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White '''{{{+3 M203}}}'''[br]''Launcher, Grenade, 40 mm, M203''[br]''M203 유탄발사기''}}}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m203a2_sheet 0.jpg|width=100%]]}}}|| || '''종류''' ||[[유탄발사기]] || || '''원산지'''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 ||<-2> {{{#!folding 【펼치기 · 접기】 ||<-2>
{{{#White '''이력'''}}} || || '''역사''' ||[[미합중국 육군|[[파일:미합중국 육군 마크.svg|width=23]]]][[미합중국 공군|[[파일:미합중국 공군 마크.svg|width=23]]]][[미합중국 해군|[[파일:미합중국 해군 마크.svg|width=23]]]][[미합중국 해병대|[[파일:미합중국 해병대 마크.svg|width=23]]]][[미합중국 해안경비대|[[파일:uscg__emblem.png|width=23]]]][[미합중국 특수작전사령부|[[파일:미합중국 특수작전사령부 마크.svg|height=23]]]][br][[1969년]]~현재 || || '''개발''' ||[[AAI]] 코퍼레이션 || || '''개발년도''' ||[[1967년]]~[[1968년]] || || '''생산''' ||[[콜트(총기회사)|콜트 매뉴팩처링]][br][[나이츠 아마먼트 컴퍼니]][br]에어트로닉 USA[br]RM 이큅먼트[br]US 오드넌스[br]디마코[br][[루이스 머신 & 툴 컴퍼니|루이스 머신 & 툴즈]][br][[부시마스터(총기회사)|부시마스터]] || || '''생산년도''' ||[[1969년]]~현재 || || '''단가''' ||$1,082 || || '''사용국'''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 [include(틀:국기, 국명=영국)] \ [include(틀:국기, 국명=프랑스)] \ [include(틀:국기, 국명=캐나다)] \ [include(틀:국기, 국명=브라질)] \ [include(틀:국기, 국명=튀르키예)] \ [include(틀:국기, 국명=이스라엘)] \ [include(틀:국기, 국명=호주)]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 || '''사용된 전쟁''' ||[[베트남 전쟁]][br][[라오스 내전]][br][[캄보디아 내전]][br][[중국-베트남 전쟁]][br][[캄보디아-베트남 전쟁]][br][[제3차 인도차이나 전쟁]][br][[소련-아프가니스탄 전쟁]][br][[미국-아프가니스탄 전쟁]][br][[이라크 전쟁]][br][[이라크 내전]][br][[시리아 내전]] || ||<-2> {{{#White '''기종'''}}} || || '''원형''' ||XM203 || || '''파생형''' ||M203A1~2[br]M203PI || ||<-2> {{{#White '''세부사항'''}}} || || '''탄약''' ||[[40×46mm]] || || '''급탄''' ||단발 [[후미장전식]] || || '''작동방식''' ||[[싱글 액션]] || || '''총열길이''' ||305mm || || '''전장''' ||380mm || || '''중량''' ||1.36kg || || '''강선''' ||6조 우선[br]10인치에 1회전 || || '''발사속도''' ||5~7RPM || || '''탄속''' ||76m/s || || '''유효사거리''' ||150m || || '''최대사거리''' ||400m ||}}} || [목차] [clearfix] == 개요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m16a2-m203_usa 1a.jpg|width=100%]]}}}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oqyLoU_0Av4)]}}}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QngwTV05B4c)]}}} || || [[래리 빅커스]]의 사격 영상 || 1971년에 제작된 훈련용 동영상 || M203은 [[미군]]의 제식 [[총열]] 부착형 [[유탄발사기]]이다. == 상세 == === 역사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Colt_AR-15_with_XM148_Launcher.jpg|width=100%]]}}} || || [[M16A1]] 소총과 [[XM148]] 유탄발사기 || [[베트남 전쟁]]이 발발한 1964년에 [[콜트(총기회사)|콜트]] 사의 [[M16 소총|XM16E1]]을 새로 도입했었던 [[미합중국 육군|미 육군]]은 [[SPIW|특수목적용 개인화기(SPIW)]] 연구의 영향을 받아 기존의 [[M79]]에 사용되는 [[40×46mm]] 탄약에 맞추어져 있으면서도 [[총열]] 바로 밑에 부착이 가능한 전용 [[유탄발사기]]로 동사의 [[XM148|CGL-4]]를 XM148의 임시 제식명으로 채택하였으나, 복잡한 내외부 구조로 인한 신뢰성 및 정비성 부족과 조달 지연을 이유로 약 274,000정에 달하는 계약을 취소시키고 말았다. 그대신 차선책이라 할 수 있는 GLAD(부착식 유탄발사기 개발, Grenade Launcher Attachment Development) 명칭의 사업을 이어나가 AAI 사에서 제시된 설계안을 1969년에 M203의 정식 제식명으로 선정하고 당시를 기준으로 대량 생산 설비를 갖추고 있었던 콜트 사에게 생산권을 내주었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Flickr_suspicious_activity.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m16a4-m203a2_usmc 4.jpg|width=100%]]}}} || 이후 1992년부터 시작된 [[미합중국 특수작전사령부|미 특수작전사령부(USSOCOM)]]의 [[SOPMOD|특수작전용 소화기 개조(SOPMOD)]] 사업에 따른 [[M4 카빈|M4A1]] 전용의 M203A1을 거쳐 1997년 [[미합중국 육군|미 육군]]의 [[M16A4|M16A4 MWS]]에도 적용이 가능한 M203A2로 개량되어 [[미군]] 전체에 걸친 운용이 계속 이어지고 있다. AK나 G3등 여러 다른 소총에 M203을 장착할 수 있는 개조 키트도 있다. === 특징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m203qd-mount.jpg|width=100%]]}}} || || [[나이츠 아마먼트 컴퍼니|KAC]] 사의 간단탈부착대 || [[파일:m4-m203a2_usmc 0.jpg]] 앞뒤로 움직이는 슬라이드식 [[총열]]을 갖추어서 [[후장식|후방]]에서 장탄하는 [[싱글 액션]] 작동 방식이다. [[M16 소총|M16]] 및 [[M4 카빈|M4]] 계열 [[돌격소총]]과의 결합이 주가 되면서도 [[개머리판]]이나 권총 손잡이 같은 별도의 외장 부품을 적용시키면 독립형(Stand-Alone)으로의 전환 역시 가능하다. 총열하부부착 유탄발사기의 표준으로서 일세를 풍미한 물건이지만, HE나 이중목적고폭탄 류의 군용탄 크기에 맞춰진 슬라이드 거리 제한 때문에 길이가 긴 특수유탄을 사용하기에는 부적합하다는 단점이 있다. 그래서 특수탄을 사용해야 할 경우 [[M79]]를 도로 꺼내오거나, [[H&K M320|M320]]과 같은 신형 유탄발사기를 사용해야 한다. 그래도 유탄발사기로 가장 많이 쏴대는 탄종은 일반적인 40mm 고폭탄이라 M203 또한 수많은 개량을 거쳐가며 현역으로 사용되고 있다. 위에 서술한 단점으로 인해 언젠가는 전량이 M320으로 대체되겠지만, 가까운 미래까지는 여전히 M203이 함께 사용될 것이다. ==== 부가장비 ==== ||<-2>
'''명칭''' || '''부위''' || '''제조사''' || '''국가재고번호''' || '''설명''' || ||<|6> [[기계식 조준기]]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leaf-sight_sheet 0.jpg|width=100%]]}}} ||<|6> 가늠자 ||<|4> [[콜트(총기회사)|콜트]] ||<|2> 1010-01-453-5387 ||<|2> [[총열덮개]] 부착식 사다리형 가늠자 || || M203 LSA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quadrant-sight_sheet 0.jpg|width=100%]]}}} ||<|2> 1010-01-442-2313 ||<|2> [[총기 액세서리#s-3.18|운반손잡이]] 부착식 호형 가늠자 || || M203 QSA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mws-leaf-sight_sheet 0.jpg|width=100%]]}}} ||<|2> [[나이츠 아마먼트 컴퍼니|KAC]] ||<|2> 1010-01-522-0055 ||<|2> [[Rail Integration System|RIS]] 부착식 사다리형 가늠자 || || MWS M203 LS || ||<|6> 전자식 조준기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anpsq-18a_sheet 0c.jpg|width=100%]]}}} ||<|6> 유탄조준장치 ||<|4> 인사이트 ||<|2> 1010-01-516-0953 ||<|2> [[총열]] 부착식 주야간거리측정기(DNS) || || AN/PSQ-18A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bsm.png|width=100%]]}}} ||<|2> 1240-01-619-2962 ||<|2> RIS 부착식 거리측정기(BMS) || || SU-277/PSQ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su-253peq_sheet 0.jpg|width=100%]]}}} ||<|2> 이오텍 ||<|2> 1240-01-566-2844 ||<|2> RIS 부착식 유탄조준기(GLS) || || SU-253/PEQ || ||<|2> [[총기 액세서리#s-3.1.6|손잡이]]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m203-grip-handle_sheet 0.jpg|width=100%]]}}} ||<|2> 전방손잡이 ||<|2> RM 이큅먼트||<|2> 1010-01-579-0712 ||<|2> [[총열]] 부착식 수직손잡이 || || M203 FHG || 본체에는 조준장치가 따로 구비되어 있지 않아 [[총열덮개]] 상의 사다리형 [[기계식 조준기|가늠자]](Leaf Sight) 또는 운반 손잡이 상의 호형 가늠자(Quadrant Sight) 부착이 필수였는데, 이중 호형 가늠자는 [[레이저]]를 통한 거리 측정 기능을 겸하는 AN/PSQ-18A나 SU-277/PSQ와 같은 소형 전자장비로 대체되었다. 다만 AN/PSQ-18A는 현재 잘 쓰이지 않는다. 당장 미군이 현용으로 쓰고있는 또다른 유탄발사기인 [[H&K M320]]의 경우, [[http://capcoinc.com/weapons-and-accessories/|캡코(CAPCO)]] 사에서 제조된 M320A1은 이 AN/PSQ-18A 조준장치 체결부가 제거되어 있다. 또한 주 운용처인 [[미합중국 육군|미 육군]]과 [[미합중국 해병대|미 해병대]]에서는 반동 억제력 및 장전 편의성을 높이는 RM 이큅먼트 사의 M203 수직 손잡이를 추가 도입하기도 했다. 다만 병사들의 평은 좋지 못하다.[[https://blog.naver.com/sapper9/221694326398|링크]] ==== 사용탄약 ==== [[M79]] 전용으로 개발된 76m/s의 저속 고저압형 [[40×46mm]]의 규격을 따르는 M381/M386/M406/M441 [[고폭탄|고폭탄(HE)]] 이외에도 M433 이중목적고폭탄(HEDP), M676/M680/M682 [[연막탄]], M583A1/M585/M661/M662 [[조명탄]], M576 [[산탄]], M651 [[최루탄]], M781/M918 연습탄 등이 호환된다. == 종류 == || '''사진'''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m203_sheet 0a.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m203a1_sheet 0b.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m203a2_sheet 0a.jpg|width=100%]]}}} || || '''제식명[br]제품명''' || '''M203''' || '''M203A1''' || '''M203A2''' || || '''연도''' || 1969년~현재 || 1994년~현재 || 1997년~현재 || || '''운용처''' || [[미합중국 특수작전사령부|USSOCOM]][br][[미합중국 육군|USA]][br][[미합중국 공군|USAF]][br][[미합중국 해군|USN]][br][[미합중국 해병대|USMC]][br][[미합중국 해안경비대|USCG]] || USSOCOM[br]USA[br]USAF[br]USN[br]USMC[br]USCG || USSOCOM[br]USA[br]USAF[br]USN[br]USMC[br]USCG || || '''제조처''' || [[콜트(총기회사)|CMC]][br][[루이스 머신 & 툴 컴퍼니|LMT]][br]부시마스터 || CMC[br][[나이츠 아마먼트 컴퍼니|KAC]][br]A-USA[br]LMT[br]USORD || KAC[br]A-USA[br]LMT || || '''재고번호''' || 1010-00-179-6447 || 1010-01-434-9028 || 1010-01-495-8511 || || '''[[총열]]''' || 12인치 || 9인치 || 12인치 || || '''부착대''' || CMC U자형 || KAC 간단 탈부착형 || KAC 간단 탈부착형 || === [[미군]] 제식 === ==== XM203, M203 ==== [[파일:m16a1-m203_usn 0a.jpg]] 1969년 [[미합중국 육군|미 육군]]을 시작으로 [[미합중국 공군|미 공군]], [[미합중국 해군|미 해군]], [[미합중국 해병대|미 해병대]], [[미합중국 해안경비대|미 해안경비대]]에 널리 확산된 [[M16 소총|M16 계열]]과 [[CAR-15|CAR-15 계열]] 전용의 12인치(약 305mm) 사양을 따르는 기본형으로, 전용 삼각형 및 원통형 [[총열덮개]]에 고정된 상태에서 제조되기 때문에 사용자 측면에서의 분해는 권장되지 않는다. ==== M203A1 ==== [[파일:m4a1-m203a1_usn 1a.jpg]] 1992년 [[미합중국 특수작전사령부|미 특수작전사령부(USSOCOM)]]이 시행한 [[SOPMOD|특수작전용 소화기 개조(SOPMOD)]] 사업의 중심에 놓여있었던 [[M4 카빈|M4A1]] 전용의 9인치(약 229mm) 사양을 따르는 1차 개량형이며 총열앞쪽의 고정부분이 KAC 사의 즉결식(QD) 부착대로 변경됬다. 1994년부터 [[미군]]에 제식화된 M4 및 M4A1 전용의 12인치 [[총열]]과 함께 총열앞쪽의 고정부분이 레이싱 와이어인 사양도 M203A1로 분류된다. [* SOPMOD M203A1 ,US M230A1으로 구분] ==== M203A2 ==== [[파일:m4-m203a2_usaf 0.jpg]] [[파일:m4-m203a2_usmc 1.jpg]] 1994년 [[미합중국 육군|미 육군]]의 [[M16A2]] 모듈화(MWS) 사업에 따라 개량된 [[M16A4#s-3.3|M16A4 MWS]] 전용의 12인치(약 305mm) 사양을 따르는 2차 개량형으로, M16A4의 경우 M5 [[Rail Integration System|RAS]] 총열덮개 ,M4/M4A1의 경우 M4 [[Rail Integration System|RAS]] 총열덮개의 하부에 부착되며[* RAS 총열덮개 하부를 때내고 장착] 동시에 총열앞쪽의 고정부분이 [[나이츠 아마먼트 컴퍼니|KAC]] 사의 즉결식(QD) 부착대로 변경됬다. 2018년을 기준으로 가장 많이 쓰이고 있다. === [[미군]] 비제식 === ==== 부착형 ==== ===== 85식 ===== [[파일:t91-t85_taiwanese.jpg]] 1996년 [[대만군]]에 도입된 [[T65 소총|T65]], [[T91|T86, T91 계열]] 전용의 모방형으로, 이는 제205병참공장(聯勤205兵工廠)의 또다른 개발품이기도 하다. ===== AG-40 ===== [[파일:md86-ag40_romanian 0.jpg]] 1986년 [[루마니아군]]에 도입된 [[AK-74#s-4.2|PA md. 86]] 전용의 모방형으로, 노후화된 [[GP-25]] 대체 목적으로 개발되었다. 방아쇠는 [[HK79]]처럼 포신 위쪽에 있는 걸로 추정된다. [[https://pbs.twimg.com/media/EShn_wvWAAMLlVO?format=jpg&name=medium|#]] ===== Airtronic M203 (가칭) ===== [[파일:M203-AK.jpg]] Mk.777([[PSRL-1]])로 유명한 에어트로닉[* M203A2의 주 생산처이기도 하다.]에서 제작한 AK계열 소총 전용의 모방형 모델이다. ===== CM203 ===== [[파일:m4-cm203_from-uf(se04) 0.jpg]] 1980년대 말 [[미국]]의 코브레이(Cobray) 사가 개발한 37mm [[조명탄]] 전용의 모방형으로, 외형 덕분에 [[영화]] 소품으로 애용받았다. ===== [[SIG SG550|GL5040]] ===== [[파일:sg550-gl5040_swiss 0.jpg]] 1997년 [[스위스군]]에 GwA.97의 제식명으로 도입된 [[SIG SG550|SG550/551]] 전용 유탄발사기로, 유탄 포신이 단축된 버전은 GL5340로 불린다. 다만 부착하는 총기인 SIG SG550의 탄창 방식이 걸쇠 방식이라 탄창과 방아쇠 사이에 큰 간격이 생겼고 탄창을 잡고 유탄발사기의 방아쇠를 당기는데 살짝 문제가 있다. 이 때문에 파생형중 하나인 [[SIG556]]와 GL5640은 탄창을 [[STANAG 탄창]]으로 바꿔서 이런 문제를 해결했다. ===== [[K201 유탄발사기]] ===== [[파일:k201_roka 0.jpg]] 1985년 [[대한민국 국군]]에 도입된 [[K2 소총]] 전용 유탄발사기로 M16A1 소총에 장착하는 M203 유탄발사기를 참고하여 만든 한국형 단발식 언더배럴형 유탄발사기로 외관 뿐만 아니라 사용되는 [[40×46mm]] 탄약 구성까지 같다. ===== M203-2003 ===== [[파일:marsl-m2032003_newzealand 0.jpg]] 2013년 [[덴마크군]]에 도입된 GV M/10과 2017년 [[뉴질랜드군]]에 도입된 MARS-L 전용의 모방형으로, 명칭에도 드러나 있듯이 2003년에 [[루이스 머신 & 툴 컴퍼니|LMT]]에서 첫 선을 보였으며 기존 M203과 마찬가지로 12인치 총열이 탑재된 모델과 9인치 총열이 탑재된 모델이 있고[* 최근에는 7인치 총열이 탑재된 모델도 출시했다. [[https://lmtdefense.com/product/shorty-40/|#]]] 여타 기종과는 달리 [[총열]] 부착대가 따로 없는 대신 [[총열덮개]] 하단의 [[피카티니 레일]]에 맞춘 육각 볼트 3개로만 고정되는 점이 가장 돋보인다.[* 레일에 부착하는 또 다른 유탄발사기로는 [[Mk.13 EGLM]]과 [[MPT-76|AK-40GL]]이 있다.] 덤으로 이 유탄발사기를 제작한 LMT는 후술할 독립형 키트도 같이 제작했다. 다만 레일과의 결속이 불완전해서 생각보다 널리 쓰이지는 않는다고 알려졌다. ===== M203-VN ===== [[파일:tar21-m203vn_vietnamese 0.jpg]] 2012년 [[베트남군]]에 도입된 [[갈릴 ACE|갈릴 ACE-32]] 및 [[TAR-21]] 전용의 모방형으로, 권총 손잡이 부착이 가능한 모듈화가 이루어졌다. ===== 캐나다 M203A1 ===== [[파일:c7a1-m203a1_canadian 0.jpg]] 1994년 [[캐나다군]]에 도입된 [[콜트 캐나다 C7|C7]] 및 [[콜트 캐나다 C8|C8]] 계열 전용의 모방형으로, 미군 제식형 M203A1과 동일하게 9인치(약 229mm) [[총열]]과 직결식 부착대를 가진다. 기존 M16A2/A3 + M203과 비교해서 소총 핸드가드 하부가 그대로 있는 듯한 외형이 특징이다.[* M16A2/A3는 핸드가드 하부를 탈착해서 M203을 부착한다. [[http://cjaie.com/Upload/image/20190719/20190719141407_9993.jpg|#]][[http://cjaie.com/Upload/image/20190719/20190719141434_3480.jpg|#]]] ===== M203PI ===== [[파일:f88-m203pi_australian 0.jpg]] 1987년 RM 이큅먼트(RM Equipment) 사가 개발한 [[H&K G3|G3]], [[H&K HK33|HK33]], [[슈타이어 AUG]], [[FAMAS]], [[FN FNC|FNC, Ak 5]] 등을 비롯한 기타 기종 전용의 모방형으로, 다양한 부착대가 지원된다. [[파일:mp5a5-m203pi_malaysian 0.jpg]] 또한 이는 [[말레이시아 해군]] 특수전부대(PASKAL), 공군 특수전부대(PASKAU), 경찰 특수부대(PGK)에서 운용되는 [[H&K MP5|MP5 계열]]에 부착되기도 한다. [[파일:99128381275123123.jpg]] 베네수엘라군에서 [[AK-103]]에 장착해 사용하는 모습도 식별되었다. ===== PA Md. 2000 ===== [[파일:PA_Md._2000_on_display_at_BSDA_2010.jpg]] 2000년쯤에 등장한 루마니아군에서 도입한 유탄발사기. 기존 AG-40을 대체하기 위한 것으로 추정된다. 특이하게도 기존 AG-40에 없던 방아쇠가 다시 부착되었다. ===== [[중국 보병용 중화기#QLL/QLG-91|QLG-91]] ===== [[파일:qlg91_pla 0.jpg]] 1991년 [[중국 인민해방군]]에 도입된 [[56식 자동소총]], [[81식 자동소총]], [[QBZ-95]] 전용의 모방형으로, 81식에 맞춘 QLG-91A와 95식에 맞춘 QLG-91B로 나뉜다. ===== SAR-21 M203 (가칭) ===== [[파일:sar-21-2.jpg]] [[싱가포르군]]에 도입된 [[SAR-21]] 전용의 모방형이다. ===== T-40 ===== [[파일:hk33e-t40_turkish 0.jpg]] 1990년대 [[터키군]]에 도입된 [[H&K G3|G3A7]] 및 [[H&K HK33|H&K HK33E]] 계열 전용의 모방형으로, [[총열덮개]]를 함께 갖춘 반면 방아쇠는 포함되어 있지 않다. ===== UBGL ===== [[파일:ubgl-insas_indian 0a.jpg]] 2010년 [[인도군]]에 도입된 [[INSAS]] 및 [[AK-47]] 전용의 모방형으로, 별도의 독립형도 개발되었으나 운용 여부는 알려지지 않았다. 방아쇠는 [[HK79]]처럼 포신 위쪽에 있는 걸로 추정된다. ==== 독립형 ==== ===== CM79LF ===== [[파일:cm79lf_from-stargate(se05).jpg]] 상술된 CM203에 접이식 [[개머리판]]이 달린 총몸이 적용된 개조형으로, 37mm [[조명탄]]만을 사용함에도 불구하고 일부 주에서 규제를 받기도 했다. ===== LMT M203 Standalone ===== [[파일:IMG_0684.jpg]] M4형 신축식 개머리판이 달린 총몸이 적용된 개조형으로[* M4형 외에도 기존 M16형을 비롯한 고정식 개머리판도 부착할 수 있다고 알려졌다.] 상술한 레일 부착용 M203-2003을 위한 스탠드 얼론 키트이다.[* 12인치, 9인치, 7인치 총열 버전이 존재한다.] M203-2003과 마찬가지로 미국의 [[루이스 머신 & 툴 컴퍼니|LMT]] 사에서 제작했으며, 개머리판을 제거해 권총형으로도 바꿀 수 있는 파생형도 출시했다. [[https://lmtdefense.com/product/12-standalone-rail-mounted-m203/|#]][[https://i0.wp.com/lmtdefense.com/wp-content/uploads/2021/01/L2G.png?fit=1536%2C424&ssl=1|#]] 최근에는 접철식 개머리판을 부착하는 파생형도 출시되었는데 이 개머리판은 [[SIG MPX]], [[SIG MCX]]처럼 총몸 후방에 있는 레일에 부착한다. [[https://reloadableshells.com/shop/lmt-m203-rail-mount-stand-alone-stock/|#]][[https://reloadableshells.com/wp-content/uploads/2019/02/photo5.jpg|#]] ===== L2H ===== [[파일:l2h1pg-m203_civil 0.png]] 신축식 [[개머리판]]이 달린 총몸이 적용된 개조형으로, 외장 부품 유무에 따른 L2F, L2G 등의 하위 파생형들이 존재한다. ===== M203PI EGLM ===== [[파일:m203pi-eglm_from-losers.jpg]] 상술된 M203PI에 신축식 [[개머리판]]이 달린 총몸이 적용된 개조형으로, [[피카티니 레일]]이 있는 M203의 아무 모델은 여기다가 장착이 가능하다. EGLM의 약자는 Enhanced Grenade Launcher Module System. 향상된 유탄발사기 모듈 시스템. ===== KAC M203 ===== [[파일:sabm-m203_from-ateam(2010) 0.jpg]] [[A특공대]]영화에 등장하는 KAC M203 스탠드얼론 유탄발사기. 상술된 M203A1/2에 신축식 [[개머리판]]이 달린 총몸이 적용된 개조형으로, KAC 사에서 개조한 제품 [[레밍턴 M870]]도 [[KAC 마스터키|부착]]이 가능하다. [[http://www.knightarmco.com/images/m203specs.jpg|#]][[http://autoweapons.com/photos08/sep/kacsbsa.jpg|#]][[http://photos.imageevent.com/smglee/ss2008/huge/DSCN0141_1.JPG|#]] ===== [[중국 보병용 중화기#s-2.1|QLL-91]] ===== [[파일:qll91_pla 0a.jpg]] 중국에서 만들었으며, 상술된 QLG-91에 접이식 [[개머리판]]이 달린 총몸이 적용된 개조형으로, [[폭동]] 진압 및 [[도어 브리칭|돌파]] 상황에 주로 쓰인다. ===== FD203 ===== [[https://milidom.net/files/attach/images/117/338/238/001/d84a32b120dcee37a3ec87294851a74e.jpg]] FAB에서 제작한 개조형. ===== [[탈레반]] 개조형 ===== [[https://twitter.com/CalibreObscura/status/1295102692205920256]] 탈레반에서 제작한 개조형. 특이하게도 [[56식 자동소총|56-2식 자동소총]]의 개머리판이 부착되었다. [[https://milidom.net/photo/1238338|#]] == 기타 == === 대한민국에서의 운용 === [[파일:m16a1-m203_roka 0.jpg]] [[대한민국 국군|한국군]]에서는 [[M16A1]]과 함께 운용하며, 이 무기를 참고로 제작한 [[K201 유탄발사기]]를 [[K2 소총]]에 결합해서 사용중이다. 유탄수들은 전방이건 후방이건 특전사건 간에 여전히 M16A1 + M203이나 K2 + K201을 쓰고 있다.[* 특히 전방은 K2C1으로 교체가 진행중이지만 유탄수는 여전히 K2를 사용중이다.] 그래서 가끔 다른 분대원들은 K2를 가지고 다니는데 유탄수만 M16A1+M203을 가지고 다니는 분대도 있다. 요즘은 전투할 필요가 적은 후방이나 공군등에도 잉여 K2와 K201 물량이 배치되고 있어서 M16A1하고 M203은 예비군이나 매우 후방에서나 볼 수 있을 듯 하다. 유탄수들은 1년에 한두번, 공용화기 교육(집체교육이라고 한다) 때 탄두가 약간의 폭발과 함께 연기와 섬광이 일어나는 연습탄이나 실탄으로 사격훈련을 하게 된다. 보통 200m ~ 250m 밖의 비탈진 곳의 원형 표적안에 탄을 명중시키면 된다. 처음 사격하면 소총과는 꽤나 다른 파지법과 반동에 약간 놀랄 수 있지만 개인이 운용 가능한 수준의 화기인 만큼 사격하고 다루는데 큰 불편은 없다. 탄을 발사하면 파이프에서 '퐁~' 하고 바람이 빠져나가는 발사음이 나는데 자세히 보면 날아가는 탄두가 검은 점으로 보일 정도로 느릿느릿 날아간다. 실제 고폭탄으로 사격을 하더라도 날아가는 모습은 똑같고, 폭발 장면도 영화처럼 어마무시하지는 않다. 실제로 일반 수류탄에 비해서 살상반경도 이론적으로는 더 좁다. [[로널드 리 어메이]]의 설명에 의하면 이 무기만이 미 해병이 대충 조준해도 되는 무기라고 한다. 쏴보면 알겠지만 곡선형 궤적을 그리면서 비교적 느리게 날아가는데다 탄이 가볍기 때문에 바람의 영향을 받는다. 때문에 바람이 심하게 불면 제대로 조준해도 잘 맞지 않는 경우가 많아서, 사격 경험이 많은 유탄 사수들은 날씨에 따라 거의 눈대중이라고 해도 좋을 정도로 오조준을 해서 쏘기도 한다. [[5.18 민주화운동]] 때 계엄군이 '''시민을 상대로''' 사용했던 일도 있다. === 에어소프트건 === * [[대한민국]] * [[아카데미과학]] - [[일본]] LS 사의 작동형만 카피 하였으며 원본처럼 본래 옵션형식으로 별도판매 하였으나 이후에는 M16소총과 동봉된 형태로 발매하게 된다. 작동형은 저렴한 가격대에 유탄바렐이 가동된다는 점이 메리트 였으나 모나카식에 조립방식도 접착 방식이였기에 조립도 난해하고 내구성이 약하다는 것이 단점이였다. 그 때문인지 평이 좋지 못했었고 조립을 포기하고 토이스타제 비작동식 더미 M203[* 토이스타에서 M4A1 M203을 첫 발매 했을 당시에는 유탄바렐이 붙박이로 붙어있는 더미였다.]을 가져다 붙이는 경우도 있었다. 2008년 이후로 단종되어 소총과 함께 구하는 것마저도 어려워지게 된다. 발매 당시에는 M203 재현품 중 저렴한 축에 속해 있었으나 프리미엄이 상당히 붙었다.미조립은 구형이 거의 부르는게 값 수준이고 마루이식 카피품은 약 20만원이다. 간혹 중고장터에 돌고있는 매물들은 하자가 있는 조립품이거나 하자가 있는 부분을 복원한 것이 대부분으로 쿼터랜드 사이트가 없고 미조립 풀박스의 매물은 구경조차 어렵다. * [[토이스타]] - 메탈버전의 BB샤워를 발매 하였으나 단종되었다. 이 금형을 이용하여 14세용 작동형 더미 M203을 발매 했는데 가격대가 저렴한데다가 비비샤워와 구조가 동일해서 비비샤워가 발사되는 바람에 메탈형 M203의 판매고에 영향이 생기게 되었다. 이 때문인지는 몰라도 회사에서 M203을 별도로 판매하지 않는다. 구매하려면 14세용 M4와 같이 구입할 수밖에는 없다. 비비탄이 발사되는 제품은 아니지만 내부에 저가형 플래시가 들어가는 제품도 있었다. 약실 잠금 장치를 누르면 불빛이 나온다. 비작동 더미식 금형을 유용하여 만든 것으로 원본은 LS * [[일본]] * LS - 작동형과 비작동형 더미 M203를 발매하였다. LS가 폐업한 뒤에는 ARII가 금형을 인수하여 생산했으며 이 제품 또한 국내에 수입된적이 있다. 허나 수입이 중지되고 국내 재고가 소진되어 구하기 어려운 레어가 되었다. 일본에서는 ARII가 마이크로 ACE 로 이름을 바꾼 이후에도 발매중이라고는 하지만 재고를 소진하는 것인지 지속적인 생산중인지는 불명이다.[* 런너 상태가 개판인걸로 보아 생산중인것 같다. 해외엔 물량이 상당하니 구하고 싶은 사람은 직구를 추천한다. 신품을 10만원도 안 하는 값으로 구할 수 있다.] 참고로 작동형은 카피판인 아카데미제와 동일한 제품이다. 비작동 더미식은 단종되었다. * [[도쿄 마루이]] - 실상은 동사의 샷건 구조에 M203 외피를 사용한 것이다.그 때문에 작동방식과,약실의 구조가 다르고, 인너바렐을 고정시키기 위해 총열을 막아놓는 바람에 리얼리티가 떨어진다. 이것 역시 국내에는 미수입되었고 단종되었기 때문에 구하기 어려운 제품이 되었다. * [[TOY-TEC]] 겉모습은 M203이지만 내부구조나 작동은 사실상 가스식 BB탄 소총약실은 열리지 않으며 BB탄은 위쪽으로 넣어 중력낙하고 급탄되는 방식가스는 내장이 아니고 외부에서 호스를 연결 해서 사용하는 방식이고 포구쪽은 막혀 있고 BB탄 바렐 만큼의 구멍만나있고 알루미늄이너바렐이 보인다. 별 작동기믹도 없고 가스도 외장인데 무게는 메탈 가스권총 이상으로 무거운것으로 보아 내부가 금속 부품으로 된것으로 보인다. * 마루코시 * [[중화권]] * E&C * G&P * 디보이 * 킹암스 == 출처 == === [[웹사이트]] === * [[http://www.airtronic-usa.com/products/]] * [[https://lmtdefense.com/?s=M203]] * [[http://www.rm-equipment.com/]] * [[https://www.knightarmco.com/product/military/m203-master-key]] * [[https://en.wikipedia.org/wiki/M203_grenade_launcher]] * [[https://www.globalsecurity.org/military/systems/ground/m203-program.htm]] * [[http://www.inetres.com/gp/military/infantry/grenade/M203.html]] * [[https://www.militaryfactory.com/smallarms/detail.asp?smallarms_id=6]] * [[http://modernfirearms.net/en/grenade-launchers/u-s-a-grenade-launchers/m203-eng/]] * [[http://www.sadefensejournal.com/wp/?p=2187]] * [[https://books.google.co.kr/books?id=o9QxDwAAQBAJ&pg=PA33&lpg=PA33&dq=aai+m203&source=bl&ots=3PBnDCdsQK&sig=5T--il4vngTbtkvvr-InvrdPnJQ&hl=ko&sa=X&ved=0ahUKEwi5zY2My5jZAhVEm5QKHfLkBOQQ6AEIYDAK#v=onepage&q=aai%20m203&f=false|https://books.google.co.kr]] * [[http://firearmsworld.net/usa/m16/m203/m203.htm]] === [[PDF]] === * [[http://www.peosoldier.army.mil/portfolio/]] * [[https://ndiastorage.blob.core.usgovcloudapi.net/ndia/2015/smallarms/Woodburn_USMCWeapons.pdf]] * [[http://www.bulletpicker.com/pdf/FM%2023-31,%2040mm%20Grenade%20Launchers%20M203%20and%20M79.pdf]] * [[http://www.smallarmssurvey.org/fileadmin/docs/Weapons_and_Markets/Tools/Weapons_ID_DB/SAS_weapons-grenade-launchers-M203.pdf]] * [[http://www.specops.pl/vortal/download/files/M203_Masterkey.pdf]] == [[/대중매체|미디어]]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M203 유탄발사기/대중매체)] == 둘러보기 == [include(틀:냉전/미국 보병장비)] [include(틀:베트남전/미국 보병장비)] [include(틀:그레나다 침공/미국 보병장비)] [include(틀:현대전/미국 보병장비)] [include(틀:냉전/영국 보병장비)] [include(틀:냉전/호주 보병장비)] [include(틀:냉전/뉴질랜드 보병장비)] [include(틀:냉전/이탈리아 보병장비)] [include(틀:냉전/그리스 보병장비)] [include(틀:냉전/스웨덴 보병장비)] [include(틀:냉전/파나마 보병장비)] [include(틀:냉전/한국 보병장비)] [include(틀:베트남전/ANZAC 보병장비)] [include(틀:베트남전/월남 보병장비)] [include(틀:캄보디아 내전/크메르 공화국 보병장비)] [include(틀:포클랜드전/영국 보병장비)] [include(틀:현대전/캐나다 보병장비)] [include(틀:현대전/한국 보병장비)] [include(틀:현대전/일본 보병장비)] [include(틀:현대전/프랑스 보병장비)] [include(틀:현대전/이스라엘 보병장비)] [include(틀:현대전/하마스 보병장비)] [include(틀:현대전/아일랜드 보병장비)] [include(틀:현대전/이탈리아 보병장비)] [include(틀:현대전/스웨덴 보병장비)] [include(틀:현대전/아르헨티나 보병장비)] [include(틀:현대전/북마케도니아 보병장비)] [include(틀:현대전/콜롬비아 보병장비)] [include(틀:현대전/대만 보병장비)] [include(틀:현대전/체코 보병장비)] [include(틀:현대전/튀르키예 보병장비)] [include(틀:현대전/그리스 보병장비)] [include(틀:현대전/알바니아 보병장비)] [include(틀:현대전/볼리비아 보병장비)] [include(틀:현대전/포르투갈 보병장비)] [include(틀:현대전/에스토니아 보병장비)] [include(틀:현대전/에콰도르 보병장비)] [include(틀:현대전/엘살바도르 보병장비)] [include(틀:현대전/싱가포르 보병장비)] [include(틀:현대전/스리랑카 보병장비)] [include(틀:현대전/베트남 보병장비)] [include(틀:현대전/멕시코 보병장비)] [include(틀:현대전/호주 보병장비)] [include(틀:현대전/뉴질랜드 보병장비)] [include(틀:현대전/태국 보병장비)] [include(틀:현대전/이라크 보병장비)] [include(틀:현대전/요르단 보병장비)] [include(틀:현대전/인도네시아 보병장비)] [include(틀:현대전/이집트 보병장비)] [include(틀:현대전/조지아 보병장비)] [include(틀:현대전/레바논 보병장비)] [include(틀:현대전/튀니지 보병장비)] [include(틀:현대전/브라질 보병장비)] [include(틀:현대전/칠레 보병장비)] [include(틀:현대전/페루 보병장비)] [include(틀:현대전/덴마크 보병장비)] [include(틀:현대전/필리핀 보병장비)] [include(틀:현대전/말레이시아 보병장비)] [include(틀:현대전/파키스탄 보병장비)] [include(틀:현대전/파라과이 보병장비)] [include(틀:현대전/캄보디아 보병장비)] [include(틀:현대전/파푸아뉴기니 보병장비)] [include(틀:현대전/사우디아라비아 보병장비)] [include(틀:현대전/아랍에미리트 보병장비)] [include(틀:현대전/오만 보병장비)] [include(틀:현대전/미얀마 보병장비)] [include(틀:현대전/우크라이나 보병장비)] [include(틀:보병장비 둘러보기)] [[분류:유탄발사기]][[분류:보병 무기/현대전]][[분류:미군/화기]][[분류:영국군/장비]][[분류:프랑스군/장비]][[분류:이탈리아군/장비]][[분류:이스라엘군/장비]][[분류:호주군/장비]][[분류:캐나다군/장비]][[분류:자위대/장비]][[분류:1969년 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