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해석학·미적분학)] [목차] {{{+1 [math(L^p)]-space, Lebesgue space}}} == 개요 == [math(L^p)]공간(르베그 공간)은 [[측도공간]]에서 절댓값의 [math(p)]제곱이 [[르베그 적분]] 가능한 함수의 공간이다. 이때, [[측도#ae|거의 어디에서나]] 같은 함수들은 동일한 함수로 본다. [math(p\ge1)]일 때 [math(L^p)] 공간은 완비 [[노름공간]], 즉 [[바나흐 공간]]이다. 특히 [math(p=2)]일 때에는 완비 내적공간, 즉 [[힐베르트 공간]]이다. == 정의 == === p∈[1, ∞)인 경우 === 측도공간 [math( (X,\ \mathcal{M},\ \mu) )]와 실수 [math(p\in[1,\ \infty))]가 주어졌을 때, 보렐 가측함수 [math(f : X \rightarrow \mathbb{K}\ (\mathbb{K\in\{R,\ C\}}))]에 대하여 {{{#!wiki style="margin:1.5em 1.5em ;text-align: center;" [math(\displaystyle\|f\|_p=\left(\int_X|f|^p d\mu\right)^{\frac{1}{p}})]}}}라고 하자. 함수공간 [math(\mathcal{L}^p(X,\ \mathcal{M} ,\ \mu))](또는 [math(\mathcal{L^p(\mu),\ L^p})])를 [math(\mathcal{L^p}:= \left\{ f : \|f\|_p <\infty \right\})]로 정의하면 [math(\mathcal{L^p})]는 [[벡터공간]]이다. [[민코프스키 부등식]]에 의해 [math(\|\cdot\|_p)]는 [math(\mathcal{L^p})]의 반노름을 이루므로 [math(\mathcal{L^p})]의 부분공간 [math(\mathcal{N}=\{f\in\mathcal{L^p}:\|f\|_p=0\}=\{f\in\mathcal{L^p}:f=0 \text{ a.e. }x\in X\})][* [math(\text{a.e.})]는 [[측도#ae|거의 어디서나(almost everywhere)]]라는 뜻이다.]에 대한 상공간 [math(L^p=\mathcal{L^p/N})]은 [math(\|\cdot\|_p)]를 노름으로 갖는 [[노름공간]]이다. 노름공간 [math(L^p)]를 '''[math(L^p)] 공간''' 또는 '''르베그-[math(p)] 공간'''이라고 하며, 노름 [math(\|\cdot\|_p)]를 '''[math(L^p)]-노름''' 또는 '''르베그 노름'''이라고 한다. === p=∞인 경우 === [math(p=\infty)]인 경우 [math(\|f\|_\infty)]를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wiki style="margin:1.5em 1.5em ;text-align: center;" [math(\displaystyle \| f\|_{\infty} = \inf \{ M : \mu(|f|>M)=0 \})]}}}[math(p\in [1,\ \infty))]일 때와 마찬가지로 [math(\|\cdot\|_\infty)]는 [math(\mathcal{L^\infty})]의 반노름이며, [math(L^\infty)]공간은 [math(\mathcal{L^\infty})]에 대한 거의 어디에서나 [math(0)]인 함수공간의 상공간으로 정의된다. [math(L^\infty)] 노름은 '''본질적 상한(essential supremum)'''이라고 하며 [math(\|f\|_\infty=\textrm{ess}\sup_{x\in X}|f(x)|)]으로 나타낸다. 본질적 상한은 함수의 최대값을 측도공간에 맞추어 일반화한 개념이다. === p∈(0, 1)인 경우 === [math(p\in(0,\ 1))]인 경우 [math(\|\cdot\|_p)]는 삼각부등식을 만족시키지 못하여 [math(L^p)]공간은 노름공간이 아니지만, 완비 준노름(quasinorm) 공간이다. 이 문서에서는 별도의 서술이 없으면 [math(p \in [1, \infty])]인 경우를 다룬다. == 성질 == === Lp 노름의 성질 === [math(L^p)]-노름은 로그-볼록(log-convex)이다. 즉 [math(p>1)]에 대해 [math(\log \|f\|_{p})]는 [[볼록함수]]이다. === 완비성 === [math(L^p)]-공간은 완비성을 갖춰 바나흐 공간이다. 특히, [math(L^2)]-노름은 내적으로부터 유도할 수 있어 [math(L^2)]-공간은 완비 내적 공간인 [[힐베르트 공간]](Hilbert space)이 된다. [[단순함수]], [[연속함수]], [[매끄러움|매끄러운]] 함수(smooth functions)들의 집합 등은 [math(L^p)]의 조밀한 부분집합을 이룬다. === Lp 공간 사이의 관계 === 일반적으로 [math(L^p)]공간 사이에는 포함관계가 없다. 르베그 측도공간 [math((0,\ \infty))] 위의 함수 [math(f_a(x)=x^{-a}(a>0))]에 대하여 [math(f_a\chi_{(0,\ 1)}\in L^p)]일 필요충분조건은 [math(pa^{-1})]이다. 따라서 [math(p'''리츠 보간 정리'''(Riesz interpolation theorem) ---- 주어진 지수 [math(1 \le p_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