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현대전/이스라엘 기갑차량)] ||
[[파일:M4A4M50sherman.jpg|width=100%]] || || '''אם-50''' || [목차] == 개요 == ||
[youtube(G_caG-VwR0k)] || || [youtube(0gwV1qQdKDw)] || || M-50 기동 영상 || [[이스라엘군]]에서 운용한 [[M4 셔먼]] 전차의 [[M4 셔먼/파생형|파생형]]. 이스라엘군은 제1차 중동전쟁 당시, 전쟁 직전 이탈리아로부터 구매한 폐차 상태의 M4(105)에 크루프제 곡사포를 끼운 일명 크루프 셔먼들과 폐차 상태인 셔먼III[* M4A2의 영국군 제식명]을 수리한 "메이어" 등으로 분전하였지만, 아랍 연합이 강력한 [[Mk.I 아처]]나, [[SU-100]] 등의 고화력, 떡장갑의 기갑차량들을 사들이고 있다는 정보를 입수하고, 당장 한시가 급한 이스라엘군은 이에 대해 고민하다 한가지 묘책을 떠올리게 되는데, 바로 '''"우방국으로부터 셔먼을 사들여, 동일 구경의 대형 포를 얹어 화력을 극대화하자!"'''라는 것이었으며, 그로 인해 탄생한 물건이 바로 이스라엘 전차 신화의 시조인 '''"M-50"'''이다. '''"M-50"'''은 M4, [[M4A1]], [[M4A2]], [[M4A3]], [[M4 (105)]], M4 컴포지트 헐, [[M4A4]]에 [[AMX-13]]의 75mm SA50 전차포를 장착한 개량형으로,[* 주로 M4A4 베이스로 제작되었다.] 주포가 상대적으로 크고 무거운 물건으로 교체됨에 따라 포탑 후방에 무게추가 증설되었는데, 이는 1차 중동전쟁 후 들여온 셔먼들 대다수가 단포신 75mm 사양의 포탑을 가지고 있었기에 환장하지 않고 개조한 것이기 때문이다. == 개발사 == ||
[[파일:M-50_Memorial near Beyt ha-Shiryon, Tel Aviv.jpg|width=100%]] || || '''베이트 하 시론 M-50 기념물'''[* M4 (105) 기반이다.] || M-50이 개발된 사연은 이러하다. 1950년대 초, 프랑스로부터 구매한 AMX-13의 75mm CN-75-50 포의 화력은 매우 만족스러웠지만, 한가지 문제점이 있었는데 너무 방어력이 낮고, 승무원 배치가 불편한데다 부앙각이 낮다는 점이었다. ||
[[파일:75mm_CN-75-50_L/61.5.png|width=100%]] || || '''75mm CN-75-50'''[* '''"CaNon 75 mm Modèle 1950"'''의 약자. [[5호 전차 판터]]의 주포이기도 하는 [[7,5cm KwK 42]] 전차포를 기반으로 만들어졌으며, '''75mm SA 50''' ('''"75 mm Semi Automatique Modèle 1950"'''의 약자)이라고도 불린다.] || 75mm CN-75-50의 제원은 다음과 같다. ||
탄 이름 || 탄종 || 탄약 중량 || 전체 중량 || 포구 속도 || 1000m 거리에서 90도로 탄착했을시의 장갑 관통 두께 || 1000m 거리에서 30도로 탄착했을시의 장갑 관통 두께 || || Obus Explosif[br](OE) || 고폭탄(HE) || 6.2kg || 20.9kg || 750 m/s || // || // || || Perforant Ogive Traceur Modèle 1951[br](POT Mle. 51) || APC-T || 6.4kg || 21kg || 1,000 m/s || 170mm || 110mm || || Perforant Coiffé Ogive Traceur Modèle 1951[br](PCOT Mle. 51) || APCBC-T || 6.4kg || 21kg || 1,000 m/s || 60mm || 90mm || 이에 이스라엘 측에서는 저화력의 포를 지닌 M4 셔먼의 개량과 AMX-13과 동일한 화력을 지닌 전차를 동시에 만들고자 하였으며, 이것에 대한 일환으로 1954년 이스라엘은 프랑스로 기술자를 보내 M-50 프로토타입 제작의 도움을 요청했다. ||
[[파일:one_of_M-50s_on_M10_GMC_armed_with_CN-75-50.jpg|width=100%]] || || '''M-50의 프로토타입 중 하나인 M10 기반 M-50''' || 이스라엘 기술자와 프랑스 기술자는 M4A2와 M10 GMC에 75mm M-50 전차포[* 75mm CN-75-50의 이스라엘 제식명]를 올린뒤 포의 제식명을 따서 '''"M-50"'''으로 명명했으나, M4A2 기반의 M-50은 취소되었으며, M10 울버린에 SA 50 포를 장착한 파생형은 취소되지 않고 따로 편제되어 사용되었다. ||
[[파일:first_M4A4_based_M-50_prototype.jpg|width=100%]] || || '''M4A4 기반 M-50의 첫번째 프로토타입''' || || [[파일:second_M4A4_based_M-50_prototype.jpg|width=100%]] || || '''M4A4 기반 M-50의 두번째 프로토타입''' || 1955년 여름에 M4A4를 기반으로 한 M-50 프로토타입 2대가 다시 제작되어 1955년 말 이스라엘군의 승인을 받게된다. == 형식 == === M-50 데겜 알레프(M-50 A형) === ||
[[파일:ZLy8EU4.jpg|width=100%]] || || '''M-50 데겜 알레프(Degem Aleph)''' || || [[파일:M4A4_FL-10_based_M-50_Degem_Aleph.png|width=100%]] || || '''이스라엘 전차 훈련 학교의 M-50 데겜 알레프(Degem Aleph)'''[* M4A4(FL-10) 기반이다.] || || [[파일:M-50_Degem_Aleph_based_one_M4A6_.png|width=100%]] || || '''M-50 데겜 알레프(Degem Aleph)'''[* M4 컴포지트 헐 기반이다.] || '''M-50 "데겜 알레프"'''는 M4A1, M4A2, M4A3, M4A4, M4 컴포지트 헐, 그리고 이집트군으로부터 노획한 [[M4A4|M4A4(FL-10)]] 등을 기반으로 제작되었다.[* 실전이나, 사진으로 보나 실제로는 타 셔먼들보다는 [[M4A4]]를 개수한 개체가 제일 많다.] 초창기 50대는 제2차 중동전쟁에 참전하여 이집트군의 전차들을 무자비하게 격파하는데 성공하며 그 위용을 떨치기 시작했다. 그러나 M4A4 기반 차량은 M4A4와 거의 동일한 사양 탓에 급정거 시에 포신 안정성의 부재, 중량 문제 등으로 개량을 결정하게 된다. === M-50 데겜 베트 (M-50 B형) === ||
[[파일:M-50_Degem_Aleph.jpg|width=100%]] || || '''4대대 2중대 1소대의 M-50 데겜 베트 지휘전차''' || 데겜 알레프에서 편의성과 기동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개조된 사양을 '''M-50 "데겜 베트"'''라고 칭하며, M-50 데겜 알레프의 현가장치 문제와 주행성 문제를 개선시키기 위하여 HVSS 서스펜션과, 사막에서의 작전을 수행 시의 편의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측면 스커트를 연장시켜 그 위에 예비 부품을 추가한 형태이다. 대다수의 데겜 알레프 사양들이 데겜 베트로 개량되었으며, 이후 제3차 중동전쟁에 참전, 아랍 연합군의 전차들을 상대로 높은 교환비를 내면서 이스라엘 기갑신화를 세운 장본인이 되었다. 이후 1972년 12월까지 이스라엘 육군의 주력 차량으로 사용되었다. === M-50 데겜 유드 (M-50 J형) === ||
[[파일:M-50_Degem_Yud.jpg|width=100%]] || || [[파일:M-50_Degem_Yud_.jpg|width=100%]] || || '''M-50 데겜 유드''' || 이밖에도 1958년에 제작된 프로토타입인 '''M-50 "데겜 유드"'''가 존재하는데, 이는 M-50의 저차고형으로써, 이스라엘에서 셔먼 특유의 높은 차체 때문에 피탄율이 높고 위장, 은폐가 힘들다는 단점을 극복하고자 차체 상부를 깎아내어 차량의 높이가 T-54 수준으로 감소하였지만 1대의 시제 전차만 생산되었다. "데겜 유드"는 히브리어로 Write 형을 뜻한다. == 사용된 전쟁 == === [[중동전쟁]] === ==== [[제2차 중동전쟁]] ==== M-50이 최초로 실전에 투입된 전쟁이다. 하지만 M-50은 아부아게일라 전투 당시 엄청난 실책을 기록하게 된다. 작전 직전 전투 테스트를 위해 M-50을 수령한 제7기갑여단 82전차대대 B중대는 대대장인 "브렌" 아단 중령의 지시에 따라 혹독한 훈련을 받았다. 이후 아단 중령은 여단의 정찰대가 아부아게일라 주변의 이집트 제6보병여단의 방어선을 격파하고 이집트 보병 2개 중대병력과 일부 대전차포가 방어하고 있는 루아파 댐에 기습을 가한 뒤 다이카 계곡을 통해 대대를 이끌었다. 중령은 이집트 제3보병사단이 강력한 병력을 집결시킨 서쪽의 엘아리쉬와 이집트의 제10기갑대대가 접근하고 있는 북동쪽의 움 셰이칸에서 이집트의 반격을 피할 수 있는 위치에 대대를 배치했다. 그 다음 날, 양측 모두 셔먼을 사용하여 여러번 격전을 벌였는데, 이 전투에서 M-50은 이집트군의 셔먼을 격파하는 데에 매우 효과적인 전차라는 것이 증명되었다. 그날 12시 00분에 쿠세이마-아부아게일라 방면 고속도로를 통해 따라 다른 셔먼 부대가 접근하는 것을 목격한 중대장은 접근하는 셔먼 부대를 향해 1,000미터 이상에서 선제공격을 가한다. 포격이 셔먼에 명중하는 것을 본 그는 산하 1개 소대에게 종대 측면으로 기동하도록 명령했고 몇 분 안에 8대의 셔먼을 격파했다. 그런데 갑자기, 이스라엘 공군의 [[노스 아메리칸 T-6 텍산]] 한 기가 아단의 대대 위로 날아왔다. 그리고는 조종사가 승무원들에게 소리를 지르며 날개를 흔들며 불타는 잔해의 방향을 가리켰다. 심상찮은 분위기를 감지한 눈치챈 중령은 즉시 승무원들에게 사격을 중단하라고 명령했고, 자신의 지프를 타고 공격당한 부대의 잔해가 불타는 고속도로에 다가갔다. 그리고 그는 아연실색했는데, M-50이 격파했던 셔먼 소대는 바로 '''[[아군오사|이스라엘군 제37기갑여단 5중대였던 것이다.]]''' 이 사건은 이스라엘군에게 크나큰 상처로 남았으며, 무전 교리 및 피아식별에 힘을 쓰게 되는 계기가 되었다. 하지만 아랍연맹군의 전차들과 비등, 혹은 그 이상으로 맞서며 매우 효과적인 차량이라는 것을 증명해내기도 했다. ==== [[제3차 중동전쟁]] ==== || [[파일:supersherman-1.jpg|width=100%]] || || '''제3차 중동전쟁 당시의 이스라엘 육군 산하 A소대 소속 M-50 데겜 베트 2호차''' || 이전의 M-50 데겜 알레프 버전에서 더욱 개량된 버전인 데겜 베트로 개수되어 M-51과 함께 전장에 투입되어 대활약을 하였다. 특히, [[AMX-13]]과 포탄이 호환되므로 보급에 큰 문제가 없었으며, 엔진이 개수되어 엄청나게 더운 중동의 고열에서도 문제없이 기동하며 아랍연맹군을 압박하여 전쟁을 승리로 이끌었다. ==== [[소모전(중동)|소모전]] ==== || [[파일:War of Attrition_M-50 based SPG.jpg|width=100%]] || || '''소모전 당시의 M-50 기반 자주박격포''' || ==== [[제4차 중동전쟁]] ==== || [[파일:yomkippurwarM-50.jpg|width=100%]] || || '''제4차 중동전쟁 당시의 이스라엘 육군 소속 M-50 데겜 베트''' || 1973년 10월 6일 욤 키푸르 전쟁이 발발했을 때 이스라엘은 아랍의 공격에 대비하지 못한 채였으나, 이내 341량의 M-51 및 M-50 데겜 베트를 포함하여 사용 가능한 모든 예비역 셔먼들을 배치했다. 이때까지도 남아있던 M-50 데겜 알레프들은 전량 데겜 베트로 변경되었으며, T-55 및 T-62에 타격을 줄 수 없다 판단되며 종전 직전인 1972년 12월에 퇴역하였다. === [[레바논 내전]] === ||
[[파일:M-50s_at_Lebanon.jpg|width=100%]] || || '''카테브당 소속 M-50''' || 레바논 내전 당시 이스라엘 측에서 Kataeb Regulatory Forces, 레바논군, Tigers Militia, Guardians of the Cedars, 남레바논군[* 남레바논군에게는 총35대가 공여되었다.] 등의 기독교 민병대들에게 공여하였다. 기독교 민병대 중 남레바논군은 해체 후 남은 M-50들을 2000년대에 이스라엘에 반환했다.[* M-50이 엉뚱한 곳으로 흘러가는걸 막기 위해서이다.] == 사용 국가 == === [[이스라엘]] === ||
[[파일:M-50_Latrun.jpg|width=100%]] || || '''야드 라 시론 전차 박물관 소장 이스라엘 육군 소속 M-50'''[*옆에 있는 전차는 [[AMX-13]]이다.] || M-50의 원조 사용국으로, 2차 중동전쟁, 3차 중동전쟁, 4차 중동전쟁 등의 전쟁에서 사용했다. === [[소련]] === ||
[[파일:vadimM50.png|width=100%]] || || '''바딤 자도로지니 기술 박물관 소장 M-50'''[* M4A4 기반으로 제작된 사양이다.] || 중동전쟁 당시 아랍 연합군이 노획한 M-50 한량을 인수받아 현재 바딤 자도로지니 기술 박물관에 소장 중에 있다. === [[레바논]] === ==== 남레바논군 ==== ||
[[파일:South_Labanon_Army_M-50.jpg|width=100%]] || || '''남레바논군(SLA) 소속 M-50, 1977년 레바논''' || === [[팔레스타인|팔레스타인 해방 기구]] === ||
[[파일:PLO_M-50_Degem_Bet.jpg|width=100%]] || || '''격파된 팔레스타인 해방 기구(PLO) 소속 M-50'''[* 1983년 PLO의 무기고, 레바논 카밀레 샤몬 시립 운동장 근처에서 격파된 차량이다.이후 나토의 임무를 수행하기위해 투입된 프랑스군이 발견했다고 한다.] || 2대의 M-50을 레바논 내전 당시 노획해 부품이 바닥날때까지 사용했다. === [[요르단]] === ||
[[파일:Royal_Jordanian_Tank_Museum_M-50.jpg|width=100%]] || || '''왕립 요르단 전차 박물관 소장 M-50'''[* 1968년 카라메 전투 당시 요르단군이 노획한 차량이다.] || 이스라엘 방위군으로부터 M4 (105) 베이스의 M-50을 노획했다. === [[이라크]] === ||
[[파일:M-50_Monument about 10 miles north of Tikrit.jpg|width=100%]] || || '''티그리트 근교의 M-50''' || === [[시리아]] === ||
[[파일:M4A1_based_M-50.webp|width=100%]] || || '''사격 표적용으로 사용된 M-50'''[* M4A1 기반이다.] || == 파생형 == === 이스라엘 === ==== MAR-240 ==== || [[파일:MAR-240.jpg|width=100%]] || 포탑을 제거하고 36개의 240 mm 로켓이 장착된 측방 발사대를 부착한 파생형. 이집트가 소련의 BM-24를 카피한 것을 이스라엘군이 이집트군으로부터 노획한뒤 장착한 것 이다. 대규모 생산이 된 적은 없다. ==== MAR-290 에피스코피 ==== ||
[[파일:MAR-290-2.jpg|width=100%]]|| || '''MAR-290 에피스코피''' || '''"MAR-290 에피스코피"'''는 M-50을 베이스로 다연장로켓을 장착한 파생형이다. MAR-240와 비슷하나 대신 후방 발사대가 부착되어 있으며, 그리고 고폭/분쇄 또는 다발 탄두가 들어있는 4개의 290mm 지대지 로켓이 장착되어있다. ==== M-50 155mm ==== ||
[[파일:M-50_155mm_spg.jpg|width=100%]] || '''M-50 155mm'''는 프랑스제 Model 50 155mm 곡사포를 착용한 자주포 개수형이다. 도합 120문이 생산되었으며 욤 키푸르 전쟁에 참가한 전적이 있다. 일부 예비 부대에서는 1970년대까지 많이 이용했다. ==== L-33 Ro'em(로엠) ==== ||
[[파일:L-33_roem_SPG.jpg|width=100%]] || 핀란드제 Soltam M-68 155mm L/33 곡사포를 장착한 닫힌 상부구조의 자주포. 약 200량이 생산되었다. 욤 키푸르 전쟁과 레바논 내전 때 쓰였고 그 뒤에도 잘 굴려지는 차량. 비슷한 계열로 L-39가 있다. ==== Makmat(마크맛) 160mm ==== ||
[[파일:Makmat-160mm.jpg|width=100%]] || 오픈탑에 Soltam M-66 160 mm 박격포를 장착했다. 전면은 장갑이 접힐 수 있는 구조여서 상부를 덮어주는 역할을 한다. 10월전쟁, 중동전쟁, 레바논 전쟁 때 쓰였다. ==== [[장갑구급차|M-50 엠뷰탱크]] ==== ||
[[파일:8524788185_f79366e585_b.jpg|width=100%]] || || '''M-50 엠뷰탱크''' || 전면에 파워플랜트를 장착시키고 포탑을 제거했다. 의무병 이외 4명의 부상자나 환자를 후방 뒷문에 실을 수 있다. 초기에는 VVSS 서스펜션을 낀 M-1 차체로 만들었지만 이후에는 커다란 박스 모양의 상부구조물이 달린 HVSS 현가장치를 이용한 M-50의 차체로 개발했다. 10월 전쟁 때 이집트와 이스라엘의 지구전에서 많이 이용되었다. === 레바논 === ==== M-50 APC ==== ||
[[파일:M4A4_based_Lebanian_APC.jpg|width=100%]] || || '''남레바논군(SLA) 소속 M-50 기반 APC''' || 남레바논군은 공여받은 M-50을 APC로 개조하기도 했다. === 칠레 === ==== M-60 ==== ||
[[파일:M-60_during_live_fire_exrcise.jpg|width=100%]] || || '''Grupo Blindado Nº 9 “Vencedores”의 M-60 지휘전차''' || || [[파일:M-60_at_Tanques_del_Arma_Caballeria_Blindada.png|width=100%]] || || '''Tanques del Arma Caballeria Blindada 박물관 소장 M-60''' || 1980년대 초 이스라엘로부터 M-50 다수를 구매한 후, M-50 65대를'''"M-60"'''으로 개수했는데, '''M-60'''는 이스라엘의 협조를 통해 제작된 물건으로 75mm SA50 전차포 대신 이스라엘의 [[IMI#s-1|IMI]] 社와 이탈리아의 OTO 社가 공동개발한 60mm 구경의 60 HVMS(Hyper Velocity Medium Support) IMI-OTO 대전차포[* 이탈리아에서는 HVMS 60/70 OTO-Melara 라는 이름으로 알려져 있다.]와 자동장전장치를 탑재한 버전이다.[* 분당 100발 정도로 발사할수 있으나 탄약의 낭비를 막기 위해 30발 정도로 낮춰졌다.] M300 APDSFS-T와 HE 탄을 운용하며, 그중 M300 APFSDS-T는 2km의 거리에서 120mm RHA를 관통할 수 있는 스펙을 지니고 있었다.[* 영국제 105mm L7도 2km의 거리에서 비슷한 관통력을 가지고 있다.] ||
[[파일:60mm_HVMS.jpg|width=100%]] || || '''60 HVMS IMI-OTO 대전차포''' || 추가적으로 현대적인 사격통제장비가 도입되었다. 또한 구동계도 [[스팅레이 경전차]]와 동일한 파워팩으로 교체했다. 이후 2018년에 완전 퇴역하였다. == 대중 매체 == === 게임 === ==== [[아머드 워페어]] ==== ||
[[파일:Armored_Warfare_M-50.jpg|width=100%]] || || '''아머드 워페어의 M-50''' || ==== [[강철의 왈츠]] ==== [[조이 셔먼]], [[페니 셔먼]] 자매가 이벤트로만 얻을 수 있는 [[강철의 왈츠/전차 소녀/특전부대|특전부대]]의 Makmat 160mm와 Ro'em (ML-20)으로 등장했다. === 브릭 === ==== [[브릭매니아]] ==== ||
[[파일:Brickmania_M-50.jpg|width=100%]] || || '''브릭매니아의 M-50''' || == 참고 문헌 == [[https://tanks-encyclopedia.com/coldwar/israel/m50-51_super-sherman.php|Tank encyclopedia M-50 문서]] == 둘러보기 == [include(틀:냉전/소련 기갑차량)] [include(틀:냉전/이라크 기갑차량)] [include(틀:현대전/요르단 기갑차량)] [include(틀:현대전/칠레 기갑차량)] [include(틀:현대전/시리아 기갑차량)] [include(틀:현대전/남레바논군 기갑차량)]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M4A4, version=408)] [[분류:M4 셔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