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2차 세계대전/미국 기갑차량)]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1642645707_30-hdpic-club-p-tank-general-li-64.jpg|width=100%]]}}} || || '''Medium Tank, M3''' || [목차] == 개요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vgMhomB1vLQ)]}}} || || '''M3 리 기동 영상''' || [[제2차 세계 대전]] 중 사용된 [[미군]]의 [[중형전차]]. 미군의 공식 명칭은 '''Medium Tank, M3'''. 영국군의 명칭은 포탑의 모양을 기준으로 미국이 설계한 포탑을 장착한 차량은 [[남북전쟁]] 당시 [[아메리카 연합국|남부 연합군]] 사령관 [[로버트 E. 리]]의 이름을 따서 '''리(Lee)''', 영국이 설계한 포탑을 장착한 리 전차에는 [[미국|북부 연방군]] 사령관 [[율리시스 S. 그랜트]]의 이름을 따서 '''그랜트(Grant)'''라는 이름을 붙였다. == 제원 == ||<-2>
'''{{{#FFFFFF Medium Tank, M3 "Lee"}}}''' || ||<-2> '''{{{#FFFFFF 제원}}}''' || || '''{{{#ffffff 개발기관}}}''' ||미 육군 병기부 || || '''{{{#ffffff 개발 연도}}}''' ||1941년 ~ 1942년 || || '''{{{#ffffff 생산기관}}}''' ||ALCO [br] 볼드윈 기관차 제작소 [br] 디트로이트 탱크 조병창 [br] 프레스드 스틸 자동차 제작소 [br] 풀만 스탠다드 || || '''{{{#ffffff 생산 연도}}}''' ||1941년 8월 – 1942년 12월 || || '''{{{#ffffff 생산 댓수}}}''' ||6,258대 || || '''{{{#ffffff 운용 국가}}}''' ||미국 포함 도합 13개국 사용 || || '''{{{#ffffff 운용 연도}}}''' ||1941년 ~ '''현재'''[* 러시아에서 의장용으로 운용 중. 미국에서는 1945년 종전 직후 퇴역하였다.] || || '''{{{#ffffff 전장}}}''' ||5.64m || || '''{{{#ffffff 전폭}}}''' ||2.72m || || '''{{{#ffffff 전고}}}''' ||3.12m || || '''{{{#ffffff 전비 중량}}}''' ||27t || || '''{{{#ffffff 엔진}}}''' ||컨티넨탈 R975 9기통 공랭식 성형엔진 || || '''{{{#ffffff 최고 출력}}}''' ||400hp || || '''{{{#ffffff 출력비}}}''' ||14.8hp/t || || '''{{{#ffffff 변속기}}}''' ||전진 5단 ,후진 1단 싱크로매쉬 변속기 || || '''{{{#ffffff 사용 연료}}}''' ||가솔린 || || '''{{{#ffffff 항속 거리}}}''' ||193km || || '''{{{#ffffff 최고속력}}}''' ||전진 39km/h, 후진 5km/h || || '''{{{#ffffff 현가 장치}}}''' ||수직 벌류트식 서스펜션 || || '''{{{#ffffff 탑승 인원}}}''' ||7명 (전차장, 조종수, 1번 포수, 2번 포수, 1번 장전수, 2번 장전수, 부조종수) || || '''{{{#ffffff 주무장}}}''' ||[[75mm 전차포 M2–M6|75mm M2/M3]] 전차포 1문 (차체) [br][[M3 37mm 대전차포|37mm M5/M6]] 전차포 1문 (포탑) || || '''{{{#ffffff 부무장}}}''' ||초기형: [[M1919 브라우닝|M1919A4 브라우닝]] 4정 [br] 후기형: [[M1919 브라우닝|M1919A4 브라우닝]] 2정 || == 상세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M3 lee cutaway.jpg|width=100%]]}}} || || '''M3 리 내부 도면''' || 유럽에서 세계대전이 벌어지자 전화가 자국에 미칠 것을 우려한 [[미 육군]]은 전력을 증강하면서 자국의 기갑부대를 점검했는데, 당시 보유하고 있던 [[M2 전차|M2 중형전차]]는 주포가 37mm인데다가 차체도 리벳 접합, 기관총이 둘려쳐진 기동 벙커 컨셉인 등 이미 시대에 뒤쳐져있던 것이 판명되었다. 이에 세계의 흐름에 맞춰 보다 강력한 [[75mm 전차포 M2–M6|75mm 주포]]를 장착한 전차를 개발하려 했으나 당시 [[미국]]의 기술로 75mm 포를 포탑에 달 수 있을지 미지수였기 때문에[* 당시는 [[대공황]]으로 유명한 경제난이 덮쳐 있었기에 군용 프로젝트에 들어갈 자금을 구하기가 매우 어려웠다. M2 전차를 주력으로 굴리고 있었던 이유가 바로 이 때문. 크고 무거운 중전차는 생산 및 유지에 돈이 많이 들어가니 가볍고 옮기기 좋은 전차를 쓰는 게 낫다고 판단한 것이다.] '''"어쨌든 당장 급하니까 제대로된 75mm 전차포를 장착한 전차가 완성될 때까지 땜빵용으로 차체에 75mm 포를 단 전차를 먼저 개발하자!"'''하고 만든 것이 M3 중형전차다. 채용 당시부터 '''대체제식병기'''로 분류될 정도로 급하게 만든 소방수였던 것이다. 이 75mm M2/M3 전차포는 운용초기 문제가 많았는데 여기서 미국이 얼마나 전차에 대한 개발 경험이 부족했는가를 엿볼 수 있다. 우선 조준경이 포에 붙어 있는 것이 아닌 잠망경이 포에 연동되는 형식이었는데 문제는 포가 움직일 때 제대로 연동되지 않았다. 더불어 전차 포탄에 대한 개발 경험도 부족하여 포탄이 바닥에 떨어졌을 때, 특히 바닥이 부드러운 사막에서 고폭탄 신관이 작동하지 않아 폭발하지 않는 경우가 많았다. 이는 신관의 모양이 문제였으며, 영국 군인들은 프랑스제 75mm 포탄의 신관을 떼어다 붙여서 해결 하였고, 철갑탄은 전차에 탄착하면 붕괴되어 노획한 4호 전차의 탄두로 바꿔다 끼워 사용하였다. [[피모철갑탄]]과 신형 고폭탄이 보급되면서 이 문제들은 모두 해결되었지만 조종수가 사용하는 차체 전면 하부의 고정식 기관총 등 쓸데없는 구조[* 미국의 이러한 설계는 [[스튜어트 전차]]부터 [[M4 셔먼]]까지 이어졌고, 이것이 쓸모없다고 판단을 내린 후에는 추가 생산분에는 이를 생략하거나 이미 만들어진 차량에는 용접이나 마개를 달아 막았다.]가 있었다. 이렇게 M3를 개선한 경험들은 셔먼 전차에도 적용해 동일한 문제들을 고칠 수 있었다. 일단 75mm급 포를 다는 것이 시급했기 때문에 차량 자체는 이전의 M2 중형전차의 확대판인데다가 차체는 M2에 쓰이던 그대로 리벳과 볼트, 너트 방식이 섞인 구식 조립방식을 사용했다. 그리고 주포의 장착위치나 방식 등은 프랑스의 [[르노 B1]]을 참고하였다. 전차 자체 모양은 1938년에 제작한 T3 HMC와 유사했다. 그러나 차체에 포를 도입하는 방법 덕분에 설계도 일사천리로 이뤄졌으며 거기에 [[미군/물량|미국의 우월한 생산력이 더해져]] 이 땜빵용 전차는 순식간에 6,258여대가 생산된 후 [[영국]]에 [[무기대여법|랜드리스]]로 2,855대가 이송됐다. 이렇게 문제가 많은 전차였긴 하지만 당장 발등에 불이 떨어진 [[영국군]][* 미국은 아직 참전하지 않았고, 영국은 주문 당시 [[됭케르크 철수작전]]이 벌어졌으며, [[영국 본토 항공전]]이 벌어지고 있었다. 게다가 [[북아프리카 전역]]에서는 [[에르빈 롬멜]]이 이끄는 [[독일 아프리카 군단]]의 진격이 시작되던 상황에 설상가상으로 기껏 만든 [[크루세이더 전차|크루세이더]]로 대표되는 [[순항전차]]들은 독일군의 [[3호 전차]]가 쏘는 [[PaK 36|37mm 포]]에도 간단히 관통됨과 동시에 과열로 쉽게 퍼져나갔으며, [[마틸다 II]]로 대표되는 [[보병전차]]들은 독일군의 일반적인 대전차포들을 간단히 튕겨내어 순항전차보단 뛰어났지만 이 두 전차를 포함한 '''모든 전차들의 포 구경이 고폭탄, 작약이 없는 40mm급 2파운더에 머물러서 화력면에선 아주 열세였다.''' 거기다가 제대로 된 전차를 만드는 데 실패해서 당시 소련의 T-34나 독일의 4호 전차 같이 후에 균형 잡힌 성능을 지닌 전차를 보유하질 못했다.]이기에 M3 리를 약간 개량하는 작업이 있었다. 상세히 설명하자면 영국군은 기관총이 달린 전차장용 전망탑(큐폴라)을 제거하는 대신 37mm 포용 포탑의 크기를 키우고 장갑을 강화했다. 그리고 연막탄을 설치하고, 무전수를 없에고 무전기를 포탑 뒤로 옮기는 등 영국군 운용 방식에 부합하게 만든 차량이 바로 '''그랜트'''(Grant)다. 리와 반대로 북군 장군 [[율리시스 S. 그랜트]]의 이름을 붙였다. 그러나 차체에 달린 75mm 주포는 선회반경이 제한되어있어 운용에 애로사항이 꽃폈고,[* [[헐 다운]]도 거의 불가능해서 언덕 위에 올라가야 했다. 게다가 높은 차체 시너지까지 합하면 최악의 운용 조건을 지닌다.] 선회포탑에 달려있는 37mm 부포는 성능은 동급 화포중에서 3위 안에 들어갈 정도로 우수하지만, 이미 이 시점쯤 되면 [[붉은 여왕 효과|상대방 전차들의 장갑이 강화되는 바람]]에 [[3호 전차]] 후기형의 경우 정상적인 교전에서 격파가 불가능할 지경이고 [[4호 전차]]를 상대로도 무리가 따르기 시작하며 사실상 무용화되었다. 덤으로 리벳으로 조립된 차체는 피탄시 경우에 따라서는 리벳이 파손되어 전차가 혼자 분해되는 등 문제가 많았다. 게다가 차체가 크고 높은 데다가 37mm 포를 얹은 포탑 위에 기관총탑 겸 전차장용 전망탑까지 있어 높이가 너무 높았다. 이는 이 전차가 본질적으로 땜빵이라는 점에서 어쩔 수 없었으며, 이미 75mm 주포를 선회포탑에 제대로 장착한 전차인 [[M4 셔먼]]이 양산 직전에 있었다. 하지만 이러니 저러니 해도 적절한 시점에 등장했기에 개발 당초의 목적이던 '다음 주력전차가 등장할 때까지 시간을 벌고 데이터를 쌓는다'는 목적을 달성하는데는 성공했고 소방수로써 북아프리카 전역의 급한 불을 끈 전차다. 급조된 차량이었고 전차 설계에 노하우가 부족한 미국이 설계상 부족한 면모를 드러내기는 했으나, 한편으로 성능은 그리 나쁘지 않았고 신뢰성도 좋았다. 그래서 [[르노 B1|B1 전차]]와 더불어 [[다포탑 전차]]나 다주포 전차 중에서는 그나마 밥값을 한 얼마 안 되는 전차로 꼽히기도 한다. 차체 왼쪽 하단에는 조종수용 전방 고정형 기관총이 2정 있었으나, 전방 고정형이라는 한계상 이걸로 뭘 맞추기도 어려운데다, 따로 사수가 있는 것도 아니고 안그래도 손이 바쁜 조종수가 조작해야 했기에 사실상 장식이었다. 결국 전차가 생산된지 얼마 되지 않아 기관총 수를 하나로 줄였고, 최종적으론 모두 제거하고 기관총구에 마개를 넣어 막았다. 이는 [[스튜어트 전차]] M3형과 [[M4 셔먼]] 초기형, [[T-44]]와 [[T-54]] 초기형에도 있던 설계미스였고 모두 비슷한 조치가 취해졌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Fort_Bliss_Museum_M3_Lee.jpg|width=100%]]}}} || || '''기관총탑이 제거된 M3 리''' || 또한 일부 M3 리의 경우 전차장용 전망탑을 겸하는 기관총탑이 안그래도 높은 전고를 더 높혔기 때문에 기관총탑 자체를 제거하고 잠망경식 관측창으로 변경한 사례도 많았다.[* 주로 호주군의 차량들이 이러한 개조를 받은 경우가 많다.] 이 경우 기관총은 37mm 부포탑에 설치된 [[공축기관총]] 1정 뿐이었으며, 그랜트의 경우 아예 기관총탑 없이 공축기관총만 장착된 상태로 출고되었다. == 개발사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c6Bs29vsZ1c)]}}} || || '''M3 전차의 제조 공정''' || 1940년 당시 미 육군은 전쟁에 대비해 75mm 전차포를 가진 중형전차를 개발 중이었지만, 그전에 임시변통의 75mm 전차도 급하게 필요했다. 75mm가 선택된 이유는 당시 미군이 가지고 있던 주포 중 가장 대전차화력이 강했기 때문이였다.[* 아직 3인치 대공포가 대전차용로 쓰이지 않던 시기였다. 반면 75mm는 M3 하프트랙에 장착해 대전차자주포 M3 GMC로 쓰고 있었다.] 1940년 6월 [[됭케르크 철수작전|중화기를 모두 유럽에 두고 빈손으로 철수한]] 영국도 독일의 침공에 대비해 당장 3,650대의 중형전차가 급하게 필요했다. 1940년 7월 이런 절박한 상황에서 적정 기술로 즉시 생산이 가능한 전차의 설계가 황급히 시작되었고, 1941년 3월에 시제 전차가 완성되었다. 완성된 전차는 빠른 생산을 위해 당장 생산이 가능한 절충안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졌는데, 비록 상당한 수준의 화력과 장갑을 가지고 있었지만 [[다주포 전차|주포를 차체에 탑재하고 부포를 상부 포탑에 올리는 구식 기술]]로 인해 포탑만 내놓고 엄폐물 뒤에 숨는 [[헐 다운]]이 안 되고, 차체 높이가 높아서 적에게 노출되는 면적이 너무 컸으며, 험지 주행 성능이 떨어졌다.[* 험지 주행 능력이 떨어지는 점은 당시 미국이 주로 사용한 VVSS 현가장치의 단점이었다.] 또한 일부 형식 한정으로 리벳 결합 방식으로 인해 연속된 피탄시 전차가 분해될 가능성이 있었다.[* M3는 리벳으로 장갑을 결합할때 ㄱ자 모양으로 돌출시킨 부분을 결합했기 때문에 리벳이 내부로 튀지는 않았다.] 그러나, 반대로 생산이 쉬운 리벳 결합과 기존의 [[M2 전차]]의 차체를 활용하는 등 빠른 생산이라는 목적에는 부합하여, 1941년 6월부터 대량 생산이 시작됐다. 1942년 5월 북아프리카 전역에서 첫 전투에 참가한 이후 예견된 모든 문제점들이 전투에서 속속 드러나자 M3 중형전차는 곧 후속 개발된 [[M4 셔먼]] 전차와 교체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전선에서 이 전차를 처음 접한 독일과 영국은 당시 독일 아프리카 군단이 보유한 최고의 전차였던 [[4호 전차]] F1형(Panzer IV F1)보다 M3 전차가 더 우수했다고 평가했다. M3은 기계적 신뢰성이 우수하며, 장갑도 경사도로 인한 다소의 차이가 있지만 F1과 대등 이상이었다. 무엇보다 75mm 24 구경장 [[7,5cm KwK 37]]을 장착한 4호 전차 F1보다 75mm 31 구경장 M2를 장착한 M3의 화력이 더 좋았다. 이후로 M4 셔먼이 본격적으로 양산되기 시작하자 주요 전선에서 퇴출되긴 했지만, 동남아시아 전역에서 영국군은 1945년 전쟁이 끝날 때까지 일본군을 상대로 한 전투에서 M3 그랜트 중형전차를 유용하게 사용했다. 이밖에도, 오늘날에는 전차를 [[대량생산]]하는 경우가 거의 없고 전부 블록 생산식으로 만들지만,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미국은 정말로 전차를 조립 라인에서 대량생산했다. M3는 [[크라이슬러]]가 전용 생산 라인을 건설해 만든 전차로, 당시 크라이슬러 자동차 기술자들이 미국 정부가 요구한 사양을 읽은 뒤, 전차 목업을 보고 작성한 청사진을 바탕으로 제작되었다. 아래 동영상은 전쟁 당시 미 정부/크라이슬러가 만든 프로파간다 영화지만, 정말로 전차를 조립 라인에서 굴려가며 조립하는 희귀한 장면을 볼 수 있으며 극초기형 M3의 작동 모습을 볼 수 있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FIvDNOAtVzw)]}}} || || '''M3와 M4A1 생산 공장 영상''' || 각 공장에서 찍어낸 리 전차의 수량은 다음과 같다. ||
'''Month''' || '''M3''' [br] ALCO || '''M3''' [br] Baldwin || '''M3''' [br] Detroit || '''M3''' [br] PSC || '''M3''' [br] Pullman || '''M3A1''' [br] ALCO || '''M3A2''' [br] Baldwin || '''M3A3''' [br] Baldwin || '''M3A4''' [br] Detroit || '''M3A5''' [br] Baldwin || '''합계''' || || 1941.6월 || 8 || 2 || || || || || || || || || 10 || || 1941.7월 || 17 || 2 || 7 || || || || || || || || 26 || || 1941.8월 || 8 || 12 || 50 || 1 || 9 || || || || || || 80 || || 1941.9월 || 45 || 8 || 95 || 18 || 27 || || || || || || 193 || || 1941.10월 || 37 || 24 || 148 || 21 || 19 || || || || || || 249 || || 1941.11월 || 26 || 38 || 194 || 22 || 29 || || || || || || 309 || || 1941.12월 || 83 || 78 || 235 || 42 || 37 || || || || || || 475 || || 1942.1월 || 47 || 65 || 300 || 60 || 61 || || 4 || || || 1 || 538 || || 1942.2월 || 4 || 56 || 300 || 76 || 74 || 7 || 5 || || || 5 || 527 || || 1942.3월 || 30 || 10 || 366 || 71 || 63 || 66 || 3 || 1 || || 12 || 622 || || 1942.4월 || 20 || || 381 || 49 || 71 || 66 || || 4 || || 97 || 688 || || 1942.5월 || 28 || || 400 || 40 || 48 || 62 || || 18 || || 106 || 702 || || 1942.6월 || 7 || || 424 || 67 || 47 || 51 || || 46 || 33 || 97 || 772 || || 1942.7월 || 4 || || 317 || 34 || 15 || 17 || || 35 || 73 || 115 || 610 || || 1942.8월 || 21 || || 26 || || || 31 || || 91 || 3 || 62 || 234 || || 1942.9월 || || || || || || || || 30 || || 28 || 58 || || 1942.10월 || || || || || || || || 46 || || 28 || 74 || || 1942.11월 || || || || || || || || 41 || || 39 || 80 || || 1942.12월 || || || || || || || || 10 || || 1 || 11 || ||<-12> '''요약''' || || '''YEAR''' || '''M3''' [br] ALCO || '''M3''' [br] Baldwin || '''M3''' [br] Detroit || '''M3''' [br] PSC || '''M3''' [br] Pullman || '''M3A1''' [br] ALCO || '''M3A2''' [br] Baldwin || '''M3A3''' [br] Baldwin || '''M3A4''' [br] Detroit || '''M3A5''' [br] Baldwin || '''합계''' || || 1941년 || 224 || 164 || 729 || 104 || 121 || 0 || 0 || 0 || 0 || 0 || 1,342 || || 1942년 || 161 || 131 || 2,514 || 397 || 379 || 300 || 12 || 322 || 109 || 591 || 4,916 || || '''합계''' || '''385''' || '''295''' || '''3,243''' || '''501''' || '''500''' || '''300''' || '''12''' || '''322''' || '''109''' || '''591''' || '''6,258''' || |||||||||||||||||||||||| 출처 : M3 Lee/Grant Medium Tank 1941-45 by Steven J, Zaloga, Hugh Johnson, Osprey Publishing || == 형식 == === M3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invC0Kr.jpg|width=100%]]}}} || || '''M3''' || 초기 양산형. 리벳 차체, R975 가솔린 엔진, 포신이 긴 75mm M3 전차포(셔먼에 장착된 그것)가 장착되었으나 M3 전차포 생산부족으로 M3 전차포용 포신안정화 장치에 포신이 짧은 M2 전차포를 탑재하였는데, 그런 경우 M2 전차포 끝에 무게추가 부착되었다.[* 출처: American Tanks & AFVs of World War II.] 나중에는 다시 포신이 긴 75mm M3 전차포가 장착되었지만 이미 도태장비로서 아시아로 보내졌기 때문에 M3 전차포를 탑재한 M3는 유럽전선보다 태평양에서 더 많이 보였다. 생산시기에 따라 차체 양쪽 측면의 출입문이 용접되었다가 아예 폐지되었고, 미국 내 5개 공장에서 리 포탑 탑재형과 그랜트 포탑을 탑재형, 이렇게 두 가지가 모두 4,924대 생산됐다. 전쟁 초기 급박한 전황으로 인해 리 포탑을 탑재한 전차도 영국군에 납품되었고, 영국군에 납품된 리 전차는 영연방 사양에 맞게 포탑 상부의 총탑이 제거되고, 영연방용 궤도와 조종수용 잠망경, 모래막이 스커트를 장착한 경우가 많았다. === M3A1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M3A11.jpg|width=100%]]}}} || || '''M3A1''' || [[주조장갑]] 차체, 리벳 차대 , R975 가솔린 엔진, 포신이 짧은 75mm M2 전차포가 장착되었고 포신안정화 장치가 설치된 경우 포구에 무게추가 부착되었다. 나중에 생산된 차량은 차체 측면 출입문이 생략되었고, 마지막에 생산된 28대는 디젤 엔진이 장착되었다. [[ALCO]] 공장에서 300대가 생산되었으며 모두 미국 본토에서 훈련용으로만 사용되었다. 미국에서 최초로 주조형식으로 생산된 전차다. === M3A2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M3A2Lee.jpg|width=100%]]}}} || || '''M3A2''' || 용접차체, R975 가솔린 엔진, 포신이 짧은 75mm M2 전차포가 장착되었고, 포신안정화 장치가 있는 경우 포구에 무게추가 부착되었다. 볼드윈 철도 공장에서 그랜트와 리 두 가지 전차가 모두 12대 생산되었고, 그랜트는 호주군에 인도되어 호주 본토 방위용으로, 리는 미국 본토에서 훈련용으로만 사용되었다. === M3A3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M3A3_Lee.jpg|width=100%]]}}} || || '''M3A3''' || 용접차체, GM 6-71 트윈 디젤엔진, 포신이 짧은 75mm M2 전차포가 장착되었으나 나중에는 포신이 긴 75mm M3 전차포가 장착되었다. 포신안정화 장치가 있는 M2 전차포의 경우 포구에 무게추가 부착되었다. 생산시기에 따라 차체 양쪽 측면의 출입문이 용접되었다가 아예 생략되었다. 볼드윈 공장에서 그랜트와 리를 모두 합쳐 322대가 생산되었다. 322대 중 126대는 랜드리스 프로그램에 따른 해외 공여용이었고, 영국군에는 49대가 인도되었다. === M3A4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yuhn160dkdb71.jpg|width=100%]]}}} || || '''M3A4''' || 리벳 차체, 크라이슬러 A-57 가솔린 엔진이 장착되어 차체 뒷쪽이 더 길어졌다. 양산 차량은 전부 포신이 긴 75mm M3 전차포가 장착되었고, 양쪽 측면의 출입문은 생략되었으며, 환풍기가 설치되었다. 새로 개량된 비대칭형 VVSS 현가장치가 장착되었고, 이 현가장치는 이후 M4 셔먼 전차에까지 사용되었다. 디트로이트 공장에서 109대가 생산되어 전부 미국 본토에서 훈련용으로만 사용되었다. === M3A5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M3A5_Museum.jpg|width=100%]]}}} || || '''M3A5''' || 리벳차체, GM 6-71 트윈 디젤엔진, 포신이 짧은 75mm M2 전차포가 장착되었고, 포신안정화 장치가 부착된 경우 포구에 무게추가 설치되었다. 생산 초기에는 양쪽 측면의 출입문이 용접되었다가 나중에는 아예 폐지되었다. 볼드윈 공장에서 그랜트와 리를 모두 합쳐 591대가 생산되었으며, 591대 중 208대는 무기대여법에 따른 해외 공여용이었고, 영국군에는 185대가 인도되었다. == [[M3 리/파생형|파생형]]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M3 리/파생형)] == [[M3 리/실전|실전]]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M3 리/실전)] == [[M3 리/운용국|운용국]]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M3 리/운용국)] == [[M3 리/미디어|미디어]]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M3 리/미디어)] == 모형 == === 프라모델 === ==== [[아카데미과학]]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1_35 U.S. MEDIUM TANK M3 LEE.png|width=100%]]}}} || || '''1/35 U.S. MEDIUM TANK M3 LEE''' || [[아카데미과학]]에서 1/35 스케일로 M3 리와 M3 그랜트를 출시하였다. 발매 당시기준으로는 내부재현 및 다양한 버전이 재현되는 나름 호화사양이라 호평 받기도 했지만 일부 프로포션의 문제가 지적되기도 했고, 그랜트는 실차와 달리 무전기의 위치변경이라는 중요한 변경점이 전혀 적용되지 않은채 리 내부를 그대로 적용한 오류가 있다. 또한 그랜트의 경우 미니아트제 전차병을 추가한 버전이 발매 되기도 했으나. 그 전차병 인형이 유럽 전선 버전이라는 문제가 있었다. ==== [[타미야 모형]]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M3 U.S.MEDIUM TANK M3 LEE MKI LEE.webp|width=100%]]}}} || || '''M3 U.S.MEDIUM TANK M3 LEE MKI LEE''' || 1/35 스케일로 그랜트와 리를 출시하였다. 오래된 키트이지만 가장 간단하게 만들수 있고 가격도 저렴한 편 ==== [[에어픽스]]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1.35 M3 GRANT.jpg|width=100%]]}}} || || '''1.35 M3 GRANT''' || 에어픽스에서 1/76 스케일과 1/35 스케일로 출시하였다. 1/35 스케일은 아카데미 그랜트의 재포장판이다. ==== 미니아트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MID PROD M3 LEE SAHARA WITH CREW.jpg|width=100%]]}}} || || '''MID PROD M3 LEE SAHARA WITH CREW''' || 1/35 스케일로 미군, 소련군 사양의 리와 여러가지 버전의 영국군 그랜트등 여러 바리에이션을 내놓았다. 외부만 재현된 버전과 내부까지 재현된 버전을 각각 내놓았고, 그랜트의 내부재현 키트의 경우 위의 아카데미제와 달리 그랜트의 변경점들을 잘 반영하여 발매했으며, 리의 경우는 영화 사하라에 등장한 네임드 차량 "루루벨"을 출시하였는데 영화의 주요 캐릭터를 재현한 인형이 동봉되어 있으며, 1943년버전과 1995년 버전중에 선택할수 있다. == 참고 문헌 == * [[http://the.shadock.free.fr/Surviving_Lee_Grant.pdf|M3 리 및 그랜트 전차 잔존 개체 목록]] * [[https://wwiiafterwwii.wordpress.com/2021/11/25/m3-lee-post-wwii-service/|M3 리 및 그랜트 전차 냉전 시기 사용기록]] * [[https://en.topwar.ru/154070-drugoj-lend-liz-tank-m3-li-trehjetazhnyj-koshmar.html|M3 리 소련 사용 기록]] * [[http://panzerserra.blogspot.com/2013/07/m3a1-lee-casted-hull-case-report.html|Panzerserra M3A1 프라모델 제작기]] == 둘러보기 == [include(틀:크라이슬러의 차량)] [include(틀:2차 세계대전/독일 기갑차량)] [include(틀:2차 세계대전/영국 기갑차량)] [include(틀:2차 세계대전/소련 기갑차량)] [include(틀:2차 세계대전/캐나다 기갑차량)] [include(틀:2차 세계대전/자유 프랑스 기갑차량)] [include(틀:2차 세계대전/헝가리 기갑차량)] [include(틀:2차 세계대전/호주 기갑차량)] [include(틀:2차 세계대전/뉴질랜드 기갑차량)] [include(틀:2차 세계대전/인도 기갑차량)] [include(틀:2차 세계대전/이탈리아 기갑차량)] [include(틀:2차 세계대전/루마니아 기갑차량)] [include(틀:2차 세계대전/브라질 기갑차량)] [include(틀:현대전/브라질 기갑차량)] [include(틀:현대전/호주 기갑차량)] [include(틀:현대전/프랑스 기갑차량)] [include(틀:현대전/러시아 기갑차량)] [include(틀:기갑차량 둘러보기)] [[분류:M3 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