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2차 세계대전/미국 기갑차량)] [include(틀:미국 대전차 자주포)] ||
[[파일:Carrier, Personnel, Half-track, M3.jpg|width=100%]] || || '''Carrier, Personnel, Half-track, M2/M3/M5/M9''' || [목차] == 개요 == ||
[youtube(XzWoqsiLFR8)] || || '''M3 하프트랙 기동 영상''' || || [youtube(jHbsuf_0V9A)] || || '''M3A1 하프트랙 기동 영상''' || || [youtube(sQ9drraOnLo)] || || '''M5 하프트랙 기동 영상''' || [[제2차 세계대전]] 당시 [[미국]]에서 개발된 [[하프 트랙]] [[병력수송장갑차]]. 제조국의 군대인 미군뿐 아니라 [[무기대여법|렌드리스]]를 통해 [[영국군]]과 [[소련군]], [[국민혁명군|중화민국군]] 역시 병력 수송의 중핵으로 사용할 정도로 전방부대에 많이 보급했으며, 독일군도 노획한 차량을 일선에서 운용하였다. == 개발 == 1930년대 [[미군]]은 기갑부대를 구성하면서 수송용으로 사용하던 [[트럭]]이 기갑차량을 따라가기에는 방어력과 험지 주파력이 매우 떨어진다는 사실을 깨달았다. 그렇다고 [[전차]]의 차체를 이용하여 수송차량을 만드는 것은 매우 비효율적이라고 판단했기 때문에 새로운 장갑수송차량을 물색하던 중 신형 차량을 당시 유행하던 [[하프트랙]]으로 개발하게 된다. 1939년 말 T7 하프트랙의 궤도를 [[M3 스카웃 카|M3 정찰장갑차]]의 차체에 장착하여 T14 하프트랙을 제작한다. T14 하프트랙은 정찰과 화포견인을 목적으로 한 M2 하프트랙으로 채용되고 보병수송용으로 차체를 10인치 연장한 모델이 M3 하프트랙이 된다. M2와 M3는 1941년 12월 [[필리핀]]에서 첫 실전을 경험하게 되는데 결과가 안 좋았다. 장갑차 특유의 빈약한 장갑으로 인해 상당한 손실을 보게 된 것이다.[* 75mm M1897A4 대전차포를 장비한 [[대전차 자주포]]형 M3 GMC도 투입되었다.] 그런 이유로 장갑을 강화하자는 의견이 제시되었지만 방어력보다 속도가 더 중요하다고 판단한 미 육군은 이 정도로 충분하다고 판단하였고[* 장갑을 강화하면 단순히 느려지는 게 문제가 아니다. 단가 증가, 운송의 어려움, 연비 저하, 구동계의 과부하로 인한 고장률 증가 모두를 해결해야 한다. 게다가 당시는 장갑을 믿고 전투에 임하는 전차가 아닌 장갑차량은 소총탄이나 막을 수 있다면 된다고 생각하던 시기로, 같은 이유에서 [[독일 국방군]]의 [[Sd.Kfz. 251]] 하프트랙도 장갑에 큰 차이는 없었다. 성능상으로는 사실 M3가 장갑이 2mm 정도 얇지만 엔진이 Sd.Kfz. 251보다 훨씬 강력해서 기동성과 운송능력이 좋았다. 단순 병력수송용 장갑차가 두꺼운 장갑과 화력을 갖추게 된 것은 수십 년 후 IFV가 등장했을 때의 일이다.] 수송차량이므로 대량생산해 집중운용하는 것이 더 중요하다는 의견이 더해져 장갑강화안은 보류되었다. 그리고 1943년 [[이탈리아 전선]]에서 전차는 이동할 수 있지만 트럭이 제대로 이동하지 못하는 지형에서 적절히 기동하여 하프트랙의 성능을 입증하였다. 하프트랙의 존재에 대해 고민하던 미 육군은 만족스러운 결과를 보고서 생산을 늘리기 시작하였고 기계화부대 편제에서 하프트랙의 숫자를 높였다. 덕분에 미 육군은 서부전선에서 대량의 하프트랙을 보유하게 되었고 부대단위 기동성이 독일군보다 우세하게 되었다. 어찌되었든, 장갑 강화를 한 후속기종 M5 하프트랙을, 이후에 M9 하프트랙도 개발하였으며, M5/M9 하프트랙 둘다 총합 생산량이 11000대로 M3에 밀리지만 1943년도에 같이 배치되며 대전 내내 쓰이게 된다. == 성능 == 일단 기본적인 성능이 타국의 병력수송차량에 비해 우월했다. 147마력의 [[엔진]]으로 톤당 15.8마력의 출력비를 내면서도 4단 전진, 1단 후진의 변속이 부드럽게 이루어지며, 차량 전면의 방향조종을 담당하는 앞바퀴도 리프스프링 현가장치를 사용했고 제동장치도 유압식을 사용했다. 그리고 전체적으로 부품의 내구성과 성능이 좋았는데, 이는 발달된 미국의 자동차 공업 생산력의 수혜를 받은 결과다. 덕분에 [[영국]]의 [[브렌건 캐리어|로이드 캐리어]]에 대해서는 1.5.배 가량의 수송능력이 높았고, 독일의 [[Sd.Kfz. 251]]에 대해서는 더 높은 출력과 선회력, 내구성에서 우위를 가졌다. 게다가 생산량도 엄청나게 많기 때문에 타국의 보병수송차량이 할 수 없었던 보병 수송의 한 축을 충분히 담당할 수 있었다. 기본형의 생산량만 43,000량이었으며, 덕분에 미군 기갑사단 예하 기계화보병연대는 보병수송을 완전히 하프트랙에 일임할 수 있었다. 그리고 [[렌드리스]]를 통해 다른 연합군에게도 보급되었으므로 전쟁 기간중에 영국군 기계화보병이나 소련군 기계화보병이 M3 하프트랙에 탑승하고 맹렬하게 진격하는 것을 흔히 볼 수 있었다.[* 이중에는 M3 후계기종인 M5 하프트랙도 포함되어 같이 렌드리스되었다. M5 하프트랙도 소련땅을 밟아봤다는 뜻.] == 초기형 == === M2(T14) 하프트랙 === ||
[[파일:M2_half-track.jpg|width=100%]] || || '''M2 하프트랙''' || 1939년 말 T7 하프트랙의 궤도를 [[M3 스카웃 카|M3 정찰장갑차]]의 차체에 장착하여 T14 하프트랙을 개발 제작, M2 하프트랙이라는 명칭으로 제식 채용된다. M2A1을 포함해 약 135000대가 생산된다. ==== M2A1 하프트랙 ==== ||
[[파일:M2A1_Half-track.jpg|width=100%]] || || '''M2A1 하프트랙''' || M2 하프트랙에 M49 마운트가 추가된 형태이다. ||
[[파일:M49_mount.jpg|width=100%]] || || '''M49 마운트 측면''' || === M9 하프트랙 === ||
[[파일:The_Tank_Museum_M9A1.jpg|width=100%]] || || '''M9 Half track'''[* 사진의 차량은 개량형인 M9A1이다.] || 타국 공여용 사양. '''"M2E5"'''라고도 하는 M9 하프트랙은 M2 하프트랙의 차체가 짧아지고, 뒤에 출입용 문이 추가된 버전이다. M9A1 하프트랙은 M9 하프트랙에 M49 마운트가 추가된 형태이다. == 중기형 == === M3 하프트랙 === ||
[[파일:M3_half-track.jpg|width=100%]] || || '''M3 하프트랙''' || M2 하프트랙을 보병수송용으로 사용하기 위해 차체를 10인치 연장했다. 총 12499대가 생산되었다. === 제원 === ||
* 중량 : 9.3t * 전장 : 6.18m * 전폭 : 2.22m * 전고 : 2.26m * 승무원 : 3명 + 10명 수송가능 * 주무장 : [[M2 브라우닝 중기관총|12.7mm M2HB]] 1정 * 부무장 : [[M1919 브라우닝|7.62mm M1919A4]] [[기관총]] 2정 * 엔진 : 화이트 160AX, 6기통 가솔린 엔진 (147hp) * 출력비 : 15.8hp/t * 현가장치 : 하프트랙, 수직 벌류트 스프링 현가장치 (VVSS) * 연료량 : 230L * 항속거리 : 282km * 속도 : 72km/h * 생산량 : 약 43,000대 이상 || ==== M3A1 하프트랙 ==== ||
[[파일:M3A1_half_track.jpg|width=100%]] || || '''M3A1 Half track''' || M3 하프트랙에 M49 마운트가 추가된 형태이다. 총 2862대가 생산되었다. === M5 하프트랙 === ||
[[파일:M5_half-track.jpg|width=100%]] || || '''M5 Half track''' || M5 하프트랙은 인터내셔널 하베스터 社에서 생산한 M3 하프트랙의 타국 공여용 버전이다. 기존 M3 하프트랙의 147마력 짜리 화이트 160AX 엔진을 143마력 짜리 인터내셔널 하베스터 IHC RED-450-B 엔진으로 교체했으며, 최대 장갑을 20mm로 늘렸다. 총 11,017대가 생산되었다. ==== M5A1 하프트랙 ==== M5 하프트랙에 M49 마운트를 추가한 형태이다. == 파생형 == 차량의 능력 자체가 좋았기 때문에 미군이 제대로 된 [[자주포]]나 [[대전차 자주포]]를 제작하기 전, 임시방편으로 야포나 [[대전차포]]를 탑재한 파생형들이 다수 제작되었다. 이들은 [[북아프리카 전역]] 말기에 [[튀니지]]에서 실전을 경험하게 된다. === M13 MGMC === ||
[[파일:M13_MGMC.jpg|width=100%]] || || '''M13 Multiple Gun Motor Carriage''' || M3 하프트랙에 2연장 [[M2 브라우닝 중기관총|M2HB]] 포탑을 얹은 자주대공포. ==== M14 MGMC ==== ||
[[파일:M14_MGMC.jpg|width=100%]] || || '''M14 Multiple Gun Motor Carriage''' || ||
전장 || 6.5m || || 전폭 || 2.2m || || 높이 || 2.2m || || 중량 || 9.0t || || 엔진 || 인터내셔널 하베스터 레드-450-B 6기통 가솔린 || || 출력 || 141hp || || 최대속력 || 68km/h || || 항속거리 || 320km || || 무장 || [[M2 브라우닝 중기관총|.50 M2HB]] 중기관총 ×2 || || 승무원 || 5명 || [*출처 TM 9-2800, 1943년 9월 1일 ] M5 하프트랙 기반으로 생산한 M13 MGMC. 대부분이 랜드리스를 통해 영국으로 보내졌는데, 영국군은 이 하프트랙의 기관총 포탑을 뜯어내 원상복귀시켰다고 한다. === M15 CGMC === ||
전장 || 6.2m || || 전폭 || 2.5m || || 높이 || 2.6m || || 중량 || 9.1t || || 엔진 || 화이트 160AX 6기통 가솔린 || || 출력 || 148hp || || 최대속력 || 72km/h || || 항속거리 || 320km || || 무장 || 37mm M1A2 기관포 ×1[br].50 [[M2 브라우닝 중기관총|M2HB]] 기관총 ×2 || || 승무원 || 7명 || [*출처 TM 9-2800, 1943년 9월 1일 ] M3 하프트랙에 37mm M1A2 기관포와 M2 브라우닝을 얹은 자주대공포. 대공포좌를 개선한 M15A1이라는 파생형이 있으며 37mm 대공포를 40mm 보포스 대공포로 교체한 M34도 있다. ==== M15A1 ==== ||
[[파일:M15A1_CGMC.jpg|width=100%]] || || '''M15A1 Combination Gun Motor Carriage''' || 37mm 기관포 위에 있던 M2HB 중기관총을 37mm 기관포 아래로 위치를 옮긴 개량형이다. === M16 MGMC === ||
[[파일:M16_Half_Track_‘408604-S’_(31494810458).jpg|width=100%]] || || '''M16 Multiple Gun Motor Carriage "Meat Chopper"''' || ==== 개요 ==== ||
[youtube(fpqDurEqYrk)] || || '''보빙턴 전차 박물관 소장 M16 MGMC 기동 영상''' || || [youtube(8wd81Oj4tyA)] || || '''문스터 전차 박물관 소장 M16A1 MGMC 기동 영상''' || M3 하프트랙을 기반으로 제작한 [[자주대공포]]로, [[M2 브라우닝 중기관총|50구경 (12.7mm) M2HB 중기관총]] 4정을 묶어놓은 [[자주대공포]]다. 이 차량은 여러 전쟁을 거쳐서 사용되었는데, 하프트랙이 흔했던 2차대전과 [[6.25 전쟁]], 심지어는 하프트랙이 많이 도태되었던 [[베트남 전쟁]]까지도 쓰였다. M3 하프트랙 기반 대공차량 중 대표적인 차량. 50구경 M2HB를 4정을 장착한 [[M45 쿼드마운트]]를 장착하고 있다.[* 대한민국에선 [[승공포]]라 불린다.] 이 차량은 본업인 대공능력 뿐 아니라 지상사격으로 보병을 산산조각내는 능력도 탁월했다. 미군의 특성상 제공권을 확실히 잡아둔 상황이 대부분이라 대공용으로는 많이 안쓰인 대신 지상군을 공격하는 보병지원 임무에 많이 투입되었다. 여기서 파생된 별명이 미트 초퍼(Meat chopper; 고기 분쇄기)로, 파괴력을 생각하면 너무나도 적절한 별명. ==== 제원 ==== ||
전장 || 6.5m || || 전폭 || 2.0m || || 높이 || 2.4m || || 중량 || 9.0t || || 엔진 || 화이트 160AX 6기통 가솔린 || || 출력 || 148hp || || 최대속력 || 72km/h || || 항속거리 || 320km || || 무장 || [[M2 브라우닝 중기관총|.50 M2HB]] 중기관총 ×4 || || 승무원 || 5명 || [*출처 TM 9-2800, 1943년 9월 1일 ] ==== M16A1 MGMC ==== ||
[[파일:M16A1_MGMC.jpg|width=100%]] || || '''M16A1 MGMC''' || ==== M17 MGMC ==== ||
[[파일:Park_Patriot_M17_MGMC_’36_white’.jpg|width=100%]] || || '''M17 MGMC''' || M5 하프트랙을 기반으로 생산한 M16 MGMC. === T10E1 === ||
[[파일:M3_halftrack_hispano.jpg|width=100%]] || || '''T10E1''' || [[히스파노 기관포|HS.404 기관포]] 탑재 M16 MGMC === T54 GMC === ||
[[파일:T54_GMC_img1.jpg|width=100%]] || || '''T54 GMC''' || 40mm 보포스 대공포 탑재 M3 하프트랙. 총 2대의 프로토타입이 생산되었다. ==== T54E1 GMC ==== ||
[[파일:T54E1_GMC.jpg|width=100%]] || || '''T54E1 GMC''' || T54의 개량형. 40mm 보포스 대공포 1문 탑재. === T59 GMC === ||
[[파일:T59.webp|width=100%]] || || '''T59 GMC''' || 40mm 보포스 대공포 탑재 M3 하프트랙. 1대의 프로토타입이 생산되었다. ==== T59E1 GMC ==== ||
[[파일:T59E1_GMC.jpg|width=100%]] || || '''T59E1 GMC''' || 1대의 프로토타입이 생산되었다. === T60 GMC === ||
[[파일:T60_GMC.jpg|width=100%]] || || '''T60 GMC''' || ==== T60E1 GMC ==== ||
[[파일:T60E1_GMC.jpg|width=100%]] || || '''T60E1 GMC''' || 40mm 보포스 대공포+ M2 중기관총 2문을 탑재한 하프트랙. === [[T48 GMC]] === ||<-2>
[[파일:57mm GMC T48.jpg|width=100%]]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T48 GMC)] === M3 GMC === ||<-2>
[[파일:M3_GMC.jpg|width=100%]] || || 전장 || 6.2m || || 전폭 || 2.0m || || 높이 || 2.4m || || 중량 || 9.1t || || 엔진 || 화이트 160AX 6기통 가솔린 || || 출력 || 148hp || || 최대속력 || 72km/h || || 항속거리 || 320km || || 무장 || 75mm [[1897년식 75mm 야포|M1897A4]] 대전차포 ×1, [[M2 브라우닝 중기관총]] x1 || || 승무원 || 5명 || [*출처 TM 9-2800, 1943년 9월 1일 ] M3 하프트랙 위에 75mm M1897A4 야포를 올린 대전차 자주포. [[북아프리카 전역]] 후반기의 [[횃불 작전]] 이후 카세린 협곡 전투와 [[태평양 전쟁]] 초반의 [[필리핀]] 전역, [[사이판 전투]] 등에서 실전을 겪었으며, [[서부전선|유럽전선]]에서는 [[이탈리아 전역]] 이후 [[M10 GMC]]으로 대체된다. === M21 MMC === ||
[[파일:M21 Mortar Motor Carriage.png|width=100%]] || || '''M21 Mortar Motor Carriage''' || ||
전장 || 6.0m || || 전폭 || 2.0m || || 높이 || 1.8m || || 중량 || 8.4t || || 엔진 || 화이트 160AX 6기통 가솔린 || || 출력 || 148hp || || 최대속력 || 72km/h || || 항속거리 || 320km || || 무장 || [[81mm 박격포#s-2.5|81mm M1]] 박격포 ×1[br][[M2 브라우닝 중기관총|.50 M2HB]] 중기관총 ×1 || || 승무원 || 6명 || [*출처 TM 9-2800, 1943년 9월 1일 ] M3 하프트랙에 81mm M1 박격포를 올린 자주박격포. === T30 75mm HMC === ||
전장 || 6.0m || || 전폭 || 2.2m || || 높이 || 2.5m || || 중량 || 8.9t || || 엔진 || 화이트 160AX 6기통 가솔린 || || 출력 || 148hp || || 최대속력 || 72km/h || || 항속거리 || 320km || || 무장 || 75mm [[M116 75mm 경야포|M1A1]] 곡사포 ×1 || || 승무원 || 5명 || [*출처 TM 9-2800, 1943년 9월 1일 ] M3 하프트랙에 M116 75mm 경곡사포를 올린 자주곡사포. 북아프리카 전선과 남태평양 전역의 [[앙가우르 전투]] 에서 사용된 기록이 있다. === T19 105mm HMC === ||
[[파일:T19_Howitzer_Motoer_Carriage.jpg|width=100%]] || || '''T19 105mm Howtizer Motor Carriage''' || ||
전장 || 6.0m || || 전폭 || 2.2m || || 높이 || 1.9m || || 중량 || 9.1t || || 엔진 || 화이트 160AX 6기통 가솔린 || || 출력 || 148hp || || 최대속력 || 72km/h || || 항속거리 || 320km || || 무장 || 105mm [[M2 / M101 계열 105mm 곡사포|M2A1]] 곡사포 ×1 || || 승무원 || 6명 || [*출처 TM 9-2800, 1943년 9월 1일 ] M3 하프트랙에 105mm 곡사포를 올린 자주곡사포. === T28 MGMC === ||
[[파일:T28_MGMC.jpg|width=100%]] || || '''T28 MGMC''' || === T68 GMC === ||
[[파일:40mm_GMC_T68.webp|width=100%]] || || '''T68 GMC''' || M3 하프트랙에 상하쌍대식으로 40mm 보포스 대공포 2정과 스테빌라이저로 이루어진 복합 대공포탑을 탑재한 프로토타입 자주대공포. 채용되지는 않았다. === M3 하프트랙 커맨드 === ||
[[파일:Armeemuseum_M3_halftrack_command.jpg|width=100%]] || || '''M3 하프트랙 커맨드''' || == 실전 == === [[제2차 세계대전]] === ==== 북아프리카 전선 ==== ===== [[https://en.wikipedia.org/wiki/Battle_of_Kasserine_Pass|카세린 협곡 전투]] ===== ||
[[파일:german_captured_M3A1_Half-track_at_Kasserine_Pass,_Tuinisia.jpg|width=100%]] || || '''카세린 협곡 전투 후 독일 국방군이 노획한 미군의 M3A1 하프트랙''' || ==== [[서부전선#s-3]] ==== ===== [[노르망디 상륙작전]] ===== ||
[[파일:17th Armored Engineer Battalion, 2nd Armored Division M3A1 half-track.jpg|width=100%]] || || '''미 육군 제2기갑사단 산하 제17기갑정비대대의 M3A1 하프트랙, 1944년 6월 8일''' || ===== [[아르덴 대공세]] ===== ||
[[파일:german-troops-by-a-burning-us-m3-half-track-battle-of-the-bulge.jpg|width=100%]] || || '''불타는 M3 하프트랙''' || ===== 독일 본토 진격전 ===== ||
[[파일:M3A1 half-track 'Bitching Pals'.webp|width=100%]] || || '''미 육군 제9기갑사단 산하 27기갑보병대대의 M3A1 하프트랙 "Bitching Pals", 1945년 3월 독일 Engers''' || ==== [[독소전쟁]] ==== ||
[[파일:M2 halftrack marked with a swallow sign is towing ZiS-3 divisional gun in Sofia 1944.jpg|width=100%]] || || '''ZiS-3 사단포를 견인하는 소련 육군 제4근위기계화군단의 M2 하프트랙, 1944년 불가리아 왕국 소피아''' || || [[파일:soviet_M17_MGMC-in_Danzig.jpg|width=100%]] || || '''단치히의 소련 육군 소속 M17 MGMC''' || ==== [[태평양 전쟁]] ==== ===== 필리핀 전역 ===== ||
[[파일:M3 Half Track on Bataan, Philippines 1942.webp|width=100%]] || || '''M3 하프트랙, 1942년 필리핀 바탄''' || || [[파일:abandoned M3 75mm GMC in February 1942 Bataan.jpg|width=100%]] || || '''유기된 M3 GMC, 1942년 2월 필리핀 바탄''' || ===== [[이오지마 전투]] ===== ||
[[파일:M3_75mm_GMC_at_Iwo_Jima_1945.jpg|width=100%]] || || '''미 해병대와 M3 GMC, 1945년 일본 이오지마''' || ==== [[연합군의 시칠리아 침공]] ==== ||
[[파일:M3_half-track_'Cochrane'_at_Sicilly.jpg|width=100%]] || || '''미 육군 제2기갑사단 산하 82정찰대대 C 중대 소속 M3 하프트랙, 1943년 7월 시칠리아''' || ==== [[이탈리아 전선#s-2]] ==== ||
[[파일:us-5th-army-troops-in-m3-half-track-in-venfron-italy-1944.jpg|width=100%]] || || '''미 육군 제5군의 M3 하프트랙, 1944년 이탈리아 벤프론''' || === 냉전기 === ==== [[중동전쟁]] ==== ===== [[이스라엘 독립전쟁]] ===== ||
[[파일:Israeli_M3_half-track_during_Israel_Independence_war_1948.jpg|width=100%]] || || '''이스라엘 독립전쟁 당시의 이스라엘군 자흘람 M3''' || ===== [[수에즈 위기]] ===== ||
[[파일:IDF_half-tracks_during_Kadesh_war.jpg|width=100%]] || || '''수에즈 위기 당시의 이스라엘 방위군 자클람 M3''' || ===== [[6일 전쟁]] ===== ||
[[파일:M2_half-track_storming_to_Golan_Heights.jpg|width=100%]] || || '''6일 전쟁 당시 골란 고원으로 진격하는 이스라엘 방위군 소속 자클람 M3''' || ===== 카라마 작전 ===== ||
[[파일:Karama_Operation_IDF_M3_half-track.jpg|width=100%]] || || '''카라마 작전 당시의 이스라엘 방위군 소속 자클람 M3''' || ===== [[욤 키푸르 전쟁]] ===== ||
[[파일:Half tracks crossing the Suez canal during Yom Kippur War 1973.jpg|width=100%]] || || '''욤 키푸르 전쟁 당시 수에즈 운하를 도하하는 이스라엘 방위군 소속 자클람 M3''' || ===== [[레바논 내전]] ===== ||
[[파일:IDF_half-tracks_during_1982_Lebanon_war.jpg|width=100%]] || || '''레바논 내전 당시 동부전선의 이스라엘 방위군 자클람 M3''' || ==== [[한국 전쟁]] ==== ||
[[파일:Canadian_M3A1_half-track_during_Korean_War.png|width=100%]] || || '''한국전쟁 당시 캐나다군의 M3A1 하프트랙''' || ==== [[베트남 전쟁]] ==== ||
[[파일:M3A1_half-track_at_vietnam.jpg|width=100%]] || || '''베트남의 M3A1 하프트랙''' || ===== [[제1차 인도차이나 전쟁]] ===== ||
[[파일:french_half-track_at_Indochina.jpg|width=100%]] || || '''프랑스군의 하프트랙''' || 프랑스군이 M2 하프트랙과 M3 하프트랙을 사용했다. == 운용국 == [[제2차 세계 대전]]이 끝난 후 현대적인 APC가 등장할 때까지 M3/M5/M9 하프트랙과 파생형인 M16 MGMC는 2차 세계대전에서 많이 생산되어 전후에도 많은 차량들이 계속 사용되었다. 게다가 타국으로 공여된 사례도 많았다. === [[아메리카]] === ==== [[북아메리카]] ==== ===== [[미국]] ===== ||
[[파일:White_halftrack_'To_Hell_With_It!'_with_USAW-409826_pic2.jpg|width=100%]] || || '''개인 소장 M3 하프트랙''' || || [[파일:U.S._Army_M3_half-track.jpg|width=100%]] || || '''제59회 토랜스 군사 퍼레이드의 미 육군 M3 하프트랙''' || ===== [[캐나다 자치령]] ===== ||
[[파일:Canadian_War_Museum_M3_half-track.jpg|width=100%]] || || '''캐나다 전쟁 박물관 소장 M3A1 하프트랙''' || ==== [[중앙아메리카]] ==== ===== [[도미니카 공화국]] ===== ||
[[파일:Dominican_Republic_M3_Half_track.jpg|width=100%]] || || '''도미니카 공화국 육군의 M3A1 하프트랙''' || ||
[youtube(PFRy1fo-ays)] || || '''도미니카 공화국 육군의 M3A1 하프트랙 영상''' || ===== [[멕시코]] ===== ||
[[파일:Mexican Army 7/o Regimiento Blindado de Reconocimiento M2A1 half-track.jpg|width=100%]] || || '''멕시코 육군 제7기갑정찰연대의 M2A1 하프트랙''' || || [[파일:mexican_M3A1_half-track.jpg|width=100%]] || || '''멕시코군의 M3A1 하프트랙''' || || [[파일:Mexican army 9/o Regimiento Blindado de Reconocimiento M9A1 half-track.jpg|width=100%]] || || '''멕시코 육군 제9기갑정찰연대의 M9A1 하프트랙''' || 현역이다. ==== [[남아메리카]] ==== ===== [[칠레]] ===== ||
[[파일:3rd Armored Brigade 'La Concepción' M5 half track.jpg|width=100%]] || || '''칠레 육군 제3기갑여단의 M5 하프트랙''' || 2차 대전 당시 M5 하프트랙 10대를 미국으로부터 공여받았다. ||
[[파일:M3_half-track_based_recovery_vehicle.jpg|width=100%]] || || '''칠레군의 M5 하프트랙 기반 구난 차량''' || ===== [[브라질]] ===== ||
[[파일:South Military Command Museum M3 half track.jpg|width=100%]] || || '''군사 지휘 박물관 소장 M3 하프트랙''' || ===== [[볼리비아]] ===== ||
[[파일:Bolivian_M3_half-track.jpg|width=100%]] || || '''볼리비아군의 M3 하프트랙''' || 2차 대전 당시 미국으로부터 M3 하프트랙 24대를 공여받아 운용했다. ||
[[파일:bolivian_M5_half-track.jpg|width=100%]] || || '''볼리비아군의 M5 하프트랙''' || 2007년에는 아르헨티나로부터 M5 하프트랙과 M9 하프트랙 37대를 공여받았다. ===== [[페루]] ===== ||
[[파일:Peruvian_M3A1_half-track.webp|width=100%]] || || '''페루군의 M3A1 하프트랙''' || ===== [[아르헨티나]] ===== ||
[[파일:Argentine_Army_M9_half-track.jpg|width=100%]] || || '''아르헨티나 육군의 M9 하프트랙''' || ===== [[파라과이]] ===== ||
[[파일:paraguaian_half-track.jpg|width=100%]] || || '''파라과이군의 하프트랙''' || === [[유럽]] === ==== [[중부유럽]] ==== ===== [[독일]] ===== ====== [[나치 독일]] ====== ||
[[파일:M3&sdkfz251.jpg|width=100%]] || || '''501중전차대대의 M3 하프트랙과 Sd.kfz. 251''' || 동부전선, 서부전선, 북아프리카 전선 등지에서 노획해 '''"Gepanzerter Mannschaftstransportwagen M3 401(a)"'''라는 제식명으로 운용했다. ||
[[파일:ST10-M3wurfrahmen.jpg|width=100%]] || || '''Gepanzerter Mannschaftstransportwagen M3 401(a) mit Wurfrahmen 40''' || 1945년 독일-체코슬로바키아 국경에서 미군이 노획한 독일군 소속 M3 하프트랙. [[부르프라멘 40|부르프라멘 40 로켓발사기]]를 장착할 수 있도록 독일군이 개조했다. ||
[[파일:captured_M3_halftrack_SPAA.jpg|width=100%]] || || '''1943년 튀니지의 프랑스제 model 25 3.7cm 대공포 탑재 Gep.MTW M3 401(a)''' || ====== [[독일연방공화국]] ====== ||
[[파일:Deutsches_Panzermuseum_FlakPz M 16.jpg|width=100%]] || || '''문스터 전차 박물관 소장 독일 연방군 소속 FlakPz M 16''' || 1956년 192대의 M16A1 MGMC를 공여받아 1962년까지 운용했다. ===== [[오스트리아]] ===== ||
[[파일:Austrian_M3_half-track.jpg|width=100%]] || || '''오스트리아 연방군의 M4 81mm 자주박격포''' || ===== [[폴란드]] ===== ==== [[동유럽]] ==== ===== [[소련]] ===== ||
[[파일:Park_Patriot_M3_Half_Track_‘351’.jpg|width=100%]] || || '''애국 공원 소장 M3A1 하프트랙''' || || [[파일:Soviet_M5_half-track_Re-enactment.jpg|width=100%]] || || '''리인액트먼트 행사의 M5 하프트랙''' || 랜드리스로 미국으로부터 M2 하프트랙 342대, M3 하프트랙 2대, M5 하프트랙 421대, M9 하프트랙 413대를 지원받았다. 지원받은 하프트랙 중 54대가 소련으로 수송되는 중 독일 유보트가 쏜 어뢰에 맞고 화물선이 침몰되어 실종되었다. ==== [[북유럽]] ==== ===== [[덴마크]] ===== ||
[[파일:Danish_Army_M3A1.jpg|width=100%]] || || '''코펜하겐 야외전시 M3A1 하프트랙''' || 1946년과 1955년에 M3A1과 M5 하프트랙 32대를 공여받았다. ===== [[핀란드]] ===== ||
[[파일:Panssarimuseo_M2_half-track.jpg|width=100%]] || || '''파롤라 전차 박물관 소장 M2 하프트랙''' || || [[파일:Finnish_M2_half-track_towing_sFH 18_August_1949.webp|width=100%]] || || '''sFH 18 곡사포를 견인하는 핀란드 방위군 소속 M2 하프트랙, 1949년 8월''' || 2차대전 종전 후 독일과 프랑스에 주둔 중 이었던 연합군으로부터 500대를 구매했다. ==== [[서유럽]] ==== ===== [[영국]] ===== ||
[[파일:British_Army_11th_Armoured_Division_M3_half-track.jpg|width=100%]] || || '''영국 육군 제11기갑사단의 M3 하프트랙''' || ===== [[프랑스]] ===== ||
[[파일:Utah_M3A1.jpg|width=100%]] || || '''유타 해변 기념관 소장 자유 프랑스 육군 소속 M3A1''' || 제2차 세계대전 당시 다량을 미국으로부터 공여받았다. ===== [[네덜란드]] ===== ||
[[파일:Nationaal_Militair_Museum_M3A1_half-track.jpg|width=100%]] || || '''네덜란드 국립 군사 박물관 소장 M3A1 하프트랙''' || ==== [[남유럽]] ==== ===== [[유고슬라비아 연방 인민 공화국]] ===== ||
[[파일:JNA_M15_CGMC.png|width=100%]] || || '''유고슬라비아 인민군의 M15A1 CGMC''' || ===== [[이탈리아]] ===== ||
[[파일:Pinerolo Cavalry Museum M3 half-track.jpg|width=100%]] || || '''[[피네롤로]] 기병 박물관 소장 M3A1 하프트랙''' || || [[파일:italian_M3A1_half-track.jpg|width=100%]] || || '''이탈리아군의 M3A1 하프트랙''' || ===== [[포르투갈]] ===== ||
[[파일:Museu Salgueiro Maia_M3A1_m/1952.jpg|width=100%]] || || '''Salgueiro Maia 박물관 소장 포르투갈군 소속 M3A1 m/1952 하프트랙''' || ===== [[스페인국]] ===== ||
[[파일:Museo de Unidades Acorazadas de El Goloso M3A1.jpg|width=100%]] || || '''엘 골로소 기갑부대 박물관 소장 스페인 육군 제1기갑사단 소속 M3A1 하프트랙''' || 1950년대 중반 미국으로부터 M3A1 하프트랙 154대, M4A1 MMC 12문, M14 MGMC 78대, M16 MGMC 14대를 공여받아 1960년대 말~1970년대 초 까지 운용했다. === [[아시아]] === ==== [[동아시아]] ==== ===== [[대한민국]] ===== ||
[[파일:yongsan_M16A1.jpg|width=100%]] || || '''전쟁기념관 소장 대한민국 국군 소속 M16A1 MGMC''' || 대한민국 국군은 [[6.25 전쟁]] 이전에 소수의 M3 하프트랙을 [[https://demaclub.tistory.com/2720|공여]]를 받았다. M3 하프트랙과 파생형인 [[M16 하프트랙|M16 MGMC]]를 공여를 받은 것으로 추정된다. 이후 시간이 흘러 대한민국 국군이 발전하면서 M3 하프트랙 계열은 노후 장비로 퇴역하면서 포탑을 분리하여 [[승공포]]로 운용하고 있다. ===== [[중화민국]] ===== ||
[[파일:ROC_M2A1.jpg|width=100%]] || || '''국민혁명군의 M2A1 하프트랙''' || ===== [[일본]] ===== ====== [[일본 제국]] ====== ||
[[파일:imperial_Japanese_captured_halftrack_lost_in_the_river.jpg|width=100%]] || || '''강에 빠진 일본군의 M3 GMC''' || ====== [[일본국]] ====== ||
[[파일:JGSDF_M16_MGMC.jpg|width=100%]] || || '''육상자위대의 M16 MGMC''' || || [[파일:JGSDF_M15A1_CGMC.jpg|width=100%]] || || '''육상자위대의 M15A1 CGMC''' || 일본 [[육상자위대]]는 M15A1 CGMC를 보안대 시절에 도입해 1990년대까지 운영했는데 동시기에 도입한 M16 MGMC가 1970년대에 퇴역한 것에 비교하면 상당히 오래 운영한 것이다. 70~80년대에 [[오리콘 대공포|오리콘 35mm 2연장 대공포]]나 [[87식 자주대공포|87식 35mm 자주대공포]] 도입으로 사실상 일선에서 밀려나긴 했지만 일본 자위대 장비 도입 사업 자체가 장기간에 걸친 소규모 도입이라서 퇴역까지 상당한 시일이 걸린 것이라고 한다. ===== [[북한]] ===== ||
[[파일:Victorious Fatherland Liberation War Museum M16 MGMC.jpg|width=100%]] || || '''조국해방전쟁승리기념관 소장 --미제참략군 12.7mm 자행고사총--M16 MGMC''' || 한국전쟁 당시 M16 MGMC를 노획해 현재 [[조국해방전쟁승리기념관]]에서 전시 중 이다. ==== [[서아시아]] ==== ===== [[이스라엘]] ===== ||
[[파일:IDF_M2_Half-track.jpg|width=100%]] || || '''야드 라 시론 전차 박물관 소장 자흘람 M3''' || [[중동전쟁]] 당시 [[이스라엘군]]도 세계 각지에서 M2, M3,M5 하프트랙을 입수해서 모든 M2 하프트랙, M3 하프트랙, M5 하프트랙을 '''"자흘람(זחל"ם) M3"'''이라는 제식명으로 통일했다. ||
형식 || 세부사항 || || '''자흘람 M3 데겜 알레프''' || 일반 병력수송용 M2 하프트랙, M3 하프트랙, M5 하프트랙, M9 하프트랙 || || '''자흘람 M3 데겜 베트''' || 여러개의 라디오와 M2HB 중기관총을 탑재한 지휘차량 || || '''자흘람 M3 데겜 기멜''' || 81mm M1 박격포를 탑재한 자주박격포 || || '''자흘람 M3 데겜 달렛''' || [[https://en.wikipedia.org/wiki/Soltam_M-65|120mm Soltam M-65 박격포]]를 탑재한 자주박격포 || || '''자흘람 M3 데겜 He''' || 75mm 크루프 곡사포를 탑재한 자주곡사포 || || '''자흘람 M3 데겜 Waw''' || 20mm 오리콘 기관포 2문을 [[M45 마운트]]에 탑재한 자주대공포 페이퍼플랜 || 이스라엘의 파생형들은 다음과 같다. * M3 대전차자주포 ||
[[파일:b914645334dd09229c27e6461541cfa4.jpg|width=100%]] || 프랑스제 90mm DEFA 포를 장착한 버전 * M3 TCM-20 "Hatzerim" ||
[[파일:M3_TCM-20.jpg|width=100%]] || || '''M3 TCM-20 "Hatzerim"''' || [[https://en.wikipedia.org/wiki/M45_Quadmount#TCM-20|TCM-20]] 마운트를 탑재한 자주대공포 * 자흘람 M3(Tager) ||
[[파일:Zachlam_M3_Tager.jpg|width=100%]] || || '''자흘람 M3(타게르)''' || 프랑스제 SS.11 대전차 미사일을 단 버젼. ===== [[레바논]] ===== ||
[[파일:Lebanese_M3_half-track_command_variant.jpg|width=100%]] || || '''레바논의 M3 하프트랙 지휘차량''' || 이스라엘이 레바논 내전 당시 남레바논군, 타이거즈 민병대 등의 기독교 민병대들에게 공여했다. ====== 남레바논군 ====== ||
[[파일:An SLA militia M5 based halftrack in southern Lebanon, early 1980s.jpg|width=100%]] || || '''남레바논군의 M5 하프트랙, 1980년대 초''' || ==== [[동남아시아]] ==== ===== [[필리핀]] ===== ||
[[파일:Angeles City Police Department, Philippines_M3_half-track.png|width=100%]] || || '''필리핀 엔젤레스 경찰의 M3 하프트랙''' || || [[파일:Filipino_M3_half-track_during_korean_war.jpg|width=100%]] || || '''한국전쟁 당시 필리핀군의 M3 하프트랙''' || || [[파일:Filipino_M16_MGMC_during_korea_war.jpg|width=100%]] || || '''한국전쟁 당시 필리핀군의 M16 MGMC''' || ===== [[베트남]] ===== ||
[[파일:Hanoi_Army_Museum_M3_half-track.webp|width=100%]] || || '''하노이 육군 박물관 소장 M3 하프트랙''' || ===== [[태국]] ===== ||
[[파일:Thai Army M3 half-track fitted with a Bofors 105mm Howitzer.webp|width=100%]] || || '''타이 왕립 육군의 보포스 105mm 곡사포 탑재 M3 하프트랙''' || ===== [[라오스 왕국]] ===== ||
[[파일:Royal_Laotian_Army_M3A1_half_track.jpg|width=100%]] || || '''라오스 왕국군 소속 M3 하프트랙''' || == 평가 == 실질적인 [[병력수송장갑차|APC]]의 조상으로, 기본적으로 해당 종류의 차량이 어떻게 운용되어야 하는지에 대해 성공적인 실적으로 답한 걸작이다. 이는 비슷한 종류의 타국의 보병수송차량을 보면 충분히 알 수 있다. * [[트럭]]: 전세계 공통으로 사용했으며, 가격이 저렴하고 기술적인 면도 그렇게 높지 않았지만 역시 험지돌파력 문제와 장갑이 없는 문제로 인해 잘 갖추어진 도로와 적이 없는 환경이 필요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덤으로 트럭마다 종류가 다양해서 부품호환이 안되며, 험지에서 사용하라고 만든 물건이 아닌 경우가 대다수라 다양한 부품과 지원을 할 준비가 안되면 단순한 수송업무에도 급속도로 소모돼버린다. 유일하게 이걸 극복한 국가는 군용 트럭을 표준화해서 대량생산했던 미국 뿐이었다. * 영국: [[브렌건 캐리어]]를 비롯한 다양한 장갑차량을 보유했으며 로이드 캐리어의 경우 7~8명의 병력을 수송할 수 있어 병력 수송용으로 쓰는데도 문제가 없었고 전 형식을 합치면 26,000대로 수량도 어느 정도 확보되었다. 그러나 M3 하프트랙에 비해서 차량의 성능상 이점이 별로 없고 수송 인원 수도 2/3 수준으로 적었으며 자체 무장이 전무하여 병력 및 장비 수송 이외의 목적으로는 사용할 수 없었다. * 독일: M3에 그리 밀리지 않는 성능의 하프트랙인 [[Sd.Kfz. 251]]을 보유했지만 항상 수량이 부족한 문제점이 있어서 정예부대의 엘리트 보병이나 사용가능한 수준이었다. 독일의 국력 문제도 있었고 상대적으로 생산성이 떨어지는 설계이기 때문이기도 했다.[* 독일이 고집하던 여러 겹으로 된 [[보기륜]] 구조만 해도 정비가 골치아팠다.] 심지어 국방군/무장친위대를 가리지 않고 기갑사단 예하 기갑척탄병 4개 대대 중에서 하노마크 하프트랙을 완편한 대대는 '''단 1개''' 뿐이었다. 예하 기갑척탄병대대 모두 하노마크를 장비한 기갑교도사단은 희귀한 경우이다. 심지어 마차가 이동수단인 경우가 대다수였고, 일부의 경우에는 수송수단이 없어서 도보 및 인력에 의지하는 사태가 전개되기도 했다. * 소련: 애초에 장갑차량으로 병사들을 보호하며 전장으로 운송한다는 개념 자체를 이해하지 못했던 탓에 렌드리스를 많이 받기 시작하는 전쟁 중반 이후는 상황이 개선되지만, 그전에는 대부분 트럭이나 전차를 생산하는 것에 만족하였다. 이에 반해 M3 하프트랙은 미군의 경우 정예부대는 물론 일반적인 보병도 약간의 차량을 보급받아서 다용도로 쓸 정도로 보급률이 높았고 성능 및 내구성, 신뢰성이 좋아서 전쟁수행에 큰 도움을 주었다. [[렌드리스]]로 다른 연합국에게 지급돼서 그들의 전투수행능력을 증가시키는 데도 큰 도움을 주었다. == 기타 == == 미디어 == === 영화/드라마 === ==== [[퓨리(영화)|퓨리]] ==== ||
[[파일:i747967.jpg|width=100%]] || || [[파일:external/www.imfdb.org/Fury_508.jpg|width=100%]] || || '''퓨리에서 등장한 미 육군 소속 M3 하프트랙''' || 미군의 보병수송차량으로 간간히 등장한다. ==== [[조조 래빗]] ==== ||
[[파일:jojo_rabbit_M36.jpg|width=100%]] || || '''조조 래빗에 등장한 미 육군 소속 M3 하프트랙''' || 다수의 차량들이 영화 후반부 미군 소속으로 잠깐 등장한다. === 다큐멘터리 === ==== 디스커버리 ==== 디스커버리 보병전투차 TOP 10에서 8위에 랭크되었다. 5위는 [[Sd.Kfz. 251]]. 1위는 [[M113]]. === 게임 === ==== [[워 썬더]] ==== ||
[[파일:1200px-GarageImage_M3_GMC.jpg|width=100%]]||[[파일:1200px-GarageImage_M13_MGMC.jpg|width=100%]]|| || '''M3 GMC''' || '''M13 MGMC''' || ||[[파일:1200px-GarageImage_M15_CGMC.jpg|width=100%]]||[[파일:1200px-GarageImage_M16_MGMC.jpg|width=100%]]|| || '''M15 CGMC''' || '''M16 MGMC''' || ||[[파일:1200px-GarageImage_M16_MGMC_(Japan).jpg|width=100%]]||[[파일:1200px-GarageImage_SU-57.jpg|width=100%]]|| || '''M16 MGMC(일본)''' || '''SU-57''' || ||<-2>[[파일:WT_Zachlam_M3_tager.jpg|width=100%]]|| ||<-2> '''자클람 M3 (Tager)''' || 미군 지상장비로 75mm M1897A4 야포를 장착한 구축전차 트리의 M3 GMC와 각종 대공장비를 장착한 M13 MGMC, M15 CGMC, M16 MGMC가 등장하며, 2.3 BR을 갖고 있는 M16 MGMC는 2~3랭크 미국 플레이어들에게 든든한 대공방어력을 제공해준다.--BR 8.0에 나오는 M163 과 이 M15 MGMC 사이의 40mm들은 연사가 너무 느려 대공으로 써먹기 힘들어서 이걸 계속 쓰게 된다.-- 이 차량 다음에 연구할수있는 M15 CGMC은 37mm 기관포와 12.7mm 기관총 2정을 장착했지만, 포방패 때문에 앞으로 조준하면 부양각이 안나온다. 그래서 대부분 유저들은 M16을 선호하는 편. M16도 앞쪽으로 조준하면 부양각이 100% 나오지는 않지만 큰 문제는 없다. 일본 지상 장비로 M16 MGMC가, 이스라엘 지상 장비로는 자클람 M3 (타게르)가 등장한다. ==== [[Grand Theft Auto Online]] ==== 새로운 무장차량으로 출시했다. 이름도 하프트랙으로 동일하며, 기본형인 하프트랙의 상부 기관총탑을 업그레이드시 개량형인 M16 MGMC외 동일한 4연장 기관총으로 무장한다. 다만 원본과의 차이라면 창문부분에 장갑을 덧댈 수 있다는 점. ==== [[컴퍼니 오브 히어로즈 시리즈]] ==== ===== [[컴퍼니 오브 히어로즈]] ===== 미군 차량으로 M3이 등장하며, M16 CGMC로 업그레이드할 수 있다. 업그레이드하지 않을 경우 무기가 없지만 아무 잡병이나 태우면 50구경 기관총을 쏠 수 있게 된다. 또한 업그레이드하지 않으면 주변 보병분대 충원능력이 있다. ===== [[컴퍼니 오브 히어로즈 2]] ===== 소련군에 공여된 M5가 등장하며, ZSU M17 MGMC로 업그레이드된다. 이후 추가된 미군 진영에서는 M15 CGMC를 생산할 수 있고, 지휘관에 따라 M3, M5(m17로 업그레이드 가능), M21 MMC를 불러올 수 있다. ===== [[컴퍼니 오브 히어로즈 3]] ===== || [[파일:1반궤도677318081167.jpg|width=100%]] || || '''M3''' || || [[파일:1미트673548229484.jpg|width=100%]] || || '''M16''' || || [[파일:167776밀리335604737.jpg|width=100%]] || || '''M3 GMC''' || 기본형인 M3를 비롯해 자주대공포인 M16과 M3 GMC등의 파생형이 [[컴퍼니 오브 히어로즈 3/미군|미군]] 유닛으로 등장한다. ==== [[Gunship Sequel WW2]] ==== ||
[[파일:윙듀M16.jpg|width=100%]] || || '''M16 MGMC''' || M16 MGMC가 미군과 영국군 1티어 대공전차로 등장한다. ==== [[스틸 디비전]] 시리즈 ==== 미군, 소련군, 영국군, 자유 프랑스군 등의 보병수송, 중화기, 탄약 운송, 대공, 화력지원, 지휘 차량으로 등장한다. 미군 사단들은 모든 보병을 태울 수 있을 정도로 많고 대다수가 [[50구경]] [[M2HB]]를 장착하고 있다. 나머지 받아 쓰는 국가들은 수량이 많지 않아 소수의 보병만 태울 수 있고 [[30구경 기관총]]만 달고 있는 경우가 많다. 소련군은 [[6파운더]] 대전차포 장착형을 Su-57 명칭으로 정찰+대전차 차량으로 쓰기도 한다. 미군이 쓰다남은 것을 공여했는데 6파운더 관통력이 [[ZiS-3]]이나 [[T-34-76]]보다 좋아서 쏠쏠한 유닛이다. [[자주대공포]] 버전은 일반 총탄이 통하지 않는 점을 이용해 대보병 지원용으로도 좋다. 캠페인 소련군은 보병전시 유용하게 쓰게 된다. 인도 사단이나 레인저들이 75mm 직사포를 달아 개조한 버전도 있고 미군이나 자유 프랑스군엔 [[81mm 박격포]] 탑재버전이 많다. ==== [[멘 오브 워]] 시리즈 ==== 보병을 수송하며 탄약이나 중화기를 싣거나 견인해 다닐 수도 있다. 하지만 사수가 노출되어 있는데 멘 오브 워 시리즈 특성상 적 보병이나 차량이 노출된 사수를 쏴버리면 당할 수 있다. === 만화 === == 모형 == === 프라모델 === ==== 모노그램 ==== ||
[[파일:20230424_035737.jpg|width=100%]] || || '''M16 하프트랙''' || ==== [[타미야 모형]] ==== ||
[[파일:20230424_040103.jpg|width=100%]] || || ''' M3A2 하프트랙''' || ==== [[이탈레리]] ==== ||
[[파일:20230424_040553.jpg|width=100%]] || || '''M3A1 하프트랙''' || ==== [[드래곤 모델]] ==== == 둘러보기 == [include(틀:2차 세계대전/소련 기갑차량)] [include(틀:2차 세계대전/독일 기갑차량)] [include(틀:2차 세계대전/영국 기갑차량)] [include(틀:2차 세계대전/일본 기갑차량)] [include(틀:2차 세계대전/네덜란드 기갑차량)] [include(틀:2차 세계대전/자유 프랑스 기갑차량)] [include(틀:2차 세계대전/브라질 기갑차량)] [include(틀:2차 세계대전/캐나다 기갑차량)] [include(틀:2차 세계대전/중화민국 기갑차량)] [include(틀:2차 세계대전/한국광복군 기갑차량)] [include(틀:2차 세계대전/라 누에베 기갑차량)] [include(틀:국공내전/국부군 기갑차량)] [include(틀:6.25 전쟁/유엔군 기갑차량)] [include(틀:6.25 전쟁/공산군 기갑차량)] [include(틀:베트남전/미군 및 다국적군 기갑차량)] [include(틀:베트남전/월맹 기갑차량)] [include(틀:냉전/미국 기갑차량)] [include(틀:냉전/유고슬라비아 기갑차량)] [include(틀:현대전/프랑스 기갑차량)] [include(틀:현대전/독일 기갑차량)] [include(틀:현대전/한국 기갑차량)] [include(틀:현대전/일본 기갑차량)] [include(틀:현대전/이스라엘 기갑차량)] [include(틀:현대전/에콰도르 기갑차량)] [include(틀:현대전/브라질 기갑차량)] [include(틀:현대전/벨기에 기갑차량)] [include(틀:현대전/덴마크 기갑차량)] [include(틀:현대전/핀란드 기갑차량)] [include(틀:현대전/오스트리아 기갑차량)] [include(틀:현대전/칠레 기갑차량)] [include(틀:현대전/이탈리아 기갑차량)] [include(틀:현대전/그리스 기갑차량)] [include(틀:현대전/인도 기갑차량)] [include(틀:현대전/네덜란드 기갑차량)] [include(틀:현대전/포르투갈 기갑차량)] [include(틀:현대전/베트남 기갑차량)] [include(틀:현대전/북한 기갑차량)] [include(틀:현대전/튀르키예 기갑차량)] [include(틀:현대전/노르웨이 기갑차량)] [include(틀:현대전/파키스탄 기갑차량)] [include(틀:현대전/파라과이 기갑차량)] [include(틀:현대전/아르헨티나 기갑차량)] [include(틀:현대전/태국 기갑차량)] [include(틀:기갑차량 둘러보기)] [[분류:반궤도 장갑차]][[분류:병력수송장갑차]][[분류:자주대공포]][[분류:대전차 자주포]][[분류:지상 병기/세계 대전]][[분류:미군/기갑차량]][[분류:덴마크군/기갑차량]][[분류:그리스군/기갑차량]][[분류:이스라엘군/기갑차량]][[분류:필리핀군/기갑차량]][[분류:멕시코군/기갑차량]][[분류:1939년 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