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캐나다의 화장품 제조사]][[분류:화장품 브랜드]][[분류:1984년 설립]][[분류:에스티 로더 컴퍼니즈]] [include(틀:다른 뜻1, other1=미국의 IT 기업 Apple에서 출시하는 컴퓨터, rd1=Mac(컴퓨터))] ||<-2> {{{#fff {{{+2 '''M·A·C'''}}}}}} || ||<-2> [[파일:M·A·C 로고.svg|width=70%]] || || {{{#ffffff '''설립일'''}}} ||[[1984년]]([[캐나다]] [[토론토]]) || || {{{#ffffff '''설립자'''}}} ||프랭크 앤젤로 || || {{{#ffffff '''본사'''}}} ||[[미국]] [[뉴욕]] || || {{{#ffffff '''모기업'''}}} ||Estée Lauder Companies || || {{{#ffffff '''링크'''}}} ||[[https://www.maccosmetics.com/l|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0]]]] || [목차] [clearfix] == 개요 == ||<#ffffff> [youtube(xI7Tvf10S_8)] || ||<#ffffff> '''M·A·C Studio Fix: Welcome to the #FIXFAM!''' || >모든 연령, 모든 인종, 모든 성... >프로페셔널 메이크업 브랜드가 전 세계 패션위크의 백스테이지에서 트렌드를 주도합니다. [[1984년]] 설립된 [[캐나다]]의 [[화장품]] 브랜드로 '''Make-up Art Cosmetics'''의 약자다. 현재 미국의 [[에스티 로더]] 산하 브랜드로 1998년 편입되었다. 기초보다는 [[파운데이션]]이나 [[아이섀도]], [[립스틱]] 등의 색조가 다양하고 발색이 좋기로 유명하다. 패션쇼 런웨이나 광고 사진을 촬영하는 전문가부터 일반인까지 다양한 소비층이 있다. == 역사 == 맥은 [[캐나다]] [[토론토]]에서 처음 시작되었다. 메이크업 아티스트이자 포토그래퍼 프랭크 토스칸과 [[살롱]] 운영주 프랭크 안젤로는 사진이 잘 찍히는 [[메이크업]] 제품이 드물다는 사실에 낙담하여 직접 [[화장품]]을 만들기로 하고 처음에는 [[부엌]]에서 화장품을 만들어 살롱에서 동료 메이크업 아티스트와 [[모델]], [[포토그래퍼]]들에게 직접 판매했다. 곧 스타일리스트와 패션 에디터들이 동참했고 잡지의 평판이 쌓이고 입소문이 나기 시작하면서 두 사람은 [[1984년]] [[3월]] 토론토 백화점의 한 매장에서 맥을 런칭하게 되는데 이게 바로 맥의 시초다. 처음에는 메이크업 제품을 콤팩트가 아닌 블랙 용기에 담아내는 방식이었고 당시 주요 메이크업 브랜드들은 스킨케어 회사였지만, 맥은 궁극적인 컬러 권위자로서 입지를 다지기로 선택. 이 선택으로 맥은 업계를 단숨에 사로잡았고 다양한 제품을 제공하며 거리의 메이크업 유행을 선도했다. === 한국 진출 === [[대한민국|한국]]에서는 [[1999년]] [[12월]]에 런칭을 했으며, 전국 35개 매장을 가지고 있다. 현재 [[후천성 면역 결핍 증후군|에이즈]] 기금 마련을 위해 비바글램 컬렉션과 환경보호 프로그램인 백투맥 등 사회 공헌 캠페인을 진행하고 있다. == 판매 제품군 == [[파일:맥 립스틱.jpg]] 총알 모양으로 생긴 [[립스틱]]을 브랜드 심벌로 꼽을 수 있다. 이 립스틱에서는 [[초콜릿]] 내지는 [[바닐라]]가 생각나는 달콤한 향기가 난다. 색상과 제형이 다양해 맥 립스틱만 수십 개씩 수집하는 [[덕후]]들이 많다. 겉보기에는 똑같이 생긴 총알 모양 립스틱이어도 굉장히 다양한 제형들이 있어서 비슷한 빨간 색이어도 여러가지 질감의 립스틱이 있다. * 러스터글래스 립스틱 가볍고 촉촉한 쉬어 샤인 텍스쳐, 오래 지속되는 맑고 다채로운 컬러. 가격은 38,000원. * 매트 립스틱 다양한 컬러의 선명한 발색으로 어디서든 돋보이는 룩을 연출할 수 있는 립스틱으로 맥에서 가장 유명한 제품. 가격은 35,000원 * 앰플리파이드 립스틱 흰 끼가 살짝 도는 크리미한 텍스쳐, 강한 발색력. 가격은 35,000원 * 파우더키스 립스틱 가볍고 편안한 텍스처의 매트 립스틱. 기존 매트 립스틱은 뻑뻑한 제형이라 바르기가 편하지 않다는 단점이 있다. 매트 립스틱의 느낌은 살려두되 발림성만 살짝 부드럽게 한 제품이다. 가격은 38,000원 * 레트로매트 립스틱 매트하고 선명한 발색으로 오랜 시간 지속된다. 매트 립스틱보다 발림성이 좀 더 뻑뻑한 편이다. 가격은 35,000원 * 크림쉰 립스틱 립밤같이 부드러운 감촉의 촉촉한 윤기가 흐르는 마무리감이 특징이다. 가격은 35,000원 * 새틴 립스틱 부드럽게 발리는 가장 일반적인 텍스처의 립스틱이다. 가격은 35,000원 * 프로스트 립스틱 미세한 펄감이 입술을 더 볼륨감 있어 보이게 연출해주는 텍스처 가격은 35,000원 * 비바 글램 립스틱 [[에이즈]] 기금 조성을 위해 출시되었다. 가격은 33,000원 단, 반드시 그러하지는 않으나 통상 1년에 두 번 정도 가격이 인상되고 있어 상기 표기된 가격정보 또한 정확하지 않을 수 있다. 한정으로 출시되는 립스틱이나 아이섀도우, 블러셔 등은 수많은 맥빠들이 [[백화점]]과 [[면세점]]을 전전하게 만든다. 하지만 한정이라고 해도 거의 한두 달에 한 번 꼴로 나오기 때문에 수많은 코스메틱 덕후들의 지갑털이 주범이라고 보면 된다. 많은 화장품 브랜드가 그렇듯이, 국가마다 풀리는 물건의 종류, 수량, 발매시기가 조금씩 달라서 맥빠들에게 구매대행까지 불사하게 만들기도 한다. 몇 몇 전설로 남은 제품들은 꽤 많은 [[프리미엄]]을 받고 중고 장터에서 거래되기도 한다. 하지만 케이스에 일러스트도 집어넣고 다양한 색으로 수집욕을 자극해 명성이 자자했던 과거의 한정판과 달리 요즘은 케이스가 예전에 비해 영 아쉽다는 평가가 많다. === 인기 제품 === 립스틱의 인기 색상은 다음과 같다. * 한때 국민 립스틱이라 불리던 '엔젤'. * [[바비브라운|B브랜드]]의 새먼과 비슷한 색으로 인기 있는 '스시 키스'. [[아오이 유우]]가 비슷한 색의 립스틱을 써서 인기를 끌었다. * 한국 시장을 겨냥하고 출시한 '코리안 캔디'와 '써니 서울' * 코랄 계열의 촉촉한 립스틱 '베가스 볼트' * 형광빛의 쿨톤 형광핑크 '캔디얌얌' 그 외에도 파우더 키스 립스틱 전 제품이 인기가 좋다. 립스틱 외에 유명한 제품은 다음과 같다. * 스트롭 크림: 펄이 들어가 있어서 바르면 미세한 광이 난다고 한다. 수분을 공급해 주는 메이크업 베이스. * 라이츠카페이드(일명 오로라): 하이라이터임에도 인위적이지 않고 은은한 광이 난다. 피부가 어두운 사람들에게는 대체로 소프트 앤 젠틀을 추천하는 편이다. * 브러쉬: 브러쉬 이름이 번호로 되어있으며(맥 187 등) 웬만한 화장품 가격에 맞먹을 만큼 매우 비싸다. 점원의 말에 따르면 브러쉬 호수는, 예를 들어 187의 경우 백팔십칠이 아니라 일팔칠이라고 읽는다고 한다. == 논란 및 사건사고 == [include(틀:사건사고)] === 연쇄살인사건 모티브 논란 === [[파일:사우다드후아레스 연쇄살인사건.jpg|width=600]] [[http://www.todayhumor.co.kr/board/view.php?table=humorbest&no=1208284&s_no=1208284&kind=humorbest_sort&page=1&o_table=beauty|해당 논란에 대한 정리글 링크]] 해외에서 큰 논란이 된 사건임에도 [[대한민국|한국]]에는 잘 알려져 있지 않았지만, [[여성혐오]] 발언을 한 [[유상무]]가 광고를 맡게 된 후 논란이 되고, 이를 통해 국내에 잘 알려지지 않았던 논란이 조금씩 알려지기 시작했다. [[파일:맥 논란.png|width=600]] 패션업체 Rodarte와의 콜라보 라인 'Rodarte 컬렉션'으로 [[미국]]과 [[멕시코]] 국경의 [[시우다드후아레스 연쇄살인사건|시우다드후아레스에서 벌어진 여성들을 대상으로 한 살인 사건]]을 모티브로 아이섀도, 립스틱, 블러셔 등을 만들었으며, 제품을 사용해 모델을 마치 시체가 떠오르도록 화장해 런웨이에 내보냈다. 또한 블러셔 등 제품을 검색해보면 혈액이나 장기가 연상되는 색들을 집어넣었으며, 제품명을 살인이 일어난 마을의 이름 등으로 정해 발매했다.[* 특히 네일 락커 중 'Factory: Light Opal Mint(Frost) (Limited Edition)'라는 제품이 있었는데, 시우다드후아레스 사건의 피해자 대부분이 인근의 소규모 제조업체 공장에서 일하던 여성 직원과 어린 여학생들이었다는 점 때문에 생각이 있는 네이밍이냐며 더욱 공분을 샀다.] 이에 여러 소비자들이 항의를 올리자 맥은 그런 의도가 아니었다는 입장을 밝히면서 10만 달러 기부와 함께 논란이 된 컬렉션 발매를 취소하고 사과문을 올렸으나 반응은 매우 싸늘했다.애초에 연쇄살인사건을 모티브로 하는 것 자체가 고인과 피해자들에 대한 모욕이며 매우 괴상하고 비상식적이다.~~ 미친 짓~~해외 뷰티계에서도 의도적이었느냐 여부를 두고 논쟁이 있었지만, 대체적으로는 빼도 박도 못하는 연쇄살인사건 모티브라고 보는 의견이 지배적이다. 또한 Mac experience를 유튜브에 검색하면 다수의 뷰티 블로거나 유튜버 사용자들이 업로드한 비디오가 맥 직원들의 사려 깊지 못한 서비스에 대해 지적한 것임을 볼 수 있다. 다른 코스메틱 브랜드에서도 친절하지 못한 직원에게서 서비스를 받았을 수는 있지만, 유독 이 브랜드 비디오 수만 많은 걸 보면 딱히 본사에서 직원 교육을 잘 시키지는 않는 편인 듯하다. == 기타 == * 제일 프리미엄이 높았던 것 중에 하나는 미네랄라이즈 스킨피니쉬 라인인 라이츠카페이드(일명 오로라). 약 10만 원 중반대까지 가격이 올랐다는 듯. [[2011년]] 신디 셔먼 컬렉션으로 재발매되었는데 재발매일 당일 모두 품절된 바 있으나, [[2012년]]부터 '''한정이 아닌''' 이른바 '온고잉'으로 발매되어 판매되고 있다. * 타 백화점 브랜드에 비해 상대적으로 저렴한 가격이다.[* 그렇다고 가격 거품은 존재하는데 립스틱이 공식 홈페이지에서 16달러라면 한국에서는 31,000원. 웬만하면 [[직구]]하는 편이 낫다. 그런데 최근 몇 년사이 가격을 올렸다.] * 회사의 드레스 코드가 [[블랙]]이라, 딱히 정해진 [[유니폼]]은 없이 스타일은 자유롭게 입지만 임원부터 매장 [[아티스트]]까지 전부 검은 옷을 입는다. * [[2016년]] 쿠션 파운데이션이 출시되었는데, 모델로 개그맨 [[유상무]]를 기용해서 큰 논란이 일었다. * [[2016년]] [[4월]] 립틴트 제품인 버쉬컬러 스테인을 16색상 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