''01'''}}} || {{{-1 '''주문-MIROTIC'''}}}[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order: 1px solid #000; background: #000; font-size: 0.6em" {{{#ffffff '''TITLE'''}}}}}} || {{{-2 [[유영진(작곡가)|유영진]]}}} || {{{-2 SIGVARDT / Thomas Troelsen / Sarah Connor / Lucas Secon}}} || {{{-2 [[유영진(작곡가)|유영진]]}}} || || {{{-2 '''02'''}}} || {{{-1 [[Wrong Number]]}}} || {{{-2 강준우}}} || {{{-2 Marvin Ambrosius / Christopher Lee-Joe / Iain James / Philippe Anquetil}}} || {{{-2 유한진}}} || || {{{-2 '''03'''}}} || {{{-1 노을..바라보다 (Picture Of You)}}} || {{{-2 [[김준수(JYJ)|김준수]]}}} || {{{-2 Tuohey Alfred Dale / Bui Thanh Vu}}} || {{{-2 LeeOn (이재명)}}} || || {{{-2 '''04'''}}} || {{{-1 Crazy Love}}} ||<-3> {{{-2 김영후}}} || || {{{-2 '''05'''}}} || {{{-1 Hey! (Don't Bring Me Down)}}} ||<-3> {{{-2 [[유영진(작곡가)|유영진]]}}} || || {{{-2 '''06'''}}} || {{{-1 넌 나의 노래 (You're My Melody)}}} || {{{-2 김영후}}} ||<-2> {{{-2 JV / Sean Alexander / Pascal "Claps" Guyon}}} || || {{{-2 '''07'''}}} || {{{-1 무지개 (Rainbow)}}} ||<-3> {{{-2 Kenzie}}} || || {{{-2 '''08'''}}} || {{{-1 낙원 (Paradise)}}} || {{{-2 휘성}}} ||<-2> {{{-2 Kevin Kumar / Sean Kumar}}} || || {{{-2 '''09'''}}} || {{{-1 악녀 (Are You A Good Girl?)}}} ||<-3> {{{-2 [[유영진(작곡가)|유영진]]}}} || || {{{-2 '''10'''}}} || {{{-1 Flower Lady}}} || {{{-2 조윤경}}} || {{{-2 Andrew Omar Grange / Rupert Lloyd Gayle / Micah Samuel Williams}}} || {{{-2 유한진}}} || ||<-5> {{{#ffffff '''DVD'''}}} || || {{{-2 '''01'''}}} ||<-4> Directed by HERO (Interviewee : U-Know) || || {{{-2 '''02'''}}} ||<-4> Directed by U-Know (Interviewee : MAX) || || {{{-2 '''03'''}}} ||<-4> Directed by MAX (Interviewee : Xiah) || || {{{-2 '''04'''}}} ||<-4> Directed by Xiah (Interviewee : Micky) || || {{{-2 '''05'''}}} ||<-4> Directed by Micky (Interviewee : HERO) || || {{{-2 '''06'''}}} ||<-4> Directed by TVXQ! - Talk about 'MIROTIC' || || {{{-2 '''07'''}}} ||<-4> Directed by TVXQ! - Surprise Project 'a-nation'08 Diary' || }}} == 앨범 이미지 == ||<-5><:>{{{#!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90deg, #cd011b, #000, #000); color: #ffffff" '''{{{#fff The 4th Album 《MIROTIC》}}}'''}}}||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단체 티저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MIROTIC 단체.jpg|width=100%]]}}}||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개인 티저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MIROTIC HERO 1.jpg|width=100%]]}}}||{{{#!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MIROTIC HERO 2.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MIROTIC U-KNOW 1.jpg|width=100%]]}}}||{{{#!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MIROTIC U-KNOW 2.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MIROTIC MICKY 1.jpg|width=100%]]}}}||{{{#!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MIROTIC MICKY 2.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MIROTIC XIAH 1.jpg|width=100%]]}}}||{{{#!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MIROTIC XIAH 2.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MIROTIC MAX 1.jpg|width=100%]]}}}||{{{#!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MIROTIC MAX 2.jpg|width=100%]]}}}|| }}}}}}}}} || == 성적 == 그야말로 엄청난 성공을 거뒀다. 발매 첫 주에만 11만 장에 가까운 앨범들을 팔아치우면서 역대 첫 주에 가장 많이 팔린 앨범이 되었다.[* 한터 차트 기준. 이 기록은 2014년 [[중독(Overdose)|EXO 미니 2집]]이 발매되기 전까지 깨지지 않았다.] 특히 A, B, C의 세 가지 버전으로 발매되었었는데, 그 중에서 A 버전은 한 달 동안 208,000장이 판매되었다. 팬들의 증언에 따르면 A 버전으로만 50만 장을 넘겼다고 한다. 단일 앨범이 50만 장의 고지를 넘어선 것은 2004년에 발매된 [[서태지]]의 앨범 [[7th Issue]] 이후 4년만. 특히 피지컬 세일즈가 주를 이루던 2000년대 초반과는 달리 서서히 음원 중심으로 시장의 판도가 바뀌고 있던 당시의 흐름을 감안해보면 상당한 판매량이다. 물론 동방신기라는 그룹을 일본 활동을 통해 처음 접한 일부 팬들은 첫 주 동안 10만 장 밖에 못 파냐고 깐다. 여기서 명심해야 할 것은, 일본 가요계 내에서는 물론 유명 가수들의 정규 앨범의 경우 몇 십만 장씩 팔리는 건 기본이지만, 당시 한국 음악 시장의 규모 자체가 일본의 그것의 1/10 수준 밖에 지나지 않았다.[* 2016년 기준으로 일본은 6조 4097억, 한국은 9172억으로 약 7배 정도 차이난다.] 이 점을 감안하면 국내 시장에서 50만 장의 금자탑은 결코 쉽게 달성될 수 있는 것이 아니다. 2012년 7월 기준으로 A 버전 판매량이 61만 장이 된다고 한다. 그리고 2015년 기준 총803,682장을 달성 하였다. 단순히 세일즈 말고도 각종 음악 관련 시상식을 석권하기도 했다. 컴백 첫 주부터 음악 방송 프로그램들에 출연하여 1위를 싹쓸이하였으며[* [[뮤직뱅크]]는 제외. 음원에서는 [[원더걸스]] Nobody의 성적이 더 높아 음원만으로 1위를 결정하는 주간 차트에서 동방신기 최고 성적은 4위가 전부였다. 다만 음반 판매량을 반영하는 월간 차트에서는 원더걸스를 압도하고 1위를 기록했고, 여세를 몰아 연간 MVP 역시 달성했다.], 연말에는 [[마마 어워즈/역대 시상식/2000년대#MKMF|엠넷 KM 뮤직 페스티벌]](MKMF)[* 당시에는 시상식 명칭이 MAMA가 아닌 MKMF였다.] 올해의 앨범상과 [[골든디스크어워즈|골든디스크 시상식]] 음반부문 대상, 2008년까지는 온라인 시상식이었던 [[멜론 뮤직 어워드]] 올해의 아티스트상, 올해의 뮤직비디오상, 그리고 [[뮤직뱅크]] 연말결산 MVP까지 거머쥐면서 명실상부한 대한민국 최고의 아이돌 그룹임을 입증했다. 유일하게 받지 못한 대상은 2009년 초에 있었던 [[서울가요대상]] 하나 뿐이다.[* 2008년 [[서울가요대상]] 대상은 [[원더걸스]]가 석권하였다.] 상업적인 측면 뿐만 아니라 음악성에서도 성공을 거뒀는데, 특히 아이돌들에게는 평점을 박하게 매기기로 유명한 [[이즘|izm]][* 얼마나 박하냐면 아예 "아이돌이다."가 감점 요인에 들어가 있을 정도다.]에서조차 5점 만점 중 3.5점을 줬을 정도로 비평가들로부터 좋은 평가를 받았다. 특히, 수록곡인 미로틱은 그간 가요에서도 나오기 힘든 수준의 퀄리티가 높은 댄스곡이면서도 멤버들의 보컬능력이 완벽히 조화를 이룬 명곡이다. "시작은 달콤하게 평범하게 나에게 끌려", "넌 나를 원해" 그리고 "I got you~under my skin" 같은 유명한 가사들은 노래가 나온지 십수 년이 넘어서도 회자될 정도. == 활동 == 정규 3집 [["O"-正.反.合.]]를 통해 대한민국 음악계에서 어느덧 독보적인 영향력을 행사하는 가수로 자리매김하게 된 동방신기는 국내 활동을 마치고 지지부진했었던 일본 활동에 주력하게 된다. 일본에서 2007년 3월부터 2008년 1월까지 불과 10개월의 기간 동안 '''정규 앨범 2개 + 싱글 6개'''라는 엄청난 페이스의 프로모션을 진행하면서 그룹은 점차 일본 시장 내에서도 그 이름을 넓혀나가게 된다. 쉴 틈 없이 계속해서 진행되는 일본 활동 중에도 이미 2007년 중순 경부터 그룹은 국내 정규 4집 작업을 진행하게 되는데, 사실 작업 초기에는 2008년 초를 컴백 시기로 잡았었다고 한다. 작업 기간 동안 Purple Line과 주문-MIROTIC[* 작업할 동안은 주문이라는 제목으로 불렸다. 나중에 멤버 김재중의 의견으로 MIROTIC을 주문이라는 단어 뒤에 추가한 것이다.]의 두 곡을 놓고 어떤 것을 타이틀곡으로 할지 상당히 고심했다고 한다. 그도 그럴 것이 [[Purple Line]]은 [[유영진(작곡가)|유영진]]이 작사와 작곡의 전면에 배치된 [[SMP]] 곡이라면 주문은 여태껏 SM에서 소속 가수들의 타이틀곡으로 많이 밀어왔던 SMP 장르와는 다르게 오히려 유로 신스팝의 느낌이 많이 가미된 곡이기 때문이다. 그리하여 잠정적으로는 Purple Line을 타이틀곡으로 내세우기로 결정하며 컴백 준비를 했으나, 이후 동방신기가 일본에서 갑작스런 성장세를 겪게 되면서 결국 SM 측에서 국내 4집 컴백을 2008년 하반기로 미루고 Purple Line을 '''일본 싱글로 릴리즈하는''' 초강수를 두게 된다. 그리 하여 자동적으로 타이틀곡은 주문이 되었다. 타이틀곡 '주문'은 독일 출신 가수 '사라 코너'의 [[https://youtu.be/Orq_FI9h7_I|Under My Skin]]과 매우 흡사한데 같은 작곡가에게 구입했기 때문이다.[[http://entertain.naver.com/read?oid=117&aid=0001980765|#]] 여담으로 앞서 언급했듯이 그 동안 항상 [[유영진(작곡가)|유영진]]이 담당해왔었던 지난 국내 앨범의 타이틀곡들과는 달리 이번에는 유럽 작곡가들에게서 곡을 구입해 편곡하여 사용했다. 이는 비슷한 시기에 정통 [[SMP]] 곡인 '''[[돈 돈! (Don't Don)]]'''으로 활동하던 [[슈퍼주니어]]가 대중은 물론 팬덤으로부터도 외면받았던 것을 염두에 둔 결정인 듯하다. 물론 아직 이 때 당시까지만 하더라도 [[SM엔터테인먼트|SM]]에서 SMP에 대한 미련을 버리지 못했던지라, 원곡에서 상당히 많은 부분들에 수정이 가해졌다. 실제로 동방신기 버전과 원곡을 비교해서 들어보면 이게 같은 곡이 맞는가 싶을 정도이다. 물론 이러한 편곡 작업 덕분에 오늘날 대중들이 알고 있는 "주문-MIROTIC"이라는 곡이 탄생한 것이지만 말이다. === [[동방신기/음악 방송 #s-2.4|음악방송]]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동방신기/음악 방송, 문단=2.4)] === [[MIROTIC(콘서트)|콘서트]]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MIROTIC(콘서트))] == 여담 == * 동방신기 4집이 넘사벽으로 발전한 멤버들의 실력을 잘 보여줬냐에 대해서는 긍정적인 답을 할 수 없는 앨범이었지만, 적어도 '노을..바라보다 (Picture Of You)'만은 확실히 곡 자체의 퀄리티와 함께 멤버들의 실력을 잘 보여줬다는 평가다. 양대 리드보컬인 [[김재중|재중]]의 미성과 [[김준수(JYJ)|준수]]의 애절함이 모두 제 역할을 해 주는 가운데, 이 곡의 진짜 주인공으로 [[박유천|유천]]을 꼽는 팬들이 꽤 많다. 도입부와 종결부에서의 쇳소리 섞인 창법과 마지막 후렴 뒤로 깔리는 가성 애드립은, '목소리만 좋다'던 그간의 평가를 불식시키기에 충분한 고퀄리티.[* 다만 또 한 명의 서브보컬인 [[유노윤호|윤호]]의 경우, 감미로움과는 거리가 먼 자신의 음색상 한계를 끝내 극복하지 못한 모습을 보였다. 2절 도입부에서 [[양희은]] 비슷한 창법을 구사했는데, ~~항상 그렇기는 하지만~~ 팬 사이에서도 호불호가 강하게 갈린다. 물론 이 곡에서 유독 저점이 심하게 뜬 것이고, 이 앨범에선 유천과 함께 벌스 하나를 통으로 담당한 곡(Don't Say Goodbye), 심지어는 혼자서 클라이막스를 담당한 곡(Crazy Love)도 있을 정도로 크게 성장한 모습을 보여주기도 하였다.] * 3번 트랙 '노을..바라보다 (Picture Of You)'의 작사는 [[김준수(JYJ)|준수]]가 직접 했는데, 베란다에서 노을을 바라보며 [[팬티]]바람으로 작사했다고(..). 팬들은 준수다운 가사라며 극찬. === 가사 유해성 논란 === 2008년 11월 24일 타이틀곡인 '''주문-MIROTIC'''이 보건복지가족부 산하의 청소년보호위원회(이하 청보위)로부터 청소년 유해곡 판정을 받았다. 그 이유가 가관인데, 청보위는 "주문-MIROTIC"을 [[성인물|청소년 유해매체물]]로 지정한 까닭을 다음과 같이 들었다. >① 성행위와 관련하여 그 방법 · 감정 · 음성 등을 지나치게 묘사하고 있으며, >② 성행위를 조장하거나 여성을 성적 대상으로만 기술하는 등 성윤리를 왜곡시킨다. 구체적으로 어떤 부분이 위와 같은 판정을 받았는지를 보면 더욱더 기가 막힌데, >① “I got you under my skin" 부분은 여성을 자신의 살갗 아래 둔다는 의미이므로 남성상위[[체위]]를 의미하고, >② ”너를 가졌어“라는 부분 역시 [[성행위]]를 암시하며, >③ ”혈관을 타고 흐르는 수억 개의 나의 크리스탈“이라는 부분은 여성의 몸속에 남성의 [[정자(생물)|그것]]을 흐르게 하는 것을 연상시킨다. 물론 대중들이 보기에는 말도 안 되는 이유들이지만 아무튼 이러한 결정으로 인해 한동안 음반 매장에서는 이 앨범이 '''19금 딱지'''가 붙여진 채로 판매되었다. 또한 TV나 라디오에서도 밤 10시 이전에는 해당 곡을 내보낼 수가 없게 되었다. 음반 판매량과 에어플레이로 먹고 사는 [[동방신기]]의 입장에서는 그야말로 치명타. 어찌어찌하여 [[SM엔터테인먼트|SM]]에서 "I got you under my skin" 부분을 "I got you under my sky"로 개사한 클린 버전을 내놓음으로써 음악방송에는 나갈 수 있었으나[* 이 때문에 인터넷에는 두 버전이 모두 돌아다니며, 서로 자기가 아는 것이 맞다며 가볍게 투닥댄다.], 그 밖의 홍보 활동에는 여전히 많은 제약이 걸려 있었다. 결국 얼마 후 SM 측에서 청보위를 상대로 이 결정의 취소를 구하는 소송을 서울행정법원에 제기했다. [[SM엔터테인먼트|SM]]은 "I got you under my skin"이라는 표현은 '''My Way'''로 유명한 팝 가수 [[프랭크 시나트라]]가 부른 노래 제목이고, 수많은 팝송에서 사용되었다는 증거를 제출하는 한편, 가사 전체의 의미를 시대상에 맞게 해석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하며 청보위 측의 결정을 취하하는 것을 법원에 요청했다. 결국 오랜 법정 공방 끝에 2009년 4월 1일, 법원 측에서는 "주문-MIROTIC"을 청소년 유해매체물로 판단한 것은 위법하다는 판결을 내렸다. 다만 이미 모든 4집 활동을 마치고 난 한참 후에 내려진 판결이라 실질적인 의미는 없을 듯. 한편 청보위는 위 판결에 불복하여 고등법원에 항소를 제기하려 했으나 여론의 뭇매를 맞고 결국 원심을 받아들였다. 사실 애초에 프랭크 시나트라의 노래 제목이나 시대상에 맞는 해석 운운할 필요도 없이 "I got you under my skin"을 "남성상위체위"로 해석한다는 것은 '''그냥 틀린 소리'''이다. Get under one's skin하면 누군가의 뇌리에 부정적으로든 긍정적으로든 박힌다는 의미로, 계속 생각나게 한다는 의미이다. 예를 들어 누가 약올릴 때 "Don't let him get under your skin"이라고 하면 "신경쓰면 지는 거야" 정도 의미로, skin이란 것 자체가 비유적으로 나 자신을 보호하는 껍데기 역할을 하며, 그 밑에 들어왔다는 건 그 보호막을 뚫고 계속 뇌리에 남아있단 소리이다. Under my skin이란 표현을 듣고 저렇게 성적으로 이해할 원어민은 '''없다'''.[* 굳이 따지면 "어 이 끈적한 분위기에서 네가 계속 생각난다고? 결국 ~하고 싶다는 소리 아냐? ㅎㅎ"라고 생각할 순 있겠지만, 저 단어 자체에 그런 뜻이 있는 것은 아니다.] 만약 I got you under '''me'''라고 하면 성적 의미가 맞고, 차라리 "에로틱한 분위기에서 네가 계속 생각한다고 하는 가사가 성적 은유"라고 한다면 (그래도 억지스럽긴 하지만) 그나마 어느 정도는 말이 되는데, 기본적인 단어를 엉뚱한 해석하며 체위 운운한다면 제대로 영알못+음란마귀가 끼인 것이다. 저 억지로 결국 수정된 가사인 "I got you under my sky"는 굳이 따지면 말이 되긴 하지만 어감이 굉장히 어색하다. (굳이 쓰자면 쓸 순 있겠지만) 저런 표현을 그냥 쓰지 않는다. 한국어로 따져도 누가 "내 하늘"이라고 한단 말인가? 지극히 자연스럽고 정상적인 표현을 말도 안되는 태클로 이상하게 바꿔놓은 병크. 이것보단 덜하지만 "너를 가졌어"는 성적으로'''만''' 해석한 것도 심각한 문제다. 그리고 잘 부각되지 않아서 그렇지, 분명 '''혈관을''' 타고 흐르는 이라고 지칭된 것을 정자라고 해석한 점이 어떻게 보면 가장 황당한 헛소리다. 수억개의 정자가 혈관 속에 흐르면 노래나 부르고 있을게 아니라 병원부터 가봐야 하기 때문. 사실 "~ in my blood"라고 하면 "나한테 매우 자연스러운 무언가"를 의미한다. 즉, 영어를 어색하게 직역해놓은 번역투이긴 하지만, 저걸 정자로 연결하다는 것 자체가 말도 안되는 억지다. 참고로 동시기에 같이 문제가 된 곡이 [[비(연예인)|비]]의 [[Rainism]]인데, 이쪽은 빼도박도 못할 성행위 묘사 가사라[* "떨리는 [[성관계|니 몸 안에 돌고 있는]] 나의 Magic Stick" 부분이 가장 큰 원인으로, 당시 비는 매직스틱이 곡 후반부에 춤출때 쓰는 지팡이를 뜻한다고 해명했지만, 몸 안을 돌고 있다는 점 때문에 오히려 여론이 더 나빠지기만 했다. 차라리 "떨리는 [[성관계|니 몸 안에 돌고 있는]] 나의" 부분만 없었으면 이런 일은 일어나지 않았을지도 모르는데...] 대부분 억까라고 했던 MIROTIC과 달리 비의 팬들을 제외하면 대부분 가사가 선정적이라는 데 이견이 없었다. [[분류:동방신기/음반]][[분류:2008년 음반]][[분류:한국의 음반]][[분류:골든디스크어워즈 음반 대상]][[분류:엠넷 아시안 뮤직 어워드/올해의 앨범상]] == 둘러보기 == [include(틀:동방신기/노래)]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노을..바라보다 (Picture Of You), version=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