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White '''{{{+3 M197 기관포}}}'''[br]''M197 Automatic Gun''}}}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m197_profile 0.jpg|width=100%]]}}}|| || '''종류''' ||[[기관포]] || || '''원산지''' ||[[파일:미국 국기.svg|width=23]] [[미국]] || ||<-2> {{{#!folding 【펼치기 · 접기】 ||<-2>
{{{#White '''이력'''}}} || || '''개발''' ||[[제너럴 일렉트릭]] || || '''생산''' ||제너럴 일렉트릭[br][[제너럴 다이내믹스]] || || '''사용국''' ||[[파일:미국 국기.svg|width=23]] [[미국]][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3]] [[대한민국]][br][[파일:일본 국기.svg|width=23]] [[일본]][br][[파일:이탈리아 국기.svg|width=23]] [[이탈리아]][br][[파일:튀르키예 국기.svg|width=23]] [[튀르키예]][br][[파일:바레인 국기.svg|width=23]] [[바레인]][br][[파일:이란 국기.svg|width=23]] [[이란]][br][[파일:파키스탄 국기.svg|width=23]] [[파키스탄]][br][[파일:케냐 국기.svg|width=23]] [[케냐]] || ||<-2> {{{#white '''기종'''}}} || || '''원형''' ||[[M61 발칸|M61]] || ||<-2> {{{#white '''제원'''}}} || || '''전장''' ||182.8cm || || '''중량''' ||60kg || || '''구경''' ||[[20mm]] || || '''탄약''' ||20×102mm || || '''급탄''' ||벨트형 탄띠 || || '''작동 방식''' ||전기점화식[br]개틀링식 || || '''발사 속도''' ||[[분]]당 730발 || || '''유효 사거리''' ||1,500m || || '''최대 사거리''' ||4,000m ||}}} || [목차] [clearfix] == 개요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kjg1ITHhQPg)]}}}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OM2gEkW8Vcw)]}}} || || [[미합중국 해군|미 해군]]의 [[MH-60 시호크|MH-60S 씨호크]] 다목적헬기 훈련 영상 || [[육상자위대|일본 육상자위대]]의 [[AH-1|AH-1S 코브라]] [[공격헬기]] 훈련 영상 || M197은 [[M61 발칸]] 기반의 [[20mm]] [[개틀링 기관총|개틀링]] [[기관포]]이다. == 역사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m134_on-ah1g.jpg|width=100%]]}}} || || '''[[AH-1|AH-1G 휴이 코브라]] [[공격헬기]]의 [[https://forum.warthunder.com/index.php?/topic/428736-additional-historical-ah-1g-turret-options/|XM64]] [[포탑]]''' || [[베트남 전쟁]]이 한창인 1967년, [[미합중국 육군|미 육군]]에서는 [[UH-1|UH-1B~D 이로쿼이]] [[건쉽|무장헬기]]와 [[AH-1|AH-1G 휴이 코브라]] [[공격헬기]] 운용을 통해 당시의 주적인 [[베트콩|남베트남 민족해방전선]]이 보유한 [[DShK]] [[기관총#중기관총|중기관총]] 등의 근접 [[대공 체계]]의 위협에 맞서기에는 여러모로 화력이 부족했던 [[M134 미니건|M134]] [[기관총]]을 더 높은 [[구경#口徑, Caliber|구경]]의 다른 기종으로 대체하려는 계획이 세워졌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xm-m61_yuh1b.jpg|width=100%]]}}} || || '''[[UH-1|YUH-1B 이로쿼이]] [[건쉽|무장헬기]]의 [[M61 발칸|XM-M61]]''' || 여기에는 [[기총]]으로 각광받기 시작한 [[제너럴 일렉트릭]] 사의 [[M61 발칸|M61A1 발칸]]을 소형화시키는 방안이 받아들여져 저속 항공기에 맞게 [[포신]] 길이와 발사속도를 줄인 [[https://man.fas.org/dod-101/sys/ac/equip/m195.htm|M195]]에 [[FFAR|Mk.40 FFAR]] [[로켓 런처|발사기]]가 합쳐진 [[https://apps.dtic.mil/sti/pdfs/AD0865018.pdf|XM35 무장 시스템]]의 시험 운용을 거친 다음, 3열 포신의 XM-M61이 M197이라는 새로운 제식명으로 바뀌어 곧바로 실전에 쓰이기 시작했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m197_ah1z 0.jpg|width=100%]]}}} || || '''[[AH-1Z 바이퍼]] [[공격헬기]]의 [[https://www.bidnet.com/closed-government-contracts/u-s--marine-corps-h-1-helicopter-a-a49e-7-v4--aircraft-gun-turret-system?itemId=377718883|A/A49E-7(V4)]] 포탑''' || 서서히 시간이 흘러 [[https://man.fas.org/dod-101/sys/ac/equip/m197.htm|M97]][* [[미합중국 공군|미 공군]]의 [[미군/장비/명명규칙#일반|항공장비 완제품 제식명 명명법(ASETDS)]]에 따른 A/A49E-7(V)로도 불린다.] 계열 [[포탑]]에 탑재된 형태가 가장 보편적인 무장으로 자리 잡히면서 [[https://www.youtube.com/watch?v=P6iI9NfNTpk|YOV-10D]] [[OV-10 브롱코#YOV-10D|브롱코]] 야간작전용 [[공격기|경공격기(NOGS)]] 등의 기타 항공기에 급조 또는 성능 시험 목적으로 적용되기도 했으며, [[https://en.wikipedia.org/wiki/Advanced_Attack_Helicopter|발전형 공격헬기(AAH)]] 사업을 통해 [[AH-64|AH-64 아파치]] 공격헬기를 도입한 미 육군과는 달리 쌍발형 [[AH-1|AH-1J 씨 코브라]] 공격헬기 계열의 개량과 운용을 고집한 [[미합중국 해병대|미 해병대]]는 물론 [[대한민국]]을 포함한 세계 각국에서의 제식 수명이 수십년 넘게 이어지고 있다. == 특징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aa49e7_sheet 0.png|width=100%]]}}} || || '''A/A49E-7의 구성과 조향각도''' || [[M61 발칸]]의 중량 절감을 위해 [[포신]]이 6개에서 3개로 줄어들어 [[반동]]이 1/4로 낮추어져 주로 [[경비행기]] 및 [[헬리콥터]]에서의 사용에 용이해졌다. [[구경#口徑, Caliber|구경]] 자체는 동일하므로 기존의 [[20mm]] M53 철갑소이탄(API)이나 PGU-28A/B 고폭소이철갑탄(SAPHEI) 등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다. 수평 200도, 수직 60도 회전이 가능한 M97 및 A/A49E-7 계열의 무장 시스템에 통합된 형태가 가장 많이 쓰이며, 이론적인 발사 속도는 분당 750발 가량인데 [[클러치#동력 제어 장치|클러치]] 등을 조정한다면 2,000발 이상으로 올릴 수도 있으나 보통 30발에서 50발 정도로 [[냉각]]을 겸해 끊어서 쏘는 것이 대부분이다. 신뢰성 높은 작동 메커니즘과는 다르게 [[잼(현상)|탄걸림 현상]]이 발사횟수의 30% 이상을 차지 할 정도로 매우 잦았는데, 2011년에 메깃 디펜스(Meggit Defense Systems) 사의 [[https://meggittdefense.com/wp-content/uploads/2021/01/Ammunition_Handling_2020.pdf|비탄띠식(Linkless feed) 급탄 시스템]]으로 교체된 이후로 어느정도 개선되었다. == 운용 국가 == * [[AH-1|AH-1 코브라]] - 중후기의 [[AH-1#단발형|단발형]] 및 [[AH-1#쌍발형|쌍발형]] 계열이 포함된다. * [[미국]] * AH-1S/P/E/F * AH-1J/T/W/[[AH-1Z 바이퍼|Z]] * [[대한민국]] * AH-1J/S * [[일본]] * AH-1S * [[튀르키예]] * AH-1P/S/W * [[대만]] * AH-1W * [[이스라엘]] * AH-1G/S * [[바레인]] * [[이란]][* 주장에 따르면 1986년 2월 14일 [[이란-이라크 전쟁]] 도중 수출형 AH-1J 씨 코브라의 M197로 [[이라크군]]의 [[MiG-21]] 1대를 격추하고 [[Mi-24]] 등과의 교전에도 쓰였다고 하며, [[이란 혁명]]의 여파로 [[미국]]으로부터의 부품 수급이 어려워지면서 자체 개량된 [[https://en.wikipedia.org/wiki/Panha_2091|판하 2091(پنها)]] 및 [[https://en.wikipedia.org/wiki/IAIO_Toufan|투판(توفان)]]에도 적용되었다.] * 기타 * [[미국]] * [[A-4 스카이호크]] * [[A-37|A-37 드래곤플라이]] * [[https://en.wikipedia.org/wiki/Fairchild_AU-23_Peacemaker|AU-23A 피스메이커]] * [[OV-10 브롱코|YOV-10D 브롱코(NOGS)]] * [[MH-60 시호크|MH-60S 씨호크]] * [[https://en.wikipedia.org/wiki/Bell_309_KingCobra|벨 309 킹코브라]] * [[https://ja.wikipedia.org/wiki/%E3%83%99%E3%83%AB_309_%E3%82%AD%E3%83%B3%E3%82%B0%E3%82%B3%E3%83%96%E3%83%A9|YAH-63A]] * [[RAH-66|RAH-66A 코만치]] * [[대한민국]] * [[FA-50|FA-50 파이팅 이글]] * [[이탈리아군|이탈리아]] * [[A129 망구스타#A-129 CBT|A129 망구스타 CBT]] == 종류 == === M197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m197_mh60s 1.jpg|width=100%]]}}} || || '''[[MH-60 시호크|MH-60S 씨호크]] 다목적헬기의 [[https://ndiastorage.blob.core.usgovcloudapi.net/ndia/2011/smallarms/WednesdaySI12221Reed.pdf|M197]]''' || [[AH-1|AH-1G 휴이 코브라]] [[공격헬기]]의 부족한 화력을 보완하기 위한 [[M61 발칸]] 기반의 원형으로, 기수 하단의 포탑 형태가 가장 많이 쓰이며 그외에는 [[베트남 전쟁]] 시기에 [[A-4 스카이호크]] [[공격기]]의 [[배터리]] 및 [[모터]]와 비탄띠식 20mm 탄약 300발이 내장되는 [[https://www.youtube.com/watch?v=nyOZM4VSQTY|GPU-2/A]] [[포드(항공기)|외장 기총(Gun Pod)]] 이력을 바탕으로 [[미합중국 해군|미 해군]]의 [[SH-60|MH-60S 씨호크]] 다목적헬기 외부 측면의 [[파일런]]에 달려서 운용되기도 한다. === XM301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xm301_rah66 0.jpg|width=100%]]}}} || || '''[[RAH-66]] [[코만치]] 정찰공격헬기의 XM301''' || [[RAH-66|RAH-66 코만치]] 정찰공격헬기에 맞춘 시험 개량형으로, 2004년 부로 해당 사업이 좌초되면서 양산으로는 이어지지 못했다. == 매체 == [[AH-1/대중매체]] 참조. 여기에 달리면 웬만하면 나온다 보면 된다. == 둘러보기 == [include(틀:현대전/미국 화포)] [include(틀:화포 둘러보기)] [[분류:기관포]][[분류:항공 병기/현대전]][[분류:20m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