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2차 세계대전/미국 기갑차량)]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M8_Scott_Thumbnail.jpg|width=100%]]}}} || || '''75mm Howitzer Motor Carriage M8 "Scott" "General Scott"''' || [목차] == 개요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XpXrIUrrH_U)]}}} || || '''M8 스콧 기동 영상''' || '''"M8 스콧"'''은 [[스튜어트 전차|M5/M5A1 스튜어트]]의 차체를 유용하여, 개방형 포탑에 75mm M2 곡사포를 주무장으로 사용하는 [[자주곡사포]]로, 미군 내에서는 [[돌격포]] (Assault Gun)으로 분류하여 제2차 세계 대전 시기 기병정찰부대에 편제하여 보병 지원용 자주포로 사용되었다. 전후에도 많은 수량이 타국에 공여되어 각지에서 활약하였다. 별명인 '''"스콧"'''은 특이하게도 타국에서 붙여준 별명이 아니라, 미 육군에서 정식으로 붙여준 별칭으로, 1944년 11월에 미 육군 병수부는 미국의 전설적인 장군이었던 '''"윈필드 스콧"'''[* 1786년생으로, 1812년 전쟁, 인디언 전쟁, 미국-멕시코 전쟁, 그리고 남북전쟁에 참전하여 엄청난 활약을 했던 '''전설적인 베테랑'''으로 알려져 있다.]과, 전시 내내 활약하였던 M8을 동시에 기리기 위해 윈필드 스콧의 이름을 따서 '''"M8 스콧"''', 혹은 '''"M8 제너럴 스콧"''' 이라 부르도록 권장한 것이 바로 그 유래이다. == 제원 == ||<-2>
'''{{{#FFFFFF 75mm Howitzer Motor Carriage M8 "Scott"}}}''' || ||<-2> '''{{{#FFFFFF 제원}}}''' || || '''{{{#ffffff 개발기관}}}''' ||미 육군 병기부, 파이어스톤 타이어 || || '''{{{#ffffff 개발 연도}}}''' ||1942년 || || '''{{{#ffffff 생산기관}}}''' ||차체, 구동계: [[캐딜락|캐딜락 모터스]] [br] 포탑: [[제너럴 모터스|피셔 바디 제작소]] [br] 주포 및 탄약: [[올즈모빌|올즈모빌 단조 부문 제작소]] || || '''{{{#ffffff 생산 연도}}}''' ||1942년 9월 ~ 1944년 1월 || || '''{{{#ffffff 생산 댓수}}}''' ||1,778문 || || '''{{{#ffffff 운용 국가}}}''' ||미국 포함 도합 10여개국 사용 || || '''{{{#ffffff 운용 연도}}}''' ||1942년 ~ '''현재'''[* 멕시코에서 의장용으로 운용 중에 있다. 미국에서는 종전 직후 퇴역.] || || '''{{{#ffffff 전장}}}''' ||4.33m|| || '''{{{#ffffff 전폭}}}''' ||2.324m|| || '''{{{#ffffff 전고}}}''' ||2.72m|| || '''{{{#ffffff 전비 중량}}}''' ||15.6t || || '''{{{#ffffff 전면 장갑}}}''' ||전면 49도 경사장갑 28.5mm ~ 63.5mm || || '''{{{#ffffff 측/후면 장갑}}}''' ||측면: 28.5mm, 후면: 25.4mm || || '''{{{#ffffff 상/하부 장갑}}}''' ||엔진 데크, 차체 상판, 바닥: 12.7mm || || '''{{{#ffffff 포탑 장갑}}}''' ||포탑 전면 38mm, 측후면 25mm, 포방패 38.1mm || || '''{{{#ffffff 엔진}}}''' ||캐딜락 시리즈 44T24 W형 8기통 엔진 || || '''{{{#ffffff 변속기}}}''' ||전진 8단, 후진 2단 트윈 하이드라매틱 자동변속기 || || '''{{{#ffffff 최고 출력}}}''' ||296hp || || '''{{{#ffffff 출력비}}}''' ||18.97hp/t || || '''{{{#ffffff 사용 연료}}}''' ||가솔린 || || '''{{{#ffffff 주무장}}}''' ||75mm M2 곡사포 1문 || || '''{{{#ffffff 최대 사거리}}}''' ||8,778m || || '''{{{#ffffff 탄약 적재량}}}''' ||46발 || || '''{{{#ffffff 부무장}}}''' ||[[M2 브라우닝 중기관총]] 1정 (400발) || || '''{{{#ffffff 항속 거리}}}''' ||160km || || '''{{{#ffffff 최고 속력}}}''' ||전진 64km/h, 후진 16.7km/h || || '''{{{#ffffff 현가 장치}}}''' ||VVSS (수직 벌류트식 서스펜션) || || '''{{{#ffffff 통신 장비}}}''' ||SCR-510 무전기 [br] SCR-210 무전기 || || '''{{{#ffffff 탑승 인원}}}''' ||4명 (전차장, 조종수, 포수, 탄약수) || == 성능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M8_Scott_inside.jpg|width=100%]]}}} || || '''M8 스콧 상세 내부 도면''' || 구동계의 경우, 기본이 [[스튜어트 전차|M5/M5A1]]의 차체를 사용했기에 기동성은 보장되어 있었던데다가, 구동계 면에서도 매우 진보적인 자주포였는데, 당대 최신 기술이었던 '''하이드라매틱 [[자동변속기]]'''가 적용되어, 운용의 편리성이 더욱 증가하였다. 또한, 주포인 M2 곡사포 또한 기존의 37mm 대전차포보다 월등히 뛰어난 화력을 보유하고 있어서, 경형 자주곡사포 및 [[돌격포]]라는 독자적인 위치로 운용되었다. 이 때문에 단종이 결정된 1944년 1월에서 종전시기까지도 이를 대체할 자주포가 없었기에 잔존 차량들이 종전까지 이용되었다. 부무장으로는 M2 브라우닝 중기관총 1정이 전차장 마운트에 설치되어 있었는데, 이 브라우닝 중기관총은 높은 관통력과 파괴력으로 경장갑차량이나, 전투기들은 물론 보병들을 상대로도 매우 뛰어난 화력을 보여주었다. == 개발사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perimental prototype of the Howitzer Motor Carriage T18, Aberdeen Proving Grounds, May 1942.jpg|width=100%]]}}} || || '''T18 시제 자주곡사포''' || [[스튜어트 전차]]를 베이스로한 근접 화력 지원 차량에 대한 실험은 T18 자주곡사포에서 시작되었다. T18은 [[M3 리]]의 주포 마운트와 M3 스튜어트의 차체를 결합하여 만들어진 물건이었으나, 거대한 주포가 차체 전면에 배치되며 전면에 무게중심이 쏠렸으며, 또한, 전투실이 너무 작았던데다 [[SU-76M]]과 유사하게 상부는 물론 후면이 오픈탑인지라 승무원을 보호할 수 없다고 판단되어 미군에서는 채택을 거부하고 T41의 시험을 진행하게 되었다. T41은 M3에서 M5 계열 차체로 변경되었으며, 이 덕에 더 강력한 엔진을 탑재하고 있었으며, 더 넓은 전투실을 탑재해 승무원들의 편의성을 증가시켰다. 그러나 T41도 마찬가지로 너무 전면에 포가 배치되어 미군이 제일 싫어했던 전면에 무게중심이 쏠린다는 문제가 생겼기에 후에 추가 수정을 통해 포의 위치를 한쪽으로 이동하여 여유 공간을 확보하고 무게중심을 변경하여 문제를 해결하였는데, 이렇게 개수된 모델은 M3 스튜어트의 잉여 차체를 이용해 생산하기에는 충분히 괜찮다고 평가되었다. 하지만 이도 결국 경쟁 모델인 T47이 경합에서 승리함에 따라 대신 105mm M2A1 곡사포를 장착한 T41에서 몇 가지 추가 작업이 수행되었는데 이렇게 개수된 모델은 나중에 T82 프로젝트로 분리되었다. M8의 시조라고 볼 수 있는 '''"T47"'''도 T41과 마찬가지로 M5 섀시를 기반으로 개발되었지만 가장 큰 차이점이 있었으니, 바로 고정 전투실에서 [[M10 GMC]]와 동일하게 개방형 포탑에 포를 얹고, 수동회전식 선회장치를 장착하는 등 엄청난 발전이 이루어진 자주포였다는 것이다. 이것은 승무원을 훨씬 더 잘 보호할 뿐만 아니라 고정 전투실보다 매우 뛰어난 대처 능력을 보장하였으며, 이에 매우 흡족한 미 군부에서는 '''"75mm 자주곡사포 T17E1"'''라는 명칭으로 임시 명칭을 지정하였다. 제작 과정 중, 포탑이 너무 커져 기존 M5의 차체로는 조종수 해치를 배치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제기되자, 설계진들은 차체 전면에 해치를 배치하여 이를 해결했으며, 이 해치는 버튼을 조작해 개방 각도를 조정할 수 있는 기능이 있었다.[* 참고로 M8에는 해치가 조종석 뿐만 아니라 차체 우측에도 하나가 더 있는데, 포탑 인원이 진입하기에는 너무 불편했던지라 실전에서는 거의 쓰이지 않고 포탑으로 드나들었다고 한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first_M8_scott.jpg|width=100%]]}}} || || '''최초생산분 M8 스콧''' || 그리고 차체 내부의 관측창도 위치를 이동시켰으며, 이렇게 문제점을 해결 한 뒤, 목업이 제작된 후, T17E1에서 명칭은 '''"75mm 자주곡사포 M8"'''이라는 명칭으로 제식화가 결정되었으며, 곧바로 생산공정에 돌입하였다. 초창기 생산분의 M8에는 차체 후면의 보관함이 없었지만, 1943년 중엽부터 생산된 후기형부터 보관함이 증설되었다. 이후 1944년 1월, M8 HMC는 105mm M4 곡사포를 탑재한 [[M4 (105)]]의 생산 공정을 위해 단종되었다. M8 스콧은 작고 빠른 차체에다, 높은 화력을 지닌 75mm 곡사포로 전선 각지에서 [[M7 프리스트]]와 함께 공군이 지원하기 힘든 환경에서 보병들의 든든한 친구로 인식되었으며, 오늘날에는 미국 자주곡사포의 어버이 격인 차량으로 평가받고 있다. == 파생형 == === 미국 === ==== 무장 교체 파생형 ==== ===== M8A1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M8A1_GMC.png|width=100%]]}}} || || '''M8A1''' || M8 HMC를 베이스로 75mm M3 대전차포를 장착한 시제 대전차 자주포로, 1량만이 제작되었다. == 평가 == === 장점 === * 선회 포탑 타국의 자주곡사포들과 달리, 무려 '''선회 포탑'''을 채용하고 있었기에 고정형 전투실을 지니고 있던 차량들보다 비교조차 할 수 없을정도로 전투에서의 대처성이 높았다. * 우수한 기동성 M8은 상술했듯 M5 스튜어트의 차체를 사용하여, 매우 높은 고기동성을 지니고 있었는데, 평지 기준 그 시속이 무려 60km/h에 달할 정도로 정말 빠른 기동성을 자랑했다. * 높은 보병지원화력 주무장인 75mm M2 곡사포는 37mm 대전차포보다 2배나 구경이 큰 데다가, 대전차고폭탄, 고폭탄 등을 사용하고 있었기에 유사시에는 적 전차와도 어느 정도의 교전을 벌일 수 있었으며, 보병들을 상대로도 큰 활약을 할 수 있었다. 부무장인 M2 중기관총도 12.7mm라는 대구경이라는 점과, 높은 대공, 대보병 능력으로 좋은 평가를 받았던데다가, 다수의 보병들과 전투 시에 상대적으로 안전한 전차 내부에 위치한 마운트에서 전차장이 기관총을 잡고 대처할 수 있었다는 점에서 기관총 마운트가 후방에 달려있던 동시기의 미국 전차, 대전차자주포들에 비하면 훨씬 안전하게 사용 할 수 있었다고 볼 수 있다. * 운용의 편리함 조종에 관하여. 하이드라매틱 자동변속기를 사용했기에 조종수가 힘들게 레버를 당길 필요 없이 부드럽게 자동으로 변속이 가능했으며, 또한 W형 8기통 엔진과도 밸런스가 좋아 신뢰성도 높아져서 악지에서의 운용 난이도도 낮은 편에 속했다. === 단점 === * 오픈탑 포탑 M8은 오픈탑 포탑을 채용하고 있었는데, 이 때문에 전투 시 지근거리에서 날아온 시한신관탄이나 박격포 등에 의해 피해를 입기도 하였다. 특히 오픈탑 포탑은 우천시에는 승무원들이 보호되지 않아 그대로 비를 맞아야 했으며, 이에 대한 대책으로 방수포를 지급해 포탑에 씌우기도 하였으나 근본적인 문제는 해결되지 않았다. * 낮은 방호력 경전차를 베이스로 만들어졌던 만큼, 방호력도 낮은 편에 속해있었기에 기관포에게도 관통될 위험이 존재하였다. * 전면 조종수 해치 [[T-34 전차]]와 같이, 전면에 조종수 해치가 존재했는데, 이 때문에 피격 시 조종수는 전면으로 나가야만 했던데다, 이 해치가 비좁았기 때문에 운용 인원의 불편함이 초래되었다. === 총평 === 분명히 M8은 여러 단점이 존재하였지만, 그 단점을 장점을 적절히 활용하여 극복해내어 '''경형 자주곡사포'''라는 독보적인 위치에서 활약하였으며, 1944년 1월에 단종되었음에도 각지에서 이용되며 자신의 가치를 증명해 내었다. 이는 전후에도 타국에 많은 수량들이 공여되며 활약하였던 점을 들어, 미군이 제작한 자주곡사포들 중 매우 성공한 모델이라는 평가를 받아 마땅한 자주포라 볼 수 있다. == 실전 == === 대전기 === ==== [[제2차 세계 대전]] ==== ===== [[서부전선]] ===== ====== [[이탈리아 전선]]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M8_Italy.jpg|width=100%]]}}} || || '''이탈리아 전선 당시 파고베이아노의 미 육군 소속 M8 스콧'''[* 1944년 6월 촬영된 사진으로, 사진의 단차가 뒤에 매달고 있는 것은 독일군의 탄약운반 트레일러이다. 아마도 독일군 진지에서 노획한 것으로 추정.] || M8 스콧이 처음으로 실전을 치룬 곳은 1943년의 이탈리아 전선이었다. 이탈리아 전선 당시, M8은 경전차의 높은 기동성과 화끈한 화력을 주로 하여 37mm 포를 사용해 상대적으로 화력이 부족한 스튜어트 대신에, 토치카나 적 대전차포, 혹은 건물들을 포격하고 보병들과 함께 종횡무진하며 데뷔전에서 크게 활약했다. ====== [[노르망디 상륙작전]]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Operation_Cobra_M8_Scott.jpg|width=100%]]}}} || || '''코브라 작전 당시 몽뜨회이-슈흐-로종에서의 미 육군 제33경기병연대 소속 M8 스콧''' || [[노르망디 상륙작전]]과 그 직후 벌어진 코브라 작전 당시에도 다수가 경기병연대 소속으로 투입되었으며, 이 시기부터 본격적으로 자유 프랑스군에게도 공여되어 사용되었다. ====== [[오버로드 작전]]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Vic_sur_aisne_1944_M8_Scott.jpg|width=100%]]}}} || || '''프랑스 빅-슈흐-엔에서 독일군 진지를 포격 중인 미 육군 소속 M8 스콧 중대''' || 오버로드 작전 시기 프랑스 전역 내에서의 전투에서 사용되었으며, 가벼운 차체 덕에 악지에서도 무리없이 기동하여 호평을 받았다. 이 시기 자유 프랑스군에게 공여된 단차들도 코브라 작전 때와 같이 사용되었다. ====== [[독일 본토 진격전]]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M8_infantry_support.jpg|width=100%]]}}} || || '''독일 본토 진격전 당시 칼스브룬에서 포격 중인 미 육군 제106기병연대 소속 M8 스콧'''[* 1945년 2월에 촬영된 사진이다.] || 독일 본토 진격전에서도 참전, 이 시기 쯔음에는 독일군이 [[6호 전차 B형]]과 같은 괴물들을 미친듯이 내보내기 시작했던데다가 후속 격인 M4 (105), M4A3 (105)가 등장하며 대전차전 및 일선에서는 물러났으나, 동일 차급이 없다는 이유 탓에 퇴역하지 않고 [[휘르트겐 숲 전투]] 등과 같은 독일 내에서의 전투에서도 사용되었다. ==== [[태평양 전쟁]] ==== ===== [[필리핀 탈환전]]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M8_scott_pacific_2.jpg|width=100%]]}}} || || '''필리핀 탈환전 당시의 미 육군 소속 M8 스콧''' || 필리핀 탈환전 당시에도 미 육군 소속으로 다수가 투입되었다. 필리핀에 투입된 스콧은 특히 기동성 부문에서 빛을 발했다. 정글의 험지와 가파른 구릉에서도 잘 움직일 수 있었을 뿐더러 차체가 높았기에 웬만한 강들도 스노클을 이용해 건널 수 있었고, 상술했던 장점들 덕분에 정글에서도 보병을 도와 대활약하여 일본군의 진지와 그들이 숨어있는 건물들을 포격지원하는 등 대활약하였다. ===== [[오키나와 전투]]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SC_208600_-_Soldiers_of_the_77th_Inf._Div._walk_past_mud-clogged_tanks_parked_by_the_side_of_the_road_on_Okinawa._26_May,_1945.jpg|width=100%]]}}} || || '''오키나와 전투 당시의 미 육군 소속 M8 스콧'''[* 1945년 5월 26일에 촬영된 사진이다.] || 오키나와 전투에도 다수가 미군 소속으로 투입되었던 기록이 남아있다. 하술하겠지만, 스콧은 오픈탑이라는 단점때문에 정글의 [[스콜]]과 습한 기후 속에서 전차병들이 운용하는데 있어서 애로사항이 있었기에 방수포를 포탑에 부착하였다고 한다. === [[냉전]] === ==== [[국공내전]]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Huaihai_M8_scrap.jpg|width=100%]]}}} || || '''국공내전 당시 격파된 국민혁명군 소속 M8 스콧의 잔해'''[* 해당 개체들은 1949년 화이하이 전역 당시 격파된 국민당군의 다른 기갑차량들과 함께 상하이 인근 부두로 옮겨진 것이라고 한다.] || 국민당군이 미국으로부터 도합 100문을 구매하여 운용하였다. 그러나 별 다른 활약은 하지 못했으며, 대다수의 차량이 격파당했고, 100문 중 39문만이 살아남아 국부천대 당시 선박에 실려 타이완 섬으로 향했다고 한다. ==== [[베트남 전쟁]] ==== ===== [[제1차 인도차이나 전쟁]]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french_M8_HMC_column_in_Indochina,_early_1950's.jpg|width=100%]]}}} || || '''제1차 인도차이나 전쟁 당시의 프랑스 극동 원정 군단 소속 M8 HMC''' || 제1차 인도차이나 전쟁 당시, 프랑스군의 [[M24 채피]]와 [[스튜어트 전차|M5 스튜어트]]를 보조할 목적으로 극동 원정 군단 소속으로 파견되어 전투를 치뤘다. ===== [[제2차 인도차이나 전쟁]]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People's_Army_of_Vietnam_M8_HMC.webp|width=100%]]}}} || || '''제2차 인도차이나 전쟁 시기의 베트남 인민군 소속 M8 HMC'''[* 1955년 열병식 도중 촬영된 사진이다.] || 프랑스 극동 원정 군단이 유기하고 간 차량을 베트남 인민군이 수습하여 사용했으며, 남월군 측에서도 소수의 개체를 운용한 기록이 남아있다. ==== [[알제리 전쟁]]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Algerian War, August 1961, Giovanetti Farm, 12e RCA. An M24 Chaffee and an HMC M8 named Pyrenees..jpg|width=100%]]}}} || || '''알제리 전쟁 당시의 프랑스 원정군 12e RCA 소속 M8 스콧 네임드 차량 "피레네"'''[* 1961년 8월에 촬영되었다.] || 알제리 전쟁 시기에도 기동성이 좋고 화력이 탁월하다는 장점으로 투입이 결정되어 원정군 소속으로 전투를 치뤘다. == 운용국 == === [[아메리카]] === ==== [[북아메리카]] ==== ===== [[미국]]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Museum_of_American_G.I_M8_Scott_HMC.jpg|width=100%]]}}} || || '''아메리칸 G.I 박물관 소장 미 육군 소속 M8 스콧 네임드 차량 "에가드"''' || 원조 사용국으로서, 제2차 세계 대전 시기 내내 경기병연대 및 보병지원용 자주포로 사용하다 종전 후 퇴역시키고 잔존한 개체 862문을 타국에 판매 및 공여하였다. ==== [[중앙아메리카]] ==== ===== [[멕시코]]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M_VIII.jpg|width=100%]]}}} || || '''멕시코시티 열병식 등장 멕시코 육군 소속 M-VIII'''[* 평시에는 영웅 사관 학교에 소장 및 전시되고 있다.] || 도합 50문을 미국으로부터 공여받아 '''"M-VIII"'''라는 제식명으로 사용했으며, 이 중 일부 차량을 현재까지 의장용으로 사용 중에 있다. === [[유럽]] === ==== [[서유럽]] ==== ===== [[프랑스]]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M8_HMC_EDITH.jpg|width=100%]]}}} || || '''자유 프랑스군 제2기갑사단 소속 M8 스콧 네임드 차량 "에디스"'''[* 이 단차는 오버로드 작전 당시에 참전했던 차량이라고 한다.] || 자유 프랑스 시기, 미국으로부터 도합 174문을 공여받아 사용했으며, 종전 후에도 2선급 전력인 원정군단 소속으로 편제하였다. ==== [[남유럽]] ==== ===== [[유고슬라비아 민주 연방]]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M8 in Partisan Service.jpg|width=100%]]}}} || || '''이동 중인 유고슬라비아 인민해방군 소속 M8 스콧''' || 제2차 세계 대전 시기, 도합 9문의 M8 HMC를 미국으로부터 공여받아 '''"Kadilak"'''이란 이름으로 운용했다.[* 제작사인 캐딜락에서 따온 이름.] === [[아시아]] === ==== [[동아시아]] ==== ===== [[중화민국]]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ROCA_M8_Scott_HMC_at_Tanks_Park,_Armor_School.jpg|width=100%]]}}} || || '''후커우 기갑 학교 소장 중화민국 육군 소속 제8식 75포 전차''' || 중화민국 이전 국민당 측에서는 1948년, [[스튜어트 전차]]들과 함께 약 100문의 스콧을 주문하여 수령받았으며, 국공내전 시기에 이를 운용하였다. 그러나 지속된 패배로 결국 패망 직전까지 몰린 국민당군은 [[국부천대|타이완 섬으로 이동하였으며]], 이 시기 39문의 스콧들도 같이 선박으로 옮겨졌는데, 이듬해인 1949년, 중화민국의 군대를 재건하기 위하여 국부천대 시기 같이 타이완 섬으로 이동한 39문의 M8과 더불어 미국에게서 추가로 200문의 M8을 주문하여 도합 239문을 배치하여 사용했고, 이 시기 중화민국군 소속의 M8 스콧들은 '''"제8식 75포 전차 (第八式七五砲戰車)"'''라는 명칭으로 개칭되어 사용되었다고 한다. 중화민국 소속의 M8들은 1960년대 초엽부터 차례대로 퇴역하였으며, 마지막으로 사용된 기록은 제284사단 산하 780전차대대 사령부에서 1978년까지 5문을 금문도에 예비 차량으로 배치한 것을 끝으로 중화민국을 수호하는데 있어서 활약했던 이 자주포는 영광스럽게 퇴역하였다. 현재에는 몇몇 차량들이 생존한 상태로 대만 각지에 전시되고 있다. 1978년 당시 M8의 상태를 직접 관찰했던 사람에 따르면, M8에 관하여 일선 병사들은 포신의 짧은 생김새 탓인지 '''"[[발기부전]]포"'''라는 별명으로도 불렀다고 한다. ==== [[동남아시아]] ==== ===== [[베트남]]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vietnam_M8_scott.jpg|width=100%]]}}} || || '''투 부 야외 전시 프랑스 극동 원정 군단 소속 M8 스콧'''[* 제1차 인도차이나 전쟁 시기 강물에 빠져 유실된 한 문을 1995년에 인양하여 전시 중에 있다고 한다.] || 베트남 전쟁 시기, 남베트남 측에서 프랑스 극동 원정 군단이 남기고 간 차량 일부를 수습 후 무장하였다. == 미디어 == === 광고 === ==== [[캐딜락]]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Commercial_M8.webp|width=100%]]}}}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WWII era Cadillac ad, 1944.jpg|width=100%]]}}} || || '''캐딜락 자사 광고''' || 제2차 세계 대전 시기, 캐딜락의 자사 광고에서도 홍보용으로 등장하였다. === 게임 === ==== [[워 썬더]]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1200px-GarageImage_M8_Scott.jpg|width=100%]]}}} || || '''M8 HMC'''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1200px-GarageImage_M8_HMC_(China).jpg|width=100%]]}}}|| || '''M8 HMC(중화민국)''' || 1랭크 구축전차로 미국 트리와 중국 트리에 등장한다. 높은 기동성과, 낙차는 심하지만 높은 파괴력을 지닌 주포를 적절하게 활용하여 우회 후 기습하고 도망치는데에 매우 좋은 자주포이다. 특이하게도 [[M8 그레이하운드]]와 같이 저랭크에서 유이하게 M2 브라우닝 중기관총을 탑재하고 있는데, 이 덕에 근거리에서 적을 급작스레 조우하거나, 곡사포로 저격하기 힘든 거리에서도 무리 없이 M2 중기관총으로 적을 관광시켜 버릴 수 있다. 다만 오픈탑인데다가, 승무원들이 미묘하게 포탑 밖으로 머리가 튀어나와 있기에 기총만 맞아도 운이 없다면 죽을 수 있으므로 일체의 타격을 허용하지 않는 것이 좋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1200px-GarageImage_M8A1.jpg|width=100%]]}}} || || '''M8A1''' || 프리미엄 탱크로는 M8A1도 존재하는데, B.R 2.7에 강력한 75mm M61 APCBC 탄을 사용가능한데다, 포탑이 전방위 회전이라 매우 좋은 대전차자주포로 평가받지만, 수량이 매우 적어 높은 값에 매매되고 있다. ==== [[월드 오브 탱크]]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wiki.gcdn.co/M8A1_scr_2.jpg|width=100%]]}}} || || '''M8A1''' || 기본 M8 스콧은 등장하지 않고, 대신 M8A1이 4티어 구축전차로 등장한다. ==== [[메탈슬러그 시리즈]]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di-cokka-88.webp|width=100%]]}}} || || '''모덴군 소속 2식 전차 디-코카''' || 메탈슬러그에 등장하는 모덴군 소속의 전차 [[모덴군/기갑 차량|디-코카]]의 모티브 중 하나가 된 것으로 추정된다. ==== [[컴퍼니 오브 히어로즈 3]]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16774097ㅜㅋ쿠15654.jpg|width=100%]]}}} || || '''컴퍼니 오브 히어로즈 3에 등장한 미군 소속 M8 스콧''' || [[컴퍼니 오브 히어로즈 3/미군|미군]] 진영의 유닛으로 등장한다. ==== [[스틸 디비전]] 시리즈 ==== 미군의 보병지원차량으로 자유 프랑스군도 사용한다. [[스틸 디비전 2]] 기준 1.5km까지 상당히 정확한 직사사격으로 보병과 중화기를 날려버릴 수 있다. 하지만 물장갑이라 대전차포나 전차에게 매우 약하다. 사거리가 더 길고 강한 105mm 셔먼의 하위호환격 유닛이다. == 모형 == === [[프라모델]] === ==== [[타미야]]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Tamiya_M8_Scott.jpg|width=100%]]}}} || || '''U.S HOWITZER MOTOR CARRIAGE M8''' || 1/35 스케일로 발매하였다. == 참고 문헌 == * [[http://the.shadock.free.fr/Surviving_M8_HMC.pdf|M8 HMC 잔존 개체 목록]] * [[https://en.wikipedia.org/wiki/Howitzer_Motor_Carriage_M8|위키피디아 Howitzer Motor Carriage M8 문서 영문판]] * [[https://zh.wikipedia.org/wiki/M8%E8%87%AA%E8%B5%B0%E7%82%AE|위키피디아 M8 자주포 문서 번체자 중문판]] * [[http://www.tankarchives.ca/2019/04/hmc-m8-quick-support-for-light-tanks.html|탱크 아카이브 "경전차의 신속한 지원"]] * [[https://finescale.com/online-extras/extra-articles/2016/11/closeup-us-m8-75mm-howitzer-motor-carriage|Finescale "근접 촬영: US M8 75mm 자주곡사포"]] * [[https://wiki.warthunder.com/M8_HMC_(China)|워 썬더 위키 M8 자주곡사포(중국) 문서]] * [[https://a2928796.pixnet.net/blog/post/556810678-1950%E5%B9%B4%E5%9C%8B%E8%BB%8D%E8%A3%9D%E7%94%B2%E5%85%B5%E5%8A%9B|1950년대 중화민국 기갑차량]] * [[https://blog.xuite.net/mshihppg/twblog/131783034-%E9%87%91%E9%96%80%E6%9C%8D%E5%BD%B9%E7%9A%84%E7%85%A7%E7%89%87#|1978년 당시 금문도에 주둔했던 군인의 일기]] * [[http://web.inter.nl.net/users/spoelstra/g104/mexico.htm|멕시코군 사용 차량 공여 기록]] == 둘러보기 == [include(틀:캐딜락의 차량)] [include(틀:2차 세계대전/자유 프랑스 기갑차량)] [include(틀:2차 세계대전/유고슬라비아 기갑차량)] [include(틀:국공내전/국부군 기갑차량)] [include(틀:냉전/유고슬라비아 기갑차량)] [include(틀:베트남전/미군 및 다국적군 기갑차량)] [include(틀:베트남전/월맹 기갑차량)] [include(틀:현대전/대만 기갑차량)] [include(틀:현대전/프랑스 기갑차량)] [include(틀:현대전/멕시코 기갑차량)] [include(틀:기갑차량 둘러보기)] [[분류:캐딜락/생산차량]][[분류:돌격포]][[분류:자주곡사포]][[분류:스튜어트 전차]][[분류:지상 병기/세계 대전]][[분류:지상 병기/냉전]][[분류:지상 병기/현대전]][[분류:미군/기갑차량]][[분류:멕시코군/기갑차량]][[분류:1942년 출시]][[분류:1944년 단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