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DRX/리그 오브 레전드)] ||<-5> [[Incredible Miracle/리그 오브 레전드|{{{#d6d6d6 '''Incredible Miracle'''}}}]] - [[Longzhu IM|{{{#d6d6d6 '''Longzhu IM'''}}}]] ||<:> → || {{{#212121 '''Longzhu Gaming'''}}} ||<:> → || [[KING-ZONE DragonX/리그 오브 레전드|{{{#fff '''KING-ZONE DragonX'''}}}]] || ||<-2> [[파일:LongZhu Gaming 로고.png|width=250]] || ||<-2> '''{{{+1 롱주 게이밍}}}''' || ||<-2> '''{{{#b8c5cd {{{+1 Longzhu Gaming}}}}}}''' || || '''창단''' ||[[2012년]] [[5월 7일]] || || '''매각''' ||[[2018년]] [[1월 8일]] || ||<|2> '''팀명''' ||{{{#!folding 통합 이전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Incredible Miracle(2012~2013)[br][[Incredible Miracle/리그 오브 레전드/2015 시즌 이전|Incredible Miracle #1]](2013~2014) ||<-2>[[Incredible Miracle/리그 오브 레전드/2015 시즌 이전|Incredible Miracle #2]](2013~2014) ||}}}}}}|| ||Incredible Miracle(2014~2015)[br]Longzhu IM(2015)[br]'''Longzhu Gaming(2015~2017)''' || ||<-2> '''{{{#b8c5cd 우승 기록}}}''' || || '''[[League of Legends Champions Korea|{{{#000 __LCK__}}}]]''' (1회) ||2017 서머|| || '''[[Intel Extreme Masters|{{{#000 IEM}}}]]''' (1회) ||2013 상파울루[* [[Incredible Miracle/리그 오브 레전드|Incredible Miracle]] 시절 달성.]|| ||<-2> '''{{{#b8c5cd 팀 컬러}}}''' || ||<-2> {{{#!wiki style="margin: 0 -10px" {{{#373a3c,#ddd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2> {{{#b8c5cd '''팀 컬러'''}}} || ||<-2> {{{+5 {{{#4b93c5 ■}}} {{{#212121 ■}}} {{{#b8c5cd ■}}} }}} ||}}}}}}}}}}}} || [목차] [clearfix] == 개요 == KING-ZONE이 [[롱주TV]]가 소유했던 프로게임단인 Longzhu Gaming을 인수하며 팀명을 [[KING-ZONE DragonX/리그 오브 레전드|KING-ZONE DragonX]]로 변경하기 전을 정리한 문서다. 팀 약자는 '''LZ'''. == 역사 및 역대 시즌 == === 시즌 2 ~ 2014 시즌 === ||<-5> {{{+2 {{{#fff '''통합 이전'''}}}}}} || ||<-5>{{{#!wiki style="margin:-16px -11px" || [[파일:Incredible_Miracle_1logo_square.webp|width=150]] || [[파일:Incredible_Miracle_2logo_square.png|width=150]] || || '''[[Incredible Miracle/리그 오브 레전드/2015 시즌 이전|{{{#d6d6d6 Incredible Miracle #1}}}]]''' || '''[[Incredible Miracle/리그 오브 레전드/2015 시즌 이전|{{{#d6d6d6 Incredible Miracle #2}}}]]''' || || '''{{{#6e8ded 인크레더블 미라클 #1}}}''' || '''{{{#00f 인크레더블 미라클 #2}}}''' ||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33%" [[Incredible Miracle/2012 시즌|2012]]}}}{{{#!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33%" [[Incredible Miracle 1/2013 시즌|2013]]}}}{{{#!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33%" [[Incredible Miracle 1/2014 시즌|2014]]}}}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33%" [[Incredible Miracle 2/2013 시즌|2013]]}}}{{{#!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33%" [[Incredible Miracle 2/2014 시즌|2014]]}}} ||}}}|| === [[Longzhu IM/2015 시즌|2015 시즌]]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Longzhu IM/2015 시즌)] === [[Longzhu Gaming/2016 시즌|2016 시즌]]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Longzhu Gaming/2016 시즌)] === [[Longzhu Gaming/2017 시즌|2017 시즌]]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Longzhu Gaming/2017 시즌)] == 팀 주요 성적 == === Incredible Miracle #1 === ||<-6> [[Longzhu Gaming|[[파일:Incredible_Miracle_1logo_square.webp|height=50]]]] || || 기간 || 순위 || 대회 || 결과 || 상대 팀 || 획득 상금 || || 2012.05.04 || 4위 || [[Azubu the Champions Spring 2012]][* [[Team OP]] 시절. 당시 멤버는 [[전호진|a Lilac]], [[최현일(프로게이머)|Paragon]], [[이상정(프로게이머)|Cornsalad]], [[Team OP|ashart]], [[이현진(프로게이머)|Nolja]].] || 1:2 || [[Xenics|Xenics Storm]] || ₩ 10,000,000 || || 2012.07.27 || 9-16위 || [[Azubu the Champions Summer 2012]] || 1-2 || 조별 리그 || ₩ 4,000,000 || || 2012.09.14 || 5위 || [[리그 오브 레전드 시즌2 월드 챔피언십/한국대표선발전|시즌 2 월드 챔피언십 한국대표선발전]] || 1:3 || [[나진 블랙 소드|NaJin Sword]] || || 2012.09.20 || 우승 || [[배틀로얄(나이스게임TV)|배틀로얄 토너먼트]] || 3:1 || [[Invictus Gaming/리그 오브 레전드|Invictus Gaming]] || ₩ 3,000,000 || || 2012.10.22 || 5-8위 || [[IPL 5]] LoL 한국대표 선발전 || 1-2 || 조별 리그 || || 2012.10.28 || 4위 || World e-Sports Masters 2012 || 0:1 || [[Invictus Gaming/리그 오브 레전드|Invictus Gaming]] || $ 7,500 || || 2012.11.03 || 4위 || [[용쟁호투(나이스게임TV)|용쟁호투]] || 2:3 || [[Invictus Gaming/리그 오브 레전드|Invictus Gaming]] || || 2012.12.28 || 5-8위 || [[OLYMPUS Champions Winter 2012-2013]] || 2:3 || [[CJ 엔투스 블레이즈|Azubu Blaze]] || ₩ 12,000,000 || || 2012.12.28 || 5-8위 || [[컨디션 헛개수 NLB Winter 2012-2013]] || 0:2 || [[RoMg#s-1.2|GSG]] || ₩ 500,000 || || 2013.01.12 || 3-4위 || [[IEM]] 7 카토비체 한국대표 선발전 || 1:3 || [[CJ 엔투스 블레이즈|Azubu Blaze]] || || 2013.02.03 || 우승 || [[IEM]] 7 상파울루 || 2:0 || Anexis || $ 15,500 || || 2013.02.13 || 5-6위 || [[LOL 클럽 마스터즈]] || 0-1-1 || 조별 리그 || ₩ 1,000,000 || || 2013.03.06 || 7-8위 || [[IEM]] 7 월드 챔피언십 || 2-3 || 조별 리그 || $ 5,900 || || 2013.04.21 || 9-16위 || 제4회 인천 실내&무도 아시아경기대회 국가대표 선발전 || 0:2 || [[Virtual Throne Gaming|VTG Monsters]] || || 2013.05.03 || 9-12위 || [[OLYMPUS Champions Spring 2013]] || 0-3-2 || 조별 리그 || ₩ 10,000,000 || || 2013.05.30 || 5-8위 || [[이엠텍 NLB Spring 2013]] || 0:3 || [[나진 블랙 소드|NaJin Sword]] || ₩ 500,000 || || 2013.07.24 || 9-16위 || [[HOT6 Champions Summer 2013]] || 0-1-2 || 조별 리그 || ₩ 6,000,000 || || 2013.08.17 || 5-8위 || [[GIGABYTE NLB Summer 2013]] || 0:2 || [[진에어 그린윙스 팰컨스|Jin Air Greenwings Falcons]] || ₩ 500,000 || || 2013.12.31 || 9-12위 || [[ZOTAC NLB Winter 2013-2014]] || 0:2 || [[나진 블랙 소드|NaJin Sword]] || ₩ 500,000 || || 2014.03.29 || 9-16위 || [[HOT6 Champions Spring 2014]] || 1-0-2 || 조별 리그 || ₩ 6,000,000 || || 2014.04.26 || 5-8위 || [[빅파일 NLB Spring 2014]] || 0:2 || [[kt 롤스터 불리츠|kt Rolster Bullets]] || ₩ 750,000 || || 2014.07.24 || 9-12위 || [[IT ENJOY NLB Summer 2014]] || 0:2 || [[CJ 엔투스 블레이즈|CJ Blaze]] || ₩ 500,000 || === Incredible Miracle #2 === ||<-6> [[Longzhu Gaming|[[파일:Incredible_Miracle_2logo_square.png|height=50]]]] || || 기간 || 순위 || 대회 || 결과 || 상대 팀 || 획득 상금 || || 2013.04.21 || 5-8위 || 제4회 인천 실내&무도 아시아경기대회 국가대표 선발전 || 0:2 || [[kt 롤스터 불리츠|kt Rolster B]] || || || 2013.05.21 || 5-8위 || [[이엠텍 NLB Spring 2013]] || 2:3 || [[SK텔레콤 T1 S|SK telecom T1 #1]] || ₩ 500,000 || || 2013.06.28 || 5-8위 || LOL AMD 챔피언십 프로팀 최강전 || 0:2 || [[삼성 갤럭시 화이트|MVP Ozone]] || || || 2013.07.27 || 9-16위 || [[HOT6 Champions Summer 2013]] || 0-1-2 || 조별 리그 || ₩ 6,000,000 || || 2013.08.24 || 2위 || [[GIGABYTE NLB Summer 2013]] || 1:3 || [[나진 블랙 소드|NaJin Black Sword]] || ₩ 2,000,000 || || 2013.12.13 || 9-16위 || [[PANDORA TV Champions Winter 2013-2014]] || 0-2-1 || 조별 리그 || ₩ 6,000,000 || || 2013.12.26 || 9-12위 || [[ZOTAC NLB Winter 2013-2014]] || 1:2 || [[진에어 그린윙스 팰컨스|Jin Air Greenwings Falcons]] || ₩ 500,000 || || 2014.04.05 || 9-16위 || [[HOT6 Champions Spring 2014]] || 1-0-2 || 조별 리그 || ₩ 6,000,000 || || 2014.04.14 || 9-12위 || [[빅파일 NLB Spring 2014]] || 0:2 || [[Prime/리그 오브 레전드|Prime Optimus]] || ₩ 500,000 || || 2014.07.31 || 5-8위 || [[IT ENJOY NLB Summer 2014]] || 0:2 || [[나진 화이트 실드|Najin W Shield]] || ₩ 750,000 || === Longzhu IM === ||<-6> [[Longzhu Gaming|[[파일:Incredible_Miraclelogo.png|height=50]]]] || || 기간 || 순위 || 대회 || 결과 || 상대 팀 || 획득 상금 || || 2014.12.20 || 8위 || [[2015 SBENU LoL Champions Korea Spring/프리시즌]] || 0:2 || [[T1/리그 오브 레전드|SK telecom T1]] || - || || 2015.04.10 || 7위 || [[2015 SBENU LoL Champions Korea Spring]] || 0:2 || [[CJ 엔투스/리그 오브 레전드|CJ Entus]] || ₩ 10,000,000 || || 2015.08.08 || 9위 || [[2015 SBENU LoL Champions Korea Summer]] || 1:2 || [[CJ 엔투스/리그 오브 레전드|CJ Entus]] || ₩ 10,000,000 || || 2015.11.06 || 9-14위 || [[NAVER 2015 LoL KeSPA Cup]] || 1:2 || [[진에어 그린윙스/리그 오브 레전드|Jin Air Greenwings]] || - || === Longzhu Gaming === ||<-6> [[Longzhu Gaming|[[파일:LongZhu Gaming 로고.png|height=50]]]] || || 기간 || 순위 || 대회 || 결과 || 상대 팀 || 획득 상금 || || 2016.04.09 || 7위 || [[2016 꼬깔콘 LoL Champions Korea Spring]] || 2:1 || [[진에어 그린윙스/리그 오브 레전드|Jin Air Greenwings]] || ₩ 10,000,000 || || 2016.08.05 || 8위 || [[2016 코카-콜라 제로 LoL Champions Korea Summer]] || 2:0 || [[T1/리그 오브 레전드|SK telecom T1]] || ₩ 10,000,000 || || 2016.11.10 || 9위~14위 || [[2016 LoL KeSPA Cup]] || 1:2 || [[진에어 그린윙스/리그 오브 레전드|Jin Air Greenwings]] || - || || 2016.11.20 || 4위 || IEM Season XI - Oakland || 0:2 || [[Flash Wolves/리그 오브 레전드|Flash Wolves]] || $ 10,000 || || 2017.04.02 || 7위 || [[2017 LoL Champions Korea Spring]] || 0:2 || [[kt 롤스터/리그 오브 레전드|kt Rolster]] || ₩ 10,000,000 || || 2017.08.26 || 우승 || [[2017 LoL Champions Korea Summer]] || 3:1 || [[T1/리그 오브 레전드|SK telecom T1]] || ₩ 100,000,000 || || 2017.10.19 || 5~8위 || [[리그 오브 레전드 2017 월드 챔피언십]] || 0:3 || [[삼성 갤럭시(프로게임단)/리그 오브 레전드|Samsung Galaxy]] || $ 183,863[* 원화로 대략 2억 5백만원.] || || 2017.12.02 || 준우승 || [[2017 LoL KeSPA Cup]] || 2:3 || [[kt 롤스터/리그 오브 레전드|kt Rolster]] || ₩ 20,000,000 || == 前 멤버 == === 선수 === * IM #1 * [[이민우(프로게이머)|이민우]](Tatu/Support) - 12.05.17 탈퇴, 이후 [[몬스터 게이밍]]으로 이적[* 하지만 이 팀은 알고보니 [[대리팀]]으로 밝혀졌다. 자세한 것은 [[Monster Gaming 대리 랭크 사건|항목]] 참고.] * [[이상정(프로게이머)|이상정]](Cornsalad/Top) - 12.10.?? 계약 종료, 이후 [[Xenics Storm]] 이적 * [[정윤성(프로게이머)|정윤성]](Ring[* Ring Troll. 랭크용 아이디는 '방장님 못생겼음']/Jungle) - 13.02.24 숙소 무단이탈로 인한 방출 * [[차노아]](Livy/Support) - 13.??.?? 대마초 흡연으로 인한 방출 * [[권민우]](Lasha/Support) - 13.07.02 2팀으로 이적 * 김준환(GGyuAng[* 前 [[VTG]] Soft]/Support) - 13.08.06 탈퇴 * 김주현(아수라룰루/Support) - 13.??.?? 탈퇴 * 정현철(Elinke/Mid) - 13.??.?? 탈퇴, 이후 MF Gaming으로 이적 * [[김의진(프로게이머)|김의진]](ReignOver) - 13.??.?? 2팀으로 이적 * [[최현일(프로게이머)|최현일]](Paragon/Top) - 13.10.13 탈퇴, 이후 [[Team OP]]로 이적 * 진웅(Woongsin/Support) - 13.??.?? 탈퇴 * [[전호진]](Lilac/Jungle) - 14.05.27 2팀으로 이적 * [[박용우(프로게이머)|박용우]](MidKing/Mid) - 14.05.27 탈퇴, 이후 [[MKZ(프로게임단)|MKZ]]로 이적 * [[임두성(프로게이머)|임두성]](Violet/AD) - 14.05.27 탈퇴, 이후 [[MKZ(프로게임단)|MKZ]]로 이적 * [[송경호(프로게이머)|송경호]](Smeb/Top) - 14.09.?? 계약종료, 이후 [[ROX Tigers/2017년 이전|HUYA Tigers]]로 이적 * [[김석준(프로게이머)|김석준]](Habom/Top) - 14.11.17 계약 종료, 이후 [[프라임 아이티엔조이]]로 이적 * [[이태경]](Smurf/Jungle) - 14.11.17 계약 종료, 이후 [[프라임 아이티엔조이]]로 이적 * [[손승용]](Thy/Mid) - 14.11.17 계약 종료, 이후 [[프라임 아이티엔조이]]로 이적 * [[이성윤(프로게이머)|이성윤]](Bory/AD) - 14.11.17 계약 종료, 이후 [[프라임 아이티엔조이]]로 이적 * [[이인용(프로게이머)|이인용]](BBuing/Support) - 14.11.17 탈퇴 * IM #2 * 김용범(SoFantasy/AD) - 13.06.17 탈퇴 * [[이재하(프로게이머)|이재하]](Sylph[* 前 [[VTG]] Banking]/Top) - 13.07.19 탈퇴. 이후 [[ROX Tigers/2017년 이전|ROX Tigers]]로 이적 * 정재호(Scarlet[* 前 [[PSW]] BigPie, [[PSW]] RideRocket]/AD) - 13.08.06 탈퇴, 2015년 현재 다나와 조커 소속 히어로즈 오브 더 스톰 프로게이머로 활동중 * 임태완(Pescaly Maximal/Top) - 13.??.?? 탈퇴 * [[박재권]](PLL/Top) - 13.12.26 탈퇴, 이후 [[MKZ(프로게임단)|MKZ]]로 이적 * [[이인용(프로게이머)|이인용]](BBuing/Support) - 14.03.?? 1팀으로 이적 * [[이서행]](KurO/Mid) - 14.05.16 계약종료, 이후 [[나진 블랙 소드]]로 이적 * [[정철우(프로게이머)|정철우]](Apple/Top) - 14.05.27 탈퇴, 이후 팀으로 복귀 * [[김의진(프로게이머)|김의진]](ReignOver/Jungle) - 14.05.27 탈퇴, 이후 [[Fnatic/리그 오브 레전드|Fnatic]]으로 이적 * [[이승민(프로게이머)|이승민]](BetKyo/AD) - 14.05.27 탈퇴, 이후 [[MKZ(프로게임단)|MKZ]]로 이적 * [[최현일(프로게이머)|최현일]](Paragon/AD) - 14.05.27 탈퇴, 이후 [[Winterfox/리그 오브 레전드|Winterfox]]로 이적 * [[권민우]](Lasha/Support) - 14.05.27 탈퇴 * [[김석준(프로게이머)|김석준]](Joon/Jungle) - 14.05.27 1팀으로 이적 * [[정재우]](Ondal) - kt 롤스터로 이적 * 단일 팀 * [[김태완(프로게이머)|김태완]](Wisdom/Jungle) - 15.02.?? 탈퇴, 이후 [[ROX Tigers/2017년 이전|KOO Tigers]]로 이적 * [[김민권]](Ares/Jungle) - 15.05.13 방출. 이후 [[kt 롤스터/리그 오브 레전드|kt 롤스터]] 연습생으로 이적 * 이수형(lSh/Top) - 15.??.?? 탈퇴 * 김창희(Dochi/Jungle) - 15.??.?? 탈퇴, 이후 SQUARE로 이적 * 이주성(Smile/Mid) - 15.??.?? 탈퇴 * [[이승주(프로게이머)|이승주]](Stitch/AD) - 15.06.18 탈퇴, 이후 Midnight Sun Esports로 이적 * [[문지원]](Spooky/Jungle) - 15.10.?? 탈퇴. 이후 [[Winners/리그 오브 레전드|Winners]]로 이적 * [[전호진]](Lilac/Top) - 15.11.?? 계약종료, 이후 [[Weibo Gaming FAW Audi|T.Bear Gaming]]으로 이적 * [[정철우(프로게이머)|정철우]](Apple/Top) - 15.11.?? 계약종료 * [[손승익]](SONSTAR/AD) - 15.11.?? 계약종료, 이후 [[Giants/리그 오브 레전드|Giants Gaming]]으로 이적 * [[최현일(프로게이머)|최현일]](Paragon/AD) - 15.11.?? 계약종료, 이후 [[Misfits/리그 오브 레전드|Misfits]]로 이적 * [[이동근(프로게이머)|이동근]](IgNar/Support) - 15.12.02 탈퇴, 이후 [[kt 롤스터/리그 오브 레전드|kt 롤스터]]로 이적 * [[박종익]](TusiN/Jungle) - 15.12.05 계약종료, 이후 1년 휴식 후 [[Afreeca Freecs/리그 오브 레전드|Afreeca Freecs]]로 이적 * [[오장원(프로게이머)|오장원]](Roar/AD)[* 前 [[진에어 그린윙스 팰컨스|진에어 팰컨스]] Roar, [[CJ 엔투스/리그 오브 레전드|CJ 엔투스]] Roar] - 15.12.06 계약 종료, 이후 [[Apex Gaming]]으로 이적 * [[강형우]](Cpt Jack/AD) - 16.05.19 이후 로스터 제외, 이후 [[SPOTV GAMES]] 해설로 전향 * [[이호종]](Flame/Top) - 16.11.30 계약종료, 이후 [[Immortals/리그 오브 레전드|Immortals]]로 이적 * [[이상현(프로게이머)|이상현]](Chaser/Jungle) - 16.11.30 계약종료, 이후 [[Team Dignitas/리그 오브 레전드/2018년 이전|Team Dignitas]]로 이적 * [[김태일]](Frozen/Mid) - 16.11.30 계약종료, 이후 [[Fenerbahçe Espor|1907 Fenerbahçe Esports]]로 이적 * [[신진영(e스포츠)|신진영]](Coco/Mid) - 16.11.30 계약종료, 이후 [[Newbee/리그 오브 레전드|Newbee]]로 이적 * [[이진용(프로게이머)|이진용]](Fury/AD) - 16.11.30 계약종료 , 이후 [[Weibo Gaming FAW Audi|T.Bear Gaming]]으로 이적 * [[김진현(프로게이머)|김진현]](Emperor/AD) - 16.11.30 계약종료, 이후 SEA Serpents로 이적 * [[김진선(프로게이머)|김진선]](Pure/AD) - 16.11.30 계약종료, 이후 [[CJ 엔투스/리그 오브 레전드|CJ 엔투스]]로 이적 * [[이동우(프로게이머)|이동우]](Crash/Jungle) - 17.05.19 계약종료, 이후 [[Rare Atom/리그 오브 레전드|Vici Gaming]]으로 이적 * [[송용준]](Fly/Mid) - 17.05.20 계약종료, 이후 [[Gold Coin United]]로 이적 * [[구본택]](Expession/Top) - 17.05.23 계약종료, 은퇴 * [[윤석준(프로게이머)|윤석준]](Justice/Mid) - 17.11.22 계약종료, 이후 [[진에어 그린윙스/리그 오브 레전드|진에어 그린윙스]]로 이적 * [[이우진(프로게이머)|이우진]](Lucy/AD) - 17.11.22 계약종료, 이후 [[Winners/리그 오브 레전드|Ever8 Winners]]로 이적. * [[장준수]](Zzus/Support) - 17.11.22 계약종료, 이후 [[YouthCrew Esports]]으로 이적 === 스태프 === * 강병률(Spark) - 15.??.?? 계약 종료.[* 현재는 팀 프런트 자리에 있는 것으로 보인다.] * [[김목경]](Micro) - 15.??.?? 계약 종료, 이후 [[콩두 몬스터|e-mFire]]로 이적 * [[함장식]](Lustboy) - 16.11.30 계약종료, 이후 CNB e-Sports Club로 이적 * [[김상수(e스포츠)|김상수]](SSONG) 코치 - 17.03.01 계약종료, 이후 [[Immortals/리그 오브 레전드|Immortals]] 감독으로 이적. * [[김정수(e스포츠)|김정수]] 코치 - 17.11.22 계약종료, 이후 [[Invictus Gaming/리그 오브 레전드|Invictus Gaming]]으로 이적. == 사건사고 == === 2017년 임금 체불 문제 === 2017년 스프링 진행 도중 롱주의 [[http://m.inven.co.kr/board/powerbbs.php?come_idx=4625&l=874305|스폰에 또 문제가 생겼다는 설이 돌았다]]. 시즌 후반으로 갈 수록 안좋아지는 경기력에 이것이 원인이 아닐까 하는 말도 돌았지만... 2개월이 지난 후 5월에 [[http://www.inven.co.kr/webzine/news/?news=178571&iskin=esports|내부 폭로]]를 통해 '''임금 체불''' 문제가 있었음이 밝혀졌다. 추후 쑤닝에 인수되면서 어느 정도 전모가 드러났다. 때마침 [[주한미군 THAAD 배치 논란]]으로 촉발된 [[한한령]]과 맞물려 송금 절차가 꼬이게 되었다는 듯. 결승 이후 기사에서 [[한국e스포츠협회|협회]] 위탁 운영 체제로 들어간 이유가 밝혀졌다. [[http://sports.news.naver.com/esports/news/read.nhn?oid=347&aid=0000108645|#]] 롱주가 쑤닝에 인수되면서 쑤닝은 [[Suning|기존에 보유하고 있던 LPL 팀]]과 롱주 팀을 중복 소유하게 되었고, 어느 한 팀을 버리지 않으면 라이엇의 게임단 중복 소유 금지 조항을 위반하는 상황이 초래됐다. 이 상황에서 결국 중국 회사인 쑤닝은 롱주 팀 쪽을 버리게 된 것이다.[* 해당 규정이 생길 때 북미에 있던 중국 스폰도 사라진 전례가 있다.] 롱주가 쑤닝에 인수된 것이 감독의 희망과 다르게 오히려 독이 돼버린 셈이다. == 기타 == 이 팀이 창단발표를 한 이후 여러 사건이 구설수에 올랐는데, 대표적인 것은 [[리그 오브 레전드/논란 및 사건 사고|링트럴과 건웅의 통수사건]]과 서포터인 타투의 와우 경력에 대한 논란이었다. 타투 관련 사건은 조금 식은 편이지만, [[정윤성(프로게이머)|링트럴]]과 [[장건웅|건웅]]의 대립은 양측의 설명차이로 인해 점점 거세지는 중. 그러나 링트럴이 나가고 이후 웅이 사과를 하면서 사건은 일단락 된 상태. [[정윤성(프로게이머)|링트럴]]과 [[장건웅|건웅]]의 갈등은 [[리그 오브 레전드 갤러리]]에서 참조. 부진한 성적과 [[LG전자|스폰하는 기업]]의 [[내려갈 팀은 내려간다|이미지]]가 이 팀에도 영향을 줬는지 팬덤에서는 [[6668587667|10년째 가을야구 못하는]] [[LG 트윈스|모 팀]]의 이미지가 제대로 박혀버렸다. 야빠들이 많은 [[PGR21]]에서는 "경기 내내 희망고문을 당하는 게 마치 그 팀의 경기를 보는 것 같다." "왜 사람들이 LG야구를 계속 응원하는지 이해하지 못했는데 이 팀의 빠가 된 지금은 이해가 간다."는 반응을 보이고 있다. 근데 [[LG]]는 이 팀을 후원하는 많은 스폰서들 중 좀 더 비중이 큰 네이밍 스폰서일 뿐, LG라는 기업 자체가 이 팀을 운영하는게 아닌지라 사실 LG와는 딱히 관련이 없다. 하위권 팀들중 선수 개별 문서 작성 수가 압도적으로 많은 팀이다. 2014 스프링 시즌에 드디어 10명 전원의 문서가 개설되었으나 서머 시즌에 7명의 멤버가 교체되었다. 묘하게 불운한 팀원들이 많은데 징크스로 노뎃을 찍고 루시안으로 2연속 MVP를 받으며 절정의 기량을 뽐내던 파라곤은 레인오버와 애플의 스로잉으로 빛을 보지 못하고 은퇴했으며, 입단 당시부터 꾸준히, 심지어 삼성 블루나 나진 쉴드 같은 강팀을 만났을때도 1.5인분은 족히 하던 라샤 역시 빛을 보지 못하고 건강이 나빠져 은퇴하였으며, 라일락 역시 다이아몬드 프록스가 한수 아래로 보일 정도로 활약한적이 있었지만 1분 마다 죽는 미드와 개발살난 봇 때문에 진적이 있다. 또한 링트럴 역시 자신에게 통수친 건웅은 롤드컵 준우승, 롤챔스 우승과 준우승을 하며 승승장구 할때 쓸쓸히 방출되었으며, 레인오버, 쿠로, 뿌잉, PLL, Aco Dahn 역시 자신들에게 졸렬한 짓을 했던 이다윤, 최천주, 이관형이 롤챔스 우승 하고 세체정이니 세체탑이니 하며 찬양 받는걸 봐야만 했다. 여담으로 롤계의 흑역사 원투를 다툴 [[차노아|라이비]]와 [[이민우(프로게이머)|타투]] 모두 LG-IM에서 프로 생활을 한 적이 있다. 2015년에도 불운은 그치지 않아 [[박종익|투신]]의 동생이 교통사고로 세상을 떠나는 사건까지 벌어졌다. 거기다 삼블을 잡았는데도 재경기에다가 2세트에서 진것 때문에 그 1승이 평가절하 되는 상황이 됐다. 2015년에는 1라운드에서 3승이나 거두며 예상 외로 선전했으나 1라운드 이후 [[김태완(프로게이머)|위즈덤]]이 이탈해버렸고, 새로 영입한 [[김민권|아레스]]의 하드똥으로 2라운드를 전패해 승강전에 가버리기도. 2014년 대대적인 리빌딩 이전엔 묘하게 CJ와 반대되는 모습을 보여줬다. CJ는 캐떡, 샤이, 래퍼드, 플레임 같은 걸출한 탑솔러를 양산했지만 고질적으로 엠페러를 제외하고 강력한 원딜을 가져 본적이 없어 봇라인이 항상 약점으로 지적됐다. 반대로 IM은 PLL, 스멥, 애플 같은 B급 탑솔러가 팀의 발목을 잡는 모양세가 많이 나왔고 봇라인이 최악의 영고라인 생활을 한 라샤, A급 원딜 파라곤, 베인장인 벳쿄, MKZ에서의 모습으로 프로스트 팬들이 탐내기 시작한 바이올렛, 뿌만두란 별명이 있던 뿌잉등이 1팀은 라일락, 2팀은 쿠로랑 함께 게임을 풀어가는 모습이 자주 나왔다. 이제는 리빌딩 때문에 없던 일이 됐지만. 거기다 탑으로 복귀한 라일락이 준수한 모습을 보여주고 스멥이 SKT T1 K와의 경기에서 리븐으로 마지막 불꽃을 보여주면서 확실히 이 말은 옛말이 되었다는 스멥이 KOO로 가버리고 라일락이 폭망하면서 다시 현실이 되었다. 이후 라일락-애플-엑스페션의 간손미 트리오가 결성되며 여전히 탑솔 문제는 해결이 안된 상황. 2015년 이후로 IM# Athena라는 여성 프로게임단을 신설했다. 기존엔 IM#Athena라는 팀명을 사용했으나 2015년 4월 13일엔 Longzhu TV의 후원을 받으면서 Longzhu Athena로 팀명을 변경했다. 팀원들은 아프리카TV 레이디스 배틀 윈터 2013-2014의 우승팀인 MVP PURE와 온게임넷 lol 레이디스리그 2013-2014의 우승팀인 Grace 선수들로 구성되었으며, 창단부터 최고의 여성 프로게임단이라는 찬사를 받았다. 그리고 아프리카TV 2015 LOL 레이디스 배틀 시즌1 우승을 거두고 이어 2015 Longzhu E스포츠 여신 인비테이셔널(LGQ)에서도 우승을 거두었다. 하지만 이 같은 성과 직후 멤버간 다툼으로 해체되었다. 원래 레이디스배틀 출전팀 대부분은 아마추어 그 자체인 만큼 내분으로 인해 다음 대회에 같은 멤버로 나서는 경우가 거의 없다. 특히 역대 대회 우승팀은 우승 직후 예외없이 사분오열됐다. 롱주로선 아쉽게도 Athena 역시 마찬가지였다. == 둘러보기 == [include(틀:LCK 역대 우승팀)] [include(틀:IEM LoL/역대 우승팀)] [include(틀:LCK 역대 정규시즌 1위팀)] [각주] [[분류:DRX/리그 오브 레전드]]