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팝픈뮤직 20 fantasia의 수록곡]][[분류:리플렉 비트 콜레트의 수록곡]][[분류:DanceDanceRevolution A3의 수록곡]][[분류:beatmania IIDX INFINITAS의 수록곡]][[분류:팝픈뮤직/캐릭터]] [include(틀:다른 뜻1, other1=다른 의미의 마나, rd1=마나)] [목차] == [[BEMANI]] 시리즈의 수록곡 == [[파일:p.eagate.573.jp/2022su_ddr_24.jpg]] 작곡가는 [[DJ YOSHITAKA]]. 보컬은 [[ERi]]. 곡은 여느때와 같이 DJ YOSHITAKA의 재활용 시리즈. 전체적으로 [[CaptivAte 시리즈]]와 [[JOMANDA]]를 섞은 느낌. 전체적인 느낌이 JOMANDA와 흡사하고 BPM 역시 똑같이 195라서 JOMANDA 보컬곡이라는 농담같지않은 농담이 나오기도 한다(...) 곡을 자세히 들여다보면 초반부엔 [[Elisha]]와 CaptivAte ~淨化~를 섞고, 후반부의 기타 솔로 파트는 CaptivAte ~裁き~를 재활용했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재활용 곡을 또 재활용하는 위엄을 보여주신다~~ 여담으로 일본 내에선 JOMANDA 보컬곡 농담에 이어서 중간중간 곡이 끊기는 파트의 뭔가 웅장함 덕분에 플레이어가 뒤를 돌아볼 것만 같은 기분이 든다는 이유로 [[EDEN|뒤돌아보기 시리즈]]에 들어가기도 한다(...) === 가사 === ||(On a moonlight night, 월광의 밤에 The figure of you is reflecting in the water's surface like a mirror. 수면에 비친 당신의 모습은 거울과 같아요. I have a dream. 나는 꿈이 있어요. Your next meet was an easy race. 다음 만남은 쉬운 경주였어요. It is a miracle. 그것은 기적이에요.) I'm here. 난 여기에 있어요. You seemed to hear. You're aware of me, 나의 목소리를 듣고 당신은 나에게 다가왔네요. turned your head round, and gave me a kind smile. 뒤를 돌아보고 나에게 친절히 웃어줬어요. Please stay a little longer. 조금만 더 있어주세요. Without being noticed, 눈치채지 못하도록, I concealed my emotions by stealth. 나는 내 마음을 조용히 숨겼어요. before waking... 당신이 눈뜨기 전에... I can never stare at you. 난 당신을 바라볼 수 없어요. Therefore I want to approach you. 그래서 난 당신에게 다가가길 원해요. I can never step into you. 난 당신에게 다가가지 못해요. It goes without saying anymore. 말하지 않아도 알고 있는데. That place where I longed for adds to brightness. 동경하던 그 장소는 빛을 더해가요. I see our distance is far so much. 우리의 사이는 이렇게 멀단걸 나는 알아요. Still I pray I want to touch you, 나는 아직도 당신에게 다가가길 기도해요, reflect me in your eyes sometimes. 나를 당신의 눈동자에 비춰주세요. With that alone it's my dream... 그것만이 나의 꿈이에요... || === [[팝픈뮤직]] === ||<-3><#fff,#26282c> ||<#ffffd2,#323300> [[BPM]] || 195 || ||<#ffffd2,#323300>곡명||<-4> '''MANA''' || ||<-5> うねるベースは荒れ狂う波のように 飛沫を上げてすべてを飲み込んでゆく…! 꾸불꾸불한 베이스는 성난 파도와 같이 물보라를 일으켜 모든 것을 삼켜 간다…! || ||아티스트 명의||<-4> [[DJ YOSHITAKA]] || ||장르명|||| SUPER SPLASH TUNE |||| 슈퍼 스플래시 튠 || ||담당 캐릭터|||| MANA |||| 마나 || ||수록된 버전||<-4> pop'n music [[팝픈뮤직 20 fantasia|20 fantasia]] || || [[팝픈뮤직/난이도 체계|난이도]] || EASY || NORMAL || HYPER || EX || ||43단계|| 17 || 21 || 32 || 38 || ||50단계|| - || 27 || 38 || 44 || ||노트 수|| 496 || 528 || 796 || 1204 || * [[팝픈뮤직/수록곡|곡 목록으로 돌아가기]] [[팝픈뮤직]] 19 튠 스트리트에서 선보였던 [[SHION]] 이후 팝픈뮤직에서 다시 선보이는 보컬곡이다. ~~[[JOMANDA|JO'''MAN'''D'''A''']]~~[* 그런데 2013년 6월 3일부터 시작한 플라잉 캐치 연동이벤트 덕에 팝픈뮤직에 '''[[Evans]] 하고 [[JOMANDA]]가 이식'''이 되었다. 덤으로 Evans의 담당 캐릭터는 MANA의 3P 컬러.] 팝픈 퀘스트 페이즈 4에서 해금 가능한 곡으로, 전의 페이즈 3에서 해금가능한 [[Mermaid girl]]와 같이 [[인어공주]]의 스토리를 모티브로 잡은 곡이다. [youtube(4Hz7PhhJJso)] EX 영상 보면은 주로 동시치기로 이루어진 체력곡으로 특히 마지막의 기타솔로 [[후살]] 파트가 상당히 강해[* 후술된 '처리에 미숙하다면 46레벨에 견줄 만한 체감난이도'는 조금 과장이 섞인듯 하지만, 신빙성이 꽤 있는 표현이다. 실제로[[http://www.youtube.com/watch?v=KkKVfjhhN_k|麗破唖甦~rebirth~라는 곡(장르명은 레이디즈 메탈)의 EX보면]]이 레벨이 46인데, 링크된 영상의 1분 36초부터 1분 43초까지 지속되는 계단 발광 패턴의 좌우 넓이를 줄이고 노트의 복잡함을 단순하게 만든 정도의 패턴이 마나의 기타 [[후살]]파트다. 물론 예를 든 麗破唖甦~rebirth~ EX는 46에서도 ~~[[Baroque Hoedown|호구다운]]과는 다르게~~ 이름값을 하는 고난이도 곡이므로 전반적인 비교는 불가능하다. 애초에 저 7초간의 발광부분 전과 발광부분 후의 난이도도 마나보다 월등히 어려우니까. 그리고 저 7초간의 발광부분은 45레벨 중에서도 최상위급이라는 Looking for...의 패턴의 상위호환급이라는 평가를 받는 부분이다.] 클리어하기 힘들 수 있다. 무난하게 클리어하기 위해서는 암기가 필수적. 마지막 파트만 완벽하게 처리가능하다면 44레벨에서는 약한 축, 처리가 미숙하거나 힘들다면 체감 상 46레벨에 견줄 수도 있는 개인차가 크게 차이나는 곡이다. 왠진 몰라도 48, 49러너가 격추당하는 일도 있는 신비한 곡. ==== 아티스트 코멘트 ==== ||이 곡은, 작곡자 DJ YOSHITAKA씨의 음성 코멘트를 받았습니다. 두 사람의 영 믿음직스럽지 못한 점을 즐겨주신다면 기쁠 따름입니다. ※후반의 DJ YOSHITAKA씨가 말하는 '래노'는... DJ YOSHITAKA씨의 어록에 따르면 '보컬곡'을 말하는 겁니다. (음성 코멘트) [[PON|P]] : 네, 오늘은 말이죠, MANA라는 곡의 곡 코멘트를 직접 녹음하겠습니다. [[DJ YOSHITAKA|Y]] : 오오~! 인터뷰 형식으로?? P : 넵. Y : 좋아좋아, 괜찮네. P : 그럼 얼른 시작하죠. MANA라는 곡의 컨셉을 부탁드립니다 Y : 음~, MANA는 말이죠, 이번에도 또 캐릭터 선행 곡입니다. 캐릭터가 먼저 나오고 나서 거기에 맞춰 곡을 만들어서... P : 맞춰봤다는 느낌이네요~ Y : 생각났던 캐릭터가 인어 캐릭터였기에. 조금... '밝은 곡은 좀 아니겠지~'하고. P : (웃음) Y : watery한 게 좋겠네~하고... P : watery... watery, watery... Y : watery하게, 살짝 만들어 봤습니다. P : 아~ 멋지네요. 그럼 다음, 고전했던 점을 질문해보죠. Y : 고전했던 점이라... 고전했던 점은... 보컬곡이었기에, 시간이 걸렸다...는 점이네요. P : 인스트보다는 역시 보컬곡이 시간이 걸리죠? Y : 인스트라면 이렇게... 끝나잖아요? P : 예, 즉시 끝나지요. Y : 제 마음속에서 제가 끝맺을 수 있으니까요. 좋아 끝~하면 짠 하고 끝나지만, 보컬곡이라면 좀처럼... P : 다른 분들의 스케쥴도 있으니까요. Y : 그렇지. P : 아~ 그런 점이 고전한 점인가요. 그러면, 마지막 한마디! Y : 잠깐, 벌써 끝이야? 짧지 않아? 뭐 어찌되든 상관없지만! 괜찮아! 응, 마지막 한마디? P : 넵. Y : 숨겨진 곡이지? P : 네에네에. 이제 곧 나와요, Y : 이제 나오는구나. 으음... 다 만들고 나서부터 게임에 나오기까지, 굉장히 긴 시간이 걸렸으니까, 까먹고 있었어! P : 죄송합니다! Y : 다음은 밝은 곡 만들까? P : 괜찮네요! Y : 살짝 밝은 곡으로 갈까? P : 음... 심오하지 않게, 굉장히 신나는. Y : 좋은걸. 그러고보니 [[SHION]]과 MANA로 이렇게... 어두운 곡들이 2곡 나왔구나. P : 어라 그렇네요. 안타까운 쪽인가... Y : 그렇네. [[LOVE☆BA☆ZOOKA!|러브바주카]] 같은 거나 [[High School Love|그 날 부터!]] 같은 걸 살짝, 다음은, 힘낼게. 그렇지만 래노라면 어떡하지? P : 래노...? Y : 그러니까, 스케쥴 같은 것도 있으니까. 뭐어 그건 얘기 해 보고? P : 괜찮은걸요. 그럼 다음 코멘트도 얘기 해 보고, 같은 느낌인 곳으로? Y : (웃음) P : 오늘 고맙습니다! Y : 고맙습니다! || ~~하지만 그는 결국 [[Elemental Creation]]으로 돌아왔다. 밝긴 밝구나~~ === [[리플렉 비트]] === [include(틀:리플렉 비트 시리즈의 수록곡)] ||||||<:>'''PASTEL ADVENTURE'''|| ||||||<#8e8eff><:>'''[[리플렉 비트 콜레트|colette]] 산맥 제1'''|| ||||||<:>[[Clumsy thoughts]]|| ||||||<:>[[Blind Justice 〜Torn souls, Hurt Faiths〜]]|| ||||||<:>[[Round!]]|| ||||||<:>[[Almace -HI SPEED EDITION-]]|| ||||||<:>[[guerre à outrance]]|| ||||||<:>'''MANA'''|| ||||||<:>[[It's my Miracle]]|| ||||||<:>[[幻想雷神記]]|| ||||||<:>[[Aerial Skydive]]|| ||||||<:>[[Our Faith]]|| ||||||<:>[[Ignited Night]]|| ||||||<:>[[愛は不死鳥の様に]]|| ||||||<:>[[GLITTER(BEMANI 시리즈)|GLITTER]]|| |||||||| [[리플렉 비트 시리즈|리플렉 비트]] 난이도 체계 || || [[BPM]] |||||| 난이도 || ||<|2> BPM 값 || {{{#green BASIC}}} || {{{#orange MEDIUM}}} || {{{#red HARD}}} || || {{{#green 3}}} || {{{#orange 6}}} || {{{#red 9}}} || || SKILL RATE || {{{#green ?}}} || {{{#orange ?}}} || {{{#red ?}}} || || 오브젝트 || {{{#green 140}}} || {{{#orange 297}}} || {{{#red 521}}} || || JUST REFLEC || {{{#green ?}}} || {{{#orange ?}}} || {{{#red ?}}} || || 수록버전 ||||||<#8e8eff> [[리플렉 비트 콜레트|{{{#black 리플렉 비트 콜레트}}}]] Winter || || [[리플렉 비트 플러스|Rb+]] 수록 팩 |||||||| MUSIC PACK 33 || ||<-4> [[유구의 리플레시아|리플레시아]] 이후의 난이도 체계 || || [[BPM]] |||||| 난이도 || ||<|2> BPM 값 || {{{#green BASIC}}} || {{{#orange MEDIUM}}} || {{{#red HARD}}} || || {{{#green 5}}} || {{{#orange 8}}} || {{{#red 11}}} || || SKILL RATE || {{{#green 18}}} || {{{#orange 33}}} || {{{#red 53}}} || || 오브젝트 || {{{#green 140}}} || {{{#orange 297}}} || {{{#red 521}}} || || MAX COMBO || {{{#green 186}}} || {{{#orange 368}}} || {{{#red 644}}} || || JUST REFLEC || {{{#green 6}}} || {{{#orange 11}}} || {{{#red 15}}} || || 수록버전 ||||||<#8e8eff> [[리플렉 비트 콜레트|{{{#black 리플렉 비트 콜레트}}}]] Winter || || [[리플렉 비트 플러스|Rb+]] 수록 팩 |||||| MUSIC PACK 33 || * [[리플렉 비트 콜레트/해금요소]]로 바로가기 [youtube(gMqp95n6njY)] 유구의 리플레시아 에서 HARD EXC+AJR 영상 [[리플렉 비트 콜레트]]에 이식곡으로 수록되었다. 윈터 시즌때 등장했으며 당시에는 colette 산맥 1의 6번째 산장에 도착하면 해금이 가능했다. 이후 [[리플렉 비트 그루빈]]부터는 통상해금. SHION에 비해서 롱 오브젝트의 빈도가 상당히 높다. 후반의 16박 노트을 유의하는 편이 좋다. 유구의 리플레시아에서 처음에 삭제되었다가 2018년 6월 21일에 다시 수록되었다. === [[DanceDanceRevolution]] === ||<-12><#0ff,navy> [[DanceDanceRevolution/난이도 체계|{{{#373a3c,#ddd DanceDanceRevolution 난이도 체계}}}]] || ||<|3> '''싱글 플레이''' |||| BEGINNER |||| BASIC |||| DIFFICULT |||| EXPERT ||<-3> CHALLENGE || |||| {{{#blue,#0bf 3}}} |||| {{{#orange 7}}} |||| {{{#red 11}}} |||| {{{#green,#0c0 15}}} ||<-3> {{{#purple,#plum -}}} || || {{{#blue,#0bf 91}}} || {{{#blue,#0bf 3}}} || {{{#orange 235}}} || {{{#orange 19}}} || {{{#red 433}}} || {{{#red 24}}} || {{{#green,#0c0 602}}} || {{{#green,#0c0 25}}} || {{{#purple,#plum -}}} || {{{#purple,#plum -}}} || {{{#purple,#plum -}}} || ||<|3> '''[[더블 플레이]]''' ||||<|3> - |||| {{{#orange BASIC}}} |||| {{{#red DIFFICULT}}} |||| {{{#green,#0c0 EXPERT}}} ||<-3> {{{#purple,#plum CHALLENGE}}} || |||| {{{#orange 7}}} |||| {{{#red 11}}} |||| {{{#green,#0c0 15}}} ||<-3> {{{#purple,#plum -}}} || || {{{#orange 235}}} || {{{#orange 19}}} || {{{#red 423}}} || {{{#red 24}}} || {{{#green,#0c0 581}}} || {{{#green,#0c0 27}}} || {{{#purple,#plum -}}} || {{{#purple,#plum -}}} || {{{#purple,#plum -}}} || || BPM ||<-11> 97~195 || || 아케이드 버전 분류 ||<-11> [[DanceDanceRevolution A3]] || * [[DanceDanceRevolution/수록곡|곡 목록으로 돌아가기]] === [[beatmania IIDX]] === == [[팝픈뮤직]]의 캐릭터 == MANA/マナ === 캐릭터 코멘트 === 「깊고 깊은 바다 밑에 살고있는 세이렌. 만나지 않았다면 이런 기분도 모르고 살았을까요...?」 ||[[SHION|시온]]이 설녀니까, 다음은 인어로 해둡시다! 라고 [[DJ YOSHITAKA|요시군]]이 딱 하고 정했던 것 같은 느낌이 듭니다. 바빴던 요시군이므로 캐릭터 선행에 대해서 여러가지 걱정을 했습니다만, 멋진 곡이 왔으므로 다행이었습니다! 애니메이션도 공들인 것을 만들어 주었습니다. 디자인은 [[인어공주]]의 이야기에 빗대어 사랑하는 사람이 근처에 있음에도, 말을 걸수 없는 안타까움, 답답함을 가만히 시선을 투입하여 보았습니다. 그리고 유감스럽게도, 물고기이기 때문에 다른 종족이라고 할까.. 단지 가련한뿐만 아니라, 살짝 역시 사람과는 어울릴 수 없다는 모순인 듯한 느낌을 섞고 싶네 하고. 어릴 때 읽은 "빨간 초와 인어" 의 인상이 인어공주보다 강하고, 왠지 인어라고 하면 무서운 이미지입니다. 너무 예쁘고 순수하고 잔혹한 느낌. 그렇지만 인어공주 이야기, 다시 생각하면 정말 보답받을 수 없는 이야기라고 생각합니다. [[한스 크리스티안 안데르센|안데르센]] 너무해. 그때 진짜로 싫은 일이 있었던 걸까. -[[shio]]-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